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지로 라이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문서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번 문단을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드림 호스 2000 선정 20세기 최고의 명마

[ 펼치기 · 접기 ]
※ 2000년 JRA가 일본의 경마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20세기 최고의 명마 100두'를 선정
1위
나리타 브라이언
2위
스페셜 위크
3위
오구리 캡
4위
사일런스 스즈카
5위
토카이 테이오
6위
심볼리 루돌프
7위
신잔
8위
하이세이코
9위
에어 그루브
10위
엘 콘도르 파사
11위
라이스 샤워
12위
메지로 맥퀸
13위
그래스 원더
14위
텐 포인트
15위
마야노 탑건
16위
타이키 셔틀
17위
미호노 부르봉
18위
미스터 시비
19위
메지로 도베르
20위
비와 하야히데
[ 21~100위 ]
21위
히시 아마존
22위
토쇼 보이
23위
사쿠라 로렐
24위
타마모 크로스
25위
호쿠토 베가
26위
그린 그래스
27위
티엠 오페라 오
28위
서니 브라이언
29위
타케 호프
30위
세이운 스카이
31위
댄스 인 더 다크
32위
마루젠스키
33위
스피드 심볼리
34위
스테이 골드
35위
노스 플라이트
36위
카부라야 오
37위
메지로 파머
38위
베가
39위
타케시바 오
40위
어드마이어 베가
41위
토메이
42위
메지로 브라이트
43위
나리타 탑 로드
44위
토키노 미노루
45위
위닝 티켓
46위
슈퍼 크릭
47위
버블껌 펠로우
48위
이나리 원
49위
후사이치 콩코르드
50위
실크 저스티스
51위
메지로 라이언
52위
후지 키세키
53위
메지로 라모누
54위
메이세이 오페라
55위
제뉴인
56위
타니노 무티에
57위
에리모 조지
58위
댄스 파트너
59위
패뷸러스 라 푸인
60위
쿄에이 마치
61위
트로트 썬더
62위
카츠라노 하이세이코
63위
히카루 이마이
64위
테스코 가비
65위
사쿠라 스타 오
66위
카츠라기 에이스
67위
야마닌 제퍼
68위
아이네스 후진
69위
키스톤
70위
사커 보이
71위
나이스 네이처
72위
에어 지하드
73위
다이타쿠 헬리오스
74위
사쿠라 바쿠신 오
75위
타이키 블리자드
76위
사쿠라 치토세 오
77위
마블러스 선데이
78위
키타노 카치도키
79위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80위
타니노 치카라
81위
야에노 무테키
82위
코다마
83위
아카네 텐류
84위
쿠리후지
85위
팔레놉시스
86위
다이유우사쿠
87위
미호 신잔
88위
오프사이드 트랩
89위
나리타 타이신
90위
레거시 월드
91위
트윈 터보
92위
카부토 시로
93위
우메노 파이버
94위
마사 럭키
95위
니혼 필로 위너
96위
플라워 파크
97위
세인트 라이트
98위
네하이 시저
99위
메이즈이
100위
니시노 플라워
설명 및 분류 · 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파일:1140px-メジロライアン.jpg
이름メジロライアン
Mejiro Ryan
출생1987년 4월 11일
죽음2016년 3월 17일 (29세)
성별수컷
아비앰버 샤다이(アンバーシヤダイ)
어미메지로 체이서(メジロチエイサー)
외조부메지로 삼만(メジロサンマン)
생산자메지로 목장
마주
조교사오쿠히라 신지 (미호)
성적19전 7승 (7-4-3-5)
총상금4억 9204만 400엔
주요
우승
G1타카라즈카 기념(1991)
G2야요이상(1990)
교토신문배(1990)
닛케이상(1992)
주요 자마메지로 브라이트(1994)
메지로 도베르(1994)
레이팅프리 핸디61 (1990) / 61(1991)/ 59(1992)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생애
4. 종마 생활
4.1. 주요 산구
5. 여담
6.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파일:메지로라이언.jpg
진정한 강함은, 아무도 모른다.
本当の強さは、誰も知らない。
히어로 열전 No.33
일본의 경주마.

G1 우승마가 셋이나 배출된 메지로 목장의 1987년생(메지로 맥퀸, 메지로 라이언, 메지로 파머) 중 하나. 이름의 어원은 동기들처럼 미국의 유명인사 이름을 따온 놀란 라이언[1].


