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산 산맥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문화유산
1987년}}}
만리장성
长城
1987년}}}
베이징선양의 명·청 시대 황궁
北京及沈阳的明清皇家宮殿
1987년}}}
진시황릉과 병마용갱
秦始皇陵及兵马俑坑
1987년}}}
둔황 막고굴
莫高窟
1987년}}}
저우커우뎬 베이징 원인 유적
周口店北京猿人遗址
1994년}}}
청더 피서산장과 주변 사원
承德避暑山庄及其周围寺庙
1994년}}}
취푸의 공자 유적
曲阜孔庙、孔林、孔府
1994년}}}
라싸의 포탈라 궁 역사 유적군
拉萨布达拉宫历史建筑群
1994년}}}
우당산의 고대 건축물군
武当山古建筑群
1996년}}}
루산 국립공원
庐山国家级风景名胜区
1997년}}}
리장고성
丽江古城
1997년}}}
핑야오 고대도시
平遥古城
1997년}}}
쑤저우 전통 정원
苏州古典园林
1998년}}}
베이징의 황실 정원
: 이화원

北京皇家园林 - 颐和园
1998년}}}
천단
: 베이징에 있는 황제의 제례 제단

北京皇家祭坛 - 天坛
1999년}}}
다쭈 암각화
大足石刻
2000년}}}
청성산과 도강언 수리 시설
青城山 - 都江堰
2000년}}}
남부 안후리 고대 마을
: 시디춘과 훙춘
皖南古村落 - 西递、宏村
2000년}}}
룽먼 석굴
龙门石窟
2000년}}}
시대의 황릉
明清皇家陵寢
2001년}}}
윈강석굴
云冈石窟
2004년}}}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高句丽王城、王陵及贵族墓葬
2005년}}}
마카오 역사 지구
澳门歷史城区
2006년}}}
은허
殷墟
2007년}}}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開平碉樓與村落
2008년}}}
푸젠 토루
福建土楼
2009년}}}
우타이산
五台山
2010년}}}
덩펑의 천지지중 역사 기념물
登封 "天地之中" 历史建筑群
2011년}}}
항저우의 서호 문화경관
杭州西湖文化景观
2012년}}}
상도 유적
元上都遗址
2013년}}}
훙허 하니족
다랑논 문화경관
紅河哈尼梯田文化景觀
2014년}}}
대운하
大运河
2014년}}}
실크로드: 창안-톈산 회랑 도로망
丝绸之路: 长安 - 天山廊道的路网
2015년}}}
투스 유적
土司遗址
2016년}}}
줘장화산 암벽화 문화경관
左江花山岩画文化景观
2017년}}}
구량위
: 유서 깊은 공공조계
鼓浪屿: 国际历史社区
2019년}}}
량주 고고학 유적
良渚古城遗址
2021년}}}
취안저우
: 송 ・ 원 시대 중국의 세계 해양 상업 중심

泉州: 宋元中国的世界海洋商贸中心
2023년}}}
푸얼 징마이 산 고대 차나무 숲 문화 경관
普洱景迈山古茶林文化景观
자연유산
1992년}}}
황룽 계곡 경관 및 역사 지구
黄龙风景名胜区
1992년}}}
주자이거우 계곡 경관 및 역사 지구
九寨沟风景名胜区
1992년}}}
우링위안 자연경관 및 역사 지구
武陵源风景名胜区
2003년}}}
윈난 싼장병류 보호구
云南三江并流保护区
2006년}}}
쓰촨 자이언트판다 보호구역
四川大熊猫栖息地
2007년}}}
중국 남부 카르스트
中国南方喀斯特
2008년}}}
싼칭산 국립공원
三清山国家级风景名胜区
2010년}}}
중국 단샤
中國丹霞
2012년}}}
청장 화석 유적
澄江化石地
2016년}}}
신장 톈산
新疆天山
2016년}}}
후베이 선눙자
湖北神农架
2017년}}}
칭하이 호실
青海可可西里
2018년}}}
판징산
梵净山
2019년}}}
황해 - 보하이만 연안의 철새 보호구
(1단계)
中国黄(渤)海候鸟栖息地(第一期)
복합유산
1987년}}}
타이산
泰山
1990년}}}
황산
黄山
1996년}}}
어메이 산러산 대불
峨眉山 - 乐山大佛
1999년}}}
우이산
武夷山


[ 펼치기 · 접기 ]
문화유산
1990년}}}
이찬 칼라
Ichan qalʼa
1993년}}}
부하라 역사 지구
Buxoro shahrining tarixiy markazi
2000년}}}
샤흐리삽스 역사 지구
Shahrisabz shahrining tarixiy markazi
2001년}}}
사마르칸트
: 문화 교차로

