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1961)

덤프버전 :

역대 춘향전 영화

[ 펼치기 · 접기 ]
춘향전
(하야카와 고슈, 1923)
춘향전
(이명우, 1935)
그 후의 이도령
(이규환, 1936)
춘향전
(이규환, 1955)
대춘향전
(김향, 1957)
춘향전
(안종화, 1958)
탈선 춘향전
(이경춘, 1960)
춘향전
(홍성기, 1961)
성춘향
(신상옥, 1961)
한양에 온 성춘향
(이동훈, 1963)
춘향
(김수용, 1968)
춘향전
(이성구, 1971)
방자와 향단이
(이형표, 1972)
성춘향전
(박태원, 1976)
성춘향
(한상훈, 1987)
성춘향뎐
(앤디 김, 1999)
춘향뎐
(임권택, 2000)
방자전
(김대우, 2010)





춘향전 (1961)
春香傳

파일:춘향전(1961) 포스터.jpg

감독
홍성기
각본
유두연
제작
홍성기
제작사
홍성기프로덕션
기획
유한철
촬영
전한익
조명
방기찬
편집
홍성기
음악
이혜구
미술
임명선
출연
김지미, 신귀식, 양미희, 김동원, 최남현
개봉일
1961년 1월 18일
개봉관
국도극장, 국제극장
1. 개요
2. 상세
3. 등장인물
4. 여담



1. 개요[편집]


고전 춘향전을 영화화한 홍성기 감독·제작·편집의 1961년 개봉 영화.


2. 상세[편집]


1961년 춘향전 영화 두 편이 거의 동시에 개봉했다. 홍성기 감독, 김지미 주연의 《춘향전》과 신상옥 감독, 최은희 주연의 《성춘향》이 그것. 같은 내용의 영화가 같은 시기에 제작, 개봉했다는 점 외에도 한국 최초의 칼라시네마스코프를 겨냥한 작품이라는 점, 그리고 두 영화 모두 감독과 주연 여배우가 부부라는 점이 크게 화제가 되어 '홍춘향'과 '신춘향'의 대결로 회자되며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과도한 경쟁이라는 비판을 받으면 논란이 되었는데 먼저 제작에 들어간 신상옥 감독이 영화제작가협회에 진정서를 제출하자 기득권을 놓고 협회의 신·구파가 나뉘어 대립하는 등 갈등을 빚기도 했다.

늦게 제작에 들어간 홍성기 감독은 부인 김지미를 춘향으로, 신인 신귀식을 이도령으로 출연시켜 먼저 영화를 완성, 《성춘향》보다 일주일 앞서 개봉을 했으나 결과는 《춘향전》의 참패였다. 이도령 역의 신예 신귀식은 그다지 매력을 발산하지 못했고 특히 방자 역의 김동원은 미스 캐스팅이라는 평을 들었다. 이에 반해 1958년 《춘향전》에서 한 차례 방자 역을 맡았던 허장강은 《성춘향》에서 다시 방자 역을 맡아 향단 역의 도금봉과 찰떡 콤비 연기를 선보였는데 "방자 역을 위해 태어난 사나이"라는 호평 속에 영화 흥행의 일등공신이 되었다. 덕분에 1968년 김수용 감독의 《춘향》에 다시 방자 역으로 캐스팅되기도 했다. 주·조연 연기 외에도 《성춘향》처럼 화려하지 못한 칙칙한 컬러와 롱쇼트로 촬영된 평면적 화면 등 모든 면에서 열세였고 이는 흥행 성적으로 나타났다. 《성춘향》은 38만명의 관객으로 당해 흥행 1위에 오르면서 비교도 어려울 정도였고, 《춘향전》의 실패 후 홍성기 감독과 김지미의 관계도 서서히 파경을 맞게 된다.


3. 등장인물[편집]






4. 여담[편집]


  • 이 영화에서 이몽룡 역을 맡은 신귀식은 개봉 후 33년 후에 방영된 춘향전에서 이몽룡의 아버지 역을 맡게 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5:09:07에 나무위키 춘향전(196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