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키프방크 SK

덤프버전 :




파일:VAKIFBANK.png

VakıfBank SK
바키프방크 SK
정식 명칭VakıfBank Spor Kulübü
소속 리그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여자 배구 리그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CEV 챔피언스 리그
창단1986년
연고지터키 이스탄불
홈구장바키프방크 스포르 사라이 (수용 인원: 2000명)
회장Osman Demren
감독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지오반니 귀데티(Giovanni Guidetti)
주장파일:브라질 국기.svg 가브리엘라 기마랑이스(Gabriela Guimarães)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파일:VAKIFBANK.pn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우승 기록
터키 리그
(12회)
1991-92, 1992-93, 1996-97, 1997-98, 2003-04, 2004-05,
2012-13, 2013-14, 2015-16, 2017-18, 2018-19, 2020-21,
2021-22
터키 컵
(9회)
1994-95, 1996-97, 1997-98, 2012-13, 2013-14, 2017-18,
2020-21, 2021-22, 2022-23
터키 슈퍼 컵
(4회)
2013, 2014, 2017, 2021
★★★★★
CEV 챔피언스 리그
(5회)
2010-11, 2012-13, 2016-17, 2017-18, 2021-22
CEV 챌린지 컵
(1회)
2007-08
FIVB 세계 클럽 챔피언십
(4회)
2013, 2017, 2018, 2021

1. 개요
2. 스쿼드
3. 역대 성적
3.2. FIVB 세계 클럽 챔피언십
4. 역대 감독
5. 역대 주장
6. 출신 선수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터키 클럽 최초의 CEV 챔피언스 리그를 우승한 터키 여자 배구 리그의 강호 클럽.


2. 스쿼드[편집]


}}} ||
[ 펼치기 · 접기 ]
코칭스태프'''

감독
지오반니 귀데티

수석 코치
''' 세사르 에르난데스
아웃사이드 히터10 가브리엘라 기마랑이스 · 15 카라 바제마 · 17 데리아 세베시올루 · 19 니카 달데롭
아포짓 스파이커8 파올라 에고누 · 14 알렉시아 카루타수
미들 블로커5 바하르 아크바이 · 6 큐브라 아크만 · 11 치아카 오그보구 · 18 제흐라 귀네슈
세터1 부켓 굴뤼바이 · 3 잔수 외즈바이
리베로5 아이사 아이카스 · 16 아일린 사르올루 아카르




3. 역대 성적[편집]



3.1. 터키 리그챔피언스 리그[편집]


시즌터키 리그터키컵슈퍼컵CEV 주관 대회
경기득실률순위PO
2005-061816251143.6432위준우승챔피언스 리그4강
2006-07149533221.5003위4위챔피언스 리그PO12
2007-082015548222.1824위4강챌린지컵우승
2008-092017354163.3751위4강챔피언스 리그PO6
2009-102218458163.6252위준우승준우승[A]챔피언스 리그PO6
2010-112220263134.8462위준우승3위준우승챔피언스 리그우승
2011-122218455173.2353위준우승4강[A]챔피언스 리그8강
2012-13222206688.2501위우승우승[A]챔피언스 리그우승
2013-142222163115.7271위우승우승우승챔피언스 리그준우승
2014-152220264144.5711위준우승준우승우승챔피언스 리그3위
2015-162220263144.5002위우승준우승챔피언스 리그준우승
2016-17222116387.8751위4강준우승챔피언스 리그우승
2017-182219358193.0532위우승우승우승챔피언스 리그우승
2018-192221164115.8182위우승4강준우승챔피언스 리그4강
2019-20222116397.0001위[B][B]준우승챔피언스 리그8강[B]
2020-213029189811.131위우승우승준우승챔피언스 리그준우승
2021-222624273145.2141위우승우승우승챔피언스 리그우승


3.2. FIVB 세계 클럽 챔피언십[편집]


연도기간참가 자격장소조별예선본선결과
1차전2차전3차전준결승결승 / 3위 결정전
2011년10월 8~14일유럽 챔피언카타르 도하3-0 승3-0 승3-0 승0-3 패준우승
2013년10월 9~13일유럽 챔피언스위스 취리히3-0 승3-1 승3-0 승3-0 승우승
2016년10월 18~23일와일드카드필리핀 메트로 마닐라3-1 승2-3 패3-0 승1-3 패3-1 승3위
2017년5월 9~14일유럽 챔피언일본 고베3-0 승3-1 승3-0 승3-1 승3-0 승우승
2018년12월 4~9일유럽 챔피언중국 사오싱3-0 승3-0 승3-0 승3-1 승3-0 승우승
2019년12월 3~8일와일드카드중국 사오싱3-0 승2-3 패3-0 승2-3 패3-0 승3위


4. 역대 감독[편집]


시즌이름 국적 성적
1998~2000(Andrzej Niemczyk)파일:폴란드 국기.svg터키 리그 우승2회
터키컵 우승1회
2000~2007(Volodymyr Buzayev)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CEV컵 우승 1회
터키 리그 우승2회
2007~2008(Claudio Lopez Pinheiro)파일:브라질 국기.svgCEV 챌린지컵 우승1회
2008~현재지오바니 구이데티(Giovanni Guidetti)파일:이탈리아 국기.svgCEV 챔피언스 리그 우승4회
FIVB 클럽 챔피언십 우승3회
터키 리그 우승5회
터키컵 우승3회 / 슈퍼컵 우승3회


5. 역대 주장[편집]




6. 출신 선수[편집]


