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일본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의과대학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대학 서열화/외국/일본


1. 개요
2. 상세
3. 목록



1. 개요[편집]


일본의과대학.


2. 상세[편집]


일본에는 총 82개의 의과대학이 있으며, 전체 정원은 2023년 기준 9,384명이다. 대학별 정원은 편차가 상당히 큰 한국과 달리 대체로 100명대 초반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어 있다[1]. 일본 내에서는 보통 '의학부(医学部)'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한국과 달리 의과대학만으로도 대학법인이 설립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2], 상당히 많은 의대 보유 대학의 이름이 '○○의과대학'의 형식이다.

일본은 1975년 의예과가 폐지되고 본과 6년제로 개편되었다. 다만, 도쿄대학에는 예과의 잔재로 이과3류라는 것이 남아 있다. 입시의 경우 중상위권 국공립 의대와 도쿄대학 이과 1류(이공계)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평가된다[3]. 최하위권 국립, 사립의대는 편차치 60 초~중반 정도며참조 도쿄대 이과 1, 2류(편차치 70 이상) 보다는 낮다.[4] 일본도 한국과 유사하게 입시에서 의대의 인기는 매우 높다.

의대 내에서는 아무래도 역사가 깊은 의대일수록 인기가 높고, 국공립 의대의 학비가 사립 의대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국공립 의대가 대체로 강세이다. 일본의 사립 의대는 6년간의 전체 학비가 평균 3,000만엔을 넘는 그야말로 살인적인 수준이어서, 카이세이 고등학교나 나다 고등학교(灘高等学校)와 같은 명문 진학교의 의대 진학자들조차 게이오기주쿠대학, 도쿄지케이카이의과대학, 준텐도대학, 니혼의과대학과 같은 최상위권 사립 의대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학비 문제로 인해 국립 의대로 진학한다[5].

국공립 의대가 학비가 싼 것이 장점이라면, 사립 의대의 장점으로는 국공립 의대에 비해 압도적으로 예산이 많기 때문에 시설이 매우 깨끗하며 역에서 가깝거나 하는 등 환경이 좋다는 점이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립 의대가 도쿄오사카의 중심가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방 소재 국공립 의대에 비해 졸업 후의 도심 소재 병원 취직에 있어서 유리한 것 또한 장점이다. 특히나 일본의 국공립대학 의학부는 대체로 느슨한 선후배관계라면, 사립의대는 선후배간 끈끈한 커넥션을 강조하다보니 졸업 후 취업을 감안해서 진학하는 경우도 있다.[6]. 이런 지역근무 문제는 졸업 후에도 임상진료과의 의국에 입국하는 것에도 큰영향을 미치게 된다. 주로 오래된 학교일수록 커버하는 병원이 많다 보니, 의국초년시절에는 짬에서 밀리기 때문에 도심에 위치한 병원에서 일하기가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국공립 의대 진학을 포기하고 사립 의대로 진학는 경우도 간혹 있고, 국공립의대를 졸업하고 사립의대 의국으로 입국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외로는 국공립대학의 장점으로 대부분 지역거점대학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연구시설이 사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충실하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추후 대학원 진학과 관련이 있다.[7]. 등록금이 비싼 사립 의대를 다니는 한국 유학생 중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으로 온 학생이 많다.

