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KCC 이지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3-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부산 KCC 이지스/2023-24 시즌 문서
부산 KCC 이지스/2023-24 시즌번 문단을
부산 KCC 이지스/2023-24 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부산 KCC 이지스의 창단 연도를 1978년으로 표기하는 것으(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
[ 펼치기 · 접기 ]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부산 KCC 이지스
Busan KCC Egis
정식 명칭부산 KCC 이지스 프로농구단
영문 명칭Busan KCC Egis Pro Basketball Club
창단1978년 3월 24일(46주년)[1]
2001년 11월 3일(22주년)[2]
구단명 변천현대중공업 실업농구단 (1978~1989)
현대전자 실업농구단 (1989~1997)
대전 현대 다이냇 (1997~1999)
대전 현대 걸리버스 (1999~2001)
전주 KCC 이지스 (2001~2023)
부산 KCC 이지스 (2023~ )
연고지대전광역시 (1997~2001)
전라북도 전주시 (2001~2023)
부산광역시 (2023~ )
운영 법인현대중공업주식회사[3] (1978~1989)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4] (1989~2001)
주식회사케이씨씨[5] (2001~ )
모기업KCC그룹
구단주정재훈
단장최형길
감독전창진
주장정창영
영구 결번4 추승균 | 11 이상민
구단 사무국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로240번길 17-7 (마북동)[6]
홈구장 변천
제1 구장
충무체육관 (1997~2001)[7]
전주실내체육관 (2001~2023)
사직실내체육관 (2023~ )[8]
제2 구장
군산월명체육관 (2014~2023)[9]
클럽 하우스현대인재개발원[10]
키트 스폰서 플레이어스
마스코트파일:부산 KCC 이지스 마스코트.svg
이지스(EGIS)
워드 마크파일:부산 KCC 이지스 워드마크.svg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스마트스토어.webp ,KCC이지스 샵, | 파일:의류 플레이어스 남색 배경 상표.jpg ,플레이어스,
팬 커뮤니티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부산 KCC 이지스 마이너 갤러리
우승 기록
★ ★ ★ ★ ★
챔피언 결정전 우승 (5회)
1997-98, 1998-99, 2003-04, 2008-09, 2010-11
정규 시즌 우승 (5회)
1997-98, 1998-99, 1999-2000, 2015-16, 2020-21
컵 대회 우승 (1회)
2023
플레이오프 진출
[ 펼치기 · 접기 ]
챔피언 결정전
(10회 / 5승 5패 / 최다 진출)
1997-98, 1998-99, 1999-2000, 2003-04, 2004-05
2008-09, 2009-10, 2010-11, 2015-16, 2020-21
4강 플레이오프
(15회 / 10승 5패 / 최다 진출)
1997-98, 1998-99, 1999-2000, 2001-02, 2003-04
2004-05, 2005-06,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5-16, 2017-18, 2018-19, 2020-21
6강 플레이오프
(10회 / 7승 3패)
2000-01, 2001-02, 2005-06,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7-18, 2018-19, 2022-23
프랜차이즈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고 승률.722
2003-04 시즌 54경기 39승 15패
최저 승률.222
2014-15 시즌 54경기 12승 42패
최다 승39승
2003-04 시즌 54경기 39승 15패
최다 패42패
2014-15 시즌 54경기 12승 42패
최고 FA 계약5년 9억 2천만 원[1]
2017-18 시즌 이정현
[1] 첫 시즌 연봉

1. 개요
3. 선수단
3.1. 1군
3.2. D리그(2군)
4. 역대 선수 및 인물
4.1. 영구 결번
4.2. 역대 감독
4.3. 역대 주장
5. 응원
5.1. 응원단
5.2. 역대 응원단장
5.3. 역대 장내 아나운서
7. 역대 캐치프레이즈
8. 역대 성적
8.1. 역대 플레이오프 상대 전적
8.2. 세부 우승 기록
8.3. 소속 선수 타이틀
10. 여담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부산 KCC 이지스 2023-24 시즌 슬로건.svg

한국프로농구의 프로 농구단. 연고지는 부산광역시로 홈구장은 동래구 사직동에 위치한 사직실내체육관 이다.

전신은 현대중공업 실업 농구단[11](농구대잔치 시절)-현대전자 실업 농구단(농구대잔치 시절)-대전 현대 다이냇-대전 현대 걸리버스. 농구대잔치 시대 이전부터 삼성전자(現 서울 삼성 썬더스)와 더불어 한국 농구를 대표하는 양대 구단이었고 농구대잔치를 창설하고 기아 농구단 창단 이후에는 기아자동차(現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와 함께 농구대잔치를 대표하는 3강 중 하나였다.[12] 프로농구 초창기에도 이와 같은 라이벌 관계는 이어져서 초창기 프로농구 흥행 보증 수표이기도 했다.

2001년 모기업이었던 현대전자의 자금난을 이유로 금강고려화학(現 KCC)이 인수함과 동시에 전주로 연고지 이전을 하며 전주 KCC 이지스가 됐다.[13] 모기업 쌍방울그룹의 사정으로 인한 쌍방울 레이더스의 퇴출 때문에 속이 상했던 전라북도민의 속을 전북 현대 모터스와 더불어 달래주는 구단이었다. 그러나, 2023년 8월 30일 연고 지역 지자체인 전주시의 홀대에 지쳤고 프로 농구단 유치를 지상 과제로 삼았던 부산광역시의 구애까지 맞물리면서 22년만에 연고이전을 단행하며 부산으로 연고지를 옮기게 됐다.[14]