2. 혈통[편집]


1대2대3대
앰버 샤다이
アンバーシヤダイ
1977
노던 테이스트
Northern Taste
1971
파일:캐나다 국기.svg
노던 댄서
Northern Dancer
레이디 빅토리아
Lady Victoria
클리어 앰버
Clear Amber
1967
파일:미국 국기.svg
앰비오포이즈
Ambiopoise
원 클리어 콜
One Clear Call
메지로 체이서
メジロチエイサー
1977
메지로 삼만
メジロサンマン
1963
샬러츠빌
Charlottesville
패러디시어
Paradisea
셰릴
Cheryl
1971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놉
Snob
샤넬
Chanel
* 하이페리온 5×5×5 9.375%
* 레이디 안젤라 S5×S4 9.375%
* 네아르코 5×5 6.25%
* 불 리어 S5×S5 6.25%
주요 반형제[2]메지로 풀마(父 롬바도) (1984), 메지로 아니타(父 메지로 에스파다) (1986)

반형제 누나로 1988 닛케이상, 메구로 기념 우승마 메지로 풀마(メジロフルマー,1984 - 통산 22전 6승)와 1990 교토 대장해(봄) 우승마 메지로 아니타(メジロアニタ,1986 - 통산 27전 4승)가 있다.

외조모 셰릴의 자마로 맥퀸의 부마인 메지로 티탄이 있다.[3] 또한 BMS인 메지로 삼만은 메지로 파머의 조부마다.

3. 생애[편집]




만성형-장거리 말을 주로 배출하는 메지로 목장에서 모처럼 클래식, 특히 더비를 노릴 만한 재목으로 손꼽히고 실제로도 최고 우승후보로 꼽혔으나 아이네스 후진의 도주를 캐치하지 못하고 2착 패배,[5] 거리가 늘어서 더 유리할 거라고 생각되던 킷카상에선 뒤늦게 나타난 동문 메지로 맥퀸에게 스포트 라이트를 뺏겼다.[6][7] 클래식 3관에서의 성적은 3착, 2착, 3착. 연말 아리마 기념에선 G1 우승을 안겨주기 위해 일부러 맥퀸을 빼고 목장 대표로 나섰지만, 하필 이미 끝났다고 생각했던 오구리 캡이 기적처럼 부활하며 승리, 감동의 은퇴전을 장식하는 사이 또다시 2착을 기록했다. 당시 후지 TV 실황 중계석에 해설로 있던 '경마의 신' 오오카와 케이지로가 직선 실황에 끼어들어 "라이언, 라이언!"을 외쳤던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


1991년에 들어서도 연달아 물을 먹으며 기수 교체의 이야기까지 나오던 도중 6월,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평소 쓰지 않던 선행책을 들고 나오는 승부수를 펼친 끝에 메지로 맥퀸에게 세번째만에 복수에 성공하면서 염원의 G1 제패에 성공했다. 이후 굴건염이 발생, 장기 휴양후 부진하던 중 1992년 3월 닛케이상에서 우승하며 부활의 기미를 보였으나 굴건염이 재발하며 은퇴했다.

웅대한 마체와 훌륭한 자질을 갖고 있으면서도 승부처에서 항상 아쉬움을 남기며 석패하는 덕에 언더독 효과를 제대로 받아 당대 최강이었던 동기 메지로 맥퀸보다 인기는 높은 편이었다. 은퇴 후에는 현역 시절에 희노애락을 함께 한 주전 기수 요코야마 노리히로와 많은 팬들이 자주 방문하여 외롭지 않고 평온한 여생을 보냈고, 죽은 뒤에는 요코야마 기수가 사비를 들여 묘비를 세워 주었다. 장례식 영상 87년생 메지로 G1우승 세마리 중 최장수 한 말이다.[8]


4. 종마 생활[편집]


은퇴 후 씨수말로 데뷔, 국산 씨수말이 흥하지 못한다는 편견을 깨고 메지로 브라이트메지로 도베르라는 G1 우승마를 배출하며 선전했다. 7~80년대에 일본 서러브레드 산업계를 휩쓸던 노던 테이스트 계통의 최후의 씨수말이기도 했다.[9]


4.1. 주요 산구[편집]


