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역 (r50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프로젝트.png
이 문서는 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 · 나무위키 수도권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문서입니다.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金浦空港 / Gimpo Int'l Airport

김포공항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파일:AREX_icon.svg 파일:GoldLine_icon.svg
5호선
(512)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송 정
1.2 ㎞ →
개화 방면
개 화
← 3.6 ㎞
9호선
(902)
중앙보훈병원 방면
공항시장
0.8 ㎞ →
시종착9호선
급행
중앙보훈병원 방면
마곡나루
2.5 ㎞ →
서울역 방면
마곡나루
← 2.3 ㎞
공항철도
(A05)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계 양
6.6 ㎞ →
양촌 방면
고 촌
← 5.9 ㎞
김포 도시철도
(G109)
시종착
파일:SeohaeLine_icon.svg
일산 방면
능 곡
← 7.5 ㎞
서해선
(S13)

(미개통)
송산 방면
원 종
4.2 ㎞ →
다국어 표기
영어Gimpo Int'l Airport
한자金浦空港
중국어金浦机场
일본어キンポゴンハン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지하 77 (방화2동 744번지)
운영 기관
5호선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9호선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주식회사_CI_가로형.png
공항철도파일:공항철도 CI.svg
김포 도시철도파일:김포골드라인운영 로고.svg
서해선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서부광역철도-로고.png
개업일
5호선1996년 3월 20일
9호선2009년 7월 24일
공항철도2007년 3월 23일
김포 도시철도2019년 9월 28일
서해선2023년 1월 31일 예정
역사 구조
지하 2층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5호선)
지하 3층 (9호선[중앙보훈병원 방향], 공항철도[서울역 방향])
지하 4층 (9호선[개화 방향], 공항철도[인천공항2터미널 방향], 김포 도시철도
지하 5층(서해선)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불가/ 발빠짐주의) 5호선,(횡단가능) 김포 도시철도)
복선 섬식 승강장 (9호선, 공항철도)
노선거리표
서울역 방면
마곡나루
← 2.3 ㎞
인천국제공항선
김포공항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계 양
6.6 ㎞ →
수색 방면
수 색
← 9.8 ㎞
수색직결선
김포공항
종점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대곡 방면>
능 곡
← 7.5 ㎞
대곡소사선
김포공항
(미개통)
송산 방면
원 종
4.2 ㎞ →

1. 개요
2. 역 정보
2.1. 환승
2.2. 승강장
2.2.1. 서울 지하철 5호선
2.2.2.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2.2.2.1. 지하 3층
2.2.2.2. 지하 4층
3. 역 주변 정보
4. 사건사고
5. 일평균 승차량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static.panoramio.com/1782887.jpg

서울 지하철 5호선 512번: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지하 77 (방화2동 744번지) 소재.
서울 지하철 9호선 902번: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지하 77 (방화2동 744번지) 소재.
인천국제공항철도 A05번: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지하 77 (방화2동 738번지)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external/www.metro9.co.kr/subway2_con1.gif
서울 지하철 9호선 김포공항역 조감도

파일:attachment/김포공항역/김포도시철도김포공항1.gif
김포 도시철도 김포공항역 조감도

이름부터 알 수 있듯이 김포국제공항을 가기 위해 지어진 역이다. 5호선이 첫 개통한 뒤 6년 동안은 서울에서 유일한 공항 연계 도시철도라는 메리트를 한껏 누렸으나, 인천국제공항이 생기고, 이 영향으로 김포공항의 국제선 취항이 인천공항으로 바뀌어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과의 셔틀이 생기기 전까지 국내용 공항으로 강등되는 바람에... 어쨌건 김포국제공항 하나만으로 이 역 주변의 설명은 다 끝난 것 같다.

개화역이 개통하기 전까지 서울특별시 최서단에 위치한 역이었다. 5호선 역은 원래 상하선 승강장 횡단 불가역이지만, 환승통로를 거치면 가능하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인천국제공항철도와의 공용 승강장 외에 지하3층에 9호선 전용 섬식 승강장이 하나 더 있으나 사용하지 않고 있어서, 유령 승강장화 되었다. 다만 항상 불은 켜져있기 때문에 제대로 에너지낭비다.

인천국제공항역 착발 KTX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역 승강장을 통해 무정차 통과하지만, 이 역과 마곡철교수색역을 잇는 수색연결선을 경유하여 서울역 혹은 용산역을 거쳐 부산/진주/목포/광주/여수엑스포역까지 운행한다.

