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10차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벤투호/2021년




1. 개요
2. 10차전 경기 전 상황
2.1. 10차전 경기 직전 상황
3. 타임라인
3.1. 6월 13일
3.2. 6월 15일
3.3. 6월 16일
3.3.1. 00:00 ~ 02:59
3.3.2. 03:00 ~ 05:52
4. 결과
4.1. 10차전 경기 결과
4.2. 조 2위간 경합 결과
5. 국가별 평가


1. 개요[편집]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의 10차전에 관련된 문서.


2. 10차전 경기 전 상황[편집]


  • H조 북한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불참 선언으로 인하여 H조는 북한의 기록이 말소되었고 H조를 제외한 조 2위 국가들의 최종예선 진출권은 각 조의 5위 국가와의 성적을 제외한 조정 성적 서열에 따라 부여된다.
  • 월드컵 개최국인 카타르가 E조 1위를 확정지으면서 조 2위 간 서열 5위까지도 최종예선 진출권을 획득한다.

한국 시각 6월 13일 0시 기준 각 조 2위 팀들의 잔여 일정은 다음과 같다.


국가
10차전
조정 승점
A조
중국
vs 시리아 (1위)
10
B조
요르단
vs 호주 (1위)
8
C조
이란
vs 이라크 (1위)[2위]
9
D조
우즈베키스탄
vs 사우디아라비아 (1위)[2위]
9
E조
오만
vs 방글라데시 (5위)[4위]
12
F조
키르기스스탄
vs 일본 (1위)
4
G조
아랍에미리트
vs 베트남 (1위)[2위]
9
H조
레바논
vs 대한민국 (1위)[2위]
10

한국 시각 6월 13일 0시 기준 조 2위 순위표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조정 승점
제외 국가
비고
1
E조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0
2
9
5
+4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
A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5
3
1
1
13
2
+11
10
파일:괌 기.svg


3
H조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5
3
1
1
10
6
+4
10
없음(북한의 기권)

4
D조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5
3
0
2
12
6
+6
9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5
G조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5
3
0
2
10
5
+5
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6
C조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5
3
0
2
9
4
+5
9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7
B조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5
2
2
1
6
5
+1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8
F조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5
1
1
3
3
6
-3
4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녹색 최종예선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청록색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볼드체 확정 (조 이름, 국가: 조 2위 확정 / 제외 국가: 조 5위 확정 / 득실차, 조정 승점: 조정 성적 확정)


오만은 상대적 약팀과 한 경기가 남아있어서 발목을 잡히지 않는다면 최종예선 진출이 유력하다. 반면 경쟁 팀들은 모두 조 1위 팀과의 일정이 남아있어 최종예선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최하위 팀이 정해지지 않은 조(D조, E조, F조)도 있고 2위 자리가 위태로운 팀들도 많아 변수가 너무 많은 상황이다.

마지막 경기를 앞두고 각 조 2위팀들의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 A조 2위 중국: 시리아전에서 최소 비기기만 하면 다른 조 결과와 관계없이 자력 진출한다. 패배한다면 다른 조의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
  • B조 2위 요르단: 요르단은 호주에게 무승부만 거두어도 조 2위가 확정된다. 다만, 요르단이 호주를 상대로 비길경우 조정승점 9점에 골득실은 +1이기 때문에 조 2위 경쟁팀들이 단체로 미끄러지는 경우가 아니면 탈락한다. 만약 호주를 상대로 승리할 경우 조정승점은 11점이 되기때문에 다른 조의 상황을 봐야한다.
    • 쿠웨이트에게도 조 2위 기회가 남아 있다. 요르단이 최종전 호주에게 이기지 못하고 대만에게 승리한다면 2위가 확정된다. 다만 조정 승점 8점이 쿠웨이트에게 가능한 최대치여서 2위가 되어도 탈락이다.
  • C조 2위 이란: 남은 이라크전을 승리할시 1위로 진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라크에 비기면 조정 승점 10점, 패한다면 조정 승점 9점이 되어 다른 조 결과를 목매달고 봐야 한다. 그래도 비기는 것 정도는 어떻게 희망이 있는데, 진다면 절망적이다. 만약 이라크에 패한다면 현재 조2위간 경합 6위까지 밀려난 이란은 추가승점을 못얻는다면 다른 경쟁국들이 더 큰 점수차로 져 순위가 역전되기만을 바래야 한다.
    • 반면, 이란이 이라크를 이겨 1위가 바뀔 경우 이라크가 가져갈 수 있는 조정 승점은 최대 11점이 된다.
    • 바레인은 최종 홍콩전을 무조건 이기고 이란이 이라크에게 패한다면 조정 승점 9점을 가지고 2위가 될 가능성은 있으나 이란과 골득실 차이로 인하여 가능성은 낮다.
  • D조 2위 우즈베키스탄: 이란과 마찬가지로 남은 사우디전을 승리할시 1위로 진출한다. 2위가 된다면 확보가능한 최대 승점은 13점이다.[2]
    • 사우디가 2위가 된다면 확보 가능한 최대 승점은 13점이다.[1]
  • E조 2위 오만: 최종전에서 패배하더라도 방글라데시가 조 4위가 되는 상황만 아니라면 조정 승점 12점으로 자력 진출한다. 그러나 방글라데시에게 발목을 잡히고 아프가니스탄이 인도에게 패배해 조 꼴찌가 되면 조정승점이 9점이 된다.
  • F조 2위 키르기스스탄: 몽골과의 경기를 1:0으로 져버리면서 상황이 매우 안좋아졌다. 일단 2위를 하기 위해선 10차전에서 타지키스탄과 최소한 같은 점수의 승점을 따야하는데, 타지키스탄이 미얀마를 상대할 동안 키르기스스탄은 하필 일본을 상대한다. 타지키스탄에 비해 득실차가 여유로운게 다행이라지만 그건 승점이 동률일때 이야기이고 타지키스탄과 승점이 벌어져버리면 최종예선의 꿈은 허공으로 날아가버린다. 2위를 해도 문제인게, 만약 미얀마가 조 5위라면 탈락이 확정이고 몽골이 조 5위면 일본을 상대로 승리하지 못하면 탈락이 확정되고, 승리하더라도 요르단은 승리하지 못해야하고 9점인 팀들은 1점이라도 획득하지 못해야 월드컵 최종예선에 합류한다.
    • 타지키스탄은 미얀마전에서 승리하고 키르기스스탄이 일본에게 승리하지 못할 경우 조 2위 조정 승점 10점이 된다. 이 경우에도 자력진출은 불가능하고 다른 조의 결과를 지켜봐야한다. 특히 타지키스탄은 조정 성적이 승점 10 골득실 -1로 확정된 상태여서 골득실이 매우 불리하다.
  • G조 2위 아랍에미리트: G조 1위 베트남과의 최종전에서 승리한다면 1위 진출 가능하며 비겨도 2위가 되고 조정 승점 10점을 확보한다. 패배시 조정승점은 9점으로 이럴 경우 탈락할 확률이 높다.
    • 만약 베트남이 최종전에서 패배해서 조 2위가 된다면 베트남의 조정 승점은 11점이 된다.
  • H조 2위 레바논: 투르크메니스탄과의 경기에서 2:3으로 패배함에 따라 10차전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승리 또는 무승부를 거둬야 자력으로 진출할 수 있다. 패배하면 다른 조의 경기를 지켜봐야 한다.

