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마리오브라더스 크로스오버/등장인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크로스오버



1. 개요[편집]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크로스오버의 등장 캐릭터들을 정리한 문서.

게임 파워업 설정을 Classic으로 하면 그냥 버섯 → 꽃으로만 변화할 수 있는데[1] 게임 파워업 설정을 Modern으로 해놓으면 버섯을 먹은 후 그 다음부터 버섯(꽃)이 여러가지 다양한 파워업으로 변한다. 풀 파워는 상당히 강력하지만 죽거나 컨티뉴하면 싹 날아가니 주의. 그러나 재미를 느끼고 싶다면 Modern 설정이 나을 수도 있다.


2. 등장인물[편집]


파일:supermarioco.png
크게 10종의 캐릭터군이 있고 이 안에서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의 스킨을 플레이한다. 일부 캐릭터군은 스킨별로 밸런스 차이가 조금 존재한다. 그리고 캐릭터마다 BGM이 달라지니 참고하기 바란다.


2.1. 마리오[편집]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주인공인 만큼 당연히 등장한다. 그러나 해당 게임이 추억의 패미컴 게임들 크로스오버로 기획된 탓에 고증이 쓸데없이 충실하다 보니 후술할 다른 캐릭터들에 비해 밸런스상으로 심각하게 밀려 파로디우스 시리즈빅 바이퍼처럼 상대적으로 버림받았다. 그나마 장점을 꼽자면 굼바나 엉금엉금을 밟아서 죽일 수 있다는 것과 골인지점 앞을 제외한 넓은 구멍을 후술할 빌 라이저보다 쉽게 넘어간다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이건 시몬 벨몬드포르테의 2단 점프로도 해결이 가능하다. 원거리 공격은 차고 넘치기도 하고. 그래도 하드 난이도에서 적을 일일이 해치우면 시계를 먹지 않는 한 항상 시간에 쪼들리기도 해서 타임어택용으로 가장 좋긴 하다.

어나더 캐릭터 스킨으로 다른 기종의 마리오들과 슈퍼 마리오 USA키노피오, 데몬 리턴즈 시리즈[2]의 데몬 프린스가 있다. 스킨별 밸런스 차이는 없다.


2.2. 루이지[편집]


마리오와의 차별화를 위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더 로스트 레벨즈의 루이지의 성능을 그대로 재현했다. 하지만 후술할 캐릭터들이 너무 개성이 강해서 역시 상대적으로 버려진다. 점프나 미끄러지는 정도를 제외하고는 형의 팔레트 스왑 수준.

어나더 캐릭터 스킨으로 다른 기종의 루이지들과 슈퍼 마리오 USA피치공주가 있다. 스킨별 밸런스 차이는 없다.


2.3. 링크[편집]


부메랑을 이용해 아이템을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화력도 무난한 편. 특수 무기로 폭탄, 활, 반지, 칼, 파랑 부메랑이 있다. 파랑 부메랑은 부메랑의 속도와 사거리를 늘려주고 폭탄은 이 게임에서 아주 희귀한 가시하잉바, 킬러, 나무통을 제거할 수 있는 무기 중 하나이며, 반지를 먹으면 기본 공격에서 단발 빔 하나가 나가고, 칼을 먹으면 공격력 증가, 활은 무난한 단발 원거리 공격이다.

어나더 캐릭터 스킨이 엄청나게 많은데, 다른 기종의 링크는 물론이요, 다크 링크, 젤다, 하이랄의 장로, 젤다의 전설 이상한 나무열매의 랄프, BS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남녀 주인공, 아키스타의 링의 여주인공 크리스틴, 드래곤 퀘스트, 드래곤 퀘스트 2주인공, 파이널 판타지 4세실 하비[3], 파이널 판타지 5바츠 클라우저, 파이널 판타지 USA 미스틱 퀘스트의 벤자민이 있다. 젤다가 링크나 그 외 어나더 캐릭터들에 비해 화살 대미지가 높은 대신 칼 대미지는 링크보다 낮다는 점이 특이점.