향후 소사대곡선김포시로 들어가는 김포 도시철도가 개통되면 5개노선의 환승역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 노선들이 언제 개통할 지 불분명하다. 차례대로 2021년, 2018년 11월 개통 예정으로 이미 착공했기에 불발될 일은 없어보이나 요즘 철도 건설의 트렌드를 생각하면 과연 제때 완공될지는 미지수.

각 노선별 역사마다 서로 다른 편의점이 입점해 있다. 5호선-세븐일레븐, 9호선-CU[1], 공항철도-위드미[2]
김포공항역 지하3층 무인편의점 김포공항역 지하2층 무인편의점무인편의점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소사대곡선에는 과연?

이 역과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사이의 거리는 평택역성환역 사이의 거리인 9.4㎞보다 더 긴 10.9㎞이다. 따라서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 가려면 무려 9분이나 소요된다. 초록색 점이 없어지질 않는다...

5호선의 역명판을 보면 영문 부분의 땜질 흔적이 남아있는데, 이는 과거에 Kimp'o Int'l Airport(로마자 표기 개정전) → Gimpo Int'l Airport(로마자 표기 개정 후) → Gimpo Airport(인천국제공항 개항 후 국제선 노선 철수) → Gimpo Int'l Airport(국제선 노선 재운항) 순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3]

5호선 김포공항역은 다른 역과는 달리 승강장 스크린도어 개방 시 열려있는 동안 경고 부저음이 들린다. 이전에 일어났던 사고의 여파로 추가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지금은 큼직큼직하게 방향을 알려주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하통로가 워낙이 복잡하고, 사람도 많기 때문에 헛갈리기 딱좋다. 특히나 9호선과 공항철도 개찰구, 한국공항공사방향 통로, 국제선청사방향 통로, 국내선/5호선 개찰구 방향으로 향하는 통로들이 만나는 지하 4거리는 초행길인 사람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준다. 항공기를 이용하는 위키러들은 미리미리 지하로를 미리미리 숙지하고 가야 늦지 않을 수 있다. 국제선에서 국내선, 그 중간에 롯데몰을 돌아다니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1만보는 채울 수 있다.

2.1. 환승[편집]


개념환승과 막장환승을 고루 가진 역.

  • 개념환승: 9호선과 공항철도끼리의 환승, 승강장 바로 옆의 에스컬레이터만 타면 된다! 물론 이것도 서로 다른 방향(예:인천국제공항→종합운동장) 한정이고 같은 방향은 그냥 내리기만 하면 9호선이다.
  • 막장환승: 5호선과 새로 개통될 철도 노선과의 환승시. 하지만 서울역, 노원역이나 홍대입구역급의 막장환승이라 보긴 힘들다. 아래 문단 참조

9호선과 공항철도 사이의 환승은 더 말할 것도 없이 개념환승. 같은 방향은 바로 앞에서 탈 수 있는 금정역의 평면환승과 다른 방향은 계단 하나로 탈 수 있는 복정역의 복층환승을 결합한 형태다. 9호선의 사실상의 종점이 김포공항역이다보니 공항철도를 만들 때 9호선 직결운행을 비롯한 환승 연계성을 최대한 고려해서 만들어졌다. 그래서인지 9호선과 공항철도 간에는 환승 게이트조차 없다! 공항철도와 9호선 선로 사이에 연결선이 있으며, 이 선은 절연구간이 있으므로 2020년 이후 직교류 겸용 차량이 도입 후에나 운행할 듯 하다. 공항철도 김포공항역에서 내리면 사실상 그 자리에서 바로 9호선을 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9호선 도착→공항철도 출발이나 공항철도 도착→9호선 출발에 한정. 나머지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 한 번만 타면 된다.) 9호선/공항철도간 환승역으론 마곡나루역도 포함되나 환승형태로는 여전히 이 역이 대세.