참고로 부산은 숙적이라 다름이 없었던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現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로 모기업이 범현대가로 알려지며 현대가 더비로 부르고 있다.)의 연고 도시였고 현재 부산 아이파크 프로 축구단의 연고로 범현대가의 세 번째 연고 구단[15]이 됐다. 야구는 프로 구단은 아니지만 현대자동차가 투자한 기장-현대차 드림 볼파크가 있다. 또한 부산에는 여수 코리아텐더가 이전했던 kt 소닉붐에 이어 다시 호남 연고 프로 농구단이 이전하게 됐다.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산 KCC 이지스/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선수단[편집]



3.1. 1군[편집]


}}} ||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bgcolor=#0f236a><width=20%> '''{{{#ffffff 감독}}}''' ||[[전창진|{{{#0f236a 전창진}}}]] || ||<bgcolor=#0f236a> '''{{{#ffffff 코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f236a; font-size: .8em" {{{#ffffff 수석 코치}}}}}} [[강양택|{{{#0f236a 강양택}}}]]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f236a; font-size: .8em" {{{#ffffff 코치}}}}}} [[이상민(농구)|{{{#0f236a 이상민}}}]]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f236a; font-size: .8em" {{{#ffffff 코치 겸 D리그 감독}}}}}} [[신명호|{{{#0f236a 신명호}}}]]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f236a; font-size: .8em" {{{#ffffff 전력 분석 겸 D리그 코치}}}}}} [[김경석(농구)|{{{#0f236a 김경석}}}]] || ||<bgcolor=#0f236a> '''{{{#ffffff 지원 스태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f236a; font-size: .8em" {{{#ffffff 전력 분석 코치}}}}}} [[박경상|{{{#0f236a 박경상}}}]]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f236a; font-size: .8em" {{{#ffffff 밴치 코치}}}}}} [[신상언(농구)|{{{#0f236a 신상언}}}]]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f236a; font-size: .8em" {{{#ffffff 통역}}}}}} {{{#0f236a 김남균}}}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f236a; font-size: .8em" {{{#ffffff 트레이닝 코치}}}}}} {{{#0f236a 이정래}}} · {{{#0f236a 장지영}}} · {{{#0f236a 전승화}}} || ||<bgcolor=#0f236a> '''{{{#ffffff 가드}}}''' ||'''{{{#0f236a 0}}}''' [[유병훈|{{{#0f236a 유병훈}}}]] · '''{{{#0f236a 1}}}''' [[이호현(농구선수)|{{{#0f236a 이호현}}}]] · '''{{{#0f236a 3}}}''' [[허웅|{{{#0f236a 허웅}}}]] · '''{{{#0f236a 5}}}''' [[김동현(농구선수)|{{{#0f236a 김동현}}}]] · '''{{{#0f236a 6}}}''' [[송동훈|{{{#0f236a 송동훈}}}]] · '''{{{#0f236a 7}}}''' [[정창영(1988)|{{{#0f236a 정창영}}}]] [[주장|{{{#!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f236a; font-size: .8em" · '' {{{#ffffff '''C'''}}}}}}]] · '''{{{#0f236a 9}}}''' [[전태영|{{{#0f236a 전태영}}}]] · '''{{{#0f236a 10}}}''' [[이주영(2001)|{{{#0f236a 이주영}}}]] · '''{{{#0f236a 13}}}''' [[김승협|{{{#0f236a 김승협}}}]] · '''{{{#0f236a 23}}}''' [[정배권|{{{#0f236a 정배권}}}]] · '''{{{#0f236a 25}}}''' [[제프리 에피스톨라|{{{#0f236a 에피스톨라}}}]] · '''{{{#0f236a 26}}}''' [[염재성|{{{#0f236a 염재성}}}]] · '''{{{#0f236a 31}}}''' [[이진욱(농구선수)|{{{#0f236a 이진욱}}}]] || ||<bgcolor=#0f236a> '''{{{#ffffff 포워드}}}''' ||'''{{{#0f236a 2}}}''' [[최준용(농구선수)|{{{#0f236a 최준용}}}]] · '''{{{#0f236a 17}}}''' [[전준범|{{{#0f236a 전준범}}}]] · '''{{{#0f236a 19}}}''' [[이근휘|{{{#0f236a 이근휘}}}]] · '''{{{#0f236a 21}}}''' [[여준형|{{{#0f236a 여준형}}}]] · '''{{{#0f236a 24}}}''' [[알리제 존슨|{{{#0f236a 존슨}}}]] · '''{{{#0f236a 33}}}''' [[이승현(농구선수)|{{{#0f236a 이승현}}}]] · '''{{{#0f236a 37}}}''' [[곽정훈|{{{#0f236a 곽정훈}}}]] · '''{{{#0f236a 55}}}''' [[송교창|{{{#0f236a 송교창}}}]] || ||<bgcolor=#0f236a> '''{{{#ffffff 센터}}}''' ||'''{{{#0f236a 20}}}''' [[라건아|{{{#0f236a 라건아}}}]] · '''{{{#0f236a 32}}}''' [[서정현(농구선수)|{{{#0f236a 서정현}}}]] || ||<bgcolor=#0f236a> '''{{{#ffffff 군 입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f236a; font-size: .8em" {{{#ffffff 2022년 입대}}}}}} [[곽동기|{{{#0f236a 곽동기}}}]] || ||<-2><bgcolor=#ffffff,#1f2023> {{{-1 [[틀:한국프로농구 선수단 간략|{{{#0f236a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2><bgcolor=#ffffff,#191919>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부산 KCC 이지스/선수단|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3.2. D리그(2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프로농구 D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KBL의 큰손, 빅클럽답게 2014-15 시즌 한국프로농구 D리그 출범 이후 매년 출전 중이다.