  • 굵게 표시된 것은 GI 경주.
  • 994년산 * 메지로 브라이트 - 천황상(봄)(1998), 스테이어스 스테이크스(1997),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1998), 한신대상전(1998), 닛케이 신춘배(1999), 라디오탄파배 3세 스테이크스(1996), 교도통신배 4세 스테이크스(1997) * 메지로 도베르 - 오크스(1997), 슈카상(1997), 엘리자베스 여왕배(1998, 1999), 한신 3세 암말 스테이크스(1996), 올 커머(1997), 후추 암말 스테이크스(1998) * 에어 거츠 - 라디오탄파상(1997) 1996년산 * 메지로 론잔 - 도쿄 하이 점프(2004), 도쿄 오텀 점프(2004) 1997년산 * 토호 드림 - 오사카배(2001) * 윈 블레이즈 - 카부토야마 기념(2002), 후쿠시마 기념(2002), 나루오 기념(2003) 2000년산 * 타마모 리치 - 서러브레드 챌린지 컵(2003) 2001년산 * 메지로 베이싱어 - 니가타 점프 스테이크스(2005) 2002년산 * 스킵 잭 - 케이오배 2세 스테이크스(2004) 2005년산 * 레츠 고 키리시마 - 세키야 기념(2010) == 여담 == 갈기를 매우 짧게 자른 '라이언 컷'으로도 유명했다. 갈기 뿌리 부근에 피부병이 발생해 울타리에 목을 비벼대는 통에 갈기가 자꾸 빠지자, 담당 구무원이 갈기를 짧게 잘라 정리해준 이후 그 상태를 계속 유지했다고 한다. 라이언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에도 이 특징이 반영되어, 삐죽삐죽한 짧은 머리로 묘사되었다. 성격은 어렸을 때부터 매우 얌전했다고 하며, 요코야마 노리히로 주전 기수와는 서로 애지중지하는 관계었고 은퇴한 뒤에도 관광객들이 쓰다듬는걸 목장에서 자주 허락해줄 정도로 성격이 좋았다고 한다. 다만 현역 당시엔 정 반대로 기성이 거친 말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는데, 이땐 아직 경험이 미숙하다보니 성급한 면모가 강해 어느정도 실력있는 기수가 아니면 기승하기 까다로운 편이었기 때문이다. 어렸을 때부터 장난꾸러기 기질이 강했지만 경기만 나가면 얌전했던 동기 메지로 맥퀸과는 정 반대의 케이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68300><rowbgcolor=#268300><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fff><width=3%>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width=3%>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width=3%> 배당 ||<width=3%>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
    (2착마) || ||<-10><rowbgcolor=#268300><rowcolor=#ffffff> 1989년 (3세, 현 2세) || || 7.9 || 하코다테 || 3세 신마 || || 잔디 1200m || 2.8 ||<bgcolor=silver> 2 ||<bgcolor=silver> 2착 ||<|2> 카시와자키 마사츠구 || 산 엠 그랜디 || || 7.22 || 하코다테 || 3세 신마 || || 잔디 1200m || 1.4 ||<bgcolor=gold> 1 || 6착 || 마키하타 빅 || || 10.29 || 교토 || 3세 미승리 || || 잔디 1400m || 8.3 || 4 ||<bgcolor=#c88d0d> 3착 ||<|2> 요코야마 노리히로 || 노스 힐 오 || || 11.18 || 도쿄 || 3세 미승리 || || 잔디 1600m || 2.6 ||<bgcolor=silver> 2 ||<bgcolor=gold> 1착 || (다이와 휴스턴) || || 12.3 || 나카야마 || 하보탄(葉牡丹)상 || 400만 || 잔디 2000m || 4.8 ||<bgcolor=gold> 1 || 5착 || 야스다 토미오 || 프리미에르 || || 12.23 || 나카야마 || 히이라기(ひいらぎ)상 || 400만 || 잔디 1600m || 12.7 || 7 ||<bgcolor=gold> 1착 || 요코야마 노리히로 || (토모에 조이너) || ||<-10><rowbgcolor=#268300><rowcolor=#ffffff> 1990년 (4세, 현 3세) || || 1.20 || 나카야마 || 주니어 컵 || OP || 잔디 2000m || 5.7 ||<bgcolor=silver> 2 ||<bgcolor=gold> 1착 ||<|7> 요코야마 노리히로 || (프리미에르) || || 3.4 || 나카야마 || 야요이상 || GII || 잔디 2000m || 5.7 ||<bgcolor=silver> 2 ||<bgcolor=gold> 1착 || (츠루마루 미마타 오) || || 4.15 || 나카야마 || 사츠키상 || GI || 잔디 2000m || 5.0 ||<bgcolor=silver> 2 ||<bgcolor=#c88d0d> 3착 || 하쿠 타이세이 || || 5.27 || 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3.5 ||<colbgcolor=gold> 1 ||<bgcolor=silver> 2착 || 아이네스 후진 || || 10.14 || 교토 || 교토신문배 || GII || 잔디 2200m || 2.7 || 1 ||<bgcolor=gold> 1착 || (글로벌 에이스) || || 11.4 || 교토 || 킷카상 || GI || 잔디 3000m || 2.2 || 1 ||<bgcolor=#c88d0d> 3착 || 메지로 맥퀸 || || 12.23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4.7 ||<bgcolor=#c88d0d> 3 ||<bgcolor=silver> 2착 || 오구리 캡 || ||<-10><rowbgcolor=#268300><rowcolor=#ffffff> 1991년 (5세, 현 4세) || || 3.10 || 나카야마 || 나카야마 기념 || GII || 잔디 1800m || 1.4 || 1 ||<bgcolor=silver> 2착 ||<|4> 요코야마 노리히로 ||<white> 유키노 선라이즈 || || 4.28 || 교토 || 천황상(봄) || GI || 잔디 3200m || 4.3 ||<bgcolor=silver> 2 || 4착 || 메지로 맥퀸 || || 6.9 || 교토[10]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4.1 ||<bgcolor=silver> 2 ||<bgcolor=gold> 1착 || (메지로 맥퀸) || || 12.22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9.7 ||<bgcolor=white> 5 || 12착 || 다이유우사쿠 || ||<-10><rowbgcolor=#268300><rowcolor=#ffffff> 1992년 (6세, 현 5세) || || 1.26 || 나카야마 ||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 || GII || 잔디 2200m || 2.7 || 1 || 6착 || 마토바 히토시 || 토쇼 팔코 || || 3.22 || 나카야마 || 닛케이상 || GII || 잔디 2500m || 2.7 || 1 ||<bgcolor=gold> 1착 || 요코야마 노리히로 || (카리브 송)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타카라즈카 기념|{{{#fff 타카라즈카 기념

