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카 쿠메츠

덤프버전 :


파일:나치 독일 국장(화이트).svg 독일 국방군의 장성급 장교

[ 펼치기 · 접기 ]
{#fff 상급대장 ^^OF-9^^[br]{{{-1 ''Generaloberst / General admiral''[br][[파일:Si_4a.png / [[파일:130px-WMacht_Lw_OF9_GenOberst_1945.png
육군
상급대장
한스 폰 젝트 | 쿠르트 폰하머슈타인에크보르트 | 게오르크 린데만 | 베르너 폰 프리치 | 루트비히 베크 |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 프리드리히 프롬 | 하인츠 구데리안 | 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 | 쿠르트 하제 | 에리히 회프너 | 프란츠 할더 | 헤르만 호트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 알프레트 요들 | 로타르 렌둘릭 | 에르하르트 라우스 |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 요하네스 프리스너 | 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 에두아르트 디틀 | 카를 힐페르트 | 니콜라우스 폰 팔켄호르스트
공군
상급대장
쿠르트 슈투덴트 | 에른스트 우데트
해군
상급대장
알프레트 잘베히터 | 오스카 쿠메츠 | 한스 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 | 빌헬름 마르샬 | 발터 빌헬름 율리우스 바르체하
병과대장 OF-8
General der Waffengattung / Admiral
파일:Si_4b.png / 파일:200px-WMacht_Lw_OF8_GenWaGtg_h_1945.svg.png / 파일:AA-3A.png

육군
병과대장

보병대장
프란츠 마텐클로트 | 안톤 도슈틀러 | 프리드리히-빌헬름 뮐러 | 쿠르트 폰 티펠슈키르히 | 테오도어 부세 | -한스 크렙스 | 빌헬름 부르크도르프 |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 디트리히 폰 콜티츠 | 카를 에두아르트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

명예 파울 폰 레토포어베크
기갑대장
핫소 폰 만토이펠 | 발터 벵크 | 빌헬름 리터 폰 토마 | 발터 네링
포병대장
발터 폰 자이틀리츠-쿠르츠바흐 | 헬무트 바이틀링 | 에두아르트 바그너 | 에리히 마르크스 | 에른스트에버하르트 헬
통신대장
에리히 펠기벨 | 알베르트 프라운
산악대장
카를 에글제어 | 프란츠 뵈메
공병대장
발터 쿤체
공군
병과대장
브루노 브로이어공수 | 오이겐 마인들공수 | 울리히 케슬러조종
해군
대장
빌헬름 카나리스 | 오토 칠리악스 | 귄터 뤼첸스
중장 OF-7
Generalleutnant / Vizeadmiral
파일:Si_5a.png / 파일:1256px-WMacht_Lw_OF7_GenLt_h_1945.svg.png / 파일:AA-4A.png

육군
중장
히아친트 그라프 슈트라흐비츠 | 헬무트 폰 판비츠 | 한스 슈파이델 | 오스카 폰 힌덴부르크 | 아돌프 호이징거
아구스틴 무뇨스 그란데스 | 에밀리오 에스테반 인판테스
안드레이 블라소프 | 보리스 시테이폰
공군
중장
발터 베버 | 아돌프 갈란트 | 테오도어 오스터캄프
해군
중장
-
소장 OF-6
Generalmajor / Konteradmiral
파일:Si_6a.png / 파일:200px-WMacht_Lw_OF6_GenMaj01_h_1945.svg.png / 파일:AA-5A.png

육군
소장
발터 도른베르거 | 카를 게프하르트 | 카를 브란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하인리히 크라이페 | 한스 오스터 | 오토 에른스트 레머
미하일 스코로두모프 | 이반 코노노프 | 세르게이 부냐첸코
공군
소장
디트리히 펠츠
해군
소장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독일 국방군의 상급대장과 대장, 중장, 소장은 각각 미군의 대장, 중장, 소장, 준장에 상응.
※ 독일 국방군 해군, 즉 크릭스마리네에만 있는 준장 계급은 미군의 대령에 상응
※ 윗 첨자 : 전사

※ 둘러보기
파일:슈츠슈타펠 문장.svg 슈츠슈타펠의 장성급 지휘관







파일:Bundesarchiv_Bild_183-L17874,_Kummetz_(crop).jpg

이름
Oskar Kummetz
오스카 쿠메츠
출생
1891년 7월 21일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동프로이센 나이덴부르크군 일로보
사망
1980년 12월 17일 (향년 89세)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연방공화국 라인란트-팔츠노이슈타트안데어바인슈트라세
복무
독일 제국군(1910년 ~ 1918년)
국가방위군(1918년 ~ 1933년)
독일 국방군(1933년 ~ 1945년)
최종 계급
파일:AA-2.png 해군 상급대장(Generaladmiral)
주요 참전
노르웨이 침공
바렌츠 해 해전
스피츠베르겐 섬 전투
한니발 작전
주요 서훈
기사십자 철십자상
1. 개요
2. 일생
2.1. 제1차 세계 대전
2.2.3. 스피츠베르겐 섬 공격과 이후
2.3. 전후




1. 개요[편집]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해군의 장성. 최종계급은 상급대장(Generaladmiral)이다.