보다시피 10차전까지 2위팀들의 단두대 매치들이 펼쳐질 예정이라 조 1위를 확정하거나 최종예선 진출을 확정한 국가들에겐 재밌는 구경거리가 생겼다. 또한 오만을 제외한 2위 팀 모두가 1위 팀들과의 경기를 최종전으로 남겨 놓고 있어 본의 아니게 각 조 1위 국가들이 월드컵 최종예선 티켓 매표소가 되어버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3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3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2.1. 10차전 경기 직전 상황[편집]


  • FIFA 홈페이지에 표기된 이 날 경기들의 일정은 대한민국 표준시(UTC+9) 기준으로 아래 시각에 따라 순서대로 진행된다. 굵은 표시는 조 2위 레이스에 영향을 끼치는 경기.
  • A조, B조, E조는 각 조 최종전을 동시에 진행하지 않는다. A조야 최종전 두 경기가 서로의 결과에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E조는 하위 3팀의 순위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며, B조는 2위와 3위 자리가 바뀔 수 있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의외의 일이다.[3]

  • H조: 북한 vs 투르크메니스탄 (6월 13일 15:00, 대한민국)
- 북한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불참 선언으로 인해 이 경기는 취소되었다.
- 레바논은 전 경기인 9차전에서 투르크메니스탄에게 3대2로 지게 되면서 최종예선에 자력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이 경기에서 이기거나 비겨야 하는데 전력 차이가 압도적으로 나는 대한민국을 이기거나 비기기는 어렵기에 사실상 최종예선 자력 진출 가능성이 낮다. 패배하면 다른 조 경기를 지켜봐야 한다.
- 근래 성적도 최악이고 팀 상황이 어수선한 미얀마를 상대로 타지키스탄의 승리가 유력하다. 다만, 타지키스탄은 설사 이기더라도 미얀마가 조 최하위기에 더 이상 조정승점과 골득실을 벌어둘 수 없다. 타지키스탄의 조정승점은 10, 골득실은 -1이다. 조정승점이 8~9에 위치한 팀들 중 최소 3팀이 패해야(요르단은 조정승점이 8이라 비기는 거까진 허용) 최종예선 진출이 가능하다. 제일 먼저 경기를 끝내므로 일단 이겨놓고서 다른 경기들을 지켜봐야 하는 입장이다.
- 키르기스스탄은 상당히 암울하다. 최종전에서 승리를 하면 조 2위 자리를 수성할 수 있는데 하필 최종전 상대가 조 최강이자 실력차가 현격한 일본이다. 더군다나 타지키스탄이 미얀마를 이길 가능성이 높은데, 이러면 설사 일본을 이기더라도 미얀마가 조 최하위가 되어 조정 승점 계산때 몽골에 당한 1패가 고스란히 반영되어 조정 승점이 7이 됨과 동시에 탈락. 사실상 가능성이 매우 낮다. 때문에 키르기스스탄은 지난 8차전 미얀마전에서 미얀마를 1:8 일방적인 스코어로 두들겨 팼던 것을 후회할 것이다.
  • E조: 인도 vs 아프가니스탄 (6월 15일 23:00, 카타르 도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 두 팀 모두 탈락이 확정되었고, E조 최하위 팀이 누구냐에 영향을 끼치는 경기인데 사실 가능성은 매우 낮다. 자세한 것은 방글라데시 vs 오만 부분에 후술한다.
  • A조: 필리핀 vs 몰디브 (6월 16일 00:00,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샤르자 스타디움)
  • B조: 호주 vs 요르단 (6월 16일 01:00, 쿠웨이트 쿠웨이트시티, 자베르 알 아흐마드 인터내셔럴 스타디움)
- 2차예선 최종전 최대의 빅 매치 1. 요르단은 이 경기에서 무조건 이기고 다른 조 경쟁팀들이 미끄러지기 만을 바래야 한다. 비기기만 해도 99% 이상 탈락. 100%가 아닌 이유는, 요르단이 비기더라도 우즈벡이 사우디에 6점차, 이란이 이라크에 5점차, UAE가 베트남에 5점차로 패하는 3개 중 2개가 일어난다면 승점동률에 골득실 역전이 일어나기 때문.1개도 어려워 보이는데 2개씩이나... 다만 요르단과 호주의 최근 전적은 비교적 대등한 편으로, 가장 최근 경기인 19년 요르단 홈에서의 이번 대회 예선 5차전에서는 호주가 1:0으로 승리했다.
  • C조: 이란 vs 이라크 (6월 16일 01:30, 바레인 알 무하라크, 알 무하라크 스타디움)
- 2차예선 최종전 최대의 빅 매치 2이자 중동판 한일전. 아시아 4대강호라는 이란이 최종예선도 진출하지 못하고 탈락할 수 있는 상황에 내몰렸기에 모두의 관심이 집중되는 경기다. 일단 이라크는 비기기만 해도 진출하며, 설령 패하더라도 조정승점이 11점으로 비교적 유리한 편이다. 이란은 이기면 조 1위로 진출, 비기거나 지면 다른 조 상황을 봐야 하는데 비긴다면 모를까 패배한다면 최종예선 진출이 가능한 경우의 수가 매우 제한적이다.
  • C조: 바레인 vs 홍콩 (6월 16일 01:30, 바레인 리파, 바레인 국립 스타디움)
- 이론적으로 이라크가 이란에 a골차로 이긴다면, 바레인은 홍콩에 23-a골차만큼 승리하는 것으로 조2위 경합 레이스에 참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라크가 이란에 이기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지만, 아무리 홍콩이 약팀이라 하더라도 ~ 대놓고 주작이 날아오르지 않는 이상~ 20점 이상의 대량 득점은 무리다. 하물며 바레인은 홍콩과의 첫 경기에서 0:0으로 비긴 바가 있다.
  • G조: 태국 vs 말레이시아 (6월 16일 01:45,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알 나스르)
  • G조: 아랍에미리트 vs 베트남 (6월 16일 01:45,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자벨 스타디움)
- 1-2위 팀 양국간의 격차가 가장 적은 매치, UAE가 승리하면 조 1위로 예선을 통과하며, 베트남은 조정승점이 11점이 된다. 양국이 비기면 UAE의 조정승점이 10점이 된다. 반대로 베트남이 승리할 경우 UAE의 조정승점은 9점으로 탈락 위기에 몰린다.
  • E조: 방글라데시 vs 오만 (6월 16일 02:00, 카타르 도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 일단 오만은 조정승점이 이미 12인 상황이라 최종예선 진출이 99.9% 확정되었다. B조의 요르단(최대 가능한 조정승점 11)과 F조의 키르키즈스탄/타지키스탄(최대가능한 조정승점 10), H조의 레바논(조정승점 10으로 예선 종료)은 오만을 절대 역전할 수 없다. 카타르가 조 1위를 차지, 조2위의 최종예선 티켓이 5장이 된 상황이고 경쟁국이 8개국이라 3개국만 탈락하는 상황이다. 이미 오만을 제낄 수 없는 조가 3개 나왔다.
  • 여기서 오만이 탈락하려면, 인도가 아프가니스탄을 이기고 방글라데시가 오만을 이기며 두 경기의 득점차 합이 3 이상 나와야 한다.[4] 그러면 조 최하위가 방글라데시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바뀌고 오만의 조정승점이 9, 골득실은 +2나 +3이 되며 단번에 탈락위기에 봉착한다. 오만의 탈락 가능성은 바레인의 진출 가능성만큼이나 낮다고 보면 된다.
  • 인도와 아프가니스탄과의 경기가 1:1 무승부로 끝나면서 오만은 이 경기를 치루기도 전에 최종예선 진출 티켓을 따버렸다. 따라서 오만은 마음 편히 방글라데시전에 임할 것이다.
  • D조: 사우디 아라비아 vs 우즈베키스탄 (6월 16일 03:00, 사우디 아라비아 리야드, 킹 사우드 대학 스타디움)
- 우즈베키스탄 입장에선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는데, 조2위 경합에 영향을 못끼치는 대만 vs 쿠웨이트전을 제외하면 A조 중국과 함께 가장 늦게 경기를 치룬다. 만약 이 앞의 경기들에서 경쟁국들이 미끄러지면 어느 정도 심적인 안정을 받고 여유있게 경기를 펼칠 수 있다. 다만,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조2위 경합순위가 4위라서 앞의 조들 경기에서 한두 경기만 경쟁국들이 이겨버리면 반대로 엄청난 심리적 부담감을 안고 경기에 임해야 한다.
  • D조: 팔레스타인 vs 예멘 (6월 16일 03:00, 사우디 아라비아 리야드, 킹 파흐드 인터내셔럴 스타디움)
- 양팀 모두 월드컵 예선에서 낙마했으나, 예멘이 만약 승리한다면 싱가포르가 꼴찌가 된다. 사우디는 예멘에 1승1무, 싱가포르에 2승, 우즈베키스탄은 예멘 및 싱가포르에 모두 2승해서 예멘과 싱가포르의 경기는 특별한 일 없으면 D조 결과에 영향을 안 끼친다. 우즈베키스탄의 현재 승점은 15점으로 예멘, 싱가포르 누가 최하위가 되건 승점 6점을 삭감당해 조정승점은 9에 그치게 된다. 다만 예멘이 승리하고 사우디가 패배하게 되면 사우디의 조정 승점은 11점이 되며, 예멘이 그대로 패배하고 사우디도 패배한다면 조정승점은 13점이 되다.
  • 우즈벡의 입장에서는 최하위가 누가 되냐에 따라 골득실에 사소한 차이가 발생한다. 우즈벡은 예멘에 2승 6득점 무실점, 싱가포르에 2승 8득점 1실점을 기록했다. 예멘이 승리한다면 우즈벡의 상대전적이 좀 더 나은 싱가포르가 최하위로 전락하면서 우즈벡은 골득실 +1과 다득점 2를 잃게 된다.
  • 그 밖에, 이 경기에서 예멘이 팔레스타인에 13점차로 이긴다면 조 최하위가 팔레스타인이 된다. 현재 팔레스타인과 싱가포르의 승점이 7로 동률이고 골득실은 각각 팔레스타인이 -3, 싱가포르가 -15다. 이게 뒤집어진다면 우즈베키스탄은 팔레스타인에게 패한 경기 하나를 지워버리면서 설사 사우디에 패하더라도 조정승점이 12가 되어 매우 여유있게 된다. 가능성은 바레인이 홍콩에 22점차 승리를 거두는 것보단 높긴 하다.
  • A조: 중국 vs 시리아 (6월 16일 03:00,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샤르자 스타디움)
- 중국은 우즈베키스탄보다 더 좋은 상황에서 최종전을 치룬다. 조2위 경합에서 이미 조정승점 10에 골득실 +11로 2위를 차지, 엄청 유리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잔여경기가 없어 중국을 역전할 수 없는 레바논, F조 2위가 유력하지만 최종전 승리를 전제로 해도 조정승점 10에 골득실 -1인 타지키스탄을 제끼고 시작하므로 중국은 타 국가들의 전반전 종료를 전후하여 다른 조 결과들을 보며 웃을 확률이 매우 높다.
  • 중국은 시리아전에서 이기면 조정 승점 13으로 조2위 경합에서 최소 2위를 차지, 최종예선 진출이 확실하다.
  • 시리아전에서 비기면 설령 경쟁국 4개국이 모두 다 이기더라도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이 경우 조 2위로 전락하는 이라크나 베트남의 조정승점은 11로 중국과 동률이 되지만 골득실이 중국을 역전할 수 없다.(이라크 골득실 최대 +3, 베트남 골득실 최대 +2, 중국 골득실 +11) 이미 레바논이 중국을 역전할 수 없는 상황에서 중국을 역전하지 못하는 조가 2개 더 나와버리므로 중국은 조 2위 경합 자리에서 최소 5위를 확보하게 된다.
  • 설사 중국이 지더라도, 진짜 재수가 없지 않는 이상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중국이 탈락하는 경우의 수는 시리아에 패배하면서, 경쟁 4개국(우즈베키스탄, 아랍에미리트, 이란, 요르단)이 모두 이겨버리는 것이다. 이럴 경우 중국은 조정승점 10에 그치게 되며 조 2위 경합에서 사우디(조정승점 11~13), 이라크(조정승점 11), 베트남(조정승점 11), 요르단(조정승점 11)에 밀려 탈락한다. 이를 바꿔 말하면 경쟁 4개국 중 1개국만이라도 비기는 것에서 그친다면 중국은 최종예선에 진출할 수 있다는 것. 시리아에 12골차정도로 패하면 골득실에서 타지키스탄에까지 역전당할 수 있긴 하지만 아무리 중국이래도 그럴 가능성은...
  • B조: 대만 vs 쿠웨이트 (6월 16일 04:00, 쿠웨이트 쿠웨이트시티, 자베르 알 아흐마드 인터내셔럴 스타디움)
- 만약 호주 vs 요르단전에서 요르단이 패한다면, 쿠웨이트가 이 경기를 승리함으로서 득실차에서 역전해 조 2위가 된다. 다만, 이렇게 되더라도 쿠웨이트의 조정승점은 8로 조2위간 경합레이스에서 6위 이란의 조정승점 9를 역전하지 못하니 의미는 없다.