각 대학마다 외국인 전형인 사비유학생 모집전형[8]이 있는곳은 많은데[9], 각 국립대학이 공개한 전년도 입학결과를 보면[10] 합격자는 거의 전무하다[11]. 특이하게 의학부의 경우는 2명 모집에 1명 지원, 3명 모집에 3명 지원, 2명 모집에 0명 지원 이런 식으로 지원자가 저조한 경우가 많은데, 문제는 경쟁률이 '미달'이라고 적혀있어도 최종 합격을 안 시키는 경우가 태반이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험 고득점[12], 높은 어학점수[13], 일본어 실력이 좋아도 6년 넘게 합격자가 0명인 곳 많다. 국립대는 본고사 또는 소논문을 보는데, 이외에도 준비할 것도 많고 최하위권 국립대를 목표로 한다면 사실상 그냥 본고사로 들어가는게 더 쉽다. 일단 시험이나 면접을 잘봐도 합격한다는 보장이 없다. 교수들 입장에서도 정부의 정책으로 어쩔 수 없이 하는 거지, 본인들이 하고 싶어서 외국인을 뽑는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국립대는 정부의 지원을 받기에 학생을 덜 뽑아도 사립대에 비해 아쉬운 것이 없다. 국립대로는 도호쿠대학 의학부가 외국인이 합격한 사례가 있다.[14] 또한 지원율이 저조한 건, 외국인은 어차피 합격을 잘 안 시키는 것을 이미 알고 지원 안 한 것도 있다. 간혹 매년 1명씩 뽑히는 학교를 찾기가 더 어려울 지경. 이정도로 합격자가 없다보니, 일본인 교수들은 지원자의 실력이 매우 뛰어난 것이 아니라면, 외국인이 자국 내에서 의사로 활동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정도로 보이기도 한다. 실제로, 일본 의과대학 교수들이 말하는 사실 극비 회의 내용이 유출된 거지만 합격기준이라고 하면, 자대 의대에 본고사로 합격하는 일본인들의 평균적인 실력보다 더 높은 실력이 요구한다. 물론 최하위권 사립대 의대의 경우는 편차치도 낮고 사비유학생 요구사항도 별로 없어서[15] 국립대보다는 합격하기 쉽지만 워낙 등록금이 살인적이기에 일본에서는 부유한 집안의 자식들[16] 중에 공부좀 못하면 들어가는 이미지다.[17] 그렇기에 일본인들도 실력이 있어도 돈이 없다면 엄두도 못낸다. 이 경우 일본인이 한국 의대를 외국인 특별전형으로 입학하기도 한다.[18] 사실 국립, 상위권 사립대에 사비유학생으로 합격할 정도면 본고사로 들어온 일본인보다도 영어, 한자, 수학, 과학을 더 잘 할 가능성이 높다. 아무리 일본인이어도 장문의 소논문을 한자로 작성하는건 쉬운 것이 아니다.[19] 이 때문에, 이 정도 실력을 가진 외국인들은 대부분 자기 나라의 의대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합격자가 더 없기도 하다. 본고사는 한국의 논술과 비슷하며 문제는 과목당 보통 6개 내외고 난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합격자들의 평균 득점률은 6할 정도이다. 그리고 한자 때문에 합격자 중 대부분이 중국, 대만인이다. 게다가 일본은 본고사 제도를 유지하기에 입학 비리도 심하다. 2019년에 사립 명문대 도쿄의과대학에서 1인당 최대 3억씩 받고 부정입학시켜서 논란이 되었다. 점수를 조작해서 입학시켰다. 이 중 2명이 입학시험 합격 발표 전 학교 측과의 기부금 거래 사실이 크게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합격자 발표일 전에 돈 주면 합격, 안 주면 불합격(...) 정작 일본 정부는 대학 입학시험의 합격 발표 전에 수험생 측에 기부금을 모집 또는 약속을 금지하고 있다. 10개교가 입시비리로 최소 300명 이상의 수험생에게 불합격 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3. 목록[편집]


