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북한 미사일 도발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북한 관련 뉴스
2023년

2024년

2025년
문서가 분리된 2024년에 발생한 북한 관련 사건

[ 펼치기 · 접기 ]
||
1.5. ~ 1.7.
2024년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1.14. ~
2024년 북한 미사일 도발
1.10. ~ 1.15.
지린성 북한 노동자 폭동 사건
1.16.[1]
단천시 여객열차 전복 사고
1.26.[2]
북한 내 반체제 정당조직 발각사건
[1] 사고 발생 일자는 2023년 12월 26일이나 보도를 통해 최초로 알려진 것은 2024년 1월 16일이다.[2] 사건 발생은 2022년이나 보도를 통해 최초로 알려진 것은 2024년 1월 26일이다.



1. 개요
2. 도발의 성격
3. 도발 횟수
4. 목록
4.1. 1월 14일
4.2. 1월 18일
4.3. 1월 24일
4.4. 1월 28일
4.5. 1월 30일
4.6. 2월 2일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24년 북한미사일 도발을 정리한 문서.

2. 도발의 성격[편집]


각 미사일 도발에 대한 도발 상대국 표시는 아래와 같은 기준에서 표현하였다.
  • 국제사회에 대한 도발: 탄도 궤적으로 발사되는 북한의 모든 발사체UN 안보리 결의 위반이다.
  • 미국에 대한 도발: 한미군사훈련 기간 중 발사되는 경우, 북태평양으로 발사되는 경우, 미국의 정치적 이벤트 직전에 발사되는 경우, 미국 언론과 당국자는 대체로 이를 미국에 대한 도발로 간주한다.
  • 일본에 대한 도발: 일본 상공을 통과해 발사되는 경우, 일본 EEZ 및 그 근해에 낙탄한 경우 대체로 이를 일본에 대한 도발로 간주한다.
  • 대한민국에 대한 도발: 북한의 미사일 개발 진전은, 사거리 및 형태에 상관 없이 현존하는 대남 위협이므로 응당 대남 도발로도 간주된다.[1]


2.1. 김정은의 남북통일 포기 및 주적 선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북관계/2020년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도발 횟수[편집]


유형
횟수
비고
대륙 간 탄도 미사일
0회
-
중거리 탄도 미사일
1회[2]
-
단거리 탄도 미사일
0회
-
순항 미사일
4회[3]
-
수중 드론
1회[4]
-


4. 목록[편집]



4.1. 1월 14일[편집]


1월 14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중거리 탄도 미사일
(극초음속 미사일 1발)
평양시 일대 ▶

동해

14시 55분 경, 평양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 #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평가된다. 익명의 군 관계자는 2023년 공개한 화성-12나일지 분석하고 있다고 한다. # SBS는 고체연료 기반 IRBM을 예상했다. #


파일:북한 2024.1.14. 미사일.jpg

2024년 1월 14일 발사 미사일
결국 북한이 극초음속 고체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도색만 놓고 보면 화성-11가의 연록색 도색을 차용했으며, 전체적인 형상은 화성-14에 뿔(cone)을 얹은 모양새이다. 분사 형태가 치마(사다리꼴) 형태로 명백한 고체연료 미사일이다.

안킷 판다는 발사 공표 직후 '북한판 퍼싱 II'라는 평가를 내렸다. #


4.2. 1월 18일[편집]


1월 18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수중 드론
(해일-5-23 1발)
미상 ▶

동해

북한은 1월 19일 국방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일명 수중 드론으로 불리는 수중핵무기체계 해일-5-23의 중요 시험을 동해 수역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 단, 이번에는 지난 해일-1, 해일-2의 공개 때와는 달리 사진이나 항로, 잠항 시간 등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대통령실은 북한의 18일 수중 드론 시험에 대해 "핵추진 체계일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과장되고 조작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라고 21일 밝혔다.#


4.3. 1월 24일[편집]


1월 24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순항 미사일
(불화살-3-31 수 발)
미상 ▶

황해



파일:불화살-3-31.jpg

불화살-3-31 1차 시험 발사
북한이 서해 일대에서 순항미사일을 다발 발사했다.#

이날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북한이 '전략순항미사일'이라고 주장하는 '화살-1, 2형' 혹은 그 개량형일 것으로 보인다. 우리 군은 이 미사일의 구체적인 제원을 밝힐 경우 북한이 기만 선동을 펼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파악한 미사일의 제원을 북한보다 먼저 밝히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리고 다음날인 1월 25일, 북한 미사일총국은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신형 전략순항미사일인 불화살-3-31형을 첫 시험 발사했다고 밝혔다. 단, 비행 시간과 거리 등 구체적인 제원은 공개하지 않았다.#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순항미사일 발사에 대해 성능 개량을 위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4.4. 1월 28일[편집]