2.4. 사무스 아란[편집]


냉동탄 보유 시 적을 안전하게 밟고 도약할 수 있다.[4] 그리고 직선 미사일로 성가신 가시하잉바나 나무통, 위급하면 킬러들도 제거할 수 있고 대미지도 좋다. 특히 배리어 수트를 얻으면 지긋지긋하게 보이는 회전불꽃에 더 이상 피해를 입지 않아서 거의 치트키 수준으로 쿠파 성이 쉬워진다. 대신 튀어오르는 불덩이에는 면역이 없으니 주의해야 한다. 스크류 어택을 먹으면 회전점프 시 몸이 빛나는데 이때는 킬러, 가시하잉바, 나무통 등의 성가신 적들로 부터 안전해진다. 특히 킬러를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게 큰 이점.

어나더 캐릭터 스킨으로는 다른 기종의 사무스 아란, 제로 슈트 사무스, 다크 사무스, 빛신화 파르테나의 거울 시리즈의 피트블랙피트가 존재한다. 피트는 사무스 아란과 달리 숙이는 도중 점프와 이동이 가능한 대신 조준 시 움직일 수 없다. 폭탄은 망치로 교체.


2.5. 시몬 벨몬드[편집]


성능은 악마성 드라큘라의 시몬 벨몬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초반에 주어지는 단검을 빨리 다른 무기로 바꿔야 한다. 2단 점프가 있고 화력은 우수한 편이지만 기본 공격에 약간의 선딜레이가 있고 선딜 도중에 점프하면 공격이 취소되어서 공격하기가 좀 힘들다. 그리고 고전 악마성 시리즈의 피격 시 백점프가 말썽이 되는 건 여전하다. 특수 공격으로는 단검, 도끼, 십자가 부메랑, 성수, 스톱워치와 더블샷, 트리플샷 부속 아이템이 있다. 더블샷, 트리플샷은 원작처럼 2, 3이 쓰여져있고 이걸 먹으면 특수공격을 한번에 2~3번 쓸 수 있다. 특히 성수는 무려 가시하잉바, 나무통, 하잉바 등의 평소 죽일 수 없는 적들을 죽일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어나더 캐릭터 스킨으로 악마성 전설로 데뷔한 조상 랄프 C. 벨몬드,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에 나온 좀비 랄프 벨몬드[5], 악마성 드라큘라 X 피의 론도리히터 벨몬드, 드라큘라 전설 시리즈의 크리스토퍼 벨몬드솔레이유 벨몬드 부자, 악마성 드라큘라 칠흑의 전주곡에 나온 소니아 벨몬드, 악마성 시리즈의 해골몹(...), 열혈 시리즈쿠니오가 있다. 스킨별 밸런스 차이는 없다.


2.6. 록맨[편집]


원작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면 버섯을 먹어야 버스터 샷 충전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특수무기로는 슈퍼 암, 메탈 블레이드[ME], 하드 너클[HA], 파라오 샷[PH], 차지 킥, 플레임 블래스트[FL], 마그마 바주카[MG], 워터 실드[PU], 스크류 크래셔[SC] 등이 있다. 기본적으로 러시 코일이 지급된다. 여기서 유일하게 하드 너클만 가시하잉바, 하잉바, 나무통, 킬러를 제거할 수 있다. 그 외 나머지는 무난한데 원작에선 그럭저럭 좋았던 마그마 바주카와 스크류 크래셔는 이 게임에선 매우 별로다.