3. 타임라인[편집]


  • 이 항목은 1003 결전에 명시된 시간별 템플릿으로 작성할 것. 또한 자세한 경기 실황은 피파 홈피AFC 홈피를 참조하며, 실시간으로 순위가 변동될 시(1위 XX, 2위 YY, 3위 ZZ... 8위 AA) 순으로 기록하고 본선 진출권에 위치한 팀들은 진하게를 적용할 것.
  • 작성 예시: XX:YY - BB팀의 CC가 골을 넣었다/퇴장당했다(선수 교체는 기입하지 않는다. 단, 경기 도중 교체된 선수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을 경우 기입한다.)
  • 모든 시각은 한국 시간(UTC+9)을 기준으로 한다.


3.1. 6월 13일[편집]


  • 15:00, H조 10차전 2경기 대한민국 vs 레바논 경기가 킥오프했다.
  • 15:11, (11') 대한민국 vs 레바논 - 레바논이 선제골을 넣으며 1:0으로 리드한다. 이 상황에서 레바논은 한국에 리드를 잡음으로서 득실차를 제치지 못해 H조 2위는 유지하나 승점 13점으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레바논은 이 상태에서 끝나면 최종예선 진출이 확정되는 상황. 이 시점에서 다른 조 2위 및 1위 중이지만 1위 확정이 안되어 2위 가능성이 남은 팀들 중 조정 승점에서 레바논의 승점 13을 따라잡을 가능성이 있는 나라는 A조의 중국(5경기 기준 조정 승점 10)과 E조의 오만(5경기 기준 조정 승점 12) 그리고 D조 1위로 최종전에서 패할 경우의 사우디(예멘 패배시 조정승점 13)뿐으로 조2위간 경합 상위 5개국 안에서 밀려날 가능성이 없었고, 이를 위해 레바논은 시몬스 침대에 눕기 시작한다.
  • 16:10, (51') 대한민국 vs 레바논 - 한국이 동점골을 넣으며 경기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한국과 레바논이 1:1 동률이 되었다. 그래도 이대로 경기를 끝내면 레바논은 승점 11 골득실 +4로 예선을 종료하면서 자력 최종예선 진출이 가능했다. F조 2위는 이론적으로 가능한 최대 조정승점이 10이라 레바논을 제낄 수 없었고, C조와 G조에서는 어떠한 시나리오가 일어나도 해당 조 2위가 레바논을 역전할 수 없게 된다. C조의 경우 이란이 지거나 패하면 조정승점 9~10으로 레바논 역전불가, 이란이 이길 경우 이라크가 조 2위가 되는데 조정승점 11에 골득실은 최대 +3으로 역시 레바논에 역전 불가다. G조에서는 역시 아랍에미리트가 지거나 패하면 조정승점 9~10으로 레바논 역전불가, 아랍에미리트가 이길 경우 베트남이 조 2위가 되는데 조정승점 11에 골득실 최대 +2로 역시 레바논 역전이 불가하다. 조 2위 8개국 중 상위 5개국이 진출하는데 레바논을 역전할 수 없는 팀이 3개가 나온 것이다. 여기서 그쳤으면 레바논의 해피엔딩이었겠지만...
  • 16:25, (66') 대한민국 vs 레바논 - 한국이 역전골을 넣으며 스코어는 2:1로 바뀌었고 이로서 레바논의 최종예선 자력진출은 완전히 무산되었고 오히려 탈락의 위기에 처하게 된다.
  • 16:50, 대한민국 vs 레바논 경기 종료. 스코어의 변동 없이 경기는 2:1 한국의 역전승으로 끝났다. 경기 종료 후의 조 2위간 경합 순위표는 아래래와 같이 변동되었다. 현재까지는 레바논의 승점만 확정이고, 오만은 최종전 결과에 따라 조 5위가 바뀌면 승점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
  • 대한민국 vs 레바논 경기 종료 시각 기준 순위표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조정 승점
제외 국가
비고
1
E조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0
2
9
5
+4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
A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5
3
1
1
13
2
+11
10
파일:괌 기.svg