    (G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3세 이상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1960
    호마레 히로
    1961
    시저 >

    1962
    코다마

    1963
    류 포렐

    1964
    히카루 폴라

    1965
    신잔

    1966
    에이트 크라운

    1967
    타이요
    4세 이상
    1968
    히카루 타카이
    1969
    다테 호라이
    1970
    스피드 심볼리
    1971
    메지로 무사시 >

    1972
    쇼후 미도리

    1973
    하마노 퍼레이드

    1974
    하이세이코

    1975
    나오키

    1976
    후지노 파시아

    1977
    토쇼 보이

    1978
    에리모 조지

    1979
    사쿠라 쇼리
    1980
    테루 텐류
    1981
    카츠 알 >

    1982
    몬테 프린스

    1983
    하기노 카무이 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1984
    카츠라기 에이스
    1985
    스즈카 코반 >

    1986
    페르시안 보이
    3세 이상
    1987
    스즈 퍼레이드
    1988
    타마모 크로스 >

    1989
    이나리 원
    1990
    오사이치 조지
    1991 메지로 라이언

    1992
    메지로 파머

    1993
    메지로 맥퀸

    1994
    비와 하야히데

    1995
    단츠 시애틀

    1996
    마야노 탑건

    1997
    마블러스 선데이

    1998
    사일런스 스즈카

    1999
    그래스 원더
    2000
    티엠 오페라 오
    국제 GI 승격 후
    2001
    메이쇼 도토
    2002
    단츠 플레임 >

    2003
    히시 미라클

    2004
    탭 댄스 시티

    2005
    스윕 토쇼

    2006
    딥 임팩트

    2007
    어드마이어 문

    2008
    에이신 데퓨티

    2009
    드림 저니
    2010
    나카야마 페스타
    2011
    어니스틀리 >

    2012
    오르페브르

    2013 · 2014
    골드 쉽

    2015
    러블리 데이

    2016
    마리알라이트

    2017
    사토노 크라운

    2018
    미키 로켓

    2019
    리스 그라슈
    2020 · 2021
    크로노 제네시스
    2022
    타이틀홀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
    2023 이퀴녹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야요이상|{{{#fff 야요이상

    딥 임팩트 기념

    (G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64
    토키노 퍼레이드
    1965
    키스톤 >

    1966
    타마 슈호

    1967
    아사 덴코

    1968
    아사카 오

    1969
    와일드 모어
    1970
    타니노 무티에
    1971
    메지로 겟코 >

    1972
    롱 에이스

    1973
    하이세이코

    1974
    커널 심볼리

    1975
    카부라야 오

    1976
    클라임 카이저

    1977
    럭키 룰러

    1978
    판타스트

    1979
    리키아이 오
    1980
    토쇼 갓
    1981
    토도로키 히호 >

    1982
    사루노 킹

    1983
    미스터 시비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로 지정
    1984
    심볼리 루돌프
    1985
    스다 호크 >

    1986
    다이신 후부키
    중앙 GII 승격 후
    1987
    사쿠라 스타 오
    1988
    사쿠라 치요노 오 >

    1989
    레인보우 앰버
    1990
    메지로 라이언
    1991 이부키 마이카구라

    1992
    아사카 리젠트

    1993
    위닝 티켓

    1994
    사쿠라 에이코 오

    1995
    후지 키세키

    1996
    댄스 인 더 다크

    1997
    러닝 게일

    1998
    스페셜 위크

    1999
    나리타 탑 로드
    2000
    후사이치 제논
    2001
    아그네스 타키온 >

    2002
    밸런스 오브 게임

    2003
    에이신 챔프

    2004
    파일:홋카이도 문장.svg 코스모 벌크

    2005
    딥 임팩트

    2006
    어드마이어 문

    2007
    어드마이어 오라

    2008
    마이네르 찰스

    2009
    로지 유니버스
    국제 G2 지정 후
    2010
    빅투아르 피사
    2011
    사다무 파텍 >

    2012
    코스모 오조라

    2013
    카미노 타사하라

    2014
    투 더 월드

    2015
    사토노 크라운

    2016
    마카히키

    2017
    카데나

    2018
    다논 프리미엄

    2019
    메이쇼 텐겐
    2020
    사토노 플래그
    2021
    타이틀홀더 >

    2022
    애스크 빅터 모어

    2023
    타스티에라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교토신문배|{{{#fff 교토신문배

    (G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3
    다이산 호슈
    1954
    미네마사 >

