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향교역

덤프버전 :

양천향교역
파일:Seoulmetro9_icon.svg
개화 방면
마곡나루
← 1.4 ㎞
9호선
(906)

[[중앙보훈병원역|

중앙보훈병원 방면
]]가 양
1.3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Yangcheon Hyanggyo
한자
陽川鄕校
간체자
阳川乡校
가나
陽川郷校(ヤンチョンヒャンギョ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지하341 (가양동 159-3)
운영 기관
9호선
서울시메트로9호선(주)
개업일
9호선
2009년 7월 24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사건사고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9호선 906번.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지하341 (가양동 159-3)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양천향교역1.jpg
역 안내도

파일:external/www.metro9.co.kr/subway6_con1.gif
역 구조도

역명의 유래는 이 역에서 10분 거리에 있는 양천향교 터이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는 이곳은 경기도 양천군의 중심지여서, 지금의 김포시, 고양시, 부천시와 같은 독자적인 행정구역이었다. 이곳이 1914년에 김포군에 통폐합되면서 양천군이라는 지명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구 양천군 땅이 1963년에 서울특별시로 편입되면서 양천군의 흔적은 서울로 온전히 흡수되었다. 이 양천향교 터는 서울시내에 유일하게 남은 향교 터이다.

2022년 7월 7일 강서구 도시관리계획 공고에 따르면 현 CJ부지의 대규모 개발에 따라 양천향교역 수요 및 특히 해당 부지와 가까운 4번 출구의 수요 급증이 예상되어 양천향교역 확장 공사를 실시한다. 스타필드 빌리지 건물과[1] 직접적으로 연결된 지하연결통로가 설치될 예정으로, 4번 출구 확장 공사를 통해 연결하는 지하통로를 만들지, CJ부지와 가까운 양천향교 동쪽[2]에 새로운 출구를 건설해 직접적으로 연결하는지 자세히 밝히지는 않았다.

역사 내에 강서 관광안내 가이드 센터가 있었으나, 2022년 1월 철거되었다.

전국의 모든 역 중에서 막차가 두 번째로 늦게 있는 역이다.[3] 평일 기준으로 마곡나루행 막차가 새벽 12시 58분에 있다.[4] 기존의 가양행 막차가 마곡나루역 수요 증가로 인하여 마곡나루행으로 연장하게 되어서 딱 1시에 가양역에서 종착하는 열차가 두 역을 더 지나기 때문이다. 2018년 12월에 3단계가 개통하기 전에는 조금 더 늦게 있었다. 이 당시에는 마곡나루행 막차가 무려 1시 2분에 통과했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신방화역과 마찬가지로 미개발 상태의 마곡과 개발이 끝난 지역 일대를 함께 둘러볼 수 있는 곳 중의 하나이다.

이 역 일대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가 바로 양천 허씨이다. 그래서인지 양천 허씨 중 잘 알려진 구암 허준의 기념관이 역 한 블록 거리에 있다. 구암공원과 한의학 학회 쪽으로도 갈 수 있지만 이들은 가양역이 좀 더 미묘하게 가깝다.

CJ E&M Studio가 이 역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방송스케쥴이 있다면 4번 출구를 이용하면 된다.

서울호서예술실용전문학교와 서울호서전문학교가 주변에 있어서 학교 재학생들이 자주 애용한다. 재학생들 사이서 양천향교역 이용자 중 머리색이 밝거나 옷을 튀게 입었다면 호서예전 실용무용예술계열 학생일 확률이 90%라는 우스갯소리도 들린다.

(재)FITI시험연구원이 이 역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관련 시험 의뢰를 할 일이 있다면 8번 출구를 이용하면 된다. 크고 아름다운 오피스텔이 떡하니 가로막고 있으니 초행자라면 주의해야 한다. 혼자 테라코타 도색인 건물을 찾으면 된다.

이 역에서 아래로 내려가면 수도권 전철 5호선 발산역을 볼 수있다. 거리도 750m 정도로 멀지 않은 편이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9_icon.svg
비고
2009년
8,153명
[5]
2010년
9,840명

2011년
10,736명

2012년
12,205명

2013년
13,191명

2014년
13,723명

2015년
14,027명

2016년
14,757명

2017년
15,647명

2018년
16,338명

2019년
17,448명

2020년
14,453명

2021년
15,472명

2022년
17,022명

출처

[1] 스타필드 빌리지 외 정식으로 정해진 건물 명칭이 없어 편의상 스타필드 빌리지 건물이라고 칭함.[2] 가양역 방향[3] 가장 늦은 역은 인천 도시철도 2호선왕길역이다. 여기는 1시 3분에 막차가 통과한다. 2018년 12월 이전의 마곡나루역 막차인 1시 2분과 겨우 1분 차이다.[4] 9호선 양천향교역 열차 시간표[5] 개통일인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전의 구 양천현 중심이었던 곳에 역이 있다. 서울특별시 강서구 소속이 된 지금도 서울의 외곽 지대로서 주로 서울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곳인데 역 서남쪽은 마곡지구 미개발지가 남아있는 등의 문제로 이용객이 많지는 않다. 2022년 기준 하루 평균 17,022명이 타고 내려, 마곡지구 건너편의 신방화역과 비슷한 수요를 보인다.

이 역의 경우 2009년에 개통된 이래로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개통 첫해에 8,153명을 시작으로 이용객을 꾸준히 늘려와 개통 3년 차인 2011년에 일평균 1만 명을 돌파하였고, 2013년까지 매해 1천 명 이상의 증가 폭을 보였다. 2015년 이후 유가 하락에 따른 전체적인 도시철도 이용객 감소에도 불구하고 이 역은 조금씩 승객이 늘면서 2017년에 이르러 하루 평균 15,000명 고지를 돌파하였다.

이 역을 이용하는 사람은 대부분 지역민들이지만, 4번 출구에 CJ E&M 스튜디오가 있어서 이곳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이 찾는 역이기도 하다.[6] 또한 7~8번 출구의 마곡지구 방향으로 오피스텔이 조성되고 있어 직장인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5. 승강장[편집]



파일:양천향교역 승강장.jpg

9호선 승강장

양천향교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마곡나루




가양



6. 사건사고[편집]


  • 2022년 4월 7일, 개화방면 승강장 에스컬레이터에서 휠체어가 추락해 탑승자가 사망한 사고가 발생했다.# 사망자는 인근에 엘리베이터가 있었으나 엘리베이터 폭이 휠체어 이용자가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을 정도로 좁아 에스컬레이터를 사용했다.
이 사고로 인해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서울시메트로9호선에 대해 수사가 이뤄졌으나 무혐의로 결론내려졌다. 관련 기사 역사내 엘리베이터의 법적 유효공간(엘리베이터 전면 1.5m × 1.5m 이상)의 기준이 되는 국토교통부 고시인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편의시설 설계 지침' 이 2008년 8월에 시행되었으나, 그보다 앞서 시공에 들어간 양천향교역에서는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입구 폭 약 104cm, 승강구 폭 약 90cm로 대부분의 전동 휠체어는 진입조차 불가능하며, 수동 휠체어도 숙련된 이용자만이 내리거나 타는 사람이 없는 경우에나 간신히 이용이 가능한 수준이어서 최초 설계 단계부터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가 없었다는 비판이 있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9:04:20에 나무위키 양천향교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6] 다만 엠 카운트다운 공방을 보려면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가야 한다. 이 역으로 왔다가는 길 잃는 수가 있다. 만약 이 역으로 왔다면 개화행 일반열차를 타고 다음 역인 마곡나루역에서 공항철도로 환승한 뒤 서울역행을 타고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