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제1선거구(부산)

덤프버전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회선거구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동, 서대신동, 부민동
西區 第一選擧區
Seo District 1
파일:서구_제1선거구(부산)8재.png
선거인 수50,179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서구 일부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송상조 (초선)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서구 북부에 위치한 동대신동, 서대신동, 부민동을 관할한다.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부민캠퍼스, 구덕운동장, 임시수도기념관, 부산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등이 이 지역에 위치해있다.

원도심답게 국민의힘의 지지세가 아주 높은 편이다. 다만 동아대학교의 젊은 인구의 영향으로 옆 지역구보다는 보수세가 약한 편이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서구 제1,2선거구
제2대김영수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최경석[2]
서구 제1선거구
제3대박극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3]
제4대2002년 7월 1일 ~ 2006년[4][5][6]
제5대권칠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7][8]
제6대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7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8대박흥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9대송상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1991년 지방선거[편집]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2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수(金永守)17,589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62.2%당선
2최동원(崔東原)10,6672위

파일:민주당 1990년 글자.svg
37.8%낙선
선거인 수투표율
투표 수
무효표 수


2.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2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김영수(金永守)-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서구 제2선거구
부용동, 부민동, 토성동, 아미1동, 아미2동, 초장동, 충무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경석(崔景錫)15,301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59.21%당선
2권재인(權載仁)10,5382위

[[무소속|
무소속
]]
40.78%낙선
선거인 수39,802투표율
68.23%
투표 수27,158
무효표 수1,319

2.3.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2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용동, 부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극제(朴克濟)19,295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74.90%당선
2윤광부(尹廣富)6,4652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25.09%낙선
선거인 수54,956투표율
49.12%
투표 수26,997
무효표 수1,237

2.4.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2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박극제(朴克濟)-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인재(朴仁在)3,6403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13.33%낙선
2권칠우(權七雨)15,516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6.82%당선
4이선화(李宣和)2,8264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10.35%낙선
6신순기(辛順基)5,3212위

[[무소속|
무소속
]]
19.48%낙선
선거인 수54,059투표율
51.52%
투표 수27,852
무효표 수549

2.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칠우(權七雨)13,2191위
54.91%당선
7손한진(孫漢珍)10,8512위
45.08%낙선
선거인 수50,295투표율
49.85%
투표 수25,074
무효표 수1,004

2.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칠우(權七雨)16,2151위
58.44%당선
4이경포(李京抱)11,5282위
41.55%낙선
선거인 수49,692투표율
57.42%
투표 수28,535
무효표 수792

2.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흥식(朴興植)15,3561위
53.90%당선
2권칠우(權七雨)13,1312위
46.09%낙선
선거인 수48,355투표율
60.40%
투표 수29,210
무효표 수723

2.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지환(尹智煥)8,0872위
31.43%낙선
2송상조(宋相祚)16,3851위
63.69%당선
4신지용(莘智勇)1,2513위
4.86%낙선
선거인 수50,179투표율
52.23%
투표 수26,211
무효표 수488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박흥식 시의원과 윤지환 중앙당 부대변인이 경선을 치렀는데, 예상 외로 윤지환 후보가 큰 격차로 승리하였다.

국민의힘에서는 이 지역구에서 3선을 역임한 권칠우 전 시의원이 4선에 도전한다는 전망이 있었으나 이 지역 당협위원장인 안병길 국회의원과의 껄끄러운 관계 때문인지 출마하지 않으면서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서대신동을 기반으로 3선을 지낸 송상조 구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이로 인해 컷오프당한 신지용 서구재향군인회 부회장은 무소속으로 출마하게 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송상조 후보가 더블 스코어로 넉넉한 승리를 거두었다. 관외사전투표에서는 윤지환 후보가 40%를 넘으며 격차가 12%p차밖에 나지 않았지만, 관내의 모든 동에서는 송상조 후보가 60% 이상을 득표하며 완승을 거뒀다.


[1]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2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2] 서구 제2선거구 (부용동, 부민동, 토성동, 아미1동, 아미2동, 초장동, 충무동)[3]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2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용동, 부민동)[4] 4회 지선 서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5]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2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6] 1998년에 부용동이 부민동에 통합되었다.[7]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8] 2006년에 서대신2동이 서대신1동에 통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