인지도는 높은 인물은 아니지만, 참여한 전투마다 죄다 패배하거나 졸전한 것으로도 유명하다.[1]


2. 일생[편집]



2.1. 제1차 세계 대전[편집]



2.2. 제2차 세계 대전[편집]



2.2.1. 노르웨이 침공[편집]


2차 세계 대전 초기, 쿠메츠는 노르웨이 침공에서 오슬로를 목표로 한 "그룹 5"의 지휘를 맡게 된다. 여기서 그는 그룹 5의 기함 블뤼허에 승선했다. 1940년 4월 9일 새벽 5시 경, 쿠메츠와 블뤼허는 승선한 육군 산악부대[2]들을 상륙시키기 위하여 노르웨이의 Drøbak 협곡으로 접근했다. 당시 협곡에는 기뢰가 부설되어 있었고, 실제로 이로 인해 엠덴이 기뢰에 접촉해 손상되기도 하였다. 본래 이런 상황에서는 정찰이나 소해 목적으로 어뢰정 등 소형함을 먼저 들여보내야 했으나, 이미 저 시점에서는 아침이 오고 있었고 작전을 더 뒤로 미룰 순 없었기에 쿠메츠는 그대로 기함 블뤼허를 협곡으로 전진시켰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Senkingen_av_Bl%C3%BCcher_%285654566265%29.jpg
가라앉는 블뤼허.

그리고 그렇게 꾸역꾸역 협곡으로 들어가던 중, 블뤼허는 노르웨이군의 해안포대와 어뢰에 기습공격을 당했다. 당시 노르웨이측 해안포대가 블뤼허의 좌우측에 모두 위치했었던 관계로 블뤼허는 그야말로 무방비 상태로 해안포들에게 얻어맞았고, 뒤이어 선체에 큰 화재가 발생했다. 설상가상으로 다른 해안포들도 공격을 게시해 블뤼허 바로 뒤따라오던 뤼초 역시 손상을 입었다. 그나마 뤼초는 블뤼허가 다구리를 맞는 동안 좌현으로 변침하여 빠져나갔지만, 이미 협곡 안으로 상당히 전진한 블뤼허는 그것조차도 불가능했기에 계속해서 전진할 수밖에 없었다.

쿠메츠는 기관실에 필사적으로 속력을 높이라고 명령하면서 동시에 해안포 진지들을 돌파하려고 노력했다. 해안포대만 지나면 오슬로가 코앞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블뤼허는 얼마 지나지 않아 노르웨이군 요새에 설치된 어뢰 발사대에 의해 추가적인 공격을 당했다. 이로 인해 함내에 대대적인 침수가 발생했고 화재 진압도 실패한 블뤼허는 결국 오전 7시 31분 경 완전히 침몰하고 말았다. 승선인원 중 700명-850명이 탈출하지 못하고 익사하거나 화재로 인해 사망했으며, 가까스로 탈출한 1,000명도 포로로 잡혔다. 게다가 여기서 지상전을 담당할 산악부대원들이 죄다 수장당하는 바람에 독일군의 오슬로 입성이 늦어졌고, 그 결과 노르웨이 왕실이 금괴를 챙기고 오슬로를 탈출하여 영국으로 대피할 수 있었다. 독일군 입장에서는 정말 엄청난 실책이었던 것이다.

그나마 쿠메츠는 가까스로 탈출했지만, 다른 생존 승조원들과 마찬가지로 그 역시 노르웨이군의 포로가 되었다. 그로서는 다행히도, 얼마 뒤 노르웨이 정부가 독일에 항복하면서 쿠메츠는 다시 석방되어 독일로 귀환했다. 쿠메츠는 당대 최신형 순양함이었던 블뤼허를 날려먹었다고 비난받았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슬로 점령에 대한 공로로 기사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2.2.2. 바렌츠 해 해전[편집]


1942년 12월 25일, 쿠메츠는 바렌츠 해에서 소련으로 향하던 연합군의 수송선단을 요격하려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그는 순양함 2척(아트미랄 히퍼급 중순양함 아트미랄 히퍼, 도이칠란트급 장갑함 뤼초) 및 구축함 6척을 이끌고 출격하였다.

그러나 당시 바렌츠 해의 기상은 좋지 않았고, 당연히 시계도 매우 불량했다. 이런 상황에서 쿠메츠는 에리히 레더 제독이 내렸던 "주력함대와의 교전 회피" 명령에만 지나치게 집중한 나머지 수송선단을 공격할 찬스를 몇 번이나 놓치고 말았다. 대표적으로 오전 10시 45분 경에는 뤼초와 구축함 3척이 선단의 4km 지점까지 접근하는데 성공하였는데, 당시 선단은 소수의 구축함들이 호위하고 있었기에 뤼초가 공격을 감행했다면 충분히 이들을 제압할 수 있었다. 하지만 불량한 시계 속에서 선단을 영국의 주력함대로 착각한 뤼초는 그대로 안개 속으로 퇴각해버리고 말았다.