이전에는 2군 드래프트로 선수를 수급했다.


3.3. 역대 선수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산 KCC 이지스/선수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역대 선수 및 인물[편집]



4.1. 영구 결번[편집]


부산 KCC 이지스의 영구 결번
번호이름포지션재직 기간영구 결번일
4추승균스몰 포워드1997~20122012년 10월 13일
11이상민포인트 가드1997~20072010년 10월 17일

  • 4. 추승균 (1997~2012): 전신인 현대를 포함해 총 5번의 우승을 하고 오직 한 구단에서만 뛴 프랜차이즈 스타. 일명 소리 없이 강한 남자.

  • 11. 이상민 (1997~2007): 전신인 현대를 포함해 3번이나 우승을 했지만, 이후 서울 삼성 썬더스로 트레이드되어 세 시즌을 뛰고 현역에서 은퇴. 그리고 삼성의 코치를 거쳐서 감독까지 되었다가 2023-24 시즌 코치로 다시 복귀했다.


4.2. 역대 감독[편집]


}}} ||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000000,#e5e5e5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0f236a><rowcolor=#ffffff> 초대 ||<#014da2> 2대 ||<#0174DF><-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028935 60%, #014da2 40%);" 3{{{#fed300 대}}}}}} ||<#028935> {{{#fed300 4대}}} || ||<bgcolor=#ffffff> [[이경재#기업인|이경재]]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1978~1980)}}} ||<bgcolor=#ffffff> [[방열(농구)|방열]]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1980~1986)}}} ||<bgcolor=#ffffff> [[정광석]]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1986~1993)}}} ||<width=20%><bgcolor=#eeeeee,#191919> {{{-3 {{{#050403,#ebe5df 감독 대행}}}}}} [br] [[박수교]]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 [br]{{{-2 (1993)}}} ||<bgcolor=#ffffff> [[박수교]]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1993~1994)}}} || ||<#028935> {{{#fed300 5대}}} ||<-4><|2><bgcolor=#ffffff> [[파일:Taejeon Hyundai Gullivers Logo.png|width=130]] || ||<bgcolor=#ffffff> [[신선우]]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1994~1996)}}} || ||<-5><bgcolor=#0f236a> {{{#ffffff 프로화 이후}}} || ||<#028935><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0C4CA3 60%, #028935 40%);" {{{#fff000 초}}}{{{#ffffff 대}}}}}} ||<-2><#0C4C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C4CA3, #0e5590, #0f236a);" 2대}}} ||<-2><#0f236a> 3대 || ||<bgcolor=#ffffff><width=20%> [[신선우]]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1997~2005)}}}[br][[1997-98 KBL 챔피언결정전|{{{#c8ab37,#c8ab37 ★}}}]] [[1998-99 KBL 챔피언결정전|{{{#c8ab37,#c8ab37 ★}}}]] [[1999-2000 KBL 챔피언결정전|{{{#777777,#888888 ☆}}}]] [[2003-04 KBL 챔피언결정전|{{{#c8ab37,#c8ab37 ★}}}]] [[2004-05 KBL 챔피언결정전|{{{#777777,#888888 ☆}}}]] ||<width=20%><bgcolor=#ffffff> [[허재]]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05~2015)}}}[br][[2008-09 KBL 챔피언결정전|{{{#c8ab37,#c8ab37 ★}}}]] [[2009-10 KBL 챔피언결정전|{{{#777777,#888888 ☆}}}]] [[2010-11 KBL 챔피언결정전|{{{#c8ab37,#c8ab37 ★}}}]] ||<width=20%><bgcolor=#eeeeee,#191919> {{{-3 {{{#050403,#ebe5df 감독 대행}}}}}} [br] [[추승균]]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 [br]{{{-2 (2015)}}} ||<width=20%><bgcolor=#ffffff> [[추승균]]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 [br]{{{-2 (2015~2018)}}}[br][[2015-16 KBL 챔피언결정전|{{{#777777,#888888 ☆}}}]] ||<width=20%><bgcolor=#eeeeee,#191919> {{{-3 {{{#050403,#ebe5df 감독 대행}}}}}} [br] [[스테이시 오그먼|오그먼]]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8]]]] [br]{{{-2 (2018)}}} || ||<#0f236a><rowcolor=#fff> 4대 ||<#0f236a> 5대 ||<-3><|2><bgcolor=#ffffff>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width=130]]]] || ||<bgcolor=#ffffff> [[스테이시 오그먼|오그먼]]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8]]]] [br]{{{-2 (2018~2019)}}} ||<bgcolor=#e0ffdb,#073300> [[전창진]]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 [br]{{{-2 (2019~ )}}}[br][[2020-21 KBL 챔피언결정전|{{{#777777,#888888 ☆}}}]] || }}}}}}



역대이름재임 기간경력비고
1대신선우1997~20051982 뉴델리 아시안게임 금메달 선수
현대전자 코치 및 현대 다이냇-걸리버스 초대 감독
1997-98, 1998-99 KBL 통합 우승
03-04 KBL 플레이오프 우승
LG 세이커스 감독 및 SK 나이츠 감독 역임
2대허재2005~20151988 서울 올림픽 선수
기아자동차-기아 엔터프라이즈 선수
TG 삼보 엑서스 선수
08-09 & 10-11 KBL 플레이오프 우승
시즌 중 사퇴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 역임
KBL 레전드 12 선정
3대추승균2015~20182002 부산 아시안게임 금메달 선수
전신 현대 다이냇-걸리버스 선수
KCC 이지스 선수-코치
내부 승격 및 15-16 KBL 정규 리그 우승
KBL 레전드 12 선정
시즌 중 사퇴
4대스테이시 오그먼2018~2019외국인 코치 및 KBL 역대 두 번째 외국인 감독
추승균 사퇴 이후 전창진 선임 문제로 임시 감독
KBL 역대 최단명 감독
5대전창진2019~고려대 선수
삼성전자 매니저-삼성 썬더스 코치
TG 삼보 엑서스 코치
TG 삼보 엑서스-동부 프로미 감독
kt 소닉붐 감독
02-03 KBL 플레이오프 우승
03-04 & 10-11 KBL 정규 리그 우승
04-05 & 07-08 KBL 통합 우승
KBL 감독상 5회
20-21 KBL 정규 리그 우승 및 감독상