그러나 5호선이 끼게 되면 환승동선이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다. 환승통로를 조사한 결과 당산역보다 복잡한 걸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환승통로가 생각보다 길지 않지만, 역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 실제로 이 역을 이용한 사람들은 5호선과 나머지 노선(요즘 인천국제공항철도)과의 환승을 막장환승으로 여기고 있는 듯. 특히 강동 방면으로 가는 승객들에게는 환승 통로를 지나서 에스컬레이터를 두번 타고 내려가야 해서 다소 막장이라고 한다. 환승통로의 길이에 비해 더욱 막장환승으로 칭해지는 이유는 공항을 이용하는 승객의 특성상 짐이 많기 때문에 승강기로 왔다갔다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 참고로 5호선에서 9호선이나 5호선에서 공철로 보다 빠르고 편한 환승을 위해서는 강동, 방화 방면에서 공철 환승시에는 8-1번 문(열차의 꼬리 부분)을, 방화발 강동 방면에서는 1-4번 문(열차의 머리 부분)을 이용하면 좋다. 물론 처음오면 찾기가 힘들다

지금은 출퇴근 시간대에 인천국제공항철도에서 9호선으로 환승하려는 사람이 많다. 5호선은 굴곡 노선이라 차라리 공덕역까지 공항철도를 타고 가거나 여의도역까지 9호선을 타고 가는 편이 훨씬 빠르기 때문에 환승객이 그렇게 많지는 않다.

역 이름에 어울리지 않게 김포국제공항(특히 국내선 청사)으로 나가는 통로도 상당히 길어서, 좀 걸어야 한다. 5호선 설계 당시에 어중간하게 떨어져 있는 당시 국내선 청사(현 한국공항공사 본사), 국제선 1청사(현 국내선 청사), 국제선 2청사(현 국제선 청사)의 중간점에 역을 지어 놓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개통할때부터 통로에 양쪽으로 무빙워크를 설치해 놓고 있다. 지금에야 무빙워크가 흔해졌지만, 5호선이 개통했던 1990년대 초반 당시까지만 해도 전철역에는(이대나 까치산 등과 같이 답이 안나오는 역 정도만 빼면) 에스컬레이터조차 별로 없던 시절이니 통로가 아무리 길어도 무빙워크 따위는 찾아볼 수 없던 때였다. 사실 짐이 많은 공항 이용객에게는 5호선-공항철도/9호선 간 환승이 문제가 아니라 역에서 공항터미널까지의 거리가 훨씬 더 문제이다.

파일:attachment/gimpoex.jpg
향후 소사대곡선과 환승 예정인데 위치를 볼땐 9호선/공항철도와의 환승은 무난하겠지만 문제는 5호선과의 환승이 막장환승이 될 것으로 보인다. H자 모양으로 만나는 종로3가역이나 고속터미널역 등의 형태와 비슷해질 예정이다. 그리고 김포 도시철도와의 환승도 예정되어 있다. 롯데몰과 서울 지하철 9호선 역 가운데에 들어설 예정이다. 9호선 역과 30m 거리라고 한다.

앞으로 들어설 버스터미널까지 생각하면 5호선 개찰구 통로는 더욱 혼잡해질 것 같다

2.2. 승강장[편집]


파일:attachment/gimpointlairporti.png
역안내도1 크게보기
파일:attachment/Gimpoairi9.jpg
역안내도2 크게보기

2.2.1. 서울 지하철 5호선[편집]


파일:attachment/5gimpogonghang.jpg
서울 지하철 5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개화산
송정



2.2.2.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편집]



2.2.2.1. 지하 3층[편집]

계양개화
 
디지털미디어시티공항시장

인천국제공항철도디지털미디어시티·홍대입구·공덕·서울역 방면
서울 지하철 9호선당산·노량진·신논현·종합운동장 방면
서울 지하철 9호선사용하지 않는 승강장[4]

공항철도는 구도심, 9호선은 부도심을 향하므로 지하 3층은 쉽게 생각해서 서울방향으로 생각하면 된다.
5호선 환승이 가능한 층이기는 하나, 강서구 끝자락인 방화행이므로 헛갈리지 말자. 서울방향 5호선은 지하 2층으로 올라가야한다.

2.2.2.2. 지하 4층[편집]



9호선은 개화역으로 나와 버스를 타고 김포방향으로 빠지는 경우가 많으며, 공항철도는 인천공항, 인천 신도시나 김포 신도시등으로 빠지는 인구가 많다.
쉽게 생각해서 인천 / 김포등으로 서울을 벗어나는 방향을 찾을 때는 지하 4층으로 가자.

