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am신뢰에요~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전청조 혼인빙자 사기 사건

1. 개요
2. 분석
3. 유사 사례
4. 유행



1. 개요[편집]


파일:아이엠신뢰에요1.jpg
"I am신뢰에요~" 원본

해당 밈과 함께 쓰이곤 하는 짤방[1]

전청조: Why 안자요?

로알남: 저 술 마시고 있습니다. 청조님은요?

전청조: 음 Your Instagram 봤어요 ㅎㅎ 친구랑 마셔요? 둘이?

로알남: 네 맞아요!!! 둘이에요.

전청조: Ok.. 그럼 Next time에 놀러 갈게요. Wife한테 다녀와도 되냐고 물었더니 ok 했어서 물어 봤어요. But your friend랑 같이 있으면 I am신뢰에요~

로알남: 오늘 밤엔

(이하생략)

카카오톡 채팅 원문

전청조 혼인빙자 사기 사건 중 공개된 전청조의 말투에서 비롯된 으로, 유튜버 로알남이 JTBC에 공개한 카톡 내역에서 전청조가 카톡에서 한국어랑 영어를 섞어서 쓴 카톡 대화록에서 유래했다. 로알남이 카라큘라에게 밝힌 바에 따르면 전청조와 처음 만난 그날의 대화 내역이라고 한다.

자칭 미국 뉴욕 출신이라고 밝힌 전청조의 말투지만, 자세히 보면 교포출신이라 하기에는 어설픈 단어 선정에다 서술상으로도 문법적으로도 오류 투성이라서 사기 의혹에 더욱 불을 지피게 되었다. 한편으론 이러한 어설픈 말투로 인해 웃음거리가 되어 밈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매일경제#, 머니투데이#, 뉴스원# 등의 언론에는 "I am 신뢰에요"로 보도되었으나, 원본의 표기는 띄어쓰기 오류가 있는 "I am신뢰에요"다.


2. 분석[편집]


미주 한인어를 흉내 낸 것으로 보이나, 보통 언어를 배우면서 인칭 대명사를 가장 먼저 쉽게 배우기에 언어가 서툴더라도 보통은 '나는 trust다' 같은 문장이 되기 마련이다.[2][3] 반면 전청조의 경우 '놀러갈게요', '물어봤어요', '신뢰'와 같이 한국어가 서투른 사람 입장에서 난도가 높은 단어나 표현들을[4] 오히려 한국어로 구사하고 있고, 반대로 해외 교포의 입장에서도 그냥 한국어나 한국어 축약어로 치는 게 편한 표현(Your Instagram→인스타, Next time에→다음에, 담에)을 번거롭게[5] 영어로 치는 것이 특징이다. 언어교육에서는 이를 말하기 보상 전략 중 언어 전환(code-switching)이라 하여 발화 시 2개 언어를 섞어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전청조는 전형적인 영어에 미숙한 한국어 화자의 2개 언어 사용에서 나타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위의 표현을 정상적인 영어로 하면 "I trust (you)."가 되는데 이 대화에서는 불필요한 be동사를 넣어 "I am 신뢰"라고 하고 있다. 이는 영어의 be동사를 우리말의 주격조사 '이/가'에 그대로 대응시켜서 나오는 오류로 영어에 서툰 한국인들이 자주 하는 실수이지 영어에 익숙한 사람들이 쓰는 말투가 아니다.

