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네트웍스

덤프버전 : (♥ 0)





SK네트웍스
SK Networks Co., Ltd.
파일:SK네트웍스 로고.svg
기업명정식: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영어: SK Networks Co., Ltd
설립일1953년 4월 8일
업종명상품 종합 도매업
기업 규모대기업
상장 유무상장 기업
상장 시장유가증권시장 (1977년~ )
종목 코드001740
매출액9조 1,339억 원(2023)
영업 이익2,373억 원(2023)
당기 순이익55억 원(2023)
편입 지수코스피지수
KOSPI200
대표이사이호정
본사 및 본점본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85 (관철동, 삼일빌딩)
본점: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52번길 4 (매산로2가)
웹사이트공식 홈페이지

1. 개요
2. 연혁
2.1. 선경직물/(주)선경
2.2. SK상사/SK글로벌
2.3. SK네트웍스
3. 지배구조
4. 역대 임원
5. 여담
6. 주요 브랜드 (자회사)



1. 개요[편집]


SK그룹 계열 종합 무역, 의류, 에너지 유통 업체로 SK의 뿌리 격인 회사다.


2. 연혁[편집]



2.1. 선경직물/(주)선경[편집]


파일:선경직물 공장전경.jpg

1953년 담연 최종건 창업주가 적산기업 선경직물[1]을 불하받아 세웠다. 사업 초기에 '닭표 안감'과 '봉황새 이불감' 등을 출시해 인기를 얻었고, 1956년 주식회사 형태를 갖춘 뒤 1962년 영국령 홍콩에 처음으로 옷감을 수출했다. 1970년 선경산업을 합병하고 학생복지 브랜드 '스마트'를 런칭했다. 1971년 미국 뉴욕에 첫 해외지사를 세웠고, 1976년 선일섬유를 합병한 후 (주)선경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종합무역상사로 지정되었다. 1977년 기업공개를 단행한 뒤 1980년 대한석유공사를 인수해 그룹 확장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1982년 선경복장으로부터 의류사업부문을 양수한 뒤 루안다에 종합섬유공장 기술플랜트를 수출했다.

1985년 수원 직물공장을 선경합섬으로 넘긴 뒤 1988년 반월공장과 부산 의류공장을 임직원에게 넘겨 (주)성보 및 유림으로 각각 나눴고, 1991년 국내 최초로 중국 베이징 사무소를 설립함과 동시에 "카스피" 라는 남녀캐주얼 브랜드를 론칭하여 내수 의류시장에 진출했다. 1996년 업계 최초로 한중합작 종합상사를 세웠다.


2.2. SK상사/SK글로벌[편집]


파일:선경 임시주주총회.jpg

파일:SK글로벌.jpg

1997년에 의류사업 브랜드명을 'SK패션'으로 명칭을 전환한 후 1998년 그룹명 변경에 따라 사명을 'SK상사'로 변경한 후, 1999년 SK유통을 합병하고 이듬해 'SK글로벌'로 바꾸고 SK에너지판매를 합병했다.


2.3. SK네트웍스[편집]


파일:SK네트웍스 맨홀.jpg

2001년 해외쇼핑사이트 '위즈위드'를 개설했다가 2002년 D2D 사업부문을 위즈위드코리아에 넘기고 세계물산을 인수하는 한편, 2003년에 의류사업부문을 세계물산에 넘기고 사명도 'SK네트웍스'로 변경했다. 2007년 애니유저넷, 2008년 오브제, 2009년 워커힐을 각각 합병하고 2014년 단말기소매사업을 피에스앤마케팅에 넘긴 뒤, 2015년 스티브요니를 합병한 후 2016년 동양매직을 인수했고, 2017년 학생복 등 패션사업을 타사에 양도했다. 2020년 직영주유소 부문을 현대오일뱅크에 매각했다.

2023년 3월 9일 미국 투자법인 하이코캐피탈을 통해 1억 달러 규모로 조성된 휴메인의 시리즈 C 라운드에서 2,200만 달러의 투자를 통해 2.6%의 지분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샘 올트먼마이크로소프트도 해당 라운드에 참여했다.

3. 지배구조[편집]


2023년 12월 31일 기준.



4. 역대 임원[편집]


  • 이사회 의장
    • 최재원 (2011~2013)


  • 대표이사 부회장
    • 이순석 (1993)
    • 김승정 (2000~2003)

  • 부회장
    • 이인상 (2001~2002)

  • 대표이사 사장
    • 최종건 (1953~1970)
    • 최종현 (1971~1973/1978)
    • 유희춘 (1973~1974)
    • 최무현 (1974~1978)
    • 유석현 (1979~1988)
    • 이순석 (1988~1992)
    • 김승정 (1992~2000)
    • 박주철 (2002~2003)
    • 정만원 (2003~2008)
    • 이창규 (2009~2012)
    • 문덕규 (2013~2014)
    • 문종훈 (2015~2016)
    • 박상규 (2017~2022)
    • 이호정 (2023~)

5. 여담[편집]


외국계 사모펀드인 소버린과 SK그룹 오너 집안의 경영권 분쟁이 일어난 도화선이기도 하다. 이곳에서 발생한 분식회계를 빌미로 소버린이 경영권 탈취를 시도했기 때문이며 이들의 분식회계는 카드대란을 발견한 계기이기도 하다. SK글로벌 채권이 얽힌 펀드들을 금융감독원에서 검사하던 중 대규모의 부실 카드채[2]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6. 주요 브랜드 (자회사)[편집]


  • SK네트웍스서비스
  • SK매직
  • SK렌터카
  • 스피드메이트: 자동차 정비 체인.
  • 타이어픽
  • 민팃: 중고 모바일기기 매입 업체.
  • SK일렉링크: 전기차 충전 서비스 (초급속/급속/완속 충전소)
  • 엔코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02:07:12에 나무위키 SK네트웍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 일본인 회사 선만주단과 교토방직(시부사와 계열)의 합작기업이었다.[2] 카드사의 고객 대출 채권을 증권화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