3
H조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6
3
1
2
11
8
+3
10
없음(북한의 기권)

4
D조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5
3
0
2
12
6
+6
9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5
G조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5
3
0
2
10
5
+5
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6
C조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5
3
0
2
9
4
+5
9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7
B조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5
2
2
1
6
5
+1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8
F조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5
1
1
3
3
6
-3
4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녹색 최종예선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청록색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볼드체 확정 (조 이름, 국가: 조 2위 확정 / 제외 국가: 조 5위 확정 / 득실차, 조정 승점: 조정 성적 확정)




3.2. 6월 15일[편집]


  • 19:25, F조 10차전 1경기 타지키스탄 vs 미얀마 경기와 2경기 일본 vs 키르키스스탄 경기가 동시에 킥오프했다.
  • 19:52, (27') 일본 vs 키르키스스탄 - 일본의 오나이우 아도가 패널티 킥을 성공, 일본이 1:0으로 앞서나간다. 이 스코어대로면 키르키스스탄은 탈락한다.
  • 19:56, (31') 일본 vs 키르기스스탄 - 일본의 오나이우 아도가 추가골을 넣어 일본이 2:0으로 앞서나간다.
  • 19:59, (33') 일본 vs 키르기스스탄 - 일본의 오나이우 아도가 전반전이 채 끝나기도 전에 헤트트릭을 달성해 일본이 3:0으로 앞서나간다.
  • 19:59, (34') 타지키스탄 vs 미얀마 - 타지키스탄의 코므론 투르순노프가 골을 넣어 타지키스탄이 1:0으로 앞서나간다. 이 스코어대로면 타지키스탄이 조 2위로 올라선다.
  • 20:15, (45+1') 일본 vs 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스탄의 미를란 무자예프가 PK로 만회골을 넣으며 3:1으로 추격을 시작했다.
  • 20:42, (54') 타지키스탄 vs 미얀마 - 타지키스탄의 마누체흐르 잘릴로프가 골을 넣어 타지키스탄이 2:0으로 격차를 더 벌려 놓으며, 조 2위 굳히기에 들어가게 되었다.
  • 20:57, (73') 일본 vs 키르기스스탄 - 일본의 사사키 쇼가 골을 넣어 일본이 4:1로 앞서나간다.
  • 21:02, (78') 일본 vs 키르기스스탄 - 일본의 아사노 타쿠마가 골을 넣어 일본이 5:1로 거의 승리를 가져간다.
  • 21:06, (78') 타지키스탄 vs 미얀마 - 타지키스탄의 셰리딘 보보에프가[5] 골을 넣어 타지키스탄이 3:0으로 격차를 더 벌려 놓았다.
  • 21:15, (87') 타지키스탄 vs 미얀마 - 타지키스탄의 샤롬 사미예프가 골을 넣어 타지키스탄이 4:0으로 승기를 잡는다.
  • 21:19, 일본 vs 키르기스스탄 경기 종료. 일본은 8전 전승으로 최종예선에 안착했고, 키르기스스탄은 통한의 눈물을 흘렸다.
  • 21:20, 타지키스탄 vs 미얀마 경기 종료. 이로써 타지키스탄은 조정 승점 10점, 골득실 -1로 2위 경합 대기 상태가 되었다. 미얀마는 조 5위 확정.
- F조 경기 종료시점에서 타지키스탄은 2위 경합 순위에서 4위에 랭크되어 있다. 5~8위 경쟁국 중 3팀이 패한다면 타지키스탄의 진출이 가능하다.
  • 타지키스탄 vs 미얀마, 일본 vs 키르기스스탄 경기 종료 시각 기준 순위표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조정 승점
제외 국가
비고
1
E조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0
2
9
5
+4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
A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5
3
1
1
13
2
+11
10
파일:괌 기.svg


3
H조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6
3
1
2
11
8
+3
10
없음(북한의 기권)

4
F조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6
3
1
2
7
8
-1
10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5
D조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5
3
0
2
12
6
+6
9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6
G조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5
3
0
2
10
5
+5
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7
C조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5
3
0
2
9
4
+5
9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8
B조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5
2
2
1
6
5
+1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녹색 최종예선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청록색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볼드체 확정 (조 이름, 국가: 조 2위 확정 / 제외 국가: 조 5위 확정 / 득실차, 조정 승점: 조정 성적 확정)

  • 23:00, E조 10차전 1경기 인도 vs 아프가니스탄 경기가 킥오프했다.
  • 23:45, 인도 vs 아프가니스탄 경기는 양팀 모두 전반전을 무득점으로 마쳤다.


3.3. 6월 16일[편집]



3.3.1. 00:00 ~ 02:59[편집]


  • 00:00, A조 10차전 1경기 필리핀 vs 몰디브 경기가 킥오프했다.
  • 00:19, (19') 필리핀 vs 몰디브 - 필리핀의 앙헬 기라도가 골을 넣어 필리핀이 1:0으로 앞서나간다.
  • 00:25, (25') 필리핀 vs 몰디브 - 몰디브의 알리 파시르가 동점골을 넣어 1:1 동률이 되었다.
  • 00:31, (75') 인도 vs 아프가니스탄 - 아프가니스탄의 골키퍼 오바이스 아지지가 크로스 처리 실패로 자책골을 넣으며, 인도가 선취득점에 성공하였다. 인도가 1:0으로 앞서나간다.
  • 00:38, (82') 인도 vs 아프가니스탄 - 아프가니스탄의 호세인 자마니가 좌측 패널티박스에서 멋진 감아차기로 동점골을 기록하며 승부는 원점으로 돌아갔다. 인도와 아프가니스탄이 1:1 동률이 되었다.
  • 00:51, 인도 vs 아프가니스탄 경기 종료. 인도와 아프가니스탄은 각각 조 3위와 조 4위를 확정지으며, 자연스레 방글라데시가 조 최하위를 확정지었다. 이로써 조 2위인 오만은 방글라데시전 결과와 무관하게 조정 승점 12점, 득실차 +4를 확정지음과 동시에 최종예선 티켓을 확보했다. 아프가니스탄도 이 경기로 홍콩이 무승부로 조 4위 경쟁에서 아프가니스탄을 역전하는 가능성을 없애면서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가능성이 유리해졌다.
  • 인도 vs 아프가니스탄 경기 종료 시각 기준 순위표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조정 승점
제외 국가
비고
1
E조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0
2
9
5
+4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2
A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5
3
1
1
13
2
+11
10
파일:괌 기.svg


3
H조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6
3
1
2
11
8
+3
10
없음(북한의 기권)

4
F조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6
3
1
2
7
8
-1
10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5
D조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5
3
0
2
12
6
+6
9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6
G조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5
3
0
2
10
5
+5
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7
C조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5
3
0
2
9
4
+5
9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8
B조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5
2
2
1
6
5
+1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녹색 최종예선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청록색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볼드체 확정 (조 이름, 국가: 조 2위 확정 / 제외 국가: 조 5위 확정 / 득실차, 조정 승점: 조정 성적 확정)

