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릉교

덤프버전 :



중랑천의 교량
상류 방면

이름

하류 방면
한천교
월릉교
이화교
20번 서울특별시도
(화랑로)


月陵橋 / Wolleunggyo

월릉교
다국어 표기
영어
Wolleunggyo
한자
月陵橋
관리기관
월릉교
서울특별시
동부간선도로
북부간선도로
접속도로
20번 서울특별시도(화랑로)

1. 개요
2. 구조
3. 역사
4. 교통
5. 관련 항목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에 있는 중랑천의 교량. 해당 교량에 동부간선도로북부간선도로나들목도 설치되어 있다. 명칭은 교량의 서쪽에 있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계동과 동쪽에 있는 서울특별시 노원구동에서 유래했다.

이곳도 군자교와 마찬가지로 노원구, 성북구, 중랑구의 경계가 모여있는 삼합점.

중랑천 상의 다리들 중 월릉교는 압도적인 헬을 보여준다. 러시아워에는 북부간선도로 쪽 화랑대사거리부터 화랑대역부터 석계역 일대까지 마치 주차장을 연상케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심할 때는 이 다리 하나 건너는 게 10분이나 걸릴 정도이다.[1]

구조를 보면 알겠지만, 동부간선도로와 북부간선도로(+내부순환로)의 교통량이 3구의 인구밀집지역에서 만나다보니 주차장이 아닌 시간대가 없는 다리. 정체될 때 서있으면 흔들려서 무섭다

동부간선도로가 침수되면 말 그대로 답이 없다. 북부간선도로나 마들로는 물론, 평행하게 달리는 동일로도 동부간선도로의 교통량을 모두 흡수하면서 막히기 때문. 태릉입구부터 돌곶이역까지 모두 막히기 때문에 월릉교의 정체가 더 심화되는 것은 물론이며, 월릉교를 통과하는 태릉교통 노선들이나 마들로 쪽으로 스쳐가는 진아교통 노선들, 그 외 경기버스, 석계역으로 들어가는 광역버스들을 포함한 석계역에서 월릉교 방면으로 가는 버스들이 모두 여기에 발이 묶인다. 때문에 사고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는 구간 중 하나이다.

서울 지하철 6호선은 군자교 하부를 통과하는 서울 지하철 5호선처럼 중랑천을 하저통과하므로 철도 교량이 없다.


2. 구조[편집]



2.1. 동부간선도로[편집]



2.1.1. 성수 / 송파 방향[편집]




2.1.2. 의정부 방향[편집]




2.2. 북부간선도로[편집]



2.2.1. 하월곡 방향[편집]




2.2.2. 묵동 방향[편집]




3. 역사[편집]


  • 1977년 12월 30일: 폭 35m, 길이 175m로 동원건설에 의해 준공되었다.
  • 2000년 이후, 인근에 신축 아파트와 전철역 개통 등으로 인한 통행량증가에 맞춰서 기존 왕복 2차로 구조였던 다리를 왕복 6~8차로 구조로 리모델링 하였다.


4. 교통[편집]




5. 관련 항목[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Cityroad_kor_61m.svg

[ 펼치기 · 접기 ]
복정교차로1 - 위례IC1 - 자곡IC1 - 수서IC(파일:Cityroad_kor_94m.svg)1 - 청담대교(파일:Cityroad_kor_88m.svg·파일:Cityroad_kor_70m.svg)1 2 - 영동대교 북단2 - 성수대교 북단2 - 성수JC(파일:Cityroad_kor_70m.svg)2 - 용비교 - 응봉교 - 성동JC(파일:Cityroad_kor_30m.svg) - 군자교 - 장안교 - 중랑교 - 월릉교(파일:Cityroad_kor_3.svg) - 월계1교 - 초안산램프 - 녹천교 - 창동교 - 자운산램프 - 상계교 - 노원교 - 수락지하차도 - 상촌IC3 - 장암IC3
1: 분당수서로와 중첩되는 구간
2: 강변북로와 중첩되는 구간
3: 동일로와 중첩되는 구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1:19:35에 나무위키 월릉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하여 공릉동, 월계동 지역에서 오래 거주했거나 화랑로를 자주 지나가는 사람들은 정체를 피하기 위해 화랑대역-석계역 구간을 이동할 때 버스보다는 철도(6호선)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