그리고 록맨은 캐릭터 스킨에 따른 밸런스가 굉장히 다르다. 어나더 캐릭터 스킨으로는 주로 Dr. 라이트의 창조물들이 있다. 헬멧을 벗은 록맨, 전투용으로 개조되기 이전의 록, 게임보이용 록맨 월드 2퀸트, 록맨 3으로 데뷔한 블루스, Dr. 와일리가 만든 블루스의 짝퉁 브레이크맨, 록맨의 여동생 , Dr. 라이트, 록맨 1의 보스들 컷맨, 파이어맨, 아이스맨[6], 매지컬 키즈 도로피의 도로피, 록맨의 동인게임의 주인공 록코짱이 있다. 가정용 록은 슬라이딩과 차지샷 사용 불가, 블루스와 브레이크맨은 버섯 없이도 2단계 차지샷까지 쏠 수 있으나 피격 시 2번 넉백, 컷맨은 젤다의 전설 시리즈 캐릭터 군의 부메랑의 상위호환이나 1타임에 2회만 사용, 파이어맨은 평타가 록맨보다 강하고 파이어바[7]에 면역이나 컷맨과 같은 현자타임이 존재하고 블루스처럼 피격 시 2번 넉백, 아이스맨은 차지샷으로 적을 얼릴 수 있지만 평타 대미지가 약하고, 도로피는 슬라이딩 불가, 록코짱은 슬라이딩이 대쉬로 바뀌고 대쉬점프가 가능하며 버스터샷 충전이 불가능하다.


2.7. 포르테[편집]


록맨이 나온 만큼 록맨의 라이벌인 포르테도 나왔다. 2.0에서 데뷔. 버스터샷 충전이 불가능하지만 총알이 기관총처럼 나가고 제자리, 공중에서 아래를 제외한 방향으로 사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화력은 매우 좋다. 그리고 러시 코일이 없는 대신 2단 점프도 가능하다. 대신 총알이 벽이나 파이프를 뚫고 지나갈 수가 없다. 특수 무기[8]는 색만 제외하면 록맨과 동일.

어나더 캐릭터 스킨으로는 창조주인 Dr. 와일리, 미스터 X, 록맨 4의 중간보스인 Dr. 코사크, Dr. 와일리가 만든 퀵맨제미니맨, 그리고 Dr. 코사크가 만든 스컬맨이 있다. 퀵맨의 움직임이 동일군의 다른 캐릭터보다 빠르고 점프력이 높은 대신 2단 점프가 불가능하다는 걸 빼고는 특이점은 없다. 근데 제미니맨은 특수무기를 자기 것처럼 바꿔서 쓴다.


2.8. 빌 라이저[편집]


연사속도 상향 파워업을 3개까지 먹을 수 있도록 변경되었고 원작에서 가장 잉여스러운 무기인 파이어건이 나무통, 가시하잉바, 킬러를 해치울 수 있는 아주 희귀한 무기 중 하나다.[9] 특히 그 잉여로웠던 파이어건은 하드 모드나 굼바를 가시하잉바로 재배치하는 모드와 같이 가시하잉바가 사방에 다 뿌려져있고 킬러 포대가 필수로 혼돈의 카오스마냥 튀어나오는 스테이지에서는 굉장히 유용하게 쓰임으로써 5방향 스프레드 건과 대등한 경쟁이 가능해졌다. 특히 스프레드 건은 굼바를 가시하잉바로 재배치하는 모드에서는 살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파이어건이 필수적인 편이다. 성능은 패미컴판 콘트라를 그대로 가져왔으며 S를 먹는 순간 5방향 콩알탄으로 블럭이고 적이고 순삭시키는 괴랄함은 여전하다. 다만 옵션에서 피격 시 파워업 손실이 되도록 하향 조정하더라도 굼바 따위에게 스쳐도 이를 무시하고 그냥 죽어버리는(당연히 파워업도 다 날아가고) 저질 체력은 여전하니 주의할 것. 그래서 유일하게 Modern으로 할 때보다 Classic으로 할 때 생존력이 더 좋아진다. 그리고 속도가 상당히 느린 편이라 좋다고 적들을 죽이는 데만 집중하면 시간이 부족하다. 특히 하드 모드에서 이러면 시간 부족으로 죽는다.