Samarqand – madaniyatlar chorrahasi
자연유산
2016년}}}
천산산맥 서부 지역
Gʻarbiy Tyan-Shan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 카자흐스탄의 세계유산
[ 펼치기 · 접기 ]
문화유산
2003년}}}
코자 아흐메드 야사위의 영묘
Қожа Ахмет Ясауи кесенес
2004년}}}
탐갈리 고고 경관의 암면 조각
Таңбалы археологиялық
ландшафтының петроглифтері
2014년}}}
실크로드
: 장안 - 천산 회랑 도로망

Ұлы Жібек жолы және Чанъань - Тянь-Шань дәлізі
자연유산
2008년}}}
사랴르카
- 카자흐스탄 북부의 초원 ・ 호수 지역
Сарыарқа - Солтүстік Қазақстан
даласы мен көлдері
2016년}}}
천산산맥 서부 지역
Батыс Тянь-Шань



[ 펼치기 · 접기 ]
문화유산
2009년}}}
술라이만토 성산
Сулайман-Тоо
2014년}}}
실크로드
: 장안 - 천산 회랑 도로망

Улуу Жибек жолу жана Чанъан – Тянь-Шань коридору
자연유산
2016년}}}
천산산맥 서부 지역
Батыш Тянь-Шань



유네스코 세계유산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이름한국어신장 톈산
영어Xinjiang Tianshan
중국어新疆天山
프랑스어Tianshan au Xinjiang
국가·위치중국


등재유형자연유산
등재연도2013년
등재기준(vii)[1] (ix)[2]
지정번호1414

파일:external/www.bioexploration.org/002-Kyrgyzstan_jpg.jpg
만년설로 덮여있는 톈산 산맥의 모습.

파일:external/whc.unesco.org/site_1414_0001-750-0-20130528120349.jpg

유네스코 세계유산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이름한국어톈산 산맥 서부 지역
영어Western Tien-Shan
러시아어Западный Тянь-Шань
프랑스어Tien Shan occidental
국가·위치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재유형자연유산
등재연도2016년
등재기준(x)[3]
지정번호149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yrgyzstan_Topography.png
톈산 산맥의 지형도[4]

중국어: 天山山脉 (Tiānshān shānmài, 톈산 산마이)[5]
위구르어: تەڭرىتاغ (Tengritagh)
카자흐어: Тянь-Шань (Tyan'-Şan'), Тәңіртау (Täñirtaw)
키르기스어: Теңир-Тоо (Teñir-Too)
우즈베크어: Tyan-Shan, Tangirtogʻ

1. 개요
2. 상세
3. 포베다산과 보거다 봉
4. 알마티의 뒷산 톈산 산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중국 서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의 나라에 걸쳐있는 산맥. 천산이라는 이름은 '하늘'이라는 뜻으로, 주변 튀르크계 언어 명칭들도 같은 뜻이다. 중국에서는 톈산으로, [톈]은 하늘 천(天)을 중국식 독음으로 발음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톈산이라는 이름 외에도 바이산(白山, 백산), 쉐산(雪山, 설산)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과거 당나라 때는 절라만산(折羅漫山)이라고 불렸다고도 한다.


2. 상세[편집]


파일:중앙아시아 지리.jpg

톈산 산맥은 동서 주향의 산지로 산맥의 남쪽에는 타클라마칸 사막타림 분지(과거에는 알티샤르)가 위치해 있으며 북쪽에는 준가르 분지가 위치해있다. 파미르 고원과도 이어지며 산맥의 만년설이 녹은 물이 흘러내려 시르다리야 강, 일리 강, 추 강 등의 하천의 발원지가 된다. 산맥의 길이는 2,000km에 달하며 산맥의 규모가 워낙 커서 중국에서는 '베이 톈산(北天山, 북천산), 중 톈산(中天山, 중천산), 난 톈산(南天山, 남천산)으로 구분한다.

빼어난 자연환경과 지질학적 가치로 인해 당연히 유네스코 세계유산에도 등재되어 있는데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동서로 길게 뻗어있기 때문에 산맥의 동쪽은 2013년 중국이 세계유산에 등재했고 서쪽은 2016년에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3개국이 공동 등재하였다.

산맥 서쪽의 카자흐스탄쪽에서 볼 때는 장대한 빙하지형과 산을 뒤덮은 만년설, 산의 산록부의 목초지들의 모습이 유럽알프스 산맥의 모습과 닮아있다고 해서 동양의 알프스 또는 중앙아시아의 알프스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런데 사실 규모를 보면 톈산 산맥 쪽이 알프스 산맥과 비교할 수없이 크고 또 높다.