    1955 · 1956
    야사카

    1957
    요도 사쿠라

    1958
    호슈 사쿠라

    1959
    윌 딜
    1960
    헬리오스
    1961
    미스 케이코 >

    1962
    코레히사

    1963
    코라이 오

    1964
    밸리모스 니세이

    1965
    키스톤

    1966
    하드 잇

    1967
    사토 히카루

    1968
    타니노 해로모어

    1969
    킹 스피드
    1970
    타마 호프
    1971
    니혼 필로 무티에 >

    1972
    타이 템

    1973
    토요 치카라

    1974
    키타노 카치도키

    1975
    코쿠사이 프린스

    1976
    토쇼 보이

    1977
    프레스 토코

    1978
    메지로 이글

    1979
    파인 드래곤
    1980
    오버 레인보우
    1981
    산에이 솔론 >

    1982
    하기노 카무이 오

    1983
    카츠라기 에이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니시노 라이덴
    1985
    미호 신잔 >

    1986
    타케노 코마요시

    1987
    레오 텐잔

    1988
    야에노 무테키

    1989
    뱀부 비긴
    1990
    메지로 라이언
    1991
    나이스 네이처 >

    1992
    미호노 부르봉

    1993
    위닝 티켓

    1994
    스타 맨

    1995
    나리타 킹 오

    1996
    댄스 인 더 다크

    1997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1998
    스페셜 위크

    1999
    어드마이어 베가
    2000
    아그네스 플라이트
    2001
    텐잔 세이자 >

    2002
    패스트 타테야마

    2003
    마블 치프

    2004
    하츠 크라이

    2005
    인티 라이미

    2006
    토호 앨런

    2007
    타스카타 소르테

    2008
    메이쇼 퀄리아
    국제 G2 지정 후
    2009
    베스트 멤버
    2010
    게슈탈트
    2011
    크레스코 그랜드 >

    2012
    토센 호마레보시

    2013
    키즈나

    2014
    하기노 하이브리드

    2015
    사토노 라젠

    2016
    스마트 오딘

    2017
    플래티넘 불릿

    2018
    스테이 풀리쉬

    2019
    레드 지니얼
    2020
    딥 본드
    2021
    레드 제네시스 >

    2022
    애스크 와일드 모어

    2023
    사토노 글란츠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닛케이상|{{{#fff 닛케이상

    (G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3
    타카하타
    1954
    후소 >

    1955
    쿠리 치카라

    1956
    후쿠류

    1957
    하쿠치카라

    1958
    온워드 데어

    1959
    히시 마사루
    1960
    오테몬
    1961
    호마레보시 >

    1962
    온슬로트

    1963
    야마노 오

    1964
    야마토 쿄다이

    1965
    후지 이사미

    1966
    스피드 킹

    1967
    스피드 심볼리

    1968
    히시 야쿠신

    1969
    라이트 월드
    1970
    아카네 텐류
    1971
    마키노 호프 >

    1972
    카츠 타이코

    1973
    토요 아사히

    1974
    타케쿠마 히카루

    1975 · 1976
    화이트 폰테인

    1977
    그린 그래스

    1978
    카네 미노부

    1979
    단켄지
    1980
    호요 보이
    1981
    웨스턴 제트 >

    1982
    메지로 티탄

    1983
    아사히 테이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하야테 미그
    1985
    심볼리 루돌프 >

    1986
    체스넛 밸리

    1987
    미호 신잔

    1988
    메지로 풀마

    1989
    런닝 프리
    1990
    오스미 샤다이
    1991
    키리 상시 >

    1992
    메지로 라이언

    1993
    라이스 샤워

    1994
    스테이지 챔프

    1995
    인터 라이너

    1996
    홋카이 루소

    1997
    로젠 카발리에

    1998
    텐진 쇼군

    1999
    세이운 스카이
    2000
    레오 류호
    2001
    메이쇼 도토 >

    2002
    액티브 바이오

    2003
    인그란디어

    2004
    윈 제네랄레

    2005
    유키노 선 로얄

    2006
    링컨
    국제 GII 지정 후
    2007
    네버 부숑
    2008
    마츠리다 고흐 >

    2009
    알나스라인
    2010
    마이네르 키츠
    2011 투 더 글로리

    2012
    네코 펀치

    2013
    페노메노

    2014
    윈 바리아시옹

    2015
    어드마이어 데우스

    2016
    골드 액터

    2017
    샤케트라

    2018
    간코

    2019
    메이쇼 텟콘
    2020
    미키 스왈로
    2021
    윈 마릴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
    2022 · 2023 타이틀홀더

