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군인체육대회

덤프버전 :

파일:EC7EAAE9-E48C-4A05-A042-2D602827DCC3.jpg
국제군인스포츠위원회의 깃발

1. 개요
2. 상세
3. 역대 개최지
3.1. 하계
3.2. 동계



1. 개요[편집]


Military World Games

세계군인체육대회는 말 그대로 군인들의 국제 체육대회로, 국제 군인스포츠위원회(Conseil International du Sport Militaire, CISM)이 주관하는 행사다.


2. 상세[편집]


4년마다 개최되며 첫 대회는 1995년 로마에서 열렸다. 2010년부터는 동계 대회도 열린다.

군인들의 행사 답게 독도법, 추적기술, 생존기술, 고공강하기술, 비행기술[1], 해양구조 등 군대의 기술도 종목에 포함되어 있다. 단, 어디까지나 '스포츠' 행사이므로 직접적인 전투기술이라기보다는 스포츠라 불릴 수 있는 것 중에서 전투 기술과 관련이 깊은 것들이 종목으로 채택되어 있는 것이다. 예컨대, 사격 등 병기를 운용하는 살상 목적의 기술은 군인올림픽 종목에 안 들어간다. 직접적인 전투 기술 경연은 각종 전술평가대회에서 이루어지며, 그러한 행사는 국제 군인스포츠위원회가 주관하지 않는다.

이른바 군인 올림픽이라 불리기는 하다만, 군인들도 일반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다.

2015년 제6회 세계군인체육대회가 경상북도 문경에서 열렸다. 종합 우승은 러시아가 차지했다. 문경시 측은 이 대회 개최권을 따내고 10조원 수익 설레발을 홍보하다가 욕만 퍼먹었다. 당연하지만 수익 여부에 대해서 문경은 입도 벙긋 못한다.

대한민국은 2019년까지 역대 하계대회에서 47개, 48개, 57개 따내 합계 순위에서 7위에 올라와 있다.

북한은 이 대회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기준 역대 하계대회 메달 합계 순위에서도 9위에 랭크되어 있다. (금 39개, 은 34개, 동 45개)

일본은 이 대회에 참가하지 않는다. 참가하고 싶어도 참가할 수 없다. 대회 참가 자격인 국제군인스포츠위원회(CISM)에 가입국이 아니며[2] 자국의 방위를 책임지는 자위대가 있지만 자위대는 군대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듯 하다. 2015년 문경 대회에서 참가 제안이 있었던 듯 하나 결국 참가하지 않았다.#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열린 7회 대회에서는 중거리 오리엔티어링 종목에서 중국 인민해방군이 미리 목표 지점을 표시하고 비밀리에 지름길을 준비하는 등 ‘광범위한 부정 행위’를 범해 실격 당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국가가 나서서 계획적인 부정 행위를 저지르다가 전세계적인 망신을 당한 상황. 또한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져나간 첫 번째 사례가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 #

근대 5종 변형 종목이 있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의 설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육군 5종: 소총사격, 장애물 달리기, 장애물 수영, 투척, 크로스컨트리. 투척은 수류탄 형태의 투척이다.
  • 해군 5종: 인명구조수영과 선박조종 등이 포함됨.
  • 공군 5종: 비행경기를 비롯해 사격, 수영, 펜싱, 장애물달리기, 오리엔티어링[3], 볼 다루기 등 사실상 7종 경기


3. 역대 개최지[편집]



3.1. 하계[편집]


하계 세계군인체육대회
회기연도개최국가개최도시개최기간참가국
11995년이탈리아로마9월 4일~16일93개국
21999년크로아티아자그레브8월 8일~17일80개국
32003년이탈리아카타니아12월 4일~11일81개국
42007년인도하이데라바드10월 14일~21일101개국
52011년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7월 15일~24일113개국
62015년대한민국문경10월 2일~11일110개국
72019년중국우한10월 18일~27일109개국
82023년콜롬비아보고타미정미정


3.2. 동계[편집]


동계 세계군인체육대회
회기연도개최국가개최도시개최기간참가국
12010년이탈리아발레다오스타3월 20일~25일43개국
22013년프랑스안시3월 24일~29일40개국
32017년러시아소치2월 24일~27일25개국
42022년[4]독일베르히테스가덴미정미정
42025년스위스베른미정미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2:17:00에 나무위키 세계군인체육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항공기를 직접 조종하는 것이 아니라, 조종은 조종사에게 맡기되, 참가자가 설정한 항법대로 비행해서 목표한 시간을 정확하게 맞추는 대결이다.[2] 가입국이 아니어도 참가는 가능하다.[3] 적 지역 한가운데에서 구조를 기다려야 할 수도 있는 공군 조종사에게는 필수 덕목이다.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항목을 참조할 것.[4] 원래는 2021년에 개최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하여 1년 연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