삼성자동차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 문서는 과거의 삼성자동차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전의 체제에 대한 내용은 삼성상용차 문서
삼성상용차번 문단을
삼성상용차# 부분을
, 이후 체제에 대한 내용은 르노삼성자동차 문서
르노삼성자동차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해당 기업의 후신에 대한 내용은 르노코리아자동차 문서
르노코리아자동차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없어진 자동차 브랜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구 신진자동차계
파일:kukje.png
파일:조선국산자동차.png
파일:새나라자동차 CI.png 파일:새나라자동차 CI White.png
국제차량제작
조선국산자동차
(구 조선자동차공업)

새나라자동차
파일:신진자동차 로고.svg
파일:거화.webp
파일:새한자동차 엠블럼.png
[[신진자동차|

신진자동차
(구 신진공업)
]]
[[거화|

거화
(구 신진지프자동차)
]]
새한자동차
(구 지엠코리아)

파일:동아자동차 심볼.svg
파일:대우자동차 로고.svg
파일:Bgw5abd4d5f39da8~3.png
동아자동차
(구 하동환자동차)

[[대우자동차|

대우자동차
]]
대우국민차
(생산: 대우중공업)

파일:GM대우 로고.svg
파일:자일대우버스 심볼.svg
파일:쌍용자동차 심볼.svg
GM대우
(현 GM 한국사업장)

[[자일대우버스|

자일대우버스
(구 자일대우상용차)
]]
쌍용자동차
(현 KG모빌리티)

구 삼성자동차계
파일:르노삼성자동차 로고.svg
파일:삼성자동차 및 르노삼성자동차 로고.png
파일:삼성자동차 및 르노삼성자동차 로고.png
[[르노삼성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현 르노코리아자동차)
]]
삼성상용차
삼성자동차
현대자동차계
기아계
기타
파일:현대정공 자동차부문 엠블럼.jpg
파일:아시아자동차 로고.svg
파일:Proto-Motors-Logo-500x281.png
[[현대모비스|

현대정공
(자동차 사업부문)
]]
아시아자동차
(기아자동차 CI 혼용)

프로토모터스
}}}




파일:삼성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계열사
전자
삼성전자 | 삼성디스플레이 | 삼성SDI | 삼성전기 | 삼성SDS (시큐아이)
중공업·건설
삼성중공업 | 삼성엔지니어링 | 삼성물산 건설부문
금융
삼성금융네트웍스 (삼성생명 | 삼성화재 | 삼성카드 | 삼성증권 | 삼성선물 | 삼성자산운용 | 삼성벤처투자)
서비스
삼성물산 (상사부문 · 패션부문 · 리조트부문) | 호텔신라 (신라스테이) | 제일기획 (삼성스포츠) | 에스원 (휴먼티에스에스) | 삼성글로벌리서치 (삼성EHS전략연구소) | 삼성의료원 |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 삼성웰스토리 | 멀티캠퍼스
사회공헌 | 문화예술
사회복지
삼성복지재단 | 삼성생명공익재단 | 삼성화재안내견학교
환경보전
삼성안전환경연구소
언론재단
삼성언론재단
과학기술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자원봉사
삼성법률봉사단
문화재단
삼성문화재단 | 호암재단
미술관
리움미술관 | 호암미술관
박물관
삼성화재 모빌리티뮤지엄
문화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장학
삼성꿈장학재단
학교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 학교법인 충남삼성학원
기타
삼성의료재단 | 대구삼성창조캠퍼스 | 삼성인력개발원
해체/합병
삼성건설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 삼성물산 유통부문 (홈플러스 · 삼성플라자) | 삼성반도체통신 | 삼성석유화학 | 삼성장학회 | 삼성상용차 | 삼성자동차 | 르노삼성자동차 | 삼성테스코 | 삼성 HTH | 제일모직 | 동양방송
역대 총수 · 현임 경영진


삼성자동차
Samsung Motors
파일:삼성자동차 로고.svg
CI
파일:삼성자동차 및 르노삼성자동차 로고.png

BI[1]
기업명
정식: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영어: Samsung Motors Co., Ltd.
한자: 三星自動車 株式會社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설립일
1995년 3월 28일
해산일
2000년 12월 22일
후신
파일:르노삼성자동차 기업 로고.svg(2000. 7.~2022. 3.)
파일:르노코리아자동차 로고.svg[[파일:르노코리아자동차 로고 화이트.svg(2022. 3.~)
업종명
승용차 및 기타 여객용 자동차 제조업
기업규모
대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주소
부산광역시 강서구 삼성자동차대로 61 (신호동)(현 르노코리아자동차 부산공장)

1. 개요
2. 역사
3. 매각 이후의 삼성
4. 역대 임원
5. 생산 차량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삼성이 만들면 다릅니다

2000년까지 있었던 삼성 계열 자동차 제조사이다.


