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국회의원 선거/후보자/더불어민주연합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후보자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후보자/더불어시민당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펼치기 · 접기 ]
사전투표일 : KST 2024년 4월 5일 ~ 6일 (매일 6시 ~ 18시)
투표일 : KST 2024년 4월 10일 6시 ~ 18시
진행
선거제도 개편 논의 · 선거구 획정 · 여론조사
후보군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1. 개요
2. 후보 추천 과정
3. 비례대표
3.1. 최종 후보
3.2. 공천 신청 후보
3.2.1. 시민사회 (4명)



1. 개요[편집]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연합 후보자 추천 과정과 결과를 다룬 문서.


2. 후보 추천 과정[편집]


연합 정당을 추진하는 더불어민주당진보당, 새진보연합, 그리고 시민사회 인사들이 모인 '정치개혁과 연합정치를 위한 시민회의'[1]는 비례대표와 관련 참여 정당들 간의 후보자 추천수와 순번 배치 방식 등에 대해 합의했다.
비례대표 후보 총 30명 중 진보당과 새진보연합에 각 3명을, 연합정치시민회의가 공개 오디션 방식으로 결정한 국민추천후보에 4명을 배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진보당과 새진보연합은 각각 3명씩 총 6명을 추천하며, 시민사회 인사들이 모인 연합정치시민회의는 '국민후보' 공모와 심사 절차를 밟아 4명을 추천한다.
새진보연합 비례대표 후보자 추천 명부가 공개됐다. 진보당 비례후보 선출선거 개표 결과가 공개됐다.
시민사회(연합정치시민회의) 몫 비례대표 후보 지원자 44명 중 공개 오디션에 참여할 비례대표 국민추천 후보 12명을 공개했다. #
더불어민주연합 국민후보 추천 심사위원회 홈페이지
시민사회(연합정치시민회의) 몫 비례대표 국민후보 선출을 위한 최종 오디션을 3월 10일 실시하였고, 최종 4명의 후보가 결정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총선상황실장이 더불어민주연합에 시민사회 추천 국민후보 4명의 재검토를 요청했다.

3. 비례대표[편집]



3.1. 최종 후보[편집]


  • 각 후보자의 추천주체는 다음과 같다. 선거 연합에 참여하는 각 주체가 후보자 추천 과정을 거친 각 분야별 최종 후보자를 더불어민주연합에 추천 의뢰하면 이들의 비례대표 순번이 정해진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9em"
시민사회}}}는 연합정치시민회의 추천 후보.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52484; font-size: .9em"
더불어민주당}}}은 더불어민주당 추천 후보.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6001C; font-size: .9em"
진보당}}}은 진보당 추천 후보.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D2C3 ; font-size: .9em"
새진보연합}}}은 새진보연합 추천 후보.
  • 시민사회 후보를 1번으로 우선배치하고, 당선 안정권으로 판단되는 상위 20번 안에 진보당 후보 3인, 새진보연합 후보 3인, 시민사회 후보 4인을 배치한다는 원칙으로 합의했다.
[1] 약칭 '연합정치시민회의'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후보 최종 추천순위
순번
후보자약력
추천주체
비고
1 전지예금융정의연대 운영위원
시민사회
2
3
4
5
6 장진숙전 진보당 공동대표
7
8
9 전종덕전 민주노총 사무총장
10
11
12 김윤서울대 의료관리학교실 교수
시민사회
13
14
15 손솔전 진보당 수석대변인
16
17 정영이전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사무총장
시민사회
18
19
20 임태훈전 군인권센터 소장
시민사회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순위
승계
예비자

3.2. 공천 신청 후보[편집]



3.2.1. 시민사회 (4명)[편집]


연합정치시민회의 공개오디션 선정 후보 #
여성
[ 펼치기 · 접기 ]
서미화 전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
서정란 전 전국농민회총연맹 장흥군농민회 사무국장
이주희 변호사
전지예 금융정의연대 운영위원
정영이 전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사무총장
정혜선 가톨릭대 보건대학원 교수
남성
[ 펼치기 · 접기 ]
고영재 인디플러그 대표
김영훈 전 민주노총 위원장
김윤 서울대 의료관리학교실 교수
김형수 장애인학생지원네트워크 총장
박창진 바른선거시민모임중앙회 회장
임태훈 전 군인권센터 소장

연합정치시민회의 국민후보 심사 결과
여성
[ 펼치기 · 접기 ]
후보심사위원단 점수국민심사단 점수문자투표 점수합계
전지예5061773
(1위)
정영이40122072
(2위)
낙선자의 점수는 공개하지 않음.
남성
[ 펼치기 · 접기 ]
후보심사위원단 점수국민심사단 점수문자투표 점수합계
김윤503020100
(1위)
임태훈40122072
(2위)
낙선자의 점수는 공개하지 않음.