특히 한국어가 서툰 미주 한인들이 흔히 실수하는 것들 중 하나가 영어의 동사를 그대로 가져와 한국어로 말하는 것[6]인데, '놀러갈게요'는 아주 한국적인 표현으로 영어에서는 'Visit'이라고 하지 'Go play'라고는 하지 않는다. 즉 외국인이 아닌, 오히려 외국인의 어설픈 한국어 말투를 어설프게 흉내내는 한국인이라는 것이 더 명확하게 드러나는 사례이다. 너무 흥분해서 영어가 나왔네요와 마찬가지로 보는 사람이 민망해서 헛웃음이 나올 정도로 매우 작위적인 것이 특징이며, 이것이 밈이 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신뢰요" 부분도 "신뢰요"로 쓰는 게 올바르지만, 한국인도 곧잘 틀리는 맞춤법이어서 그런지 잘 지적되지는 않고 있다. '-에요'는 서술격 조사 '-이다' 및 용언 '아니다'의 어간, 즉 '-이-'와 '아니-'에 붙는 어미이기 때문에 체언에 단독으로 붙을 수 없다. 따라서 '아니에요'를 제외하면 모두 '-이에요' 꼴로밖에 활용할 수 없고, 체언 마지막 음절에 받침이 있으면 '-이-'를 살려 쓰고 받침이 없으면 '-이에요'를 '-예요'로 줄여 쓸 수 있다. 심지어 be동사의 뜻 자체가 ‘~이다/~있다’이기 때문에 ‘나=신뢰’라는 뜻으로 사용하고 싶었다면 “에요” 없이 “I am 신뢰”라고 적었어야 한다. 보통 I believe라고 쓰지 I am believe라고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해당 대화에서 나온 '신뢰'라는 표현도 굉장히 뜬금없다. 특히 앞의 절인 “But your friend랑 같이 있으면” 때문에 더 그렇다. 이런 but 조건문을 쓰는 발화 내용을 만들어보면 “A(전제)이다. But B(조건)면, C(예외)이다.”는 텍스트가 나올텐데 원래는 A이지만 B라는 “조건” 때문에 C가 된다는 내용이다. 때문에 C에는 A를 부정하는 내용, A가 전제라면 이뤄질 수 없는 내용, A와는 다른 분류의 내용 등이 들어가야 한다. 앞선 문장이 “방문하려는 의사가 있다”(전제)이므로 당연히 뒷 내용은 “그러나 방문하지 않겠다”(예외)가 되어야 하는데 그럼 “I am신뢰에요”가 곧 “방문하지 않겠다”는 말이라는 상당히 괴악한 의미가 된다. 혹자의 의견처럼 “나는 (당신을) 신뢰해요”를 의도했다고 치더라도[7] 앞의 but 문장 때문에 말이 안 된다. 그러면 “로알남의 집에 친구가 없다면 나(전청조)는 당신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뜻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차라리 "당신의 집에 가려고 아내에게 물어서 허가를 받았지만, 당신이 당신의 친구와 함께 있는 상황이라면(But your friend랑 같이 있으면) 내가 방문하는 것이 실례가 될 것이다 = 그러니 가지 않겠다.(I am실례예요)."라는 문장이 문맥상 훨씬 자연스럽다. 즉, '에어컨 실외기'를 '시래기'라고 적는 사람들처럼 '실례'의 맞춤법을 '신뢰'라고 잘못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3. 유사 사례[편집]


일각에서는 명품 브랜드에서 사용하는 보그체를 떠올리기도 하는데, 보그체는 어려운 외국어를 그대로 한국어와 섞어 써서 품격있는 인상을 주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어려운 단어는 한국어로 쓰고 쉬운 단어를 영어로 쓰는 전청조의 말투와는 정반대다. 오히려 비슷한 예시로는 삼성전자 쪽에서 GOS 게이트 당시 사용했던 '고객의 NeedsHeavy 게임\'이라는 문구와 펀쿨섹을 꼽아볼 수 있는데, 어느 쪽이건 단순 밈으로 사용할 때에 희화화하는 거지 실제로는 멸시에 가까운 조롱을 듣고 있는 대상들이다.

그 외 유사한 밈으로는 다비리'And I also 시공좋아' 드립이 있다.

선술한 너무 흥분해서 영어가 나왔네요가 있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명대사인 아이엠 그루트(I am Groot)아이언맨I am Iron Man과 엮이기도 한다.


4. 유행[편집]


해당 표현이 본격적으로 보도되기 시작한 것은 27일인 금요일이었는데, 주말 동안 단시간 내에 온갖 커뮤니티에서 그야말로 컬트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주로 휴먼청조체[8]라 불리며 사용된다. #1, #2, #3, #4, #5, #6, #7 워낙 단순한 문장이다보니 그냥 “I am ~~에요”식으로 활용하기 좋아서이기도 한 것으로 보인다.

“I am ~에요” 식으로 핵심인 뒷부분만 활용되는게 보통이고, 해당 문장에 쓰인 표현은 아니지만 앞 문장의 “Next time”도 은근히 자주 사용된다. 간혹 앞의 조건문까지 붙여서 “But ~면, I am ~에요.”라고 적는 경우도 있으나 아무래도 길다보니 그리 자주 쓰이진 않는다. 원리원칙주의자들은 원본 을 따라서 "I am~에요" 같은 식으로 띄어쓰기를 틀리거나 혹은 맞춤법을 틀릴 것을 요구하기도 한다. 다만 문장이 워낙 짧고 간단한데다 “am”과 뒷 단어를 띄어쓰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다보니 이 쪽은 거의 의식하고 써야 틀리는 수준이고, 반대로 뒤의 "~예요"는 원래도 한국인들이 자주 틀리던 맞춤법이라 이쪽의 원작 재연(?)은 비교적 수월하게 되는 편이다.