어나더 캐릭터 스킨으로는 전우인 랜스 빈과 유럽 지역에서 심의 때문에 로봇으로 대체된 프로보텍터 RD-008과 RC-011이 존재한다. 스킨별 밸런스 차이는 없다.


2.9. 류 하야부사[편집]


원작과의 차이점은 딱히 없다. 다만 공격 시 적의 경직이 없다는 점이 걸린다. 다른 원거리형 캐릭도 똑같이 경직이 없으나 대부분 화력이 좋아서 문제가 되지 않는데 류는 근접 캐릭이라 함정이나 적을 피하기 바쁜 경우가 더 많다.[10] 특수공격이나 능력 자체는 닌자 용검전 2 기반이므로 벽을 탄 상태로 위 아래로 이동이 가능하고, 특수공격도 2편과 같다. 두루마리를 먹으면 인술 파워의 최대치가 100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도 동일하다. 대각선 아래쪽으로 나가는 화룡탄은 가시하잉바, 하잉바, 나무통, 킬러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좋은 무기다. 특히 가시하잉바는 화룡탄 한방에 즉사당해서 줄줄이 소세지마냥 가시하잉바들을 몰살시킬 수도 있다. 다만 킬러는 킬러 대포 특성상 대각선 아래로 나가는 화룡탄으로 잡는 게 거의 불가능하고, 인술을 5개씩 소비하며 각도 특성상 쓰기가 많이 어렵다.

어나더 캐릭터 스킨으로는 타 기종[11]의 류 하야부사와 닌자 용검전 2의 클론 하야부사, 어둠의 해결사 KAGE의 하야테와 카에데, 파이널 판타지 6섀도, 해글맨 3의 해글맨이 있다. 해글맨의 경우 평타 공격판정이 빨리 발생한다. 여담으로 옵션 설정에서 BGM 기준을 캐릭터로 설정하고 섀도로 플레이 시 오버월드 음악으로 티나 브랜포드의 테마를 들을 수 있다.

2.10. 소피아-3[편집]


초혹성전기 메타파이트에 나온 주인공 탱크. 화력도 쏠쏠하고 풀 파워업 시 유도탄과 3방향 미사일로 적들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호버링으로 안정적인 점프로 가능하고 천장과 벽도 탈 수 있다. 특히 유도탄은 짜증나는 김수한무를 저격하는 데 쓰이기도 하지만 다른 성가신 적도 처리할 수 있고, 3방향 미사일은 멀리서 뻐끔플라워나 하잉바 종류, 파리 등을 제거할 수도 있다. 벽타기의 성능도 특정 맵에서는 효율이 정말 사기적이다. 이런 성능 때문에 소피아가 처음 등장한 1.3 버전에서는 뉴게임을 선택 후에 소피아를 게임 내내 아예 사용하지 않고 8-4까지 클리어해야만 해금되는 치트가 있었다. 물론 지금은 소피아의 성능으로도 노답인 스테이지가 더 많고 이런 제한은 캐릭터 하나를 제외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생각했다는 제작자의 발언으로 삭제. 다만 3방향 미사일은 화면에 미사일이 있으면 또 발사가 안 되며 화력이 약간 낮아서 속도가 빠른 킬러나 가시하잉바 물량을 제거하는 데에는 너무 비효율적이다. 하드 난이도는 시간이 촉박하기 때문에 속도가 단점이긴 하다.

어나더 캐릭터 스킨으로 후속작에 나오는 기종 소피아-J7, 테트리스의 테트리미노에 바퀴를 붙여서 마개조한 탱크가 나온다. 스킨별 밸런스 차이는 없다.