  • 01:00, B조 10차전 1경기 호주 vs 요르단 경기가 킥오프했다.
  • 01:30, C조 10차전 1경기 이란 vs 이라크 경기와 2경기 바레인 vs 홍콩 경기가 동시에 킥오프했다.
  • 01:45, G조 10차전 1경기 태국 vs 말레이시아 경기와 2경기 아랍에미리트 vs 베트남 경기가 동시에 킥오프했다.
  • 01:49, 호주 vs 요르단 - 양 팀은 무득점으로 전반전을 마감했다.
  • 01:57, 필리핀 vs 몰디브 경기 종료. 양 팀은 1:1로 무승부를 거두었다. 몰디브는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조정 승점 1점으로 아시안컵 PO예선 진출이 확정되었다.
  • 필리핀 vs 몰디브 경기 종료 시각 기준 순위표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조정 승점
제외 국가
비고
1
E조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0
2
9
5
+4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2
A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5
3
1
1
13
2
+11
10
파일:괌 기.svg


3
H조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6
3
1
2
11
8
+3
10
없음(북한의 기권)

4
F조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6
3
1
2
7
8
-1
10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5
D조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5
3
0
2
12
6
+6
9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6
G조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5
3
0
2
10
5
+5
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7
C조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5
3
0
2
9
4
+5
9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8
B조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5
2
2
1
6
5
+1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녹색 최종예선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청록색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볼드체 확정 (조 이름, 국가: 조 2위 확정 / 제외 국가: 조 5위 확정 / 득실차, 조정 승점: 조정 성적 확정)

  • 02:10, E조 10차전 2경기 방글라데시 vs 오만 경기가 킥오프했다.
  • 02:07, (35') 이란 vs 이라크 - 이란의 사르다르 아즈문이 선제골을 넣으며 이란이 1:0 으로 앞서나갔다. 이대로면 이란이 조 1위로 올라서고, 이라크가 조 2위로 내려간다.
  • 02:17, (32') 아랍에미리트 vs 베트남 - 아랍에미리트의 알리 살민이 선제골을 터뜨리며 아랍에미리트가 베트남을 1:0으로 앞서게 되었다. 이대로면 아랍에미리트가 조 1위로, 베트남이 조 2위로 내려간다.
  • 02:24, (40') 아랍에미리트 vs 베트남 - 베트남의 골키퍼 부이티엔중이 파울을 저지르며 PK를 허용하였고, 아랍에미리트의 알리 마브쿠트가 PK를 성공시키며 2:0으로 격차를 벌려나갔다.
  • 02:25, 바레인 vs 홍콩 경기는 양팀 모두 전반전을 무득점으로 마쳤다.
  • 02:32, (22') 오만의 모하메드 알 가프리가 선제골을 넣어 오만이 0:1로 앞서나간다.
  • 02:35, (77') 호주 vs 요르단 - 호주의 해티 사우터가 선제골을 넣었다. 팽팽하던 균형은 깨지고 호주가 1:0 리드를 잡았다. 이대로 경기가 종료될시 요르단은 탈락하고, 2위로 마무리시 조정 승점이 11점이 되는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베트남은 잔여 경기 결과에 상관없이 최종 예선에 진출한다.
  • 02:38, 태국 vs 말레이시아 - 양팀은 무득점으로 전반전을 마감했다.
  • 02:40, (49') 바레인 vs 홍콩 - 바레인의 사예드 사에드가 득점하며 바레인이 1:0 리드를 잡았다.
  • 02:45, (54') 바레인 vs 홍콩 - 바레인의 하심 사예드 이사가 PK로 득점하며 바레인이 2:0으로 점수차를 벌렸다.
  • 02:47, (87') 호주 vs 요르단 - 요르단의 무사 알-타마리가 다이렉트 레드카드로 퇴장당했다.
  • 02:57, 호주 vs 요르단 경기 종료. 호주가 요르단을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면서 요르단은 탈락이 확정되었고 조정 승점이 11점이 되는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베트남은 최종예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한편 이란이 이라크를 이기고 아랍에미리트가 베트남을 이기는 현 상황으로 마무리되면 중국의 잔여경기가 있으나 득실차를 감안하면 레바논과 타지키스탄 밑으로 추락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타지키스탄의 탈락 역시 확실시되며 우즈베키스탄이 승리하거나 무승부시 우즈베키스탄이 최종예선에 진출하고 우즈베키스탄이 패배시 레바논이 최종예선에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 호주 vs 요르단 경기 종료 시각 기준 순위표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조정 승점
제외 국가
비고
1
E조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0
2
9
5
+4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2
A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5
3
1
1
13
2
+11
10
파일:괌 기.svg


3
H조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6
3
1
2
11
8
+3
10
없음(북한의 기권)

4
F조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6
3
1
2
7
8
-1
10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5
D조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5
3
0
2
12
6
+6
9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6
G조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5
3
0
2
10
5
+5
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7
C조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5
3
0
2
9
4
+5
9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8
B조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6
2
2
2
6
6
0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녹색 최종예선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청록색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볼드체 확정 (조 이름, 국가: 조 2위 확정 / 제외 국가: 조 5위 확정 / 득실차, 조정 승점: 조정 성적 확정)

  • 02:59, 방글라데시 vs 오만 - 0:1로 오만이 리드를 유지한채 전반을 마쳤다.


3.3.2. 03:00 ~ 05:52[편집]


  • 03:00, D조 10차전 1경기 사우디아라비아 vs 우즈베키스탄 경기와 2경기 팔레스타인 vs 예멘 경기가 동시에 킥오프했다. 같은 시간 UAE의 마흐무드 카미스가 PK골(50')을 넣으면서 3-0으로 앞서갔고, 말레이시아도 교체투입된 사파비 라시드의 PK골(52')로 리드를 잡았다.
  • 03:00, A조 10차전 2경기 중국 vs 시리아 경기가 킥오프했다.
  • 03:05, (70') 바레인 vs 홍콩 - 바레인의 하심 사예드 이사가 두번째 골을 넣어 멀티골을 기록하면서 경기는 3:0으로 바레인 쪽으로 기울었다.
  • 03:20, (90') 바레인 vs 홍콩 - 바레인의 이스마일 압둘라티프가 PK골을 기록, 4-0을 만들었다.
  • 03:23, 이란 vs 이라크 경기 종료. 이란이 1:0으로 승리하면서 이란이 조 1위, 이라크가 조 2위를 확정지었다. 이로서 이란은 결국 절벽 끝에서 탑시드를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 03:25, 바레인 vs 홍콩 경기 종료. 바레인이 홍콩을 상대로 4:0 완승을 거두었지만 이란이 승리하면서 탈락이 확정되었다. 그리고 홍콩의 패배로 아프가니스탄의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이 확정되었다.
  • 이란 vs 이라크, 바레인 vs 홍콩 경기 종료 시각 기준 순위표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조정 승점
제외 국가
비고
1
E조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0
2
9
5
+4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2
C조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6
3
2
1
6
3
+3
11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3
A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5
3
1
1
13
2
+11
10
파일:괌 기.svg


4
H조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6
3
1
2
11
8
+3
10
없음(북한의 기권)

5
F조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6
3
1
2
7
8
-1
10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6
D조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5
3
0
2
12
6
+6
9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7
G조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5
3
0
2
10
5
+5
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8
B조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6
2
2
2
6
6
0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녹색 최종예선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청록색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볼드체 확정 (조 이름, 국가: 조 2위 확정 / 제외 국가: 조 5위 확정 / 득실차, 조정 승점: 조정 성적 확정)

