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구 제2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회선거구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망미동, 민락동
水營區 第二選擧區
Suyeong District 2
파일:수영구_제2선거구8.png
선거인 수72,031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수영구 일부
수영동, 망미1동, 망미2동, 민락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승연 (초선)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수영구의 북부 지역을 관할한다.

동부산인데다 부촌 지역이기까지 해[1] 국민의힘 지지세가 막강한 편이다. 특히 광안동에서의 그나마 있는 민주당세가 견제해주는 옆 지역구과 달리 여긴 그런 곳도 거의 없어서 보수세가 특히 더 강한 편이다. 다만 7회 지선 때는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하기도 했다.

유재중 전 국회의원이 잠깐동안 여기서 시의원을 하기도 했으며[2], 그 후임인 전봉민 전 시의원이 국회의원이 이 지역구에서 3선을 역임한 후 국회의원도 유재중 전 의원의 뒤를 이어서 당선되었다. 그리고 민선4~6기에 3연임을 한 박현욱 전 구청장도 여기서 재선 시의원을 지낸 바 있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수영구 제2,3선거구
제2대방광성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3]
서홍희[4]
수영구 제1선거구
제3대박현욱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5]
제4대2002년 7월 1일 ~ 2006년[6]
제5대유재중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08년 3월 20일[7]
전봉민2008년 6월 5일 ~ 2010년 6월 30일
제6대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7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8대곽동혁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4월[8]
제9대이승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망미1동, 망미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방광성(房光星)18,792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55.36%당선
2오원범(吳元範)7,9462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23.40%낙선
3김주권(金株權)7,2073위

[[무소속|
무소속
]]
21.23%낙선
선거인 수52,923투표율
66.73%
투표 수35,319
무효표 수1,347

수영구 제3선거구
광안1동, 광안3동, 민락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홍희(徐弘熙)14,258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54.88%당선
2강호상(姜鎬相)5,740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22.10%낙선
3최행석(崔幸錫)5,9802위

[[무소속|
무소속
]]
23.01%낙선
선거인 수40,516투표율
66.75%
투표 수27,045
무효표 수1,065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광안1동, 광안2동, 민락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현욱(朴賢煜)17,755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3.16%당선
4방광성(房光星)10,3522위

[[무소속|
무소속
]]
36.83%낙선
선거인 수65,699투표율
44.82%
투표 수29,449
무효표 수1,342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광안1동, 광안2동, 민락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박현욱(朴賢煜)-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광안1동, 광안2동, 민락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동석(梁東錫)5,075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15.92%낙선
2유재중(柳在仲)23,622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74.13%당선
4박광수(朴光守)3,166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9.93%낙선
선거인 수68,831투표율
47.09%
투표 수32,414
무효표 수551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망미1동, 망미2동, 민락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전봉민(田奉珉)19,7061위
61.49%당선
7전재길(全宰吉)12,3392위
38.50%낙선
선거인 수68,530투표율
48.38%
투표 수33,157
무효표 수1,112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광안1동, 광안2동, 민락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전봉민(田奉珉)24,0551위
65.05%당선
2이남중(李南中)12,9202위
34.94%낙선
선거인 수68,808투표율
55.16%
투표 수37,960
무효표 수985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광안1동, 광안2동, 민락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곽동혁(郭東赫)20,9951위
51.29%당선
2전봉민(田奉珉)19,9342위
48.70%낙선
선거인 수71,916투표율
58.65%
투표 수42,184
무효표 수1,255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망미1동, 망미2동, 민락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나견(李娜肩)10,7402위
30.82%낙선
2이승연(李承衍)24,1061위
69.17%당선
선거인 수72,031투표율
49.33%
투표 수35,535
무효표 수689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곽동혁 시의원이 수영구청장 출마를 위해 시의원직까지 사퇴하게 되면서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9] 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 비상임이사를 역임한 이나견[10] 시당 청년부위원장이 단수 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전봉민 전 시의원이 21대 총선 때 국회의원에 당선되며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12년 전옆 지역구에 출마했다 낙선한 적 있는 이승연 수영구체육회 이사를 단수공천했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이승연 후보가 더블 스코어를 상회하는 격차로 12년의 한을 풀었다. 동별로 보면 이승연 후보는 망미2동에서 68.85%, 망미1동 69.9%를 얻어 가장 낮은 득표율을 얻었는데 이조차도 더블 스코어차였고, 수영동민락동에서는 70% 이상을 득표했다. 그나마 관외사전투표에서는 60.2% : 39.8%로 평상시 양상처럼 비교적 더불어민주당에게 관내투표에 비해 더 많은 표를 주면서 이나견 후보 입장에서는 20%대로 떨어지는 굴욕만큼은 면했다. 물론 다른 지역 관외투표와 비교하자면 이조차도 월등히 격차가 큰 편이다.


[1] 특히 이 특성으로 인해 문재인 정부부동산 정책 실패의 유탄을 직격으로 맞으며 인접한 해운대구와 함께 보수세로 1,2등을 달리고 있다.[2] 구청장을 하기 전 지역구는 옆 지역구였다.[3] 수영구 제2선거구 (수영동, 망미1동, 망미2동)[4] 수영구 제3선거구 (광안1동, 광안3동, 민락동)[5] 수영동, 광안1동, 광안2동, 민락동[6] 4회 지선 수영구청장 보궐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7] 18대 총선 수영구 출마를 위해 사직.[8] 7회 지선 수영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9] 막상 박병염 후보가 단수공천을 받으며 컷오프 당했다. 이에 불복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5%도 못받고 낙선했다.[10] 당연히 같은 당 소속 전직 총리하고는 관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