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도

덤프버전 :

이종도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1982 KBO 리그 베스트 10

}}} ||
[ 펼치기 · 접기 ]
1982~198319841985~198619871988~1993
이종도
이해창김재박이광은?
1994~19971998199920002001
노찬엽
김동수
송유석김선진양준혁
20022003200420052006
서용빈유지현
이상훈이병규조인성서용빈
2007~200820092010~20112012~20132014~2015
이종열조인성박용택이병규이진영
2016~201720182019~20212022~
류제국박용택김현수오지환
{{{-2 김민성 (임시 주장)
김현수 (임시 주장)}}}



}}}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15326f><rowcolor=#c0281f> 1982 ||<width=20%> 1983 ||<width=20%> 1984 ||<width=20%> 1985 ||<width=20%> 1986~1987 || || [[김우열]][br][[1982년 한국시리즈|{{{#c8ab37,#c8ab37 ★}}}]] || [[윤동균]] || [[이홍범]] || [[이홍범]][br]^^[[이종도]](임시 주장)^^ || [[이종도]] || ||<rowbgcolor=#15326f><rowcolor=#c0281f> 1988~1990 || 1991 || 1992~1993 || 1994 || 1995~1997 || || [[김광수(1959)|김광수]] || [[김형석(야구)|김형석]] || [[김광림(야구)|김광림]] || [[김상호(1965)|김상호]] || [[이명수(1966)|이명수]][br][[1995년 한국시리즈|{{{#c8ab37,#c8ab37 ★}}}]] || ||<rowbgcolor=#151b54><rowcolor=#ffd700> 1998~2000 || 2001~2002 || 2003 || 2004 || 2005 || || [[김태형(1967)|김태형]][br][[2000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안경현]][br][[2001년 한국시리즈|{{{#c8ab37,#c8ab37 ★}}}]] || [[김민호(1969)|김민호]] || [[안경현]] || [[김동주(타자)|김동주]][br][[2005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bgcolor=#151b54> {{{#ffd700 2006~2007}}} ||<bgcolor=#151b54> {{{#ffd700 2008~2009}}} ||<rowbgcolor=#131230><rowcolor=#ffffff> 2010~2011 || 2012 || 2013~2014 || || [[홍성흔]][br][[2007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김동주(타자)|김동주]][br][[2008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손시헌]] || [[임재철]] → [[이종욱]] || [[홍성흔]][br][[2013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rowbgcolor=#131230><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2019 || 2020 || || [[오재원]][br][[2015년 한국시리즈|{{{#c8ab37,#c8ab37 ★}}}]] || [[김재호]][br][[2016년 한국시리즈|{{{#c8ab37,#c8ab37 ★}}}]] || [[김재호]][br]^^[[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임시 주장)^^[br]^^[[오재원]](임시 주장)^^[br][[2017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오재원]][br][[2018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2019년 한국시리즈|{{{#c8ab37,#c8ab37 ★}}}]] || [[오재원]][br]^^[[오재일]](임시 주장)^^[br][[2020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rowbgcolor=#131230><rowcolor=#ffffff> 2021 || 2022 || 2023 || 2024~ || || || [[오재원]][br]^^[[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임시 주장)^^[br][[2021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 || [[허경민]] ||<bgcolor=#e0ffdb,#073300> [[양석환]] || ||



{{{#ffff00 [[MBC 청룡|MBC 청룡]] 등번호 5번}}}
팀 창단이종도
(1982~1984)
최홍석
(1985~1988)
{{{#ffffff [[OB 베어스|OB 베어스]] 등번호 2번}}}
김진홍
(1982~1984)
이종도
(1985~1987)
송명철
(1989~1990)
{{{#ff9933 [[태평양 돌핀스|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84번}}}
결번이종도
(1989~1991)
최호근
(1996)
LG 트윈스 등번호 73번
우용득
(1989)
이종도
(1992~1993)
민동근
(1996)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72번}}}
고승훈
(1991)
이종도
(1996~1999)
팀 해체

파일:/image/025/2014/08/20/htm_2014082014505561006011_99_20140823112602.jpg
이종도
李鍾道 | Lee Jong-Do
출생1952년 5월 22일 (72세)
충청북도 음성군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동대문중학교 (졸업)
중앙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학 70 / 학사)
포지션우익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82년 MBC 청룡 창단멤버
소속팀제일은행 야구단 (1974~1981)[1]
MBC 청룡 (1982~1984)
OB 베어스 (1985~1987)
지도자태평양 돌핀스 코치 (1989~1991)
LG 트윈스 1군 수석코치 (1992~1993)
쌍방울 레이더스 1군 수석코치 (1996~1999)[2]
쌍방울 레이더스 2군 감독 (1999)[3]
고려대학교 야구부 감독 (2000~2006)
유신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0)
서울 해치 수석코치 (2011)
설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2~2017)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코치 (2002)
해설위원MBC 야구 해설위원 (1988)
KBS 라디오 야구 해설위원 (1994~1995)
KBS N SPORTS 야구 해설위원 (2007)
Xports 야구 해설위원 (2008~2009)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4. 연도별 주요 성적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이종도_B.png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지도자, 해설가.


2. 선수 경력[편집]


동대문중학교, 중앙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70학번)를 졸업하고 제일은행 야구단에서 주로 우익수를 맡아보며 선수 생활을 했다.