구분학교명설립년도도도부현시정촌구
국립도쿄대학1886도쿄도분쿄구
국립교토대학1899교토부교토시
국립규슈대학1911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국립도호쿠대학1915미야기현센다이시
국립홋카이도대학1919홋카이도삿포로시
국립오사카대학1919오사카부오사카시
국립나고야대학1920아이치현나고야시
사립게이오기주쿠대학1920도쿄도미나토구
공립교토부립의과대학1921교토부교토시
사립도쿄지케이카이의과대학1921도쿄도미나토구
국립니가타대학1922니가타현니가타시
국립오카야마대학1922오카야마현오카야마시
국립치바대학1923치바현치바시
국립가나자와대학1923이시카와현가나자와시
국립나가사키대학1923나가사키현나가사키시
사립니혼대학1925도쿄도이타바시구
국립구마모토대학1925구마모토현구마모토시
사립니혼의과대학1926도쿄도분쿄구
사립준텐도대학1946도쿄도분쿄구
국립도쿄의과치과대학1946도쿄도분쿄구
사립쇼와대학1946도쿄도시나가와구
사립도쿄의과대학1946도쿄도신주쿠구
사립오사카의과약과대학1946오사카부타카츠키시
사립구루메대학1946후쿠오카현구루메시
국립고베대학1947효고현고베시
사립이와테의과대학1947이와테현야하바초
사립간사이의과대학1947오사카부히라카타시
국립히로사키대학1948아오모리현히로사키시
국립군마대학1948군마현마에바시시
국립신슈대학1948나가노현마츠모토시
국립돗토리대학1948돗토리현돗토리시
국립도쿠시마대학1948도쿠시마현도쿠시마시
공립나고야시립대학1948아이치현나고야시
국립미에대학1948미에현츠시
공립오사카공립대학1948오사카부오사카시
공립나라현립의과대학1948나라현가시하라시
공립와카야마현립의과대학1948와카야마현와카야마시
국립히로시마대학1948히로시마현히가시히로시마시
공립요코하마시립대학1949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
국립야마구치대학1949야마구치현야마구치시
국립가고시마대학1949가고시마현가고시마시
공립삿포로의과대학1950홋카이도삿포로시
공립후쿠시마현립의과대학1950후쿠시마현후쿠시마시
국립기후대학1950기후현기후시
사립도쿄여자의과대학1950도쿄도신주쿠구
사립토호대학1950도쿄도오타구
국립아키타대학1970아키타현아키타시
사립교린대학1970도쿄도미타카시
사립키타사토대학1970도쿄도미나토구
사립가와사키의과대학1970오카야마현쿠라시키시
사립테이쿄대학1971도쿄도이타바시구
사립성마리안나의과대학1971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
사립아이치의과대학1971아이치현나가쿠테시
사립[20]자치의과대학1972도치기현시모츠케시
사립사이타마의과대학1972사이타마현모로야마마치
사립가나자와의과대학1972이시카와현우치나다마치
사립후지타의과대학1972아이치현도요아케시
사립효고의과대학1972효고현니시노미야시
사립후쿠오카대학1972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
국립방위의과대학교1973사이타마현도코로자와시
국립아사히카와의과대학1973홋카이도아사히카와시
국립야마가타대학1973야마가타현야마가타시
국립츠쿠바대학1973이바라키현츠쿠바시
국립에히메대학1973에히메현마츠야마시
사립돗쿄의과대학1973도치기현미부마치
국립하마마츠의과대학1974시즈오카현하마마츠시
국립시가의과대학1974시가현오츠시
국립미야자키대학1974미야자키현미야자키시
사립도카이대학1974도쿄도시부야구
사립킨다이대학1974오사카부히가시오사카시
국립도야마대학1975도야마현도야마시
국립시마네대학1975시마네현마츠에시
국립사가대학1976사가현사가시
국립오이타대학1976오이타현오이타시
국립고치대학1977고치현고치시
국립산업의과대학1978후쿠오카현기타큐슈시
국립후쿠이대학1978후쿠이현후쿠이시
국립야마나시대학1978야마나시현고후시
국립카가와대학1978가가와현타카마츠시
국립류큐대학1979오키나와현니시하라초
사립도호쿠의과약과대학[21]2016미야기현센다이시
사립국제의료복지대학[22]2017치바현나리타시