4.3. 역대 주장[편집]


}}}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014da2><rowcolor=#fff000> 1978~1989 ||<#0174DF> 1989~1996 ||<#028935> 1997~2000 ||<#028935> 2000~2001 ||<#0C4CA3> 2001~2004 ||
||<width=20%> ||<width=20%> ||<width=20%> 유도훈 ||<width=20%> ||<width=20%> 정재근 ||
||<#0C4CA3> 2004~2005 ||<#0C4CA3><rowcolor=#fff000> 2005~2007 ||<#0C4CA3> 2007~2008 ||<#0f236a>
2008~2012
||<#0f236a> 2012~2013 ||
||<width=20%> 조성원 ||<width=20%> 이상민 ||<width=20%> 추승균 ||<width=20%> ||<width=20%> 임재현 ||
||<#0f236a><rowcolor=#fff000> 2013~2018 ||<#0f236a> 2018~2019 ||<#0f236a> 2019~2022 ||<#0f236a> 2022~ ||
||<width=20%> 신명호 ||<width=20%> 하승진 ||<width=20%> 이정현 ||<width=20%><bgcolor=#e0ffdb,#073300> 정창영 ||




5. 응원[편집]



5.1. 응원단[편집]


2023-2024 부산 KCC 이지스 응원단
장내 아나운서김진완
응원단장박승건
] 치어리더 (이지스걸스)김연정★, 김수현★, 이은지, 서유림, 홍재연, 강지유, 김유나, 박세아, 이지원, 허수미, 신채원, 김가은, 박수민

  • 구단 홈페이지에 응원단이 자세히 소개되어있다. 대다수 팀들은 구단 홈페이지를 KBL 통합으로 이관했으나 서울 SK 나이츠와 함께 따로 홈페이지를 운영중이다.
  • 과거 전주 KCC 이지스 시절에는 시설이 낡았던 전주체육관의 구조상 치어리더와의 대면 포함 이벤트는 축소된 상황이었다. 그 시절 김태경 치어리더가 가장 유명했다. 같은 호남 연고인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와 같이 응원전을 진행했다. 하지만, 2022-2023 시즌을 끝으로 연고이전을 단행하면서 광주 AI 페퍼스만 응원하게 되었다.
  • 결국 부산 농구 치어리더팀으로 개편되었다. 스카이치어리더 에이전시(에스컴) 멤버로 과거 부산 KTF 매직윙스-부산 kt 소닉붐에서 오래 활약했다. 현재 장내 아나운서와 응원단장만 전 연고였던 전주 시절에도 같은 멤버로 이어갈 뿐 치어리더는 같은 연고의 동일 홈구장을 쓰고 있는 부산 경남 연고 첫 여농팀인 부산 BNK 썸과 같은 멤버들이다. 농구 기준 과거 부산 kt 소닉붐에서 시작하면서 유명세를 타며 한화 이글스 야구와 울산 현대 축구에서 활동중으로 부산 출신 최고 인기 치어리더이자 전국구 인기로 알려진 김연정 치어리더가 중심인 멤버들이 수원 kt 소닉붐의 연고이전 충격 이후 전주 KCC 이지스의 부산 입성과 함께 2년만에 부산 사직체육관에 대거 복귀를 하게 된다. 추가로 NC 다이노스에서 제2의 전성기를 열게 된 김수현 치어리더도 과거 경상도 연고 두팀들의 치어리더로 경험이 풍부하지만 사상 처음으로 고향인 부산 사직체육관에서 응원을 하게 된다. 이들은 현재 프로 4대 종목 치어리더로 탄탄한 응원전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프로 4대 구기종목에서 모두 활동하는 바람에 라인업 변동이 유독 많은 편이다. ★표시는 팀장 직급이다.


5.2. 역대 응원단장[편집]




5.3. 역대 장내 아나운서[편집]


  • 김구라: 2001[16]
  • 이장우·박수미: 2002~2008
  • 이순주: 2008~2022
  • 김진완: 2022~


6. 역대 유니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산 KCC 이지스/유니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역대 캐치프레이즈[편집]


  • 2005-2006: I LOVE KCC
  • 2006-2007: WELCOME TO KCC WORLD
  • 2007-2008: FLY HIGH KCC
  • 2008-2009: EXCITING ENERGY KCC
  • 2009-2010: Hi-Five KCC V5 EGIS
  • 2010-2011: BLUE SYNDROME EGIS V5
  • 2011-2012: NEW CHALLENGE KCC
  • 2012-2013: STAND UP! KCC, DREAM UP! EGIS
  • 2013-2014: BLUEBUSTER KCC EGIS!!
  • 2014-2015: BLUE LEGEND KCC EGIS!
  • 2015-2016: BRAVO KCC EGIS!
  • 2016-2017: WITH US KCC EGIS!
  • 2017-2018: TOGETHER KCC EGIS!
  • 2018-2019: 열정으로 정상까지!
  • 2019-2020: WE ARE THE ONE!
  • 2020-2021: WE ARE STRONG
  • 2021-2022: WE ARE GREAT
  • 2022-2023: 압도하라
  • 2023-2024: 최강