파일:이종도_D.png
파일:이종도_C.png

파일:이종도_A.png

히스토리 01 개막전 만루홈런의 주인공 '이종도'
1982년 한국프로야구가 출범하면서 MBC 청룡 창단 멤버로 프로에 입문했고, 팀의 첫 주장이 되었다. 그해 3월 27일 서울운동장 야구장(동대문야구장의 당시 명칭)에서 열린 삼성 라이온즈 와의 KBO 리그 원년 출범 개막전에 6번 타자에 좌익수로 선발 출장, 연장 10회말 2사 만루 상황에서 이선희의 3구를 끝내기 만루홈런으로 장식하며 한국 프로야구 역사의 시작을 화려하게 장식했다.[4]

당시 개막전 만루홈런 동영상.[5]

이종도는 이날 개막전에서 MBC 청룡-LG 트윈스 프랜차이즈 역사상 리그 1호 안타도 기록했다.

파일:1982년 올스타전 2차전에 출전한 이종도.png
1982년 올스타전 2차전이 열린 광주 무등야구장에서 서군으로 출전한 이종도.

이종도는 그해 타율 0.324, 11홈런, 48타점을 남기며 MBC의 중심타자로 좋은 활약을 보였다.

이후 이종도는 1984년 까지 MBC 선수로 뛰다 1985년 OB 베어스로 이적하여 1987년까지 현역으로 뛰었다. 프로 통산 성적은 6시즌 482경기 344안타, 타율 0.268, 28홈런, 176타점, 50도루.

여담으로 MBC-LG, OB-두산 구단 역사를 통틀어서 두 팀에서 모두 주장을 역임한 최초의 선수다.

3. 지도자 경력[편집]


1988년 MBC 야구해설위원을 거쳐 1989년 태평양 돌핀스 코치를 맡으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고, LG 트윈스(1992~93)[6] 쌍방울 레이더스(1996~99) 코치를 거쳐 2000년 모교인 고려대 감독에 임명되어 2006년까지 감독직을 수행하였는데[7] 1994 ~ 1995년까지 KBS 라디오 해설을 역임하기도 했다.

2007년부터는 KBS N SPORTS 해설위원으로 프로야구계에 복귀하여, 팬들의 기대에 한참 못 미치는 해설[8]로 야구팬들의 빈축을 사다 1년만에 그만두었다. 2008~09년엔 엑스포츠 해설가로 이직했지만, 여전히 수준 미달이라는 지적을 받으면서 해설가 경력을 초라하게 끝냈다.

2010년 11월 담관암 진단을 받았으나 다행히 초기에 발견하여 수술로 제거, 현재 생명엔 지장이 없다고 한다.[9]

2011년 일본 간사이 독립리그 서울 해치[10]의 코치로 임명되었으나 소속 선수들 다수가 고양 원더스로 빠져 나가며 팀이 활동 중단 상태에 놓이자 코치직을 그만 두고 귀국, 설악고등학교 감독으로 자리를 옮겨 2017년까지 재직했다. 2015년 일본에서 열린 세계 청소년 야구선수권 대회의 한국 대표팀 감독을 맡아 3위의 성적을 올렸다.


4. 연도별 주요 성적[편집]


  • 진한 표시는 리그 5위 내 기록.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삼진장타율출루율OPS
1982MBC78287.32493
(5위)
151114852
(4위)
213651.498.395.893
198398341.29610125286250164242.452.370.821
198459145.17926703131402427.290.292.582
연도소속팀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삼진장타율출루율OPS
1985OB105282.270761434353433439.383.344.727
19866999.212214006108227.253.355.608
198773130.20827402121421621.285.295.579
KBO 통산
(6시즌)
4821284.2683446962817617450174187.396.352.748

5. 관련 문서[편집]


[1] 1975~1977년까지 군 복무.[2] ~7월 15일[3] 7월 16일~[4] 그 날 이종도는 개막전 수훈선수로 뽑히며 오토바이를 부상으로 받았다.[5] 고화질로 보고 싶다면이쪽으로.[6] 그 동안 LG 트윈스의 유니폼을 입었던 선수들 중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갈 개막장 선수였던 윤찬 덕분에 1993년 시즌 후에 잘렸는데, 삼성 라이온즈와의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의 윤찬의 어처구니 없는 본헤드 플레이로 인한 주루사 당시의 3루코치가 그였기 때문이다. 하필이면 그 경기를 구본무 회장이 직관했었고, 그 어이 없는 플레이에 분노한 구본무 회장이 프런트에 그의 해임을 직접 지시했다고 한다. 물론 그 상황은 전적으로 윤찬의 잘못이었기 때문에 이종도만 결국 윤찬 덕분에 억울하게 잘린 것이다.[7] 2003학번 입학예정자였던 구본원(안산공고)이 숙소 헬스장에서 자살하는 사건이 있었다. 고려대 야구부는 군대 못지않은 군기로 악명이 높았고 양승호가 감독으로 취임하여 구타를 대화로 바꾸는데 2년이나 걸렸다고 할 정도였다.[8] 심지어 고려대 감독 시절 직접 제자로 데리고 있었던 박용택 이나 정근우 같은 선수들에 대해서도 그들이 어떤 유형의 선수인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내 이를 지켜보던 팬들의 비난세례를 받았다.[9] 담관암이 초기에 발견되는 경우는 지극히 드물다. 굉장히 운이 좋았던 셈. 오죽하면 이종도를 진찰한 의사가 "평소에 좋은 일만 하고 사셨나보죠?" 라며 그의 행운에 감탄했다는 말도 있다.[10] 2009년 코리아 해치로 출범하였으나 자금 부족으로 파탄나는 바람에 서울특별시가 후원자로 나서며 2011년 4월부터 다시 리그에 참여하게 되었지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0:28:26에 나무위키 이종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