    [1] 오너 브리더(마주를 겸하는 서러브레드 생산목장)인 메지로 목장은 가끔 가다 이름 짓기가 귀찮았는지 한 세대의 경주마 이름을 지을 때 특정 주제로 통일하는 경우도 있었다. 도베르만에서 이름을 딴 라이언의 자마인 메지로 도베르도 같은 이유.[2] 중상마만 서술.[3] 메지로 라이언과 메지로 맥퀸은 인간의 가족관계라면 사촌간이지만 경주마의 혈연관계에서는 수말이 1년에 세자리 숫자가 되는 자마를 생산할 수도 있기에 경주마 A와 경주마 B의 관계는 2마리 공통의 암말 조상으로 거슬러 올라가 거기에서 다른 쪽으로 내려갈 수 없다면 A와 B가 혈연 관계, 근친 관계에 있다고 하지 않는다. 따라서 경주마 세계에선 메지로 티탄과 메지로 라이언은 삼촌-조카 관계지만 맥퀸과 라이언은 남남이다.[4] 실제로 이후 2000년까지 25초대 기록은 간간히 나오는 수준이었는데 90년 더비는 아이네스 후진, 메지로 라이언, 화이트 스톤등의 선두 3위까지를 포함해서 총 7두의 말이 25초대를 기록했다.[5] 이 때 메지로 라이언의 주파 타임은 2분 25초 5였는데, 1993년에 위닝 티켓이 더비 우승시에 세운 타임과 동일하다. 더 따져보면 88년 사쿠라 치요노 오가 26초 3으로 레코드 기록을 세운 후 89년 위너즈 서클이 28초 8, 92년 미호노 부르봉이 27초 8, 94년 나리타 브라이언이 25초 7, 95년 타야스 츠요시가 27.3, 96년 후사이치 콩코드가 26초 1, 97년 서니 브라이언이 25초 9, 98년 스페셜 위크가 25초 8, 2000년 아그네스 플라이트가 26초 2로 거의 대부분의 더비마보다 빨랐다. 99년의 어드마이어 베가나리타 탑 로드 정도가 메지로 라이언보다 빨랐는데, 도주마의 페이스 메이킹에 따라 주파 타임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4]을 생각한다 해도, 중하단에서 대기하다 라스트 스퍼트로 폭발적 스피드를 내며 기록한 타임이란 점을 생각하면 다른 해였다면 충분히 더비를 노릴 수 있었기에 "더비를 노릴 만한 재목"이라는 평가가 전혀 틀린 것은 아니었다. 단지 딱 한번만 뛸 수 있는 더비에 하필 아이네스 후진이라는 괴물이 함께했다는 것이 불운일 뿐.[6] 라이언이 1번 인기. 맥퀸은 4번 인기였다.[7] 하필 이때 실황에서 '맥퀸이다 맥퀸이다 메지로지만(라이언이 아니라) 맥퀸쪽이다'란 그당시의 상황을 완벽하게 함축한 희대의 명 멘트가 나와버리는 바람에 이걸로도 종종 회자되고는 한다.[8] 2위는 메지로 파머, 3위는 맥퀸[9] 후계 씨수말이던 메지로 브라이트는 라이언이 종마 은퇴하기도 전인 2004년에 심부전으로 죽었다. 노던 테이스트 계는 8~90년대까지 로베르토 계, 헤로드계, 니진스키계 중 가장 앞서가던 샤다이의 주력 혈통 계열이었지만 SS계의 대두로 싸그리 몰락해 부계 직계가 남지 못하고 BMS로 흡수되었다.[10] 한신 경마장의 공사로 인해 이 해에는 교토에서 열렸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문서의 r7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포크됨2, title=메지로 라이언, d=2023-11-27 21:38:07
1994년산
1996년산
  • 메지로 론잔 - 도쿄 하이 점프(2004), 도쿄 오텀 점프(2004)
1997년산
2000년산
  • 타마모 리치 - 서러브레드 챌린지 컵(2003)
2001년산
  • 메지로 베이싱어 - 니가타 점프 스테이크스(2005)
2002년산
2005년산


5. 여담[편집]


갈기를 매우 짧게 자른 '라이언 컷'으로도 유명했다. 갈기 뿌리 부근에 피부병이 발생해 울타리에 목을 비벼대는 통에 갈기가 자꾸 빠지자, 담당 구무원이 갈기를 짧게 잘라 정리해준 이후 그 상태를 계속 유지했다고 한다. 라이언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에도 이 특징이 반영되어, 삐죽삐죽한 짧은 머리로 묘사되었다.

성격은 어렸을 때부터 매우 얌전했다고 하며, 요코야마 노리히로 주전 기수와는 서로 애지중지하는 관계었고 은퇴한 뒤에도 관광객들이 쓰다듬는걸 목장에서 자주 허락해줄 정도로 성격이 좋았다고 한다. 다만 현역 당시엔 정 반대로 기성이 거친 말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는데, 이땐 아직 경험이 미숙하다보니 성급한 면모가 강해 어느정도 실력있는 기수가 아니면 기승하기 까다로운 편이었기 때문이다. 어렸을 때부터 장난꾸러기 기질이 강했지만 경기만 나가면 얌전했던 동기 메지로 맥퀸과는 정 반대의 케이스.