8. 역대 성적[편집]


통산 구단 성적
연도구단명순위전적승률플레이오프타이틀감독
1997현대7위7승 14패0.333신선우
1997-98현대1위31승 14패0.689챔피언결정전 우승
vs. 부산 기아(4승 3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대구 동양(3승)
이상민(M)신선우
1998-99현대1위33승 12패0.733챔피언결정전 우승
vs. 부산 기아(4승 1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원주 나래(3승)
이상민(M)신선우
1999-00현대1위33승 12패0.733챔피언결정전 패
vs. 청주 SK(2승 4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안양 SBS(3승)
신선우
2000-01현대6위20승 25패0.4446강 플레이오프 패
vs. 청주 SK(2패)
신선우
2001-02KCC3위30승 24패0.5564강 플레이오프 패
vs. 서울 SK(2승 3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안양 SBS(2승)
신선우
2002-03KCC9위20승 34패0.370신선우
2003-04KCC2위39승 15패0.722챔피언결정전 우승
vs. 원주 TG삼보(4승 3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창원 LG(3승)
신선우
2004-05KCC2위34승 20패0.630챔피언결정전 패
vs. 원주 TG삼보(2승 4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안양 SBS(3승 1패)
신선우
2005-06KCC5위29승 25패0.5374강 플레이오프 패
vs. 울산 모비스(1승 3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부산 KTF(2승)
허재
2006-07KCC10위15승 39패0.278허재
2007-08KCC2위33승 21패0.6114강 플레이오프 패
vs. 서울 삼성(3패)
허재
2008-09KCC3위31승 23패0.574챔피언결정전 우승
vs. 서울 삼성(4승 3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원주 동부(3승 2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인천 전자랜드(3승 2패)
하승진(신)허재
2009-10KCC3위35승 19패0.648챔피언결정전 패
vs. 울산 모비스(2승 4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부산 kt(3승 1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서울 삼성(3승 1패)
허재
2010-11KCC3위34승 20패0.630챔피언결정전 우승
vs. 원주 동부(4승 2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인천 전자랜드(3승 1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서울 삼성(3승)
허재
2011-12KCC4위31승 23패0.5746강 플레이오프 패
vs. 울산 모비스(3패)
허재
2012-13KCC10위13승 41패0.241허재
2013-14KCC7위20승 34패0.370허재
2014-15KCC9위12승 42패0.222허재[17]
2015-16KCC1위36승 18패0.667챔피언결정전 패
vs. 고양 오리온(2승 4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안양 KGC(3승 1패)
추승균
2016-17KCC10위17승 37패0.315추승균
2017-18KCC3위35승 19패0.6484강 플레이오프 패
vs. 서울 SK(1승 3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인천 전자랜드(3승 2패)
추승균
2018-19KCC4위28승 26패0.5194강 플레이오프 패
vs. 울산 현대모비스(1승 3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고양 오리온(3승 1패)
이정현(M)추승균
스테이시 오그먼[18]
2019-20KCC4위23승 19패0.548전창진
2020-21KCC1위36승 18패0.667챔피언결정전 패
vs. 안양 KGC(4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인천 전자랜드(3승 2패)
송교창(M)전창진
2021-22KCC9위21승 33패0.389전창진
2022-23KCC6위24승 30패0.4446강 플레이오프 패
vs. 서울 SK(3패)
전창진
KBL 통산 27시즌-720승 657패0.523챔피언결정전 5회 우승
정규리그 5회 우승
MVP 4회
신인상 1회
-


8.1. 역대 플레이오프 상대 전적[편집]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97-98 4강PO : 3승
15-16 챔프전 : 2승 4패
18-19 6강PO : 3승 1패
6강PO 1승
4강PO 1승
챔프전 1패

개별 경기 합계 : 8승 5패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97-98 챔프전 : 4승 3패
98-99 챔프전 : 4승 1패
05-06 4강PO : 1승 3패
09-10 챔프전 : 2승 4패
11-12 6강PO : 3패
18-19 4강PO : 1승 3패
6강PO 1패
4강PO 2패
챔프전 2승 1패

개별 경기 합계 : 12승 17패
원주 DB 프로미98-99 4강PO : 3승
03-04 챔프전 : 4승 3패
04-05 챔프전 : 2승 4패
08-09 4강PO : 3승 2패
10-11 챔프전 : 4승 2패
4강PO 2승
챔프전 2승 1패

개별 경기 합계 : 16승 11패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99-00 4강PO : 3승
01-02 6강PO : 2승
04-05 4강PO : 3승 1패
15-16 4강PO : 3승 1패
20-21 챔프전 : 4패
6강PO 1승
4강PO 3승
챔프전 1패

개별 경기 합계 : 11승 6패
서울 SK 나이츠99-00 챔프전 : 2승 4패
00-01 6강PO : 2패
01-02 4강PO : 2승 3패
17-18 4강PO : 1승 3패
22-23 6강PO : 3패
6강PO 2패
4강PO 2패
챔프전 1패

개별 경기 합계 : 5승 15패
창원 LG 세이커스03-04 4강PO : 3승4강PO 1승
개별 경기 합계 : 3승
수원 kt 소닉붐05-06 6강PO : 2승
09-10 4강PO : 3승 1패
6강PO 1승
4강PO 1승

개별 경기 합계 : 5승 1패
서울 삼성 썬더스07-08 4강PO : 3패
08-09 챔프전 : 4승 3패
09-10 6강PO : 3승 1패
10-11 6강PO : 3승
6강PO 2승
4강PO 1패
챔프전 1승