3. 캐릭터별 엔딩[편집]


캐릭터별 스킨이나 캐릭터군별로 구출하는 대상이 다르다.
[1] 이 설정으로 하면 게임 시작 전에 아이템을 먹을 때 Modern 설정에서 얻을 수 있는 파워업 중 1~2개를 선택해서 쓸 수 있도록 한다.[2] 제작자가 데몬 리턴즈 시리즈의 BGM을 구하기가 어려웠는지 기믹!의 BGM으로 대체되어 사용되었다.[3] 맵상의 도트로 구현. 다크나이트 버전과 팔라딘 버전이 존재한다.[4] 록맨 스킨의 아이스맨은 차지샷으로만 얼릴 수 있다.[5] 패미컴 버전과 플레이스테이션의 것에서 크기를 재조정한 버전이 있는데, 그 중 패미컴 버전은 악마성 전설의 보스 중 하나인 도플갱어의 도트를 사용했다. 여담으로 패미컴 버전은 BGM이 북미판의 밋밋한 버전에서 일본판의 풍성한 버전으로 바뀌며,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에서는 리히터 벨몬드의 BGM이 나온다.[ME] 다른 스킨으로는 섀도맨의 섀도 블레이드, 링맨의 링 부메랑, 윈드맨의 X자 칼날, 니트로맨의 휠 커터.[HA] 다른 스킨으로는 크래시맨의 크래시 봄, 드릴맨의 드릴 봄, 다이브맨의 다이브 미사일, 나이트맨의 나이트 크러셔, 호넷맨의 호넷 체이서.[PH] 다른 스킨으로는 히트맨의 아토믹 파이어.[FL] 다른 스킨으로는 히트맨의 불덩어리, 프로스트맨의 아이스 웨이브(외형상으로 봤을 때 좀 비슷하다.).[MG] 다른 스킨으로는 스파크맨의 스파크 쇼크(하늘색), 프리즈맨의 프리즈 크래커.[PU] 다른 스킨으로는 스컬맨의 스컬 배리어, 스타맨의 스타 크래시, 블리자드맨의 블리자드 어택, 플랜트맨의 플랜트 배리어, 터보맨의 버닝 휠, 주얼맨의 주얼 새틀라이트.[SC] 다른 스킨으로는 버블맨의 버블 리드.[6]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록맨 1의 보스들은 라이트 박사가 만든 걸 와일리가 나쁘게 개조한 거다.[7] 주로 성에서 볼 수 있는 회전불꽃 장애물을 말하는 것인데, 이 파이어바에만 면역이지 밑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는 불덩어리와 쿠파의 불꽃에는 피격당하니 주의.[8] '록맨' 부분을 참고. 캐릭터의 스킨에 따라서 무기의 스킨이 다르다.[9] 다른 무기는 사무스의 직선 미사일 및 스크류 어택과 링크의 폭탄, 록맨과 포르테의 하드 너클(주먹 모양의 미사일), 시몬의 성수, 류 하야부사의 화룡탄. 이 무기들이 아니라면 이 셋은 마리오 형제의 파이어볼은 물론이요, 사무스 아란, 록맨, 포르테와 다른 캐릭터들의 어지간한 특수 무기, 공격으로도 해치울 수 없다. 소피아의 3방향 미사일도 가능하나 화면에 미사일이 있으면 또 발사가 안 되는데다가 너무 비효율적이다.[10] 링크도 근접전 캐릭터라는 반박이 있을 텐데 링크는 부메랑이라는 우월한 경직기가 있고 공격 시 경직도 있어 별 문제가 없다.[11] 타 기종들 중에 유일하게 세가 마스터 시스템 버전의 BGM이 나온다(!!!)[12] 사실 루이지는 데이지공주를 구한 적이 없다(...).[13] 슈퍼 마리오 USA의 무대에서 사는 세계[14] 젤다의 전설 2 링크의 모험 맵 스킨 사용 시 본인을 인질로 잡고 있는 가논돌프를 볼 수 있다(...).[15] 영어로는 전우(Buddy)라고 나온다. 근데 1~7월드(로스트 레벨즈는 C월드까지)에서 구하는 인물이 콘트라 시리즈의 잡몹(...) 돌창사격병 그리더(突槍射撃兵グリーダ)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1:33:38에 나무위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크로스오버/등장인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