2. 역사[편집]



SM5의 1차 티저 광고.


SM5의 2차 티저 광고.

10년 이상을 생각하고 만듭니다. 탈수록 가치를 느끼는 차, SM 5

삼성자동차, SM 5 광고 중에서


호암 이병철 회장 시절에도 자동차 사업 진출에 대한 고민은 있었지만 이병철 회장은 자동차 산업에 진출하지 않았다.[2][3] 1987년 11월 삼성그룹을 물려받은 이건희 회장은 자동차 매니아이며 자동차 사업 진출에 착수했다. 1990년대 즈음 현대그룹현대전자를 세워 전자/반도체 산업에 진출하면서 삼성그룹을 쫓아오고 있었는데, "현대는 삼성이 하는 건 다 하고 있지만 삼성은 현대가 하는 것을 다 하지 못한다"는 인식 때문에 그룹의 브랜드 가치에 잠재적인 위협 요소가 되고 있었다. 그게 아니더라도 자동차 산업은 그룹의 미래 먹거리를 분명히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확고했기에 더 늦기 전에라도 뛰어들기 위한 노력을 백방으로 해왔었다.

하지만 자동차 산업의 과잉 투자에 대해 우려하던 당시 노태우 정부의 산업 정책에 가로막혀 실패에 부딪혔다. 이 당시에는 자가용 수요가 급속히 늘어나던 시기라서 딱히 미래먹거리론이 아니더라도 자동차 산업진출이 구미에 당기는 일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정부의 판단은 틀리지는 않아서 IMF 시절 삼성자동차, 기아, 대우자동차, 쌍용자동차 등 현대자동차를 제외한 국내 자동차 기업들이 모두 무너지고 말았다.

1992년 7월 삼성그룹은 정부로부터 자동차(상용차) 제조 사업 인가를 받았고, 상용차(트럭)을 출시했다. 이는 승용차 진출을 허가받지 못한 상황에서 삼성중공업에서 상용차를 출시하여 우회적으로 자동차 산업에 진출하기 위한 시도였고, 결론적으로 이는 성공적인 전략이 되었다.

1993년에는 기아자동차를 인수하기 위해 삼성생명을 통해서 기아의 주식을 매입하기도 했었다. 삼성차 법인 설립 이후에도 기아를 인수하려 지속적으로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 삼성자동차의 현장 영업 사원들에게 배포된 자료에, 당장 부족한 정비망에 대한 질문이 고객으로부터 있을시에 "조만간 기아자동차를 인수하여 전국적인 인프라를 확보 할것" 이라는 응대 매뉴얼이 있을만큼, 기아 자동차의 인수에 진심 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삼성은 자동차 공장 부지로 세 곳을 후보지로 고려했는데, 당시 김영삼 대통령의 정치적 텃밭인 부산의 민심을 노리기 위해 부산 신호공단을 공장 부지로 선택했다. 이후 부산 지역 여론이 앞장서서 삼성자동차를 허가를 촉구하였다.

1994년 4월 닛산과 승용차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김영삼 정부는 1994년 여름까지도 삼성자동차 불허 방침을 거듭 밝혔고, 이에 삼성 관계자들은 크게 낙담했다. 그러나 부산 지역 민심의 목소리, 그리고 삼성중공업에서 이미 상용차를 성공적으로 출시한 경험은 정부가 삼성자동차를 불허 입장을 고수하는 걸 어렵게 만들었다.

1994년 12월 정부로부터 승용차 사업 허가를 받았다.

1995년 3월 삼성자동차가 출범하였다.

1995년 4월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 녹산국가산업단지에 공장 기공식을 가졌다.

1998년 3월에 첫 양산 모델인 SM5를 출시하였다. 생산 차종은 SM5 단일 모델이었다. 닛산의 경영난을 이용해 닛산 세피로/맥시마의 설계와 라이선스를 사들여 전후면부 디자인만 바꾸어 출시한 차였다.