의과대학 설립시기를 살펴보면 큰 흐름이 보이는데 첫번째 그룹은 구 제국대학(도쿄, 교토, 규슈, 도호쿠, 홋카이도, 오사카, 나고야)으로 주로 초기 의사 양성을 담당하였다. 그 다음 그룹이 1919년 공포된 대학령에 따라 구 관립대학 및 의학전문학교(교토부립, 니가타, 오카야마, 치바, 가나자와, 나가사키, 구마모토)와 사립대학(게이오기주쿠, 도쿄지케이카이, 니혼의대)정도가 꼽힌다. 그 후로는 전쟁중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의학전문학교들이 전후 1945년부터 1950년까지 GHQ의 일본전후 개편과정에서 수많은 의과대학으로 개교하게 된다. 대표적인 예가 도쿄의과치과대학. 이 시기까지의 의학부 정원은 2,800명 정도였다. 그뒤로 의대가 존재하지 않는 무의대현에서 불만이 지속되며, 국민의료보험의 확립에 따라 의료 수요가 증대하여 1970년부터 의대설립이 개설되기 시작하고, 일본 열도 개조론을 내걸고 나온 다나카 총리의 '1현 1의대'를 통해서 1973년부터 15개의 학교가 순식간에 신설되는데, 1985년까지 의학부 정원이 약 8,300명 정도로 급격히 늘어나고 현재는 약 9,300명 정도이다.