개별 경기 합계 : 10승 7패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08-09 6강PO : 3승 2패
10-11 4강PO : 3승 1패
17-18 6강PO : 3승 2패
20-21 4강PO : 3승 2패
6강PO 2승
4강PO 2승

개별 경기 합계 : 12승 7패


8.2. 세부 우승 기록[편집]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14%><rowbgcolor=#001658> 년도 ||<-2><width=40%> 우승 구단 ||<width=16%> 우승 횟수 ||
|| 1997 || 파일:LreU3kv.png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
1회 ||
|| 1997-98 ||<|2> 파일:대전 현대 다이냇 엠블럼.svg ||<|2> 대전 현대 다이냇 ||<|2> ★ ★
2회 ||
|| 1998-99 ||
|| 1999-2000 || 파일:서울 SK 나이츠 로고(1997~2001).svg || 청주 SK 나이츠 ||
1회 ||
|| 2000-01 || 파일:수원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 || 수원 삼성 썬더스 ||
1회 ||
|| 2001-02 || 파일:대구 오리온스 엠블럼.svg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1회 ||
|| 2002-03 || 파일:Wonju_DB_Promy_PBC_(2002).png || 원주 TG 엑써스 ||
1회 ||
|| 2003-04 || 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 || 전주 KCC 이지스 || ★ ★ ★
3회 ||
|| 2004-05 || 파일:원주 TG삼보 엑써스 로고.png || 원주 TG삼보 엑써스 || ★ ★
2회 ||
|| 2005-06 ||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2004~2011).svg || 서울 삼성 썬더스 || ★ ★
2회 ||
|| 2006-07 || 파일:울산 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 ★
2회 ||
|| 2007-08 || 파일:원주 동부 프로미 엠블럼.svg || 원주 동부 프로미 || ★ ★ ★
3회 ||
|| 2008-09 || 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 || 전주 KCC 이지스 || ★ ★ ★ ★
4회 ||
|| 2009-10 || 파일:울산 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 ★ ★
3회 ||
|| 2010-11 || 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 || 전주 KCC 이지스 || ★ ★ ★ ★ ★
5회 ||
|| 2011-12 ||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 안양 KGC인삼공사 ||
1회 ||
|| 2012-13 ||<|3> 파일:울산 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3> 울산 모비스 피버스 ||<|3> ★ ★ ★ ★ ★ ★
6회 ||
|| 2013-14 ||
|| 2014-15 ||
|| 2015-16 || 파일: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엠블럼.svg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 ★
2회 ||
|| 2016-17 ||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 안양 KGC인삼공사 || ★ ★
2회 ||
|| 2017-18 ||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 서울 SK 나이츠 || ★ ★
2회 ||
|| 2018-19 ||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 ★ ★ ★ ★ ★ ★
7회 ||
|| 2020-21 ||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 안양 KGC인삼공사 || ★ ★ ★
3회 ||
|| 2021-22 ||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 서울 SK 나이츠 || ★ ★ ★
3회 ||
|| 2022-23 ||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 안양 KGC인삼공사 || ★ ★ ★ ★
4회 ||



한국프로농구 정규 리그 우승 구단
19971997-1998, 1998-1999,
1999-2000
2000-2001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대전 현대 다이냇
대전 현대 걸리버스
수원 삼성 썬더스
2014-20152015-20162016-2017
울산 모비스 피버스전주 KCC 이지스안양 KGC인삼공사
2018-2019[19]2020-20212021-2022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전주 KCC 이지스서울 SK 나이츠


8.3. 소속 선수 타이틀[편집]


한국프로농구 타이틀 홀더(현대-KCC 소속)
시즌타이틀이름
2022-2023모범 선수상정창영
인기상허웅
2020-2021MVP송교창
베스트 5송교창
기량 발전상정창영
2019-2020베스트 5송교창
2018-2019MVP이정현
베스트 5(가드)이정현
2017-2018수비 5걸(포워드)송교창
베스트 5(가드)이정현
2016-2017기량 발전상송교창
2015-2016수비 5걸(가드)신명호
식스맨상신명호
베스트 5(가드)안드레 에밋
베스트 5(센터)하승진
2014-2015수비 5걸(가드)신명호
2013-2014인기상김민구
2012-2013모범 선수상임재현
2011-2012특별상추승균
2010-2011파이널 MVP하승진
베스트 5(센터)하승진
외국인 선수상크리스 다니엘스
모범 선수상강병현
2009-2010베스트 5(가드)전태풍
베스트 5(센터)하승진
2008-2009파이널 MVP추승균
신인 선수상하승진
베스트 5(포워드)추승균
수비 5걸(가드)신명호
2007-2008베스트 5(센터)서장훈
2005-2006수비 5걸(포워드)추승균
2004-2005우수 수비상추승균
자유투상추승균
수비 5걸(포워드)추승균
2003-2004파이널 MVP이상민
우수 후보 선수상표명일
기량 발전상표명일
베스트 5(포워드)추승균
자유투상추승균
수비 5걸(포워드)추승균
외국인 선수상찰스 민렌드
득점상찰스 민렌드
수비 5걸(센터)R.F. 바셋
베스트 5(센터)R.F. 바셋
2002-2003수비 5걸(포워드)추승균
2001-2002베스트 5(가드)이상민
자유투상추승균
수비 5걸(포워드)추승균
우수 후보 선수상정재근
수비 5걸(센터)재키 존스
2000-2001모범 선수상추승균
3점 슛상조성원
스틸상이상민
1999-2000외국 선수상조니 맥도웰
3점 슛상조성원
베스트 5(가드)조성원
베스트 5(포워드)조니 맥도웰
수비 5걸(포워드)추승균
수비 5걸(센터)로렌조 홀
리바운드상조니 맥도웰
블록상재키 존스
자유투상추승균
1998-1999MVP이상민
파이널 MVP조성원
외국 선수상조니 맥도웰
우수 수비상추승균
어시스트상이상민
블록상재키 존스
베스트 5(가드)이상민
베스트 5(포워드)조니 맥도웰
수비 5걸(포워드)추승균
1997-1998MVP이상민
외국 선수상조니 맥도웰
모범 선수상조성원
베스트 5(가드)이상민
베스트 5(포워드)조니 맥도웰
1997수비 5걸(가드)이지승