자체가 워낙 단순한데다 건드리는 민감할 수 있는 주제(정치, 종교, 성별 갈등, 선정성 등)도 딱히 많이 없고[9] 밈의 활용에 대한 부담이 없어서인지 여기저기에서 이례적으로 단시간에 공중파나 뉴스, 기업 마케팅 등으로도 퍼져나가서 애용된다. # 사기 피해자가 나온 사건인데 너무 가볍게 다루는 것 아니냐는 의견[10]도 나오지만, 별로 개의치 않는 의견이 더 많다.

  • 2023년 4월에 나온 IVE의 정규 앨범인 I've IVE의 타이틀곡 《I AM》이 이 밈 여파로 차트 순위가 올랐으며 음원사이트 댓글창도 드립으로 가득하다.[11] 게다가 가사 중 '넌 그냥 믿으면 돼' 부분이 부각되어서 선견지명이냐는 얘기도 나오는 중. 심지어 남현희가 이 이전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해설을 할 당시 방송사인 MBC스폿 영상에 《I AM》을 쓴 게 확인되면서, MBC 역시 의도치 않은 예언을 한 셈이 되었다. 역시 무한도전 방송국
  • 뉴스 기사, 쇼핑몰 등의 사이트에서도 이 밈을 사용했다. #1, #2, #3, #4
  • 디시인사이드는 아예 사이트 타이틀에 이 밈을 박아버렸다. #
  • 공교롭게도 무한도전외박 특집 오마이텐트의 알래스카 특집에서 사기꾼 컨셉인 노홍철의 입에서 I'm 간절이라는 말이 나와 주목받게 되었다. 루리웹, 에펨코리아, 아카라이브. 결국 오분순삭 영상으로 나왔다.
  •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의 등장 아이돌인 로코가 평소 사용하는 말투가 해당 밈과 굉장히 유사한 탓에 아이마스 팬덤에서 소소하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와는 정 반대로 평소 대화에 영단어를 절대 쓰지 않는 아이돌인 에밀리 스튜어트 버전으로도 패러디되었다.
  • 해당 밈이 보도된 직후 유튜버 잇섭의 인트로에도 누구보다 빠르게 밈이 등장했다. 이 품질이면.. I am 신뢰에요~
  • 런닝맨 677회 자막에서 쓰였고, 런닝맨과 동시간에 방영된 1박 2일 시즌 4 198회에도 등장했다.[12]
  • 해외축구 기사에도 등장했다. I need 신뢰에요
  • NC 다이노스의 유튜브 채널, 일명 엔튜브에서도 이 밈을 인용했다. Ok.. 수원 갈게요 I am 준비에요
  • OTT 사이트인 wavve도 모바일 앱 알림을 통해 자사의 오리지널 시리즈인 거래를 홍보하며 "I am <거래> 정주행ing에요~" 라는 드립을 쓰기도 하였다. 우연찮게도 드라마 속 주역들도 다른 사람을 속이는 걸로 이익을 취하려는 사기꾼에 가까운 악한들이고, 까고 보니 말도 안되게 허술하고 바보같은 계획으로 가득차있다는 점이 유사해선지 매우 적절한 홍보처럼 받아들여진 것은 덤.
  • 정유라가 이전에 전청조를 저격한 적이 있는데 두 번째 저격에서 "I am 진지. 300조 있는데 결혼하실 분?"이라고 풍자했다.
  • 전청조가 정보를 캐낼 때 친분 있는 척 이름을 팔았던 유튜버 단하나도 팬들의 걱정어린 제보에 답하며 "...??? I am 당황해요~"라고 재치있는 답을 남겼다. #
  • Ray 수학에서 허수에 관한 수학사를 설명하면서 i am 허수에요라고 동영상 제목을 달았다.
  • 2023년 10월 28일 KBS N SPORTS 스페셜V 방송에서 여자부 경기 리뷰 시 자막으로 사용되었다. 해당 영상에서 13분38초부터
  • 최강야구 2023년 10월 30일 방송에서 8회말 김문호 타석 때 자막으로 사용되었다.
  • 이동국이 2023년 10월 28일 전북 현대포항 스틸러스의 스플릿 라운드 홈경기에 참석했는데, 전북 인스타그램에서 이동국의 별명인 Lion King이라면 i am 신뢰에요라 남겼다.
  • 짠한형 신동엽 유튜브 채널(장도연 출연 편)에 썸네일과 해시태그에도 쓰였다. #I am 방광에요(썸네일), #유튜브 링크
  • 빠니보틀전청조가 자신을 닮았다는 사람의 "I am 저 아닙니다"라고 밝혔다.
  • 충주시 유튜브에서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영상을 만들었는데 이 밈을 활용하였다. 전충주
  • 엄지윤은 본인의 SNS에 경호원 대동샷을 패러디하면서 i am 엄청조라는 글을 올렸다가 비판이 일자 글을 삭제했다. 기사