하지만 당시 국내에는 현대, 기아, 대우, 쌍용이라는 경쟁자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고, 기묘하게도 SM5 출시를 코앞에 둔 시점에서 터진 1997년 외환 위기로 타격을 입어 삼성자동차는 물론 경쟁사들도 역시 현대자동차만 빼고 다 망했다.[4]

뿐만 아니라, 사장 이하 전 직원을 자동차 정비 학원에 보내어 정비 자격증을 따게 한 일화는 유명하다. 자동차를 모르는 사람이 어떻게 차를 팔수 있느냐.. 는 이건희 회장의 직접 지시가 있었다고 한다. 게다가 초기 영업 팀장급 (경쟁사 스카웃 및 계열사 대리급 사원) 들을 6개월 여의 시간을 투자하여, 일본에서 시행 하고있는(지금 현재도 시행중) 중고차 사정 시스템을 도입, 주먹 구구식이고 불투명한 중고차 처리 방식을 합리적이고 투명하게 하고자 하였으나 아쉽게도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결국 무리하게 부산에 입주하느라 초기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들게 됨으로써 1997년 외환 위기 한 방에 조기 자본잠식을 당하고 말았다.

그리고 정부의 빅딜 지시로, 대우전자와 삼성자동차의 빅딜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결국 정부, 삼성, 대우 간의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해 빅딜이 깨졌다.

1999년 6월 30일 누적 적자로 법정관리를 신청하였고, 이후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삼성자동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삼성생명 주식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사재를 털어 삼성자동차에 투입하기로 하였다. 다만, 삼성생명의 주식 시장 상장이 늦어지는 바람에[5]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법정 관리 이후 정부는 대우그룹 등에 인수 혹은 자산 매각 및 부채 이전을 추진했으나 무산되었다.

2000년 프랑스 르노가 세운 신설법인 '르노삼성자동차'로 자산이 매각, 승계되면서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에 편입되었다. 반면 기존 법인은 청산법인으로 전락해서 정리 절차를 밟았다.


3. 매각 이후의 삼성[편집]


삼성자동차의 실패는 삼성그룹 역사상 가장 크고 뼈아픈 실패로 남아있으며, 현재 삼성그룹이 다시 완성차 분야에 진출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2020년대 현재 이미 삼성은 자동차 관련 전장부품으로 쏠쏠하게 이익을 챙기고 있으며 혹여나 전기차 시대가 오더라도 삼성이 완성차 업계에 진출하는 순간 현재 삼성으로부터 전장부품을 구매하는 자동차 제조사들은 고객이 아닌 경쟁사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삼성전자에 큰 손해가 올것은 불보듯 자명한 일이다.[6] 굳이 삼성이 이런 손해를 감수해가면서, 그것도 이미 한번 실패한 경험이 있는 완성차 분야를 다시 진출할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7][8]

4. 역대 임원[편집]



  • 대표이사 부회장
    • 임경춘 (1995~1997)
    • 이대원 (1997~1999)

  • 대표이사 사장
    • 홍종만[9] (1997~1999)

  • 법정관리인
    • 홍종만 (1999~2000)


5. 생산 차량[편집]


파일:르노코리아자동차 엠블럼.svg
르노코리아자동차
국내 시판 차량

[ 연대별 구분 ]
구분
차량
1990년대
삼성 SM5
2000년대
르노삼성 SM3, 르노삼성 SM7, 르노삼성 QM5
2010년대
르노 트위지[!], 르노 클리오[i], 르노코리아 SM6, 르노삼성 QM3[i], 르노코리아 QM6, 르노 마스터/3세대[i]
2020년대
르노 조에[i], 르노 캡처[i], 르노코리아 XM3, 르노코리아 QM6 퀘스트
<-2><bgcolor=#c7d4db><color=#373a3c> 회색 글씨 - 단종 차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35%; vertical-align: top;">
[ 차급별 구분 ]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출시 예정 차량
마이크로 카
-
르노 트위지[!]
-
소형차
-
르노 조에[i], 르노 클리오[i]
-
준중형차
-
르노삼성 SM3, 르노삼성 SM3 Z.E.
-
중형차
르노코리아 SM6
르노삼성 SM5
-
준대형차
-
르노삼성 SM7, 르노삼성 SM530L
-
소형 SUV
르노코리아 XM3 (HEV)
르노삼성 QM3[i], 르노 캡처[i]
-
준중형 SUV
-
르노삼성 QM5
르노코리아 오로라 프로젝트
중형 SUV
르노코리아 QM6
-
르노코리아 중형 SUV 프로젝트
패널 밴
르노코리아 QM6 퀘스트
-
-
LCV
르노 마스터/3세대[i]
-
-
초소형 트럭
-
-
르노코리아 소형 상용차
각주 [ 펼치기 · 접기 ]
[각주]