  • 03:25, (25') 사우디아라비아 vs 우즈베키스탄 - 사우디아라비아의 살만 알파라지가 선제골을 넣으며 1:0 사우디가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 03:29, (61') 방글라데시 vs 오만 - 칼리드 알하즈리가 골을 넣으며 2:0 점수차를 2점차로 벌렸다.
  • 03:30, (84') 아랍에미리트 vs 베트남 - 베트남의 응우옌 티엔 린이 골을 넣으면서 3:1로 스코어가 좁혀졌다.
  • 03:33, (33') 사우디아라비아 vs 우즈베키스탄 - 살만 알파라지가 추가골을 넣으며 사우디가 스코어를 2:0으로 벌렸다.
  • 03:39, (90+3') 아랍에미리트 vs 베트남 - 베트남의 쩐 민 브엉이 골을 기록하며 3:2로 스코어가 더 좁혀졌다.그러나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고, 사실상 아랍에미리트 쪽으로 경기는 기울었다.
  • 03:40, 태국 vs 말레이시아 경기 종료. 말레이시아가 태국을 상대로 0:1 승리를 거두면서 조 3위, 태국이 패하면서 조 4위를 최종적으로 기록하였다. 태국은 조 4위 경합에서 조정승점 5점으로 아시안컵 3차예선에 진출하였다.
  • 03:41, 아랍에미리트 vs 베트남 경기 종료. 아랍에미리트가 승리하면서 G조의 1위는 아랍에미리트가 조 2위는 베트남이 되었다. 동시에 타지키스탄은 사실상 탈락이 확정되었다. [6]
  • 태국 vs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vs 베트남 경기 종료 시각 기준 순위표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조정 승점
제외 국가
비고
1
E조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0
2
9
5
+4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2
C조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6
3
2
1
6
3
+3
11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3
G조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6
3
2
1
6
4
+2
11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4
A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5
3
1
1
13
2
+11
10
파일:괌 기.svg


5
H조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6
3
1
2
11
8
+3
10
없음(북한의 기권)

6
F조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6
3
1
2
7
8
-1
10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7
D조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5
3
0
2
12
6
+6
9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8
B조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6
2
2
2
6
6
0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녹색 최종예선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청록색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볼드체 확정 (조 이름, 국가: 조 2위 확정 / 제외 국가: 조 5위 확정 / 득실차, 조정 승점: 조정 성적 확정)

  • 03:42, (42') 중국 vs 시리아 - 중국의 장시저가 선제골을 넣으며 스코어는 1:0이 되었다.
  • 03:43, (43') 팔레스타인 vs 예멘 - 팔레스타인의 오데이 다바가 선제골을 넣으며 팔레스타인이 1:0으로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 03:48, (45+3') 팔레스타인 vs 예멘 - 야세르 하미드 마요르가 골을 넣으며 팔레스타인이 2:0으로 차이를 더 벌렸다.
  • 03:49, (81') 방글라데시 vs 오만 - 칼리드 알하즈리가 추가골을 기록하며 3:0으로 점수차를 3점차로 더 벌렸다.
  • 03:49, 사우디아라비아 vs 우즈베키스탄 - 사우디아라비아가 살만 알파라지의 멀티골로 2:0 앞서며 전반을 마쳤다.
  • 03:50, 팔레스타인 vs 예멘 - 팔레스타인 2:0으로 앞서나가며 전반을 마쳤다.
  • 04:00, B조 10차전 2경기이자 대만 vs 쿠웨이트 경기가 킥오프했다.
  • 04:04, 방글라데시 vs 오만 경기 종료. 오만이 5위 방글라데시전을 3:0으로 완승을 거두며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을 자축하였다.
  • 방글라데시 vs 오만 경기 종료 시각 기준 순위표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조정 승점
제외 국가
비고
1
E조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0
2
9
5
+4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2
C조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6
3
2
1
6
3
+3
11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3
G조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6
3
2
1
6
4
+2
11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4
A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5
3
1
1
13
2
+11
10
파일:괌 기.svg


5
H조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6
3
1
2
11
8
+3
10
없음(북한의 기권)

6
F조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6
3
1
2
7
8
-1
10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7
D조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5
3
0
2
12
6
+6
9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8
B조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6
2
2
2
6
6
0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녹색 최종예선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청록색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볼드체 확정 (조 이름, 국가: 조 2위 확정 / 제외 국가: 조 5위 확정 / 득실차, 조정 승점: 조정 성적 확정)

  • 04:09, (52') 사우디아라비아 vs 우즈베키스탄 - 사우디아라비아의 알리 알-하산이 골을 넣으며 스코어는 3:0을 기록하였다.
  • 04:10, (50') 중국 vs 시리아 - 시리아의 아이아스 아오스만이 동점골을 넣으며 스코어는 1:1이 되었다.
  • 04:14, (14') 대만 vs 쿠웨이트 - 쿠웨이트의 유세프 나세르가 선제골을 넣으며 쿠웨이트가 0:1 리드를 시작했다.
  • 04:29, (69') 중국 vs 시리아 - 중국의 우레이가 PK를 성공시키며 2:1로 중국이 다시 앞서기 시작했다.
  • 04:44, (84') 팔레스타인 vs 예멘 - 팔레스타인의 오데이 다바가 추가골을 넣으며 3:0을 기록하였다.
  • 04:47, 대만 vs 쿠웨이트 - 쿠웨이트가 0:1 리드를 유지하며 전반을 마쳤다.
  • 04:54, 중국 vs 시리아 - 중국의 장유닝이 추가골을 넣으며 스코어는 3:1이 되었다.
  • 04:55, 팔레스타인 vs 예멘 경기 종료. 팔레스타인이 예멘을 상대로 3:0 완승을 거두며 조 3위를 지켰다. 예멘은 조 5위를 기록하며 아시안컵 PO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 04:56, 사우디아라비아 vs 우즈베키스탄 - 사우디아라비아가 3:0 완승을 거두면서 조 1위를 유지하였고 우즈베키스탄은 추가 승점을 쌓지 못하면서 월드컵 예선에 참여 이후 처음으로 최종예선에 합류하지 못하게 되었다. 우즈베키스탄이 승리하지 못하면서 레바논은 최종예선 진출이 확정되었다. 같은 시각 중국이 시리아를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면서 중국은 월드컵 최종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중국이 승리하면서 조 6위인 타지키스탄은 탈락이 확정되었다.
  • 팔레스타인 vs 예멘, 사우디아라비아 vs 우즈베키스탄, 중국 vs 시리아 경기 종료 시각 기준 순위표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조정 승점
제외 국가
비고
1
A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6
4
1
1
16
3
+13
13
파일:괌 기.svg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2
E조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0
2
9
5
+4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3
C조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6
3
2
1
6
3
+3
11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4
G조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6
3
2
1
6
4
+2
11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5
H조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6
3
1
2
11
8
+3
10
없음(북한의 기권)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6
F조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6
3
1
2
7
8
-1
10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7
D조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6
3
0
3
12
9
+3
9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8
B조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6
2
2
2
6
6
0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녹색 최종예선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청록색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볼드체 확정 (조 이름, 국가: 조 2위 확정 / 제외 국가: 조 5위 확정 / 득실차, 조정 승점: 조정 성적 확정)

  • 05:08, (51') 대만 vs 쿠웨이트 - 대만의 우청칭이 동점골을 넣으며 스코어는 1:1이 되었다.
  • 05:29, (72') 대만 vs 쿠웨이트 - 쿠웨이트의 유세프 나세르가 추가로 골을 넣으며 멀티골을 기록해 다시 쿠웨이트가 1:2 승기를 잡았다.
  • 05:52, 대만 vs 쿠웨이트 경기 종료로 2차 예선 모든 경기 종료. 쿠웨이트가 대만을 상대로 승리하면서 조 2위를 탈환했지만 승점은 8점이므로 탈락하였다.
  • 대만 vs 쿠웨이트 경기 종료 시각 기준 순위표이자 최종 순위표.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조정 승점
제외 국가
비고
1
A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6
4
1
1
16
3
+13
13
파일:괌 기.svg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2
E조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0
2
9
5
+4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3
C조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6
3
2
1
6
3
+3
11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4
G조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6
3
2
1
6
4
+2
11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5
H조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6
3
1
2
11
8
+3
10
없음(북한의 기권)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6
F조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6
3
1
2
7
8
-1
10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7
D조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6
3
0
3
12
9
+3
9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8
B조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6
2
2
2
8
6
+2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녹색 최종예선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청록색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볼드체 확정 (조 이름, 국가: 조 2위 확정 / 제외 국가: 조 5위 확정 / 득실차, 조정 승점: 조정 성적 확정)