한편 당시 쿠메츠 제독이 승선한 히퍼와 나머지 구축함 3척은 영국 해군의 구축함들과 치열한 전투를 벌어고 있었다. 구축함들은 기동력으로 히퍼의 공격을 피하면서 분전하였으나, 체급차가 너무 컸던 탓에 점점 수세에 몰리고 있었다. 이 상황에서 전투를 지속했더라면 구축함들에게 유의미한 피해를 주는 것이 가능했을 터였지만, 쿠메츠는 여기서마저도 교전회피 명령을 상기시키며 후퇴했다. 그리고 이 틈을 타 크라운 콜로니급 경순양함 HMS 자메이카와 타운급 경순양함 HMS 셰필드가 달려왔고, 이들은 우왕좌왕하던 히퍼를 상대를 공격을 게시하였다. 집중 공격을 받은 히퍼는 보일러실이 침수되어 속도가 28노트로 떨어져 버렸고, 5분 후에는 HMS 셰필드의 포격으로 인하여 1934년 A형 구축함 Z16 프리드리히 에콜트가 격침되었다. 결국 1월 9일 11시 59분 경 쿠메츠는 전 함대에 퇴각을 명했고 전투는 영국의 대승으로 끝나고 말았다.

당연히 본국에서는 엄청나게 욕을 먹었다. 히틀러는 격분하였고 급기야 독일 해군의 모든 대형함을 해체하여 대서양 방벽용 물자로 전환시키라는 극단적인 명령까지 내렸다. 해군최고사령관 에리히 레더는 자신이 사임하면서까지 이 명령을 막아보려 하였으나 역부족이었고 결국 후임으로 임명된 카를 되니츠가 히틀러에게 간곡히 요청한 후에야 히틀러는 이 대형함 해체 명령을 폐기했다. 참고로 정작 이 해전의 당사자인 쿠메츠는 별다른 문책을 받지는 않았는데,[3] 근본적으로 히틀러는 이 졸전이 쿠메츠보다는 주력함대와의 교전 회피를 명한 상관 레더에게 있다고 봤기 때문이었다. 프렌드, 아니 상관 쉴드 물론 쿠메츠도 잘한 건 없었지만 말이다.


2.2.3. 스피츠베르겐 섬 공격과 이후[편집]


1943년 쿠메츠는 비스마르크급 전함 티르피츠샤른호르스트급 전함 샤른호르스트, 구축함 3척, 그리고 제345 척탄병 연대를 이끌고 노르웨이 스피츠베르겐(Spitzbergen) 섬에 있는 연합군 기상 관측소와 발전소를 공격하는 임무를 맡았다. 워낙 동원한 전력이 압도적이었기에 전투 자체는 독일 해군의 압승으로 끝났으나, 섬을 지키던 노르웨이 저항군이 해안포로 격렬하게 저항하는 바람에 구축함 두 척이 손상되고 4명의 승조원이 사망하고 말았다.

그나마 스피츠베르겐 섬 자체는 초토화되었고 관측소도 파괴되었으나, 불과 한 달 만에 연합군은 다시 병력을 스피츠베르겐 섬에 상륙시켜 기어이 관측소를 복구해 버렸다(...)

이후 1945년, 쿠메츠는 독일의 동프로이센 철수작전인 한니발 작전에 참여했다. 이 작전에서 그는 민간인을 수송할 상선들을 징발하였으며 카를 되니츠 제독을 도와 작전 전반의 지휘를 맡았다. 이를 마지막으로 나치 독일과 독일 해군은 연합국에 항복했고, 쿠메츠는 영국군의 포로가 되었다.


2.3. 전후[편집]


쿠메츠는 1946년 11월, 약 1년 4개월간의 포로 생활을 마치고 석방되었다. 석방된 쿠메츠는 Bad Dürkheim에서 채소 재배를 하면서 생계를 이어나가다가, 나중에는 카지노 접수원으로 일했다.

이후로 쿠메츠는 꽤나 장수하다가, 1980년 12월 17일에 89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역시 욕 먹으면 오래 산다 그리고 쿠메츠가 사망하고 일주일 뒤였던 12월 24일, 한때 그의 상관이있던 카를 되니츠가 사망하면서 독일 국방군의 고위 장성들은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7:56:20에 나무위키 오스카 쿠메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개인의 능력은 없지 않았는지 종전 때까지 꾸준히 기용되었고 여러 굵직굵직한 작전에 참가했었다.[2] 왜 상륙부대가 수송선이 아니라 기함에 있냐고 생각할 수 있는데, 당시 독일 해군은 수송선 전력이 극도로 모자란 상황이었기에 일반 군함에 상륙부대원들을 분숭시켰다. 또한 이렇게 하면 수송선 호위가 필요없어지니 다른 임무에 전력을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최고사령부의 판단도 한몫했다.[3] 그런데 대형함 해체 명령을 생각해보면 어떤 면에서는 히틀러가 독일 해군 전체에게 큰 문책을 내렸다고 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