르노의 차량
르노의 포뮬러 1 레이스카
알핀의 차량
다치아의 차량





6. 관련 문서[편집]



[1] 일명 삼성 태풍로고. 삼성상용차 시절부터 사용된 로고이며, 삼성상용차 이후 삼성자동차의 후신인 구 르노삼성자동차가 출범한 시점까지 메인 BI로 사용되었다. 현재 르노코리아자동차 출범 이후에도 전시장 로고나 차량용 엠블럼으로서 혼용하고 있다.[2] 이맹희 전 CJ그룹 명예회장과의 사업 이야기에서 전자와 자동차 중에서 이맹희가 자동차 사업을 하자는 의견을 내자 이병철 회장은 "전자제품의 그램 당 부가 가치가 자동차의 10배 가량인데 전자가 낫지 않겠냐?"고 되물어 이맹희를 데꿀멍시키고 전자 산업에 진출했다. 이로 인해 초등학교 동창이자 사돈이었던 구인회와의 사이가 소원해졌고, LG그룹과도 경쟁구도가 형성되었다. -출처 : 이건희 스토리 - [3] 또한 1976년 아시아자동차가 매물로 나왔을 시기 강력한 인수후보였으나, 인수를 거절하고, 결국 기아산업이 인수한 예로 볼 때 이병철 회장 시절부터 자동차 사업 진출이 숙원사업이였는지는 의문스럽다(당시에는 대기업이 부도날 무렵에는 정부에서 인수대상 기업을 지정하여 인수요청을 했다. 국제그룹공중분해되었을 때에도 인수 대상이 정권에 의해 이미 지정된 상태다.).[4] 기아는 국제 입찰을 거쳐서 현대자동차에 인수되었다. 대우는 외국 자본으로 흡수당해 공중분해되었고, 쌍용자동차도 법정관리되었다. 사실 현대자동차마저도 상황이 비슷했으나, 현대자동차를 지키는 대신 그룹 자체를 분해시켰다고 볼 여지가 있다. 그렇게 계열 분리가 되어 프랑스PSA 그룹(푸조-시트로엥)과 비스무리한 현대-기아 그룹이 탄생하게 된다.[5] 삼성생명의 상장은 한참 지난 2010년에야 이루어진다.[6] 길게 갈 것도 없이 반도체 파운드리 분야에서 TSMC와 삼성전자와 상황을 보면 된다. 삼성전자의 기술력이 아무리 좋아도 고객과 경쟁할 리 없는 TSMC에 비해서 한계는 명확하다. 반도체 부문에서 고객이었다가 아이폰과 갤럭시 이후 완전히 경쟁자가 된 애플도 있다.[7] 실제로 삼성그룹 외적은 물론 내부적으로도 삼성그룹이 완성차 분야를 매각하고 전자관련에 집중한 것은 신의 한수로 평가받을 정도이다. 되려 삼성자동차에 계속된 미련을 보였다면 지금의 삼성은 없었을거라는 말도 있을 정도.[8] 이는 현대측도 마찬가지로, 의도된 것은 아니지만 현대전자를 매각하고 자동차에 집중한 것 또한 지금의 현대자동차를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나마 삼성자동차는 타사로 매각되어 회사 자체는 남았지만 현대전자는 주력인 반도체의 SK하이닉스를 제외하면 자잘한 사업부로 쪼개져서 각각 중소기업 수준의 업체가 되었고 그 중 상당수는 이미 없어졌으니 만일 현대가 현대전자를 계속 끌고 갔어도 차례차례 사업부를 매각해서 털어내는 방향으로 결국은 없어졌을 것이다. 현재 SK하이닉스처럼 반도체만 가지는 선택지도 있지만, 반도체도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고 슈퍼 사이클을 타는 산업이므로 결국 적당한 시점에 매각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을 것이다. 결국 그렇게 될 것 빨리 정리한 편이 득이 된다는 의미.[9] 퇴임 이후 넥센타이어 부회장 및 회장 역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0:30:53에 나무위키 삼성자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