4. 결과[편집]



4.1. 10차전 경기 결과[편집]



고양종합운동장 (고양,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홈 로고.svg

2 : 1
파일:레바논 대표팀 로고.png
대한민국
레바논
51' (OG) 마헤르 사브라
66' (PK) 손흥민

파일:득점 아이콘.svg
11' 수니 사드
H조 1위 확정
조정 승점 16
최종예선 자력 진출

결과
H조 2위 확정
조정 승점 10
최종예선 자력 진출 불가



나가이 육상경기장 (오사카시, 일본)
파일:Tajikistan_FA.png
4 : 0
파일:attachment/Myanmar_Football_Federation.png
타지키스탄
미얀마
34' 코므론 투르스노프
54' 마누체흐르 잘릴로프
78' 셰리딘 보보에프
87' 샤롬 사미예프

파일:득점 아이콘.svg
-
F조 2위 확정
조정 승점 10
최종예선 자력 진출 불가

결과
F조 5위 확정
조정 승점 0
최종예선 진출 실패



시립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 (오사카 부 스이타 시, 일본)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5 : 1
파일:Kyrgyz Football Union.png

키르기스스탄
27' (PK), 31', 33' 오나이우 아도
73' 사사키 쇼
78' 아사노 타쿠마

파일:득점 아이콘.svg
45+1' (PK) 미를란 무르자예프
F조 1위 확정
조정 승점 18
최종예선 자력 진출

결과
F조 3위 확정
조정 승점 4
최종예선 진출 실패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파일:인도 대표팀 로고.png
1 : 1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인도
아프가니스탄
75' (OG) 오바이스 아지지
파일:득점 아이콘.svg
82' 호세인 자마니
E조 3위 확정
조정 승점 3
최종예선 진출 실패

결과
E조 4위 확정
조정 승점 2
최종예선 진출 실패



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아랍에미레이트)

파일:Philippine PFF.png

1 :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ootball_Association_of_Maldives.png

필리핀
몰디브
19' 앙헬 기라도
파일:득점 아이콘.svg
25' 알리 파시르
A조 3위 확정
조정 승점 5
최종예선 진출 실패

결과
A조 4위 확정
조정 승점 1
최종예선 진출 실패



자베르 알아흐마드 국제경기장 (쿠웨이트시, 쿠웨이트)
파일: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 : 0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호주
요르단
77' 해리 사우터
파일:득점 아이콘.svg
-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87' 무사 알 타마리
B조 1위 확정
조정 승점 18
최종예선 자력 진출

결과
B조 3위 확정
조정 승점 8
최종예선 진출 실패



칼리파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이사타운, 바레인)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 : 0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이란
이라크
35' 사르다르 아즈문
파일:득점 아이콘.svg
-
C조 1위 확정
조정 승점 12
최종예선 자력 진출

결과
C조 2위 확정
조정 승점 11
최종예선 자력 진출



알무하라크 스타디움 (무하라크, 바레인)
파일:바레인 대표팀 로고.png
4 : 0
파일: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바레인
홍콩
49' 사예드 디야
54' (PK), 70' 하심 사에드 이사
90' (PK) 이스마일 압둘라티프 하산

파일:득점 아이콘.svg
-
C조 3위 확정
조정 승점 9
최종예선 진출 실패

결과
C조 4위 확정
조정 승점 1
최종예선 진출 실패



막툼 빈 라시드 알막툼 경기장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파일:Thailand FAT 2018.png

0 : 1

파일: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말레이시아
-
파일:득점 아이콘.svg
52' (PK) 사파위 라시드
G조 4위 확정
조정 승점 5
최종예선 진출 실패

결과
G조 3위 확정
조정 승점 6
최종예선 진출 실패



알자벨 경기장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 : 2

파일: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랍에미리트

32' 알리 살민
40' (PK) 알리 마브쿠트
50' 마흐무드 카미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84' 응우옌띠엔린
90+3' 쩐민브엉

G조 1위 확정
조정 승점 12
최종예선 자력 진출

결과
G조 2위 확정
조정 승점 11
최종예선 자력 진출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1px-Bangladesh_Football_Federation.svg.png
0 : 3
파일:ofa logo.png
방글라데시
오만
-
파일:득점 아이콘.svg
22' 모하메드 알 가프리
61', 81' 칼리드 알하즈리

E조 5위 확정
조정 승점 0
최종예선 진출 실패

결과
E조 2위 확정
조정 승점 12
최종예선 진출



킹 사우드 대학교 스타디움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 : 0

파일:UFA emblem.png


우즈베키스탄
25', 33' 살만 알 파라즈
52' 알리 알-하산

파일:득점 아이콘.svg
-
D조 1위 확정
조정 승점 16
최종예선 자력 진출

결과
D조 2위 확정
조정 승점 11
최종예선 진출 실패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파일:팔레스타인 대표팀 로고.png
3 : 0
파일:예멘 대표팀 로고.png
팔레스타인
예멘
43', 84' 오데이 다바
45+3' 야세르 하미드

파일:득점 아이콘.svg
-
D조 3위 확정
조정 승점 7
최종예선 진출 실패

결과
D조 5위 확정
조정 승점 0
최종예선 진출 실패



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아랍에미레이트)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 :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yria_FA.png
중국
시리아
42' 장시저
69' (PK) 우레이
90+3' 장위닝

파일:득점 아이콘.svg
50' 아이아스 아오스만
A조 2위 확정
조정 승점 13
최종예선 자력 진출

결과
A조 1위 확정
조정 승점 15
최종예선 자력 진출



자베르 알아흐마드 국제경기장 (쿠웨이트시, 쿠웨이트)
파일:Chinese_Taipei_FA.png
1 : 2
파일:Kuwait_FA.png
대만
쿠웨이트
51' 우청칭
파일:득점 아이콘.svg
14', 72' 유세프 나세르
B조 5위 확정
조정 승점 0
최종예선 진출 실패

결과
B조 2위 확정
조정 승점 8
최종예선 진출 실패



4.2. 조 2위간 경합 결과[편집]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조정 승점
제외 국가
비고
1
A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6
4
1
1
16
3
+13
13
파일:괌 기.svg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2
E조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6
4
0
2
9
5
+4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3
C조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6
3
2
1
6
3
+3
11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4
G조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6
3
2
1
6
4
+2
11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5
H조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6
3
1
2
11
8
+3
10
없음(북한의 기권)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6
F조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6
3
1
2
7
8
-1
10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7
D조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6
3
0
3
12
9
+3
9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8
B조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6
2
2
2
8
6
+2
8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월드컵 2차예선 탈락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녹색 최종예선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청록색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최종예선 진출 및 아시안컵 본선 진출: 중국, 오만, 이라크, 베트남, 레바논

월드컵 2차예선 탈락 및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쿠웨이트


5. 국가별 평가[편집]