2.2.3. 대곡소사선[편집]


능곡
원종

현재 공사가 시작되었다.
개통 후 추가바람


2.2.4. 김포 도시철도[편집]


고촌
시종착 ↓

개통 후 추가바람


3. 역 주변 정보[편집]


  • 1번출구 및 공항공사 지하통로 - 한국공항공사 방면
여기로 올라가면 한국공항공사와 바로 직결되는데, 여기 있는 에스컬레이터가 천국의 계단이다. 그러므로 어지럼증이나 고소공포증이 있는 사람은 그냥 조용히 왼쪽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타도록 하자. 옛날에는 김포공항 이마트, 더 옛날(인천공항이 없던 시절)에는 국내선 청사로 가는 길이었다. 현재는 한국공항공사와 우리병원등으로 갈 수 있다. 앞으로 시외버스터미널이 생길 예정이다.

  • 2번 - 하늘숲정원 방면
  • 3번 - 롯데몰앞 버스정류소 및 공항동 방면
김포에서 나온 사람들이 9호선을 이용하기 위해 주로 이용하는 통로이다. 9호선까지는 ㄷ자로 돌아가야하므로 생각보다 걸어야한다.

  • 4번 - 국내선청사 앞 주차장 방면 (9호선, 공항철도 출구)
에스컬레이터가 없는 계단이므로 걸어올라갈 생각은 버리는게 좋다. 주로, 공항동 일대에서 공항철도를 이용하기 위해 걸어서 나온(무려 10분은 걸어야한다.) 출근자들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찾아온다.

  • 국제선 청사 택시승차장 계단 - 국제선 청사 정문 앞에 섬형 택시승차장이 있는데, 가운데로 국제선 청사 안으로 향하는 지하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계단이 있다. 이 계단을 내려가면 롯데몰, 김포공항역(5호선, 9호선, 공항철도)으로 연결되는 지하통로가 있다.

인천공항과 다르게 24시간 운영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공항 운영시간이 종료되면 호텔 부근을 제외하고 주변이 완전 암흑세계가 된다. 주변에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아침 일찍 공항을 이용하기 위해 기다리려면 이곳보다는 지하철 9호선 공항시장역이나 지하철 5호선 송정역 주변에서 숙박업소를 이용하거나 PC방 등지에서 밤을 새야 한다. 롯데몰에 호텔이 있긴 하지만 배낭여행객이 1박을 이용하기엔 요금이 다소 비싸다.
자세한 부대시설은 김포국제공항에서 부대시설 내용을 참조하자.


4. 사건사고[편집]



4.1. 김포공항역 스크린도어 사망 사고[편집]


2016년 10월 19일, 오전 7시 18분 방화방면으로 운행하는 열차에서 내리던 승객 김모(36)씨가 전동차와 승강장 안전문 사이 공간에 갇혔지만 기관사는 김씨가 낀 사실을 알지 못한 채 전동차를 출발시켰고, 김씨는 이 충격으로 스크린도어 비상문을 통해 승강장으로 튕겨져 나와 고양시 명지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바람.

5. 일평균 승차량[편집]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5호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5,876명8,575명8,505명8,379명8,008명8,064명8,925명9,975명9,405명9,504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8,918명8,736명9,072명7,371명7,128명7,047명5,985명-명-명-명
서울 지하철 9호선
2009년
3,896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4,466명4,459명5,096명2,499명5,376명5,439명5,472명-명-명-명
인천국제공항철도
2007년2008년2009년
1,728명1,764명1,701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1,725명1,863명1,827명1,824명1,785명1,755명1,617명-명-명-명

5호선의 승객 수 하락세가 눈에 띄는데, 2000년만 하더라도 약 15800명이 이용했으나 2001년에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으로 인해 8500명으로 급감하였고, 2016년엔 5900명으로 16년 전에 비해 3분의 1이 되었다.


[1] 1단계라 CU가 들어가 있다.[2] GS25는 2017년 2월 없어짐.[3] 2001년 3월 인천국제공항 개항으로 국제선 노선을 다 인천이 가져갔다가 2003년 말 김포공항이 다시 국제선 노선을 운항했기 때문.[4] 개통 전에는 이 승강장을 일반열차 전용, 현재의 하행 승강장을 급행열차 전용으로 사용하려 하였으나, 급행열차가 개화역이 아니라 김포공항역에서 출발/종착하기로 정해짐에 따라 일반열차가 기다려줄 필요가 없어져서 계획이 취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