9. 사건·사고 및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산 KCC 이지스/사건사고 및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여담[편집]


  • 2006년부터 2021년까지 대한민국 실내 프로 스포츠 구단 중 유일한 호남 연고의 구단이었다. 이후 2021년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광주광역시에 연고지를 두는 게 확정되면서 이 기록이 깨졌고, 2023년 KCC가 부산으로의 연고지 이전을 확정하고 KBL이 이를 승인하며 KCC가 호남을 떠남으로써 페퍼저축은행이 호남 연고의 유일한 실내 프로 스포츠 구단이 되었다.

  • 이상민이 삼성으로 이적한 뒤로는 이상민 팬들이 이탈, 구단의 인기가 예전만 못해졌을 거라고 잘못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연고지인 전주뿐만 아니라 타 지역에서도 인기는 전혀 줄지 않았다. 허재 감독의 팬들도 많았고, 드래프트 1순위로 뽑은 하승진과 혼혈 선수인 전태풍, 그리고 강병현이 새로운 스타가 되었고, 결정적으로 현대 시절부터 구단의 상징이었던 추승균도 2011-12 시즌까지는 현역으로 뛰었기 때문이다. 22-23 시즌에는 허웅을 영입하면서 그만큼 팬덤 유입도 되었다.

  • 전신인 현대 시절에는 통합 우승을 연속으로 두 번이나 했으나, KCC로 바뀐 이후로는 통합 우승과 거리가 멀어졌다. 정규 리그 1위를 한 시즌에 챔피언 결정전을 패했고 챔피언 결정전 우승 당시에는 정규 리그 2위를 했다. 이건 구단의 주축이 하승진으로 옮겨간 것에 기인한다. 하승진이 신체 특성상 각종 잔부상이 많다 보니 비시즌에도 다른 선수들처럼 시즌 개막에 맞춰 몸 상태를 100%로 끌어올리기가 쉽지 않고, 그 결과 시즌 초반 1~2라운드는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잘 나오지 못하거나, 경기에 나오더라도 영 움직임이 시원찮은 경우가 많다. 하승진에게 모든 걸 맞춘 구단의 특성상, 이처럼 하승진이 없거나 부진할 때면 구단 전체가 굉장히 무기력한 경기를 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1~2라운드에서는 승수를 많이 까먹고 하위권에서 시작하다 보니 시즌 내내 잘해야 하는 정규 리그 1위는 이미 물 건너간 상태다. 그래도 하승진이 경기 감각을 끌어올려 정상 궤도에 오른 플레이오프에서는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해 우승을 거두는 게 KCC의 한 시즌 패턴이 되었다. '슬로 스타터'라 불리우는 것도 이러한 패턴 때문에 나왔다.

  • 구단 사무국과 클럽 하우스[20]가 모두 용인시에 있다. 즉, 전주 KCC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홈경기만 전주에서 했다. 그래서 선수들의 훈련과 연습 경기, 생활은 모두 전주가 아닌 용인에서 하는 촌극이다. 그래서 전주 지역 팬들은 이 점을 매우 아쉬워했다. 부산 이전 후에는 연습 체육관을 비롯한 클럽 하우스도 부산 내지 부산 인근으로 이전하려고 하고 있다.

  • 농구 팬들은 장판이라고도 부른다.[21] 일부 팬들 사이에서는 용산 KCC라는 별명으로도 불리고 있다. 구단 핵심 수뇌부에 용산고등학교 출신 인사들이 유독 많기 때문인데, 실제로 정몽익 구단주와[22] 최형길 단장이 용산고 출신이며 부산 출신인 추승균 전 감독과 외국인인 스테이시 오그먼 전 감독을 제외한 감독 전원(신선우 초대 감독, 허재 前 감독, 전창진 현 감독)이 용산고 출신이다.

  • 유니폼 색은 현대 시절에는 녹색-노란색이었고 KCC로 바뀐 이후에는 파랑색-남색, 하늘색 위주이다. 마스코트는 현대 시절에는 초식 공룡 트리케라톱스 마스코트와 인간체 마스코트가 존재했으며 구단명 변경으로 걸리버라는 마스코트를 거쳐서 지금은 하늘색 몸체에 주황색 방패를 단 이지스라는 마스코트가 있다.

  • 전주 시기 프로농구 10개 구장 중에 구내 식당이 제일 맛있는 곳으로 각 구단 선수단과 관계자들에게 꼽혔다.

  • 프로농구 10개 구단 중 자금력이 가장 막강하기로 소문난 부자 구단이다. 그래서 KCC를 '크블의 맨시티' 혹은 '크블의 첼시'라고 부른다. 이러한 막강 자금력을 바탕으로 오프 시즌 때마다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편이다. 대표적으로 2017년에 FA로 풀린 이정현을 당대 최고 금액인 9억 2,000만 원에 영입했다. 이후 2022년에는 FA 최대어인 이승현허웅을 동시에 각각 7억 5,000만 원(도합 15억)에 영입했다.