  • F조 1위 일본 - 조정 승점 18, 득실차 +32, 월드컵 최종예선 자력 진출
    • 7전 전승을 이어서 8전 전승을 이뤄냈다. 참새 무리 속 독수리 한 마리가 다 쫓아내고 승점을 독차지했다.
  • B조 1위 호주 - 조정 승점 18, 득실차 +16, 월드컵 최종예선 자력 진출
    • 무난하게 이길 경기를 다 이기면서 일찍이 최종예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 H조 1위 대한민국 - 조정 승점 16, 득실차 +21, 월드컵 최종예선 자력 진출
    • 11분이라는 이른 시간에 레바논에게 선제골을 먹히는 모습을 보였었지만, 이후 51분의 자책골과 66분의 손흥민의 PK골로 역전승을 거둬 무난하게 최종예선 진출을 자력으로 확정지었다.
  • D조 1위 사우디아라비아 - 조정 승점 16, 득실차 +15, 월드컵 최종예선 자력 진출
    • 우즈베키스탄과의 10차전에서 패한다면 2위로 밀려날 수 있었지만 어차피 조정 승점이 높아서 최종예선 진출은 사실상 확정적이었다. 최종예선에서 3포트를 받는다.[7]
  • A조 1위 시리아 - 조정 승점 15, 득실차 +10, 월드컵 최종예선 자력 진출
    • 마지막 10차전에서 중국에게 패배했지만, 중국이 삐끗했을 때 열심히 승점을 벌어 놓은 것이 빛을 발했다.
  • C조 1위 이란 - 조정 승점 12, 득실차 +26, 월드컵 최종예선 자력 진출
    • 절벽에서 절실함이 빛을 봤다. 이라크와의 안 좋은 전적을 딛고 가장 중요한 10차전 승리를 따내면서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피파 랭킹도 높아 1포트를 받으면서 일본을 피하게 되었다. 때문에 대한민국이 2포트로 밀려났고, 대한민국과 이란과의 매치 성사가 가능하게 되었다. 대한민국은 차라리 라이벌 일본과 묶이는 걸 더 원하게 됐다.
  • G조 1위 아랍에미리트 - 조정 승점 12, 득실차 +6, 월드컵 최종예선 자력 진출
    • 조 1위였던 베트남을 꺾고 조 1위를 탈환하여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패배 시 탈락이 유력했으나 승리하면서 자력으로 최종예선 진출 티켓을 땄다.
  • A조 2위 중국 - 조정 승점 13, 득실차 +13, 월드컵 최종예선 자력 진출
    • 조정 승점이 높아 2위 경쟁에서 유리하긴 했어도 패배 시에는 불안한 상황이었으나, 10차전 시리아전에서 3:1로 승리하면서 조 2위 순위 1위로 최종예선 티켓을 자력으로 따냈다.
  • E조 2위 오만 - 조정 승점 12, 득실차 +4,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 조정승점 12점을 가지고 기다리던 입장이었으나 일단 레바논과 타지키스탄을 제치고 시작하게 된 최종전에서 방글라데시를 상대로 승리한 뒤 큰 이변 없이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 C조 2위 이라크 - 조정 승점 11, 득실차 +3, 월드컵 최종예선 자력 진출
    • 조 1위 상황에서 이란과 최종전을 가졌으나 패배하면서 조 2위로 내려 앉았다. 조정승점이 이미 11점인 상황이어서 최종예선행은 무난했던 상황에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 G조 2위 베트남 - 조정 승점 11, 득실차 +2, 월드컵 최종예선 자력 진출
    • 아시아 2차예선 가장 큰 이변 1 베트남은 9차전에서 조 1위를 차지하여 10차전 경기 결과에 무관하여 최종예선 진출을 자력으로 확정지었다. 비록 박항서 감독이 결장한 10차전에서 아랍에미리트에게 3:2로 패배하여 조 2위로 진출하게 되었지만, 베트남 축구 역사상 월드컵 최고 기록을 일궈냈고 베트남은 역사상 최초로 월드컵 최종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막판에 베트남이 연달아 두 골을 넣었던 것을 보면, 베트남이 만회골을 좀 더 일찍 넣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 H조 2위 레바논 - 조정 승점 10, 득실차 +3,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 10차전 대한민국전에서 2:1 역전패를 당하면서 최종예선 자력 진출은 물 건너갔고, 다른 조의 상황을 지켜봐야하는 상황이 되었다, 레바논이 최종예선에 진출하려면 오만을 제외한 6개의 조 2위 국가[8] 중 3개 이상의 국가가 10차전에서 패배해야 하는데, 키르기스스탄,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렇게 세 국가가 패배하여 레바논은 턱걸이로 최종예선행 막차에 탑승할 수 있었다. 또, 월드컵 개최국인 카타르가 E조 1위가 되어 조 2위 조정 성적 5위까지 최종예선 진출권을 부여한 것도 운이 좋았다.

  • F조 2위 타지키스탄 - 조정 승점 10, 득실차 -1,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실패
    • 미얀마를 가볍게 이기고 일본이 키르기스스탄을 이기면서 조 2위로 올라섰으나 어차피 미얀마는 조 5위로 조정 승점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골득실 -1을 유지하게 되면서 골득실 차이로 탈락, 조정 승점이 같은 레바논이 턱걸이로 최종예선에 진출하는 광경을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듯 바라볼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일본에게 두 차례나 당한 세 골차 패배가 뼈아프게 작용했다.
  • D조 2위 우즈베키스탄 - 조정 승점 9, 득실차 +3,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실패
    • 아시아 2차예선 가장 큰 이변 2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조가 되었지만 나머지 세 팀의 전력이 강하지 않아 조 2위로도 통과 가능성이 높았는데, 2019년 팔레스타인에게 당한 패배와 사우디아라비아와의 2패가 쌓여 조정 승점이 9점에 그쳤고, 결국 탈락하고 말았다. 결과론적인 이야기지만 팔레스타인 원정에서 덜미를 잡히지만 않았으면 조 2위를 하더라도 통과는 가능했기에 한마디로 팔레스타인 원정에서의 패배가 그야말로 뼈아팠다. 우즈베키스탄의 아시아 예선 참가 이후 첫 최종예선 탈락이라고 하니 얼마나 큰 이변인지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실상 이 패배는 우즈베키스탄 축구의 암흑기의 서막이 될 지도 모른다.[9]
  • B조 2위 쿠웨이트 - 조정 승점 8, 득실차 +2,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실패
    • 조 2위였던 요르단이 호주에게 패하며 조 5위 대만을 상대했던 쿠웨이트가 조 2위가 되었다. 다만, 조정승점은 8점이 확정이었기 때문에 이미 진출 가능성은 없었다.
  • B조 3위 요르단 - 조정 승점 8, 득실차 0,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실패
    • 호주와의 최종전을 승리했다면 레바논을 제치고 최종예선에 진출할 수 있었으나 후반전 실점과 뒤이은 퇴장으로 패배하여 결국 최종예선행이 좌절되었다.
  • F조 3위 키르기스스탄 - 조정 승점 4, 득실차 -7, 월드컵 최종예선 진출 실패
    • 일본전 승리와 미얀마가 타지키스탄을 잡아주는 기적 외에는 답이 없던 상황이었으나 무난히 대패하면서 최종예선 진출에 실패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7:24:57에 나무위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10차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2위] A B C D 2위 가능성 있음[4위] 4위 가능성 있음[1] 싱가포르가 조 5위가 된다면 11점[2] 팔레스타인이 조 5위가 된다면 가능하며 나머지 경우에서는 10점[3] B조 잔여경기를 유치한 쿠웨이트, E조 잔여경기를 유치한 카타르가 국토면적이 좁은 도시국가임을 감안하면 코로나19 판데믹 상황에서 예선전을 치루는 경기장을 1곳에 국한시키려는 선택으로 보인다.[4] 즉, 두 경기의 득점차 합이 2, 그러니까 두 경기 모두 1골차로 승부가 난다면 방글라데시의 최하위가 유지되어 오만이 진출한다.[5] 46분 코므론 투르순노프를 대신하여 교체투입.[6] 타지키스탄이 최종예선에 진출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단 하나, 우즈베키스탄이 패배하고 중국이 최소 13점 차로 패배하는 것이다. 최종예선 진출을 못한다고 보는 게 맞다.[7] 이란이 탈락했다면 2포트에 들 수도 있었지만 이란이 올라오면서 없던 일이 됐다.[8] 즉, 조정 승점이 10점 이하인 조 2위 국가.[9] 실제로 우즈베키스탄의 최근 성적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는데, 브라질 월드컵 예선엔 승점,득실차가 모두 같은 상태에서 다득점 차이로 플레이오프로 밀려났고, 플레이오프에서도 승부차기까지 간 반면, 러시아 월드컵 예선에선 승점 1점차로 4위가 되어서 탈락했고, 이번엔 최종예선 자체를 못 갔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