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카와강

덤프버전 : r20230302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江)
[ 펼치기 · 접기 ]
한반도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광주천 · 굴포천 · 금강 · 금호강 · 남강 · 남한강 · 낙동강 · 논산천 · 대동강 · 대령강 · 대전천 · 동진강 · 두만강 · 만경강 · 미호강 · 밀양강 · 반포천 · 보성강 · 보통강 · 북한강 · 삽교천 · 성천강 · 소양강 · 서낙동강 · 섬진강 · 수영강 · 수원천 · 안성천 · 안양천 · 압록강 · 양산천 · 양재천 · 영산강 · 예성강 · 온천천 · 왕숙천 · 왕피천 · 임진강 · 재령강 · 정안천 · 창릉천 · 천안천 · 청계천 · 청미천 · 청천강 · 탄천 · 탐진강 · 태화강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형산강 · 흑림강 · 홍제천 · 황강 · 황룡강 · 황구지천 · 회야강
아시아
황하 · 장강 · 회하 · 주강 · 송화강 · 랴오허 · 한수 · 위수 · 타림 강펀허 강 · 하이허호타하 · 목단강 ·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아라카와강 · 시나노강 ·도네강 · 덴류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스레폭강 · 갠지스강 · 살윈 강 · 인더스강 ·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오논 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 강 · 이라와디 강 · 톤레삽강 · 톤레산강 · 무라트 강 · 그레이트자브강 · 하부르 강 · 크즐으르막 강 · 예실으르막 강 · 미앤더 강 · 베이루트 강 · 바라다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 강 · 디얄라 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 강 · 나르마다 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 강 · 크시프라 강 · 만잘라르 강 · 야무나 강 · 참발 강 · 간다키 강 · 베스 강 · 코시 강 · 페니 강 · 아루나바티 강 · 사발나티 강 · 바나스 강 · 바그마티 강 · 오브 강 · 예니세이 강·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 강 · 포로나이 강 · 투라 강 · 토볼 강 · 타스 강 · 콜리마 강 · 캄차카강 · 칸강 · 레나강 · 아무르강 · 카툰 강 · 카지르 강 · 제야 강 · 뉴야 강 · 니즈나야퉁구스카 강 · 바르구진 강 · 실카 강 · 인디기르카 강 · 추 강 · 안가라강 · 카푸아스강 · 아이허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가와 · 일리 강 · 푸에르토 프린세사 지하 강 · 쿠라 강 · 테차 강 · 뱅완솔로 강 · 마하캄 강 · 알라자니 강 · 엔구리 강 · 리오니 강 · 무시 강 · 맘베라모 강 · 바리토 강 · 칠리웅 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마츠강 · 모요강 · 와아포강 · 헬만드 강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 강 · 마른 강 · 마인 강 · 암스텔 강 · 엠스 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 강 · 론 강 · 가론 강 · 에브로 강 · 템스강 · 에덴 강 · 테이 강 · 에이번 강 · 웰랜드 강 · 디 강 · 스페이 강 · 아디제 강 · 엘베 강 · 오데르 강 · 비스와 강 · 이손초 강 · 부크 강 · 테베레 강 · 돈 강 · 과달키비르 강 · 다우가바 강 · 드니프로 강 · 네바 강 · 모스크바 강 · 바트 강 · 베저 강 · 포 강 · 하펠 강 · 피아그돈 강 · 피사 강 · 프루트 강 · 프레골랴 강 · 폰탄카 강 · 포노이 강 · 페초라 강 · 파흐라 강 · 테레크 강 · 클랴지마 강 · 쿠반 강 · 쿠마 강 · 쿠디마 강 · 코토로슬 강 · 케티 강 · 카마 강 · 츠나 강 · 쳅차 강 · 나라 강 · 나르바 강 · 네만 강 · 니바 강 · 데스나 강 · 라마 강 · 로바티 강 · 메자 강 · 소지 강 · 스비리 강 · 옴 강 · 레크 강 · 인달스벤 강 · 달라벤 강 · 토르네 강 · 클리어 강 · 미뉴 강 · 제제레 강 · 도우루 강 · 할리아크몬 강 · 에우로타스 강 · 스트루마 강 · 네스토스 강 · 바르다르 강 · 남부크 강 · 사바 강 · 이르티시 강 · 산 강 · 우아즈 강 · 엔 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 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마리차 강 · 머지 강 · 메드웨이강 · 세번 강 · 트렌트 강 · 네카어 강 · 모젤 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 강 · 도루 강 · 후카르 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 강 · 샤랑트 강 · 드라바 강 · 비그강 · 부옥시 강 · 탈리아멘토 강 · 솜 강 · 루비콘 강 · 볼호프 강
아프리카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 강 · 바니 강 · 잠베지강 · 콩고 강 · 투겔라 강 · 오카방고 강 · 메제르다 강 · 인키시 강 · 산쿠루 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아와시 강 · 제네일 강 · 소바트 강 · 마레브 강 · 웨비 주바 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 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 강 · 바로 강 · 림포포 강 · 쿠네네 강 · 유멘지 강 · 베시보카 강 · 마남볼로 강 · 마니아 강 · 망고키 강 · 마하지로 강 · 음타타 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 강 · 사나가 강 · 샤리 강 · 로곤 강 · 팬데 강 · 오순 강 · 이모 강 · 베냉 강 · 이호시 강 · 크로스 강 · 크왕고 강 · 아바 강 · 세이브 강 · 볼타 강 · 사비 강 · 카제라 강 · 올리펀츠 강 · 레드 볼타 강 · 코모에 강 · 루앙와 강 · 코마티 강 · 오구에 강 · 그루트 강 · 유엘르 강 · 조만다오 강
아메리카
세인트로렌스 강 · 세인트모리스 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 강 · 아칸소 강 · 허드슨 강 · 애서배스카 강 · 포위니고우 강 · 비버 강 · 가즈 강 · 콜링 강 · 매켄지 강 · 스네이크 강 · 서스캐처원 강 · 서스쿼해나 강 · 포토맥 강 · 델라웨어 강 · 해리슨 강 · 프레이저 강 · 콜로라도 강 · 콜럼비아 강 · 유콘 강 · 리오그란데 강 · 아마존강 · 벨리제 강 · 오리노코 강 · 마그달레나 강 · 마데이라 강 · 상프란시스쿠 강 · 아푸레 강 · 카로니 강 · 카우카 강 · 아라우카 강 · 토칸틴스 강 · 네그루 강 · 혼도 강 · 발사스 강 · 코아토사코알코스 강 · 믹스테코 강 · 옐로스톤 강 · 사말라 강 · 칙소이 강 · 우수미친타 강 · 메타 강 · 비오비오 강 · 마라논 강 · 마이포 강 · 마포초 강 · 이타타 강 · 우카얄리 강 · 라플라타 강 · 트루폴트루폴 강 · 톨텐 강 · 마울레 강 · 파라나 강 · 친치페 강 · 파라과이 강 · 레르마 강 · 스와니 강 · 로아 강 · 샌페드로 강 · 베르가라 강 · 부에노 강 · 도라도 강 · 필코마유 강 · 살라도 강 · 둘체 강 · 리메이 강
오세아니아
머레이 강 · 달링 강 · 허트 강 · 머럼비지 강 · 브리즈번 강 · 와레고 강 · 랑가티케이 강 · 왕가누이 강 · 통가리로 강 · 와이아푸 강 · 카와라우 강 · 카와티리 강 · 마타우 강 · 와이로아 강 · 와이아우 강 · 와이마카리리 강 · 와이카토 강 · 침부 강 · 투아 강 · 키코리 강 · 라무 강 · 호키티카 강 · 히피 강 · 벌러 강 · 폭스 강 · 핀콜 강 · 야테 강 · 푸리나 강 · 푸라리 강 · 와투트 강 · 애들러 강
남극
오닉스 강 · 알프 강


