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식량 위기/수출 금지국

덤프버전 : r





[ 펼치기 · 접기 ]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수출 금지 국가
파일:러시아 국기.svg | 밀, 보리, 옥수수, 설탕, 해바라기씨, 원당 등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밀, 귀리, 수수, 육류 등 (금지 해제) | 2022년 7월 22일부터 수출을 다시 허용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밀, 옥수수 등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 쌀, 밀가루, 보리, 옥수수, 백설탕 등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 콩, 밀, 밀가루, 쌀, 감자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 보리, 옥수수 등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보리, 옥수수 등
수출 금지 국가
파일:헝가리 국기.svg | 모든 곡물 수출 금지
파일:코소보 국기.svg | 밀, 밀가루 등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밀, 옥수수 등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 밀, 옥수수 등
파일:몰도바 국기.svg | 밀, 옥수수, 설탕
파일:이집트 국기.svg | 식물성 기름, 옥수수 등
파일:모로코 국기.svg | 옥수수 등
파일:가나 국기.svg | 옥수수 등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 밀 등
파일:알제리 국기.svg | 밀, 옥수수 등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 옥수수, 수수
파일:튀니지 국기.svg | 채소, 과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밀, 옥수수, 해바라기씨, 쇠고기 등
파일:오만 국기.svg | 밀, 밀가루
파일:이란 국기.svg | 가지, 토마토, 양파, 감자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 곡물, 식물성 기름, 닭고기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 밀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 설탕
파일:인도 국기.svg | 밀, 싸라기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팜유, 피치팜유 (2022년 식용유 대란) | 2022년 5월 23일부터 수출을 다시 허용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 건조 콩
수출품 조항 일부 변경 국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대두유, 콩가루 수출세 2% 인상
파일:인도 국기.svg | 설탕 수출량 1,000t으로 제한, 현미와 정미 수출관세 20% 인상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 매달 360만 마리 닭 수출 통제



1. 개요
2. 수출 금지·규제 국가
2.1.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수출을 금지한 국가
2.2. 기타 이유로 수출을 금지한 국가
2.3. 수출품에 대해 변경한 국가



1. 개요[편집]


2022년 1분기~2분기에 식량에 관한 수출을 금지하거나 규제하여 식량 보호주의를 실현한 국가를 서술.


2. 수출 금지·규제 국가[편집]


굵음 표시는 수출 금지로 세계 물가 등의 크게 피해를 주는 국가이고, 취소선 처리는 수출을 다시 허용한 국가를 의미한다.


2.1.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수출을 금지한 국가[편집]


전쟁 당사국들 및 러시아의 지시와 압력에 의해 금수조치에 동조한 국가들, 반대로 러시아에게 금수조치를 내리거나 러시아의 지시에 제대로 협조하지 않고 수출을 금지하는 국가들을 나열한 문단. 기본적으로 곡물, 작물, 식용유의 재료 또는 완제품류[1]가 수출 금지 품목에 들어갔고, 여기에 더해 러시아와 몰도바는 설탕과 그 원재료 및 부산물의 수출도 금지하였다. 우크라이나는 자국 보호 차원에서 육류 또한 수출 금지 품목에 해당한다.

  • [[러시아|{{{#!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러시아"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하여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러시아에 경제적 제재를 가하자 그 대응으로 러시아에서 식료품 수출을 금지시켰다. 이가 확실시 되는 이유가 블라디미르 푸틴은 5월 28일 서방의 러시아 경제제재를 즉각 해제하면 곡식 수출을 다시 이어간다고 말하였다.


  •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우크라이나"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2022년 식량 위기/수출 금지국/우크라이나 참고.
유럽의 빵바구니라 불리는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침공 이후 자국 보호 차원으로 금지시켰고, 남아있는 오데사 등 주요 무역로가 러시아에 의해 막힘으로써 수출이 대부분 막혀버렸다. 우크라이나는 기름과 밀의 수출량이 많았기 때문에 이러한 수출 금지 및 불가는 전세계의 물가에 피해가 크다. 만약 전쟁의 장기화가 되면 이는 계속 진행될 것이다. 현재 2300만 톤의 식료품을 러시아 때문에 수출하지 못하고 있고, 7월과 8월은 우크라이나의 밀 수확기라 그때까지 지속된다면 우크라이나의 식량 수출에 계속 차질이 생길 위기이다. 그러나 7월 22일 흑해 항로 협상이 승인되면서 다시 수출을 허용하게 되었다.