6.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배당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1989년 (3세, 현 2세)
7.9하코다테3세 신마잔디 1200m2.822착카시와자키 마사츠구산 엠 그랜디
7.22하코다테3세 신마잔디 1200m1.416착마키하타 빅
10.29교토3세 미승리잔디 1400m8.343착요코야마 노리히로노스 힐 오
11.18도쿄3세 미승리잔디 1600m2.621착(다이와 휴스턴)
12.3나카야마하보탄(葉牡丹)상400만잔디 2000m4.815착야스다 토미오프리미에르
12.23나카야마히이라기(ひいらぎ)상400만잔디 1600m12.771착요코야마 노리히로(토모에 조이너)
1990년 (4세, 현 3세)
1.20나카야마주니어 컵OP잔디 2000m5.721착요코야마 노리히로(프리미에르)
3.4나카야마야요이상GII잔디 2000m5.721착(츠루마루 미마타 오)
4.15나카야마사츠키상GI잔디 2000m5.023착하쿠 타이세이
5.27도쿄도쿄 우준 (일본 더비)GI잔디 2400m3.512착아이네스 후진
10.14교토교토신문배GII잔디 2200m2.711착(글로벌 에이스)
11.4교토킷카상GI잔디 3000m2.213착메지로 맥퀸
12.23나카야마아리마 기념GI잔디 2500m4.732착오구리 캡
1991년 (5세, 현 4세)
3.10나카야마나카야마 기념GII잔디 1800m1.412착요코야마 노리히로유키노 선라이즈
4.28교토천황상(봄)GI잔디 3200m4.324착메지로 맥퀸
6.9교토[11]타카라즈카 기념GI잔디 2200m4.121착(메지로 맥퀸)
12.22나카야마아리마 기념GI잔디 2500m9.7512착다이유우사쿠
1992년 (6세, 현 5세)
1.26나카야마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GII잔디 2200m2.716착마토바 히토시토쇼 팔코
3.22나카야마닛케이상GII잔디 2500m2.711착요코야마 노리히로(카리브 송)
[11] 한신 경마장의 공사로 인해 이 해에는 교토에서 열렸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타카라즈카 기념|{{{#fff 타카라즈카 기념

(G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3세 이상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1960
호마레 히로
1961
시저 >

1962
코다마

1963
류 포렐

1964
히카루 폴라

1965
신잔

1966
에이트 크라운

1967
타이요
4세 이상
1968
히카루 타카이
1969
다테 호라이
1970
스피드 심볼리
1971
메지로 무사시 >

1972
쇼후 미도리

1973
하마노 퍼레이드

1974
하이세이코

1975
나오키

1976
후지노 파시아

1977
토쇼 보이

1978
에리모 조지

1979
사쿠라 쇼리
1980
테루 텐류
1981
카츠 알 >

1982
몬테 프린스

1983
하기노 카무이 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1984
카츠라기 에이스
1985
스즈카 코반 >

1986
페르시안 보이
3세 이상
1987
스즈 퍼레이드
1988
타마모 크로스 >

1989
이나리 원
1990
오사이치 조지
1991 메지로 라이언

1992
메지로 파머

1993
메지로 맥퀸

1994
비와 하야히데

1995
단츠 시애틀

1996
마야노 탑건

1997
마블러스 선데이

1998
사일런스 스즈카

1999
그래스 원더
2000
티엠 오페라 오
국제 GI 승격 후
2001
메이쇼 도토
2002
단츠 플레임 >

2003
히시 미라클

2004
탭 댄스 시티

2005
스윕 토쇼

2006
딥 임팩트

2007
어드마이어 문

2008
에이신 데퓨티

2009
드림 저니
2010
나카야마 페스타
2011
어니스틀리 >

2012
오르페브르

2013 · 2014
골드 쉽

2015
러블리 데이

2016
마리알라이트

2017
사토노 크라운

2018
미키 로켓

2019
리스 그라슈
2020 · 2021
크로노 제네시스
2022
타이틀홀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
2023 이퀴녹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야요이상|{{{#fff 야요이상

딥 임팩트 기념

(G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64
토키노 퍼레이드
1965
키스톤 >

1966
타마 슈호

1967
아사 덴코

1968
아사카 오

1969
와일드 모어
1970
타니노 무티에
1971
메지로 겟코 >

1972
롱 에이스

1973
하이세이코

1974
커널 심볼리

1975
카부라야 오

1976
클라임 카이저

1977
럭키 룰러

1978
판타스트

1979
리키아이 오
1980
토쇼 갓
1981
토도로키 히호 >

1982
사루노 킹

1983
미스터 시비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로 지정
1984
심볼리 루돌프
1985
스다 호크 >