현재까지 뛰고 있는 선수는 제외. 21-22 시즌 스쿼드는 문단 참조.
* 파일:프랑스 국기.svg 빅토리아 라바 (1993~1995)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괴즈데 손스르마 (2001~2018)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네슬리한 데미르 (2002~2006, 2008~2010)
* 파일:쿠바 국기.svg 아네리스 바르가스 (2007~2008)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하르 톡소이 (2007~2015)
* 파일:독일 국기.svg 안젤리나 그륀 (2008~2009)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옐레나 니콜리치 (2008~2014)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귈데니즈 위날 (2008~2015)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데비 스탐 (2009~2010)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마야 폴약 (2009~2011)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닐라이 외즈데미르 (2009~2012)
* 파일:폴란드 국기.svg 마우고자타 글린카 (2010~2013)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르귈 아브즈 (2011~2013)
*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티안느 퓌르스트 (2011~2014)
* 파일:일본 국기.svg 기무라 사오리 (2012~2013)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2012~2014)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나즈 아키욜 (2012~2018)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타그란데 (2013~2015)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엘리사 바실레바 (2014~2015)
* 파일:브라질 국기.svg 셰일라 카스트로 (2014~2016)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빈 데 크루이프 (2014~2016)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밀레나 라시치 (2014~2021)[1]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앤 부이스 (2015~2016)
* 파일:미국 국기.svg 킴벌리 힐 (2015~2017)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네크 슬뢰체스 (2015~2019)
* 파일:중국 국기.svg 주팅 (2016~2019)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브라르 카라쿠르트 (2018~2020)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마야 오그네노비치 (2019~2021)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멜리하 이스마일로루 (2019~2021)
* 파일:스웨덴 국기.svg 이사벨 하크 (2019~2022)


7. 둘러보기[편집]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4%><rowbgcolor=#00002C> 순서 ||<-2><width=40%> 우승 구단 ||<width=14%> 국가 ||<width=16%> 첫 우승 연도 ||<width=16%> 우승 횟수 ||
|| 1 || 파일:WVC 디나모 모스크바.png ||<color=#373a3c><colbgcolor=#ffd700> 디나모 모스크바 ||<colbgcolor=#eeeeef,#18181a> 파일:러시아 국기.svg || 1961년 || ★★★★★★
★★★★★

11회 ||
|| 2 || 파일:Jinestra Odessa.png ||<color=#373a3c> 부레베스트니크 오데사 || 파일:소련 국기.svg || 1962년 ||
1회 ||
|| 3 || 파일:레프스키 소피아.png ||<color=#373a3c> 레프스키 소피아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1965년 ||
1회 ||
|| 4 || ||<color=#373a3c> NIM-SE 부다페스트 || 파일:헝가리 국기.svg || 1973년 ||
1회 ||
|| 5 || 파일:PVK 올림프 프라하.png ||<color=#373a3c> PVK 올림프 프라하 || 파일:체코 국기.svg || 1976년 || ★★
2회 ||
|| 6 || 파일:SSC 슈베린.jpg ||<color=#373a3c> 슈베린 SC || 파일:독일 국기.svg || 1978년 ||
1회 ||
|| 7 || 파일:CSKA 소피아.png ||<color=#373a3c> CSKA 소피아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1979년 || ★★
2회 ||
|| 8 || 파일:우랄로츠카-NTMK.png ||<color=#373a3c> 우랄로츠카-NTMK || 파일:러시아 국기.svg || 1981년 || ★★★★
★★★★

8회 ||
|| 9 || ||<color=#373a3c> ADK 알마-알타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1985년 ||
1회 ||
|| 10 || 파일:15454840354Rdpt.png ||<color=#373a3c> 올림피아 테오도라 라벤나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88년 || ★★
2회 ||
|| 11 || 파일:믈라도스트 자그레브.gif ||<color=#373a3c> 믈라도스트 자그레브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1991년 ||
1회 ||
|| 12 || 파일:마테라 여자 배구팀.jpg ||<color=#373a3c> 마테라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93년 || ★★
2회 ||
|| 13 || 파일:Bergamo.png ||<color=#373a3c> 베르가모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97년 || ★★★★
★★★

7회 ||
|| 14 || ||<color=#373a3c> OK 두브로브니크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1998년 ||
1회 ||
|| 15 || 파일:볼리 모데나.png ||<color=#373a3c> 모데나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98년 ||
1회 ||
|| 16 || 파일:RC 칸느.jpg ||<color=#373a3c> RC 칸 || 파일:프랑스 국기.svg || 1998년 || ★★
2회 ||
|| 17 || 파일:CV 테네리페.png ||<color=#373a3c> 테네리페 || 파일:스페인 국기.svg || 2004년 ||
1회 ||
|| 18 || 파일:시리오 페루자.png ||<color=#373a3c> 시리오 페루자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06년 || ★★
2회 ||
|| 19 || 파일:VAKIFBANK.png ||<color=#373a3c> 바키프방크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2011년 || ★★★★
4회 ||
|| 20 ||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color=#373a3c> 페네르바흐체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2012년 ||
1회 ||
|| 21 || 파일:디나모 카잔.png ||<color=#373a3c> 디나모 카잔 || 파일:러시아 국기.svg || 2014년 ||
1회 ||
|| 22 || 파일:Eczacıbaşı Spor Kulübü.png ||<color=#373a3c> 엑자시바시 비트라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2015년 ||
1회 ||
|| 23 || 파일:Casalmaggiore.jpg ||<color=#373a3c> 포미 카살마지오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16년 ||
1회 ||
|| 24 || 파일:Igor-Gorgonzola-NOVARA.png ||<color=#373a3c>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19년 ||
1회 ||
|| 25 || 파일:Imoco.png ||<color=#373a3c> 이모코 발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21년 ||
1회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6:14:41에 나무위키 바키프방크 SK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C 출전 자격 없음[B] A B C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대회 중단 혹은 취소.[1] 팀내 최장기간 계약 용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