아라카와강
荒川(あらかわ | Arakawa River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raKawa2004-12.jpg


1. 개요
2. 악명
3. 여담
4. 창작물에서



1. 개요[편집]


아라카와()는 일본의 강으로, 사이타마현 고부시가타케(甲武信ヶ岳)에서 발원하여 오호라강, 우라야마강, 이치노강, 이루마강과 합쳐진 후 하류에서 스미다강(隅田川)과 나뉘어 도쿄만으로 흐르는 길이 173km, 유역 면적 2,940km²의 하천이다. 일본에서는 강폭이 가장 넓으며, 수도의 젖줄이라는 특성상 한국으로 치면 한강과 비슷한 위치. 폭이 가장 넓다는 것근데 한강에 비하면 폭이 좁다 도 같다. 여기에서 이름을 딴 아라카와구(区)가 도쿄에 있다.

2. 악명[편집]


일본에서도 치수가 끝내주게 어려웠던 강으로 악명 높았다. 川라는 이름이 이런 역사를 반영한 작명이다. 그래서 에도 시대부터 홍수를 막기 위해 인공 수로를 파는 공사를 여러 번 했고, 그중에는 규모가 커서 아예 본류가 그 인공 수로로 지정되는 경우도 있다. 오늘날 도쿄에서 볼 수 있는 아라카와도 사실 인공 수로이다. 한강도 한강유역개발사업 이후 서울 부근의 한강이 인공 수로나 다름없다는 비판을 듣는데, 이쪽은 진짜 인공 수로이다. 도쿄에서 보이는 아라카와의 수로가 유달리 자연하천답지 않게 곧은 이유도 이 때문. 진짜 본류는 그 옆의 스미다가와(隅田川)이다. 아라카와의 홍수 방지를 위해 강 동쪽에 물길을 내어 이를 아라카와 방수로라고 불렀는데, 후에 이 방수로를 아라카와라 부르고, 본래의 아라카와는 스미다가와로 부르기로 한 것이다.

스미다가와 강변에서는 매년 7월 넷째 주 토요일마다 스미다가와 하나비 대회라는 불꽃축제가 개최된다.


이 강의 강둑이 무너져 범람하면 도쿄는 그야말로 헬게이트 물바다로 변한다고 한다. 심지어 이 강변에 위치한 지역은 해수면보다 낮은 저지대라 물에 잠기면 최대 수심 5미터를 넘긴다고 한다. 근대 이후 아라카와가 범람한 적은 없다. 범람할 뻔한 적까지는 있어도 강둑이 무너져 수해가 난 적은 없으나,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해 슈퍼태풍이 생겨 도쿄를 직격할 가능성이 높아지자 범람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고 한다.


3. 여담[편집]


  • 도쿄 대공습 당시 소이탄이 쏟아지자 도쿄 시민들이 이곳을 비롯한 스미다강 등의 하천으로 뛰어들어 불을 피하려고 했는데, 소이탄네이팜이 물 위로 타고 흐르면서 불타오르자 강물이 끓어 사람들이 전멸한 사례가 있다. 끓은 강물의 수증기는 네이팜 막을 뚫지 못해 계속 고이다가 결국 폭발하면서 하늘로 네이팜 방울을 날려 보냈고 이 불타는 네이팜 방울들은 하늘로 상승 기류를 타고 올라가 주변으로 불비를 내렸다. 미군은 이 네이팜 폭격을 정식으로 채택하여 일본의 주요 도시들을 공습하는 데 써먹었으나, 현대전에서는 너무 위험하고 파괴권역이 광범위하며 민간인 피해가 크다는 이유로 사용이 자제되고 있다.



4. 창작물에서[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아라카와 문서의 r6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아라카와 문서의 r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28 18:58:44에 나무위키 아라카와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