1986
다이신 후부키
중앙 GII 승격 후
1987
사쿠라 스타 오
1988
사쿠라 치요노 오 >

1989
레인보우 앰버
1990
메지로 라이언
1991 이부키 마이카구라

1992
아사카 리젠트

1993
위닝 티켓

1994
사쿠라 에이코 오

1995
후지 키세키

1996
댄스 인 더 다크

1997
러닝 게일

1998
스페셜 위크

1999
나리타 탑 로드
2000
후사이치 제논
2001
아그네스 타키온 >

2002
밸런스 오브 게임

2003
에이신 챔프

2004
파일:홋카이도 문장.svg 코스모 벌크

2005
딥 임팩트

2006
어드마이어 문

2007
어드마이어 오라

2008
마이네르 찰스

2009
로지 유니버스
국제 G2 지정 후
2010
빅투아르 피사
2011
사다무 파텍 >

2012
코스모 오조라

2013
카미노 타사하라

2014
투 더 월드

2015
사토노 크라운

2016
마카히키

2017
카데나

2018
다논 프리미엄

2019
메이쇼 텐겐
2020
사토노 플래그
2021
타이틀홀더 >

2022
애스크 빅터 모어

2023
타스티에라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교토신문배|{{{#fff 교토신문배

(G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3
다이산 호슈
1954
미네마사 >

1955 · 1956
야사카

1957
요도 사쿠라

1958
호슈 사쿠라

1959
윌 딜
1960
헬리오스
1961
미스 케이코 >

1962
코레히사

1963
코라이 오

1964
밸리모스 니세이

1965
키스톤

1966
하드 잇

1967
사토 히카루

1968
타니노 해로모어

1969
킹 스피드
1970
타마 호프
1971
니혼 필로 무티에 >

1972
타이 템

1973
토요 치카라

1974
키타노 카치도키

1975
코쿠사이 프린스

1976
토쇼 보이

1977
프레스 토코

1978
메지로 이글

1979
파인 드래곤
1980
오버 레인보우
1981
산에이 솔론 >

1982
하기노 카무이 오

1983
카츠라기 에이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니시노 라이덴
1985
미호 신잔 >

1986
타케노 코마요시

1987
레오 텐잔

1988
야에노 무테키

1989
뱀부 비긴
1990
메지로 라이언
1991
나이스 네이처 >

1992
미호노 부르봉

1993
위닝 티켓

1994
스타 맨

1995
나리타 킹 오

1996
댄스 인 더 다크

1997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1998
스페셜 위크

1999
어드마이어 베가
2000
아그네스 플라이트
2001
텐잔 세이자 >

2002
패스트 타테야마

2003
마블 치프

2004
하츠 크라이

2005
인티 라이미

2006
토호 앨런

2007
타스카타 소르테

2008
메이쇼 퀄리아
국제 G2 지정 후
2009
베스트 멤버
2010
게슈탈트
2011
크레스코 그랜드 >

2012
토센 호마레보시

2013
키즈나

2014
하기노 하이브리드

2015
사토노 라젠

2016
스마트 오딘

2017
플래티넘 불릿

2018
스테이 풀리쉬

2019
레드 지니얼
2020
딥 본드
2021
레드 제네시스 >

2022
애스크 와일드 모어

2023
사토노 글란츠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닛케이상|{{{#fff 닛케이상

(G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3
타카하타
1954
후소 >

1955
쿠리 치카라

1956
후쿠류

1957
하쿠치카라

1958
온워드 데어

1959
히시 마사루
1960
오테몬
1961
호마레보시 >

1962
온슬로트

1963
야마노 오

1964
야마토 쿄다이

1965
후지 이사미

1966
스피드 킹

1967
스피드 심볼리

1968
히시 야쿠신

1969
라이트 월드
1970
아카네 텐류
1971
마키노 호프 >

1972
카츠 타이코

1973
토요 아사히

1974
타케쿠마 히카루

1975 · 1976
화이트 폰테인

1977
그린 그래스

1978
카네 미노부

1979
단켄지
1980
호요 보이
1981
웨스턴 제트 >

1982
메지로 티탄

1983
아사히 테이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하야테 미그
1985
심볼리 루돌프 >

1986
체스넛 밸리

1987
미호 신잔

1988
메지로 풀마

1989
런닝 프리
1990
오스미 샤다이
1991
키리 상시 >

1992
메지로 라이언

1993
라이스 샤워

1994
스테이지 챔프

1995
인터 라이너

1996
홋카이 루소

1997
로젠 카발리에

1998
텐진 쇼군

1999
세이운 스카이
2000
레오 류호
2001
메이쇼 도토 >

2002
액티브 바이오

2003
인그란디어

2004
윈 제네랄레

2005
유키노 선 로얄

2006
링컨
국제 GII 지정 후
2007
네버 부숑
2008
마츠리다 고흐 >

2009
알나스라인
2010
마이네르 키츠
2011 투 더 글로리

2012
네코 펀치

2013
페노메노

2014
윈 바리아시옹

2015
어드마이어 데우스

2016
골드 액터

2017
샤케트라

2018
간코

2019
메이쇼 텟콘
2020
미키 스왈로
2021
윈 마릴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
2022 · 2023 타이틀홀더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문서의 r7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21:38:07에 나무위키 메지로 라이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