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병부대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상세
3. 포병부대 목록
4. 해외의 포병부대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포병부대는 포병을 담당하는 부대이다.


2. 상세[편집]


포병을 담당하는 부대로, 지상군에 대한 화력지원이 주임무이다.

육군, 해군, 해병대에 포병을 담당하는 부대가 있으며, 소속된 부대나 그 규모에 따라 역할이나 명칭, 편성도 제각각이다.

공군에는 방공포병부대가 있다.

== 포병부대 목록 ==59포대본부88년김찬동병장차고십어요
아는분은010 4420 9080
저는이도열임니다

2.1. 국직부대[편집]


현재 국직부대에 속하는 포병부대는 앖다.

2.2. 대한민국 육군[편집]


2022. 7월 기준
  •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 2014년 육군의 유도탄사령부를 확대 개편하여 창설된 부대이다. 사령관은 중장이며, 규모로는 사단보다는 작으나 사령관의 계급을 고려하면 군단급 기능사령부로 볼수 있다.
  • 육군포병학교: 학교장은 소장이다. 예하에 교육여단(여단장 준장) 및 수개의 교육단(단장 대령)이 있으며 사단급으로 볼수 있다.
  • 군단 포병여단: 군단 예하 포병여단으로 편성되어 군단 예하 부대들에 화력지원을 하고 있다. 여단장은 준장이나, 장성 T/O에 따라 고참 대령이 보임되기도 한다.
  • 사단 포병여단: 사단 예하 포병여단으로 편성되어 사단 예하부대들에 화력지원을 하고 있다. 여단장은 연대장때와 동일하게 대령이다.
  • 포병여단 포병단: 군단 포병여단 예하 포병단으로 편성되어 군단 예하 부대들에 화력지원을 하고 있다. 단장은 대령이다.
  • 포병대대: 사단 혹은 군단 포병여단 및 포병단 예하 포병대대로 편성되어 군단 및 사단 예하 부대들에 화력지원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떠올려지는 포병부대이다. 대대장은 중령이나, 지역방위사단 및 군단 포병여단 예하 동원포병단(8, 9, 11 등)의 경우 소령이 보임되기도 한다. 크게 자주포, 견인포, 다련장, 대포병레이더 부대로 나뉜다.
  • 보병여단 포병: 국방개혁 2.0에 의해 각 보병연대들이 여단급으로 격상될 때 그 예하 전투지원중대들 역시 K105A1 자주포와 함께 포병대[1]로 격상되어 보다 신속한 화력지원이 가능해졌다. 대장은 규모에 따라 소~중령이다. 동원사단 보병여단의 포병대의 대장은 대위다. 참고로 사격대라는 편제도 있는데, 로켓/미사일 계열에서 볼수 있는 편제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전투지원중대가 개편되었다기 보단 해체 후에 새로운 부대가 창설되었다고 보는게 맞다. 왜냐하면 포병대는 포병대대와 편제가 비슷하게 때문이다.
  • 포대: 보병으로치면 중대이다. 참고로 해병대는 중대라는 용어를 쓰며, '포0중대' 라고 칭한다. 포병대대 예하인 경우가 대부분이나, 포병대/사격대의 예하인 경우도 있다. 과거에 330관측포대(수도포병여단), 338관측포대(8군단 12포병단) 처럼 독립포대이면서 소령 포대장인 부대도 있었는데, 현재는 해체된 상태이다.
  • 본부포대 : 보병의 본부중대와 같다. 대대급에서는 통상 중위이나 일부부대는 대위가 편제로 되어있기도 하다. 사단 포병여단이나 단 본부포대장은 대위이다. 군단 포병여단 부터는 사단과 동일하게 본부근무대장이라는 명칭을 쓰며, 소령이 편제다.
  • 전포대 : 포대 예하 부대이며, 보병으로 치면 소대급으로 볼수 있다. 다만 보병과 다르게 전포대는 포대에 1개만 편제되어 있으며, 전포대장의 위치는 소대장보다는 부중대장에 가깝다. 직접적으로 대포를 운용하는 제대이며, 주로 자주포, 견인포, 다련장계열에 있는 편제이며, 특히 다련장부대는 전포대 예하에 소대를 둔다.
  • 포반 : 전포대 예하로, 전포대당 6개 반이있다. 전포대가 포대에 1개이므로, 6개포반이 곧 포대의 전투력이다. 대포를 직접 조작하는 최하위 제대이며, 다련장부대의 경우에는 지휘관계가 포대-전포대-소대-사격반으로 이뤄진다.

2.2.1. 포병여단[편집]







2.2.2. 포병여단(연대급)[편집]







2.2.3. 포병단(연대급)[편집]







2.2.4. 포병대대[편집]



미사일 운용 부대에 대해서는 작성하지 말것(대외비)

  • 제10포병대대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백호"
  • 제11포병대대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6포병대대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충무"
  • 제17포병대대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백곰"
  • 제18포병대대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충무"[2]



























































  • 제2000포병대대 (제1포병여단) "청풍" : M270 MLRS[3]

  • 제5000포병대대 (제5포병여단) "철풍" : M270 MLRS[4]



2.2.5. 포병대[편집]



국방개혁 2.0에 의해 2020년 12월부로 상비사단과 향토사단들의 보병연대들이 여단급으로 격상되었고, 이에 여단본부(구 연대본부) 예하 전투지원중대들이 포병대로 각각 증편되었다.[5] 아래 부대들은 K105A1 자주포를 운용한다.







2.2.6. 사격대[편집]


포병대와 동일하게 지휘관은 소령이다.[6] 군단 예하 포병여단의 M270 MLRS와 사단 예하 포병여단의 K-239 천무 편제에 쓰인다.

  • 2000포병대대 1사격대
  • 2000포병대대 2사격대

  • 5000포병대대 1사격대
  • 5000포병대대 2사격대
  • 5000포병대대 3사격대


2.3. 대한민국 해군[편집]




2.3.1. 대한민국 해병대[편집]




2.4. 대한민국 공군[편집]




3. 해외의 포병부대[편집]




4. 여담[편집]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5 17:21:00에 나무위키 포병부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0:44:55에 나무위키 포병부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대와 대대 사이의 편제로, 유사시 대대로 증편 가능하다고 한다. 참고로 포병대 단어는 통상 포병부대를 뜻하고 그 문서 역시 여기로 리다이렉트 되니 참고.[2] 10~18포병대대까지는 육군최초창설 포병대대이다. [3] 소속은 1군단이지만, 1군단(2사격대)과 수도군단(1사격대) 지역을 담당한다.[4] 소속은 5군단이지만, 5군단(1사격대)과 6군단(2사격대), 2군단(3사격대) 지역을 담당한다.[5] 엄밀히 따지면 전투지원중대가 변했다기 보단, 기존 견인포 대대를 해체하면서 재편하면서 전투지원중대를 대체한것이다.[6] 가끔 중령(진)이 사격대장으로 오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