1월 28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잠수함 발사 순항 미사일
(SLCM 2발)
함경남도 신포시 인근 해상 ▶

동해



불화살-3-31 2차 시험 발사
북한이 함경남도 신포시 일대 해상에서 잠수함 발사 순항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1월 28일 북한이 함경남도 신포시 인근 해상에서 순항미사일을 여러 발 발사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북한은 다음날인 29일 노동신문을 통해 김정은이 새로 개발된 잠수함발사전략순항미사일 불화살-3-31형 시험 발사를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북한이 시험 발사한 미사일은 2발로 보이며, 각각 7,421초, 7,445초간 동해 상공에서 비행해 섬 목표를 명중 타격했다. 다만, 북한은 미사일의 비행 거리는 공개하지 않았다. 김정은이 참관했으며, 해군은 김명식이 참관했으며 미싸일총국 병사들도 등장하였다.#

북한의 발표 이후,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의 발표가 과장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4.5. 1월 30일[편집]


1월 30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순항 미사일
(화살-2 수 발)
미상 ▶

황해



2024년 1월 30일 서해상으로의 시험발사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1월 30일 오전 7시쯤 서해상으로 순항 미사일을 여러 발 발사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다음날인 1월 31일,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1월 30일 서해상에서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 발사 훈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도색을 바꿔가며 혼동을 주고 있다. # #


4.6. 2월 2일[편집]


2월 2일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순항 미사일
(신형, 수량 미상)
미상 ▶

황해

지대공 미사일
(번개-7, 수량 미상)
미상 ▶

황해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2월 2일 오전 11시쯤 북한이 서해상으로 발사한 순항 미사일 수 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와 군 관계자들의 설명을 종합하면 이날 발사한 순항 미사일은 서해 내륙에서 발사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순항 미사일 발사 및 타격 장면

파일:2024년 추정 번개-7 시험발사.jpg

지대공 미사일 발사 장면
그리고 다음 날인 2월 3일,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서해상에서 순항 미사일 초대형 전투부 위력 시험과 신형 반항공(지대공) 미사일의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북한 미싸일총국이 대변인 발표를 통해 "해당 시험들은 신형무기체계들의 기능과 성능, 운용 등 여러 측면에서의 기술 고도화를 위한 총국과 관하 국방과학연구소들의 정상적인 활동의 일환"이라고 밝혔다고 통신은 전했다. 다만, 시험 발사 장소와 미사일의 비행 시간 등 자세한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공개된 사진으로 보아 지대공 미사일은 번개-7로 알려진 미사일인 것으로 보인다.



5. 둘러보기[편집]


북한이 생산한 미사일 및 어뢰 종류
[ 펼치기 · 접기 ]
단거리
KN-02/화성-11(160km, 220km) · KN-09/KN-16(180km, 200km) · 화성-11나(450km) · 조종방사포/KN-25(250km, 400km) · KN-24/화성-11나(450km) · 스커드/화성-5·6(340km, 700km) · KN-23(600km, 8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1,300km) · 극초음속 2형(2,000km)
중거리
화성-8(극초음속, 3,200km) ·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 · 대포동 2호/은하 로켓(2006) · 대포동 3호/은하 2호/광명성 2호(2009)
은하 3호/광명성 3호(2012년 4월, 12월) · 광명성 4호(2016)
SLBM
KN-23 개량 SLBM(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2,500km) · 북극성-4 · 북극성-5
지대공
KN-06 (S-300, HQ-9 기반), KN-07 (S-400, HQ-9 기반)
함대함
KN-01 (실크웜 기반) · 금성 3호 (KH-35 기반)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 (지대함 버젼)
어뢰
CHT-02D · PT-97W
미분류
불새-2/3 (9M111 Fagot 기반), 신형 대전차 미사일, KN-12/KN-13
파일:2019 국방백서 북한 미사일.png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09 22:48:51에 나무위키 2024년 북한 미사일 도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0년대 후반 정도에는 북한 김여정은 미국 겨냥 무기에 남조선이 뭐라 할 것 없다며 대미도발과 대남도발을 구분지으려 하기도 했으나, 2024년경에는 주적은 '대한민국'이고, 대한민국이란 식민지 속국이자 반신불수의 기형체라고 김정은이 주장했기에 김정은 정권 스스로도 대남 위협이 맞음을 인정한다. 특히 남한 지역에 핵무기를 쏘겠냐고 하여 정치적 논란이 컸지만, 이제는 진보 진영에서도 핵무기도 대남용으로 사용하리라는 선언은 했다고 판단하기도 한다. #[2] 1월 14일[3] 1월 24일, 1월 28일, 1월 30일, 2월 2일[4] 1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