  • 의 프로농구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지 않은 유일한 구단이다. 물론 두 번의 승부조작 모두 감독, 선수들이 독자적으로 저지른 것이기에 나머지 9개 구단이 잘못한 것은 아니다. 성적이 바닥을 기는 동안 그래도 이렇게 모범적인 모습을 보이나 싶었지만, KBL이 2015년 승부조작 사건에 개입된 선수 명단을 발표하는 와중에 김민구 징계 건을 묻어가기 형식으로 발표하고, 덩달아 구단 자체 징계도 없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구단과 KBL 모두 팬들에게 욕을 먹고 있다.

  • 홈구장인 전주실내체육관 천장에 역대 우승 배너가 걸려 있는데 전신 현대 시절 거둔 두 차례의 우승을 KCC로 넘어와서 거둔 것처럼 쓰고 있다. 전신 기아와의 단절 문제로 말이 많았던 현대모비스조차 원년 우승 배너를 기아 시절의 것으로 쓰는 것과 대비되는 부분. 그리고 현대모비스와 더불어 연속 우승과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우승을 한 유이한 구단이다.

  • 주니어 KCC라는 이름으로 연고인 전라북도 지역 유소년 농구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 2023년에 부산으로 연고이전한 이후에는 연고와 상관없이 운영하는 팀이 있는 걸 보면 연고와의 일치 여부는 아무래도 상관없어졌지만.

  • 2021년 5월 23일, JTBC 예능 프로그램 뭉쳐야 쏜다에 송교창, 유현준, 정창영이 출연했다.

  • 현재는 인기 방송인이 된 김구라가 마이너 시절 장내 아나운서로 약 한 달 반 활동한 적이 있는데 워낙 성적이 좋지 않을 때라 사소한 부분 때문에 잘렸다고 말한다. 그러나 사실은 경기 시작 10여 분 전에 체육관에 도착하는 등 불성실한 태도 때문에 잘렸다고 황봉알이 디스를 했다. 반면 전임 장내 아나운서였던 조 모 씨는 경기 시작 두 시간 전 미리 도착해서 예행 연습을 했다고 한다.

  • 외국인 선수를 제일 늦게 영입하는 것으로 유명한 구단이다.


11.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5:38:05에 나무위키 부산 KCC 이지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신 현대중공업 실업농구단 창단 일자[2] KCC의 인수 후 창단 일자[3] 별도의 독립 법인화 없이 실업 구단으로 모기업이 직접 운영했다.[4] 별도의 독립 법인화 없이 모기업 법인에서 직접 운영했다. 한국프로스포츠협회에서는 그러한 형태의 구단을 '부서형 구단'으로 분류한다.[5] 별도의 독립 법인화 없이 모기업 법인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다. 한국프로스포츠협회에서는 그러한 형태의 구단을 '부서형 구단'으로 분류한다.[6] 현대인재개발원[7] 충무체육관 보수로 인해 1997년 일부 경기는 한밭체육관에서 개최했다.[8] 부산 BNK 썸과 공동으로 사용한다. [9] 2013-14 시즌부터 저변 확대를 위해 제2 홈구장으로 삼아 2014-15 시즌부터는 매 시즌 최소 3경기를 치렀으나 부산으로 연고 이전을 하면서 제2 홈구장 지위도 사라졌다.[10] 전주종합체육관 예정대로 건설했다면 클럽 하우스도 전주로 이전할 계획이었으나 전주시의 약속 불이행으로 인하여 연고지를 부산으로 이전했다. 부산광역시 내에 부지를 찾아야 하는 과제가 새로 생겼다.[11] 현대, 남자농구팀 창단(중앙일보)[12] 다만 프로화 이후엔 삼성이 실업 시절의 명성을 많이 잃은 대신에 원주 DB 프로미가 그 자리를 메운 모양새다. 실제로도 현대모비스-KCC-DB 세 구단은 우승 횟수 1, 2, 3위에 올라 있다.[13] 이지스라는 이름의 유래는 아이기스다. 다만 아이기스의 철자가 'Aegis'로 이지스는 'egis'로 축약한 것이다.[14] 다만 부산광역시도 이전 연고 구단이었던 kt 소닉붐을 홀대했던 역사가 있어서 KCC를 또다시 나몰라라 방치 하면 다시 한 번 연고지 이전을 할 수도 있다. 물론 수원 kt 소닉붐의 경우 부산 정착의지를 찾아볼 수 없었다. 대신 KCC는 인근인 울산에는 공장이 있지만 부산에는 스위첸 아파트 외의 사업을 찾기 어려우며 새 연고인 부산 지역에 클럽 하우스를 마련해야 하는 과제도 떠안게 됐다.[15] 단, 기아 엔터프라이즈는 현대차 인수 합병 전의 연고였다.[16] 다만 경기 시작 10분 전에 도착하는 등 다소 불성실한 모습을 보여 중간에 짤렸다고 한다.[17] 시즌 도중 사퇴. 감독대행 추승균.[18] 시즌 도중 사퇴. 스테이시 오그먼 코치가 감독대행을 맡았다가 정식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9] 2019-2020 시즌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정규 리그 조기 종료로 우승 구단 없음.[20] 과거 '현대그룹 연수원'으로 사용하던 곳으로 현재는 현대 그룹의 왕자의 난 이후 KCC 연수원, 모비스 연구소 등이 추가로 입주해 있다. 다만, 여기에 입주해 있는 KCC와 여자 배구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연습 체육관은 프로화 이전부터 오랫동안 써와서 옮기지 않고 그대로 쓰고 있다.[21] KCC에서 만든 옥장판 때문에 붙여진 별명.[22] 정몽익 구단주의 아버지인 정상영 KCC 명예 회장도 용산고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