산에 덮인 만년설많은 강설량으로 인해 알마티 등 산맥 주변 지역에는 스키장 등 겨울 스포츠가 발달해 있다.

한국 한자음이 같은 '천산 산맥'이 중국에 또 있다. 이쪽은 '千山'으로, 중국어 병음으로는 '첸산(Qiān Shān)라고 발음한다. 지린 성에서 요동 반도까지 뻗은 산맥으로, 삼국시대 당시 요하와 함께 고구려의 대중국 방어선 역할을 하였다. 물론 이곳 톈산에 비하면 훨씬 작고 낮은 산맥이다.

야생 사과, 배, 복숭아의 원산지이기도 하다.

3. 포베다산과 보거다 봉[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engish_Chokusu_from_BC.jpg
톈산 산맥의 최고봉 포베다 산(해발 7,439m)

최고봉은 산맥 동쪽의 중국키르기스스탄 국경 지대에 있는 포베다 산이다. 포베다 산이라는 명칭 말고도 젱이시 초쿠수, 승리봉(勝利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포베다 산말고도 한 텡그리 봉(해발 7,010m), 보거다 봉 등 7,000m~ 5,000m 정도의 높은 고봉들이 곳곳에 존재해 있다.

파일:external/static.panoramio.com/8286516.jpg
보거다 봉(해발 5,445m)의 모습.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루무치에서 60km 정도 떨어져있다. 산의 정상부는 만년설로 덮여있으며 설선은 해발 3,500m 부근에서 나타난다. 그 외에도 빙하의 영향을 받아 권곡등 빙하 지형이 나타난다. 한자로는 博格达峰(박격달봉)이라 쓰는데 이는 몽골어 복드 올(Богд Уул)을 음차한 것.


4. 알마티의 뒷산 톈산 산맥[편집]


파일:external/aboutkazakhstan.com/almaty-birds-eye-view-1.jpg
카자흐스탄 최대 도시인 알마티에서 바라본 톈산 산맥.

파일:external/www.astanatimes.com/1402326_10152002856260985_1793093704_o.jpg
알마티 최고층 건물(리츠 칼튼 알마티)을 뒤로하고 있는 텐산 산맥.


5. 둘러보기[편집]


[ 정치 · 군사 ]
상징국호 · 오성홍기(국기) · 국장 · 의용군 진행곡(국가)
정치 · 행정정치 전반(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역대 국가원수마오쩌둥 · 류샤오치 · 리셴녠 · 양상쿤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주석
기타 정치인덩샤오핑 · 화궈펑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외교 전반(비판) · 외교부 · 여권(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사법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경찰(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소방구원대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계급) · 홍콩 보안국(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중국 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육전대) · 공군(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역사 ]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백년국치
시대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24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대장정) · 중일전쟁(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중국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사회 · 경제 ]
경제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기업 · 산업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중국의 대기업(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오악#중국의 오악 · 창장 강 · 황허(위수) · 랴오허 · 목단강 · 송화강 · 헤이룽장 강 · 주장 강 · 화이허 강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 평야 · 만주 · 둥팅 호 · 칭하이호 · 웨량 섬 · 창허 섬 · 하이난 섬 · 홍콩섬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사회 전반 · 중국인 여성의 해외 성매매 · 신분증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중국 관련 뉴스 · 인구 · 중국인(민족 · 한족) · 공휴일(국경일#중화인민공화국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정보 · 통신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순위) · 구교연맹(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교통 전반(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국가철로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강주아오 대교) · 철도(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로집단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 문화 ]
문화 전반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음식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현대문화만화(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메이드 카페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四靈 · 오룡#다섯 마리의 용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체육총국 · 중국 올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실전) · 태극권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표준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관광 전반(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9단8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aaa"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우즈베키스탄
관련 문서
<^|1><height=34><color=#fff><bgcolor=#1eb53a,#1f2023>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f00"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키르기스스탄
관련 문서
<^|1><height=34><color=#ffff00><bgcolor=#e8112d,#1f2023>
[ 펼치기 · 접기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12:31:47에 나무위키 톈산 산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최상의 자연 현상이나 뛰어난 자연미와 미학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을 포함할 것[2] 육상, 민물, 해안 및 해양 생태계와 동·식물 군락의 진화 및 발전에 있어 생태학적, 생물학적 주요 진행 과정을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일 것[3] 과학이나 보존 관점에서 볼 때 보편적 가치가 탁월하고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포함한 생물학적 다양성의 현장 보존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의미가 큰 자연 서식지를 포괄[4] 국경선은 키르기스스탄이다.[5] 줄여서 톈산(天山)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톈산 산맥을 간략하게 부르는 명칭. 다른 명칭인 '천산'은 天山의 한국 한자음이다. 텐산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잘못된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