  • [[키르기스스탄|{{{#!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키르기스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키르기스스탄"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러시아의 금수조치에 동조함.


  • [[카자흐스탄|{{{#!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카자흐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카자흐스탄"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러시아의 금수조치에 동조함.


  • [[타지키스탄|{{{#!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타지키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타지키스탄"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러시아의 금수조치에 동조함.


  • [[벨라루스|{{{#!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벨라루스}}}{{{#!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벨라루스"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러시아의 금수조치에 동조함.


  • [[아르메니아|{{{#!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아르메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아르메니아"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러시아의 금수조치에 동조함.


  • [[몰도바|{{{#!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몰도바}}}{{{#!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몰도바"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몰도바는 우크라이나와 실질적으로 가장 가까운 국가라고 볼 수 있는데, 이번 침공 사태로 인하여 자국의 식량 보호 및 대(對) 러시아 경제 제재의 일환으로 식량 수출을 금지하였다.


  • [[세르비아|{{{#!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세르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세르비아"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세르비아는 러시아의 금수조치에 동조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일단 대외 발표는 자국의 식량 보호주의에 따라 결정을 내렸다고 하였다.


2.2. 기타 이유로 수출을 금지한 국가[편집]


  •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식량 보호주의로 자국의 식량 안보를 위해 수출 금지.
    • 곡물류 전부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자국 내 식량 안정 확보를 위해 수출 금지를 검토하다가 수출을 금지하기로 결정하였다.
    • 곡물, 작물류: 옥수수 등
    • 육류: 소고기 등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이상 고온 등의 이유로 수출 금지.
    • 밀, 밀가루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국내 인플레이션의 피해로 인해 수출 금지.
    • 곡물, 작물류: 감자, 가지 등






  •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 곡물, 작물류: 옥수수 등







  •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 곡물, 작물류: 밀, 옥수수 등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이상 고온의 피해로 인해 수출 금지.
    • 식물성 기름
    • 곡물, 작물류: 옥수수 등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이상 고온의 피해로 인해 수출 금지.
    • 곡물류
    • 식물성 기름
    • 육류: 닭고기 등


  •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자국의 식량 부족으로 인해 수출 금지.
    • 일부 과일·채소류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식량 보호주의로 자국의 식량 안보를 위해 수출 금지.
    • 곡물, 작물류: 밀, 옥수수 등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식량 보호주의로 자국의 식량 안보를 위해 수출 금지.
    • 곡물, 작물류: 수수, 옥수수 등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이상 고온의 피해로 인해 팜유류 수출을 금지하였다. 이후 다시 거센 반발과 시위로 인해 동년 5월 23일 수출 허용. 7월 이후에는 수출 금지의 전면전 폐지 추진 예정.
    • 팜유, 피치팜[2]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22년 식량 위기/수출 금지국/인도 참고.
    • 곡물, 작물류: 밀, 쌀[3]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2022년 남아시아 폭염으로 인한 이상 고온의 피해로 인해 수출 금지. 사태 초기에는 관망하였으나 자국의 밀 생산량이 급속도로 감소하자 뒤늦게 수출 금지 대열에 동참하였다.
    • 곡물, 작물류: 밀


2.3. 수출품에 대해 변경한 국가[편집]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021년부터 지속된 남아메리카 가뭄으로 생산량이 줄어들자 대두유와 콩가루의 수출 비용을 2% 인상하기로 결정하였다.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6월 1일부터 닭고기 수출 규제.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의 닭고기를 잘 수입하는 지라 싱가포르에 부담이 갈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동남아시아의 닭고기 가격이 많이 오른다면 인근 아시아 국가들 또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경우 당장 한국도 닭고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 (치킨 등)의 가격이 오르고 하림과 같은 큰 규모의 육가공 기업들을 제외한 생산자-판매자-소비자 모두가 피해를 받을 것이다.
    • 매달 닭 360만 마리 수출 통제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9-24 03:14:49에 나무위키 2022년 식량 위기/수출 금지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역에 따라 밀, 쌀, 보리, 옥수수, 콩, 해바라기씨 등 중 일부 또는 전부[2] 학명 Bactris gasipaes. 스페인식 명칭 '촌타두로'(Chontaduro)로도 알려진 야자수이다.[3] 모든 쌀이 아닌 부스러진 쌀알(싸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