[1] 궁금한 이야기 Y 예고에서 최초로 공개한 영상으로, 전청조가 결혼식에서 춤을 추는 모습이다.[2] 한 마디로 추상적인 것이나 개념을 말할 때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예시: 좀 더 general한 개념이 필요해.[3] 실제로 이중 언어 환경의 자녀들은 명사와 동사만 바꿔서 드릴링하며 언어체를 혼체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유아기가 지나고 만 7세 이상이 되면 두 언어의 체계가 다름을 인지하고 청소년기가 되면 아예 언어를 분리시킨다. ##1, #2[4] 한국인들은 놀러갈게요, 물어봤어요가 어려운 단어나 표현이냐고 반문할 수 있다. 놀러가다, 물어보다 모두 두 개의 용언이 하나로 합쳐진 합성어이다. 이 중 앞의 놀러가다는 놀다(본)+가다(본), 물어보다는 묻다(본)+보다(보조)의 형태인데 이러한 규칙들은 일단 익숙해지기 전까진 닥치는대로 외울 수밖에 없기에 외국인들의 입장에서는 굉장히 까다롭다. 예를 들어 위에서도 쓰인 ‘보다’는 ‘일단 한 번 시도한다/해본다’의 뉘앙스를 가진 보조 용언인데, 앞의 ‘놀다’와 결합될 경우 ‘놀러보다’가 아니라 ‘놀아보다’가 된다.[5] 자판을 한→영, 영→한으로 바꾸는 수고가 들어간다.[6] 예) Let's play baseball.→베이스볼 놀자.[7] 사실 이렇게 전제해도 매우 이상하다. 앞서 로알남이 인스타에 친구와 함께 술을 먹는다는 내용을 올렸고 이걸 보고 보낸 DM인데, 이미 선약이 있는걸 알고 있는 상태이기에 “내가 아내한테 너네 집에 가도 된다고 허락받았는데 니 친구가 아직 있다고 해서 (못 가겠네). 너 믿는다?”는 뜻이 된다. 이는 “(내가 니네 집에 가고 싶은데) 왜 친구를 집에 안 돌려보내냐”, 혹은 “나를 만나기 싫어서 아직도 친구가 있다고 거짓말 치는 것 아니냐?”는 굉장히 무례한 질책이 된다.[8] 휴먼굴림체에서 유래된 밈으로 정작 휴먼컴퓨터에서는 휴먼굴림체를 만들지 않았다. 마침 명조체가 있어 자연스럽게 명나라-청나라로 이어지기도 한다. 또한 원래 청조체(清朝體)는 해서 붓글씨를 본딴 활자체라는 뜻으로 쓰이던 말이다.[9] 다만 세이콘 드립과 마찬가지로 미주 한인어 관련 재미교포 비하 문제로 비칠 수는 있다.[10] 대표적으로 위근우가 해당 이 사기 피해자에 대한 비하로 비칠 수 있으므로 쓰는 게 좋지 않다는 포스팅을 올려 기사화되기도 했다.[11] "아이브의 song이라면 I am 신뢰에요~", "I am 매일 이 노래 listen 해요~", "Life is 아름다운 galaxy예요 장르로는 fantasy예요" 등등.[12] 여기선 맞춤법에 맞게 '에요'가 아닌 '예요'라고 나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8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1;"
, 5.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8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1;"
, 5.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15:11:29에 나무위키 I am신뢰에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