지역으로 분류하면 확연하게 서고동저가 분명해진다. 1현 1의대 정책이 언뜻 평등하게 들리지만, 인구를 감안하지 않고 시행하여, 총인구 약 350만의 시고쿠 4현에는 의대가 각각 1개씩, 총 4개교 있지만, 인구 700만의 사이타마에는 군의료를 담당하는 방위의대만 있고, 인구 600만의 치바현도 치바의대만 존재한다. 결국 이런 경향은 인구당 10만명당 의사수 차이로 이어지는데, 지역별로 따져보면 시고쿠의 도쿠시마현은 329명으로 1위, 간사이의 교토부, 시고쿠의 고치현이 2, 3위인 반면에 사이타마현, 이바라키현, 치바현은 인구당 의사수가 적은 순서로 1, 2, 3위이다. 혹자는 이러한 차별에 대해서 정치적 음모론을 제기하는데, 메이지유신을 주도한 세력이 집권여당인 자민당 주류 세력으로 이어지면서 정치적 기반인 규슈시고쿠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본인들의 지지 지역에는 전리품처럼 의대를 개설시키고, 구 막부군의 기반이었던 도호쿠지역을 지속적으로 차별하고 있다고 하는데 믿거나 말거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22:56:36에 나무위키 의과대학/일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은 정원이 가장 적은 의대(성균관대, 울산대, 아주대, 가천대, 제주대, 을지대, 건국대, 단국대, 대구가톨릭대, 차의과대)가 40명, 가장 많은 의대(전북대)가 144명인 반면, 일본은 정원이 가장 적은 의대(요코하마시립대학)가 90명, 가장 많은 의대(국제의료복지대학)가 140명이다.[2] 사실 한국에도 과거에는 단설 의과대학만으로 대학법인이 설립된 사례가 일부 존재했다. 차의과학대학교의 개교 극초기 시절이었던 포천중문의과대학이나, 을지대학교로 통합되기 이전의 을지의과대학.# 그 이전에 인제대학교도 개교 극초기에는 단설 의과대학만으로 구성된 인제의과대학으로 출발하였다.#[3] 일본 주요 대학의 입시는 공통테스트과 본고사로 구성되고, 특히 난관대학(難関大学)이라고 평가받는 대학일수록 본고사의 비중이 크며, 대학마다 공통테스트와 본고사에서 요구하는 과목과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한국처럼 수능이라는 하나의 잣대로 입시 난이도를 평가하기는 힘들다.[4] 편차치 60 초중반이면 도쿄대를 제외한 구제국대도 가능한 점수이므로 높은 점수이다.[5] 앞서 말한 최상위권 사립 의대와 국립 의대를 동시에 합격한 경우에는 최상위권 사립 의대로 진학하는 경우도 많다. 실제 국립 의대 합격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통계에서도, 캠퍼스 위치나 학교 시설 등을 고려했을 때 학비 문제가 전혀 없었다면 위의 최상위권 사립 의대에 진학하고자 하는 수험생이 다수 있었다고 한다.[6] 이는 수도권에 위치한 국공립 의대에 가면 해결되는 문제이지만, 지방에 있는 국공립 의대 졸업자를 지방에서 근무하게 하려고 하는 일본 정부의 정책상, 뼈아픈 문제이다. 사실 어느 나라나 의사들이 대도시 지역을 선호하기에, 지방 필수인력 부족과 같은 현상은 공통적인 현상이다. 현재 일본에서는 각 지역 전공의 T/O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지역간 불균형을 개선하려고 한다.[7] 물론 이것은 상기된 최상위권 사립 의대에는 해당사항이 없다.[8] 일종(일본어+종합점수), 도일전(입학 전에 일본 안 가고 한국에서 합격가능), 도일후(입학전에 일본에 가서 시험봐야한다.)[9] 물론 모집 안하는 곳도 있다.[10] 사립대학은 대부분 공개를 안 하고 있다.[11] 이 때문에 일본 유학생들 사이에서 "일본 의대는 안 뽑는다"는 소문이 도는 정도이다.[12] EJU만점 정도, 본고사 또는 소논문[13] 대부분 토플 ibt 기준 100점 정도. 간혹 토익을 인정하는 곳도 있다.[14] 여긴 구제국대학이라 쉽지 않다.[15] 본고사나 소논문, 영어성적 요구 안 하는 곳도 있다.[16] 상당수는 부모가 의사인 경우다.[17] 물론 최상위권 사립 의대는 별개이다. 웬만한 국립대보다 들어가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18] 한국 의대 외국인 특별전형은 전국적으로 보면 미달도 많고 면접에서 미친 짓만 안하면 보통 합격 시켜준다. 요구하는 것도 기본적인 한국어 외에 거의 없다. 심지어 일본인이 한국의대 졸업후 일본으로 가면 예비시험도 면제다! 등록금과 외식 물가는 다른 나라에 비하면 저렴한 편이나, 면접도 기본적인 의사소통만 되어도 별 문제는 없다. 학생회에서 전학생들을 대상으로 족보를 배포하기에 졸업도 쉽다. 한국대학 자체가 합격만 하면 붙이는 경향이 있다. 한국 의대 외국인 특별전형은 솔직히 별로 인기가 없다. 전세계에서 외국인 입장에서 볼때 한국만 쓰는 언어고 사실상 등록금만 주면 입학하는 의대는 한국 말고도 영어권 국가, 유럽, 중앙아시아 등을 찾아보면 정말 널렸다. 문제는 들어가긴 쉬어도 졸업은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한자문화권인 중국, 대만, 일본인, 한국계 미국인 등이 많은 편.[19] 일본인 중 연륜있는 사람들도 한자를 읽긴 하지만 획수가 많은 한자를 손으로 써내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는 일본 TV프로그램에서 한자쓰기로 자주 나온다. 또한 미국인 20세가 알고 있는 평균 어휘 숫자는 42,000개 정도이나, 60대가 되면 60,000개로 증가한다.[20] 명목상은 사립이지만, 일본 총무성과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출자하여 설립하였기 때문에 사실상 공립이다.[21] 30년을 넘게 이어진 의학부 신설 금지 원칙을 깨고, 동일본 대지진의 피해를 입은 도호쿠의 부흥과 의사 부족 대응을 위해 기존의 도호쿠약과대학에 의학부를 신설하는 방식으로 설립되었다. 의학부 설립 후 학교 이름을 도호쿠의과약과대학으로 변경하였다.[22] 아베 신조 내각의 정책 중 하나인 '국가전략특별구역'에 따라 설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