3.2.2. 더불어민주당 (20석)[편집]


총 192명이 신청했다.
더불어민주당 측 비례대표 공천신청 후보
여성
[ 펼치기 · 접기 ]
곽은미 전 민주당 국제국장
김기현 전 민주당 경북도당 청년위원장
박영선 민생경제연구소 언론위원장
백승아 초등교사노조 수석부위원장
백혜숙 전 민주당 전국농어민위원회 부위원장
안선영 전 대전 중구의원
오세희 전 소상공인연합회 회장
윤명화 서울시교육청 학생인권위원장
임미애 전 민주당 경북도당위원장
이현주 전 민주당 중앙당후원회 부회장
전예현 전 한국여성수련원장
정종숙 전 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황귀주 전 민주당 대구시당 장애인위원장
남성
[ 펼치기 · 접기 ]
권영세 전 민주당 다문화위원회 부위원장
김상민 전 민주당 전국농어민위원회 부위원장
김용락 전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장
김재용 변호사
김환균 전 언론노조 위원장
류종원 전 민주당 전국소상공인위원회 부위원장
마재광 전 민주당 전국청년위원회 사회보장연구위원장
박홍배 전 민주당 전국노동위원장
백현빈 전 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회 운영위원
서승만 전 더민주전국혁신회의 공동대표
서재헌 전 민주당 대구시당 청년위원장
서필상 전 농협노조 위원장
위성락 전 주러시아 대사
이승천 전 민주당 대구시당위원장
이영수 전 민주당 전국농어민위원회 부위원장
이현택 전 민주당 전남도당 청년위원장
정우식 전 한국태양광산업협회 부회장
전재문 기본사회 부이사장
정을호 전 민주당 총무조정국장
조원희 전 민주당 전국농어민위원회 부위원장
최기일 전 청와대 행정관
최창열 전 거창축협 조합장
한진희 전 민주당 국민소통위원회 부위원장
허권 전 한국노총 상임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전략지역 권리당원투표 결과
여성
[ 펼치기 · 접기 ]
시도당후보순위
대구황귀주사퇴[1]
대구김기현2위
경북임미애1위
[1] 장애인 분야 공천으로 선회하며 사퇴했다.
남성
[ 펼치기 · 접기 ]
시도당후보순위
대구이승천2위
경북조원희1위

더불어민주당 분야별 공천
분야후보자순번
여성·복지·장애인
외교·국방
전략지역[2]임미애 전 민주당 경북도당위원장
조원희 전 민주당 전국농어민위원회 부위원장
사무직
당직자
[3]
곽은미 전 민주당 국제국장
정을호 전 민주당 총무조정국장
노동[4]박홍배 전 민주당 전국노동위원장
교육[5]백승아 초등교사노조 수석부위원장
경제[6]
사회[7]


3.2.3. 진보당 (3명)[편집]


진보당 비례대표 후보자 선출 과정 #
[ 펼치기 · 접기 ]
* 선출 방법
* 11월 13일 및 그 이전에 가입한 권리당원을 선거인으로 하여 온라인(모바일)투표로 선출.
* 1인 1표 단일명부로 선출. 다득표순에 따르나 여성 홀수 순번 원칙을 반영하여 최종 순번을 배정.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결정과 각 선본의 동의로 비례후보 선출선거 득표율은 비공개 처리하고, 득표 순위만 공개함.
* 일정
* 선거인명부 작성기준일: 2월 14일
* 선거공고: 2월 15일
* 선거인명부 작성: 2월 16일 ~ 17일
* 명부열람 및 이의신청: 2월 18일 ~ 20일
* 선거인명부 확정: 2월 21일
* 후보등록: 2월 22일 ~ 23일
* 선거운동: 2월 24일 ~ 29일
* 투표: 3월 1일 ~ 5일
* 개표 및 발표: 3월 5일

진보당 비례후보 선출선거 등록 후보
여성
[ 펼치기 · 접기 ]
손솔 진보당 수석대변인
장진숙 진보당 공동대표
전종덕 전 민주노총 사무총장
남성
[ 펼치기 · 접기 ]
정태흥 진보당 공동대표

진보당 비례후보 선출선거 결과 #
[ 펼치기 · 접기 ]
기호후보자득표 순위비고
1손솔3위
2전종덕2위
3정태흥4위
4장진숙1위
* 선거인 수: 41,665명
* 투표수(투표율): 33,338명(80.01%)


3.2.4. 새진보연합 (3명)[편집]


새진보연합 비례대표 후보자 선출 과정 #
[ 펼치기 · 접기 ]
* 후보자 명부 구성 방법
* 당무위원회 추천의 심사단이 무제한 숙의토론을 통해 만장일치로 결정.[1]
* 후보자 선출 방법
* 전국대의원대회에서 명부에 대한 찬반 표결
* 일정
* 후보자 등록: 2월 28일 ~ 29일
* 면접심사 · 숙의토론: 3월 1일 ~ 2일
* 당무위원회 후보자 심의: 3월 8일
* 대의원대회 후보자 결정: 3월 9일
[1] 단, 만장일치가 불가능할 경우 심사단 2/3 이상의 동의를 받는 후보자가 나올 때까지 토론 및 표결을 반복하여 후보자 명부를 구성함.

새진보연합 비례대표 후보자 추천 명부 #
[ 펼치기 · 접기 ]
시도당후보자비고
경기용혜인 새진보연합 상임대표[1]
-한창민 사회민주당 공동대표[2]
강원최혁진 전 청와대 사회적경제비서관[3]
[1] 기본소득당 구성 명부.[2] 열린민주당-사회민주당 공동 구성 명부.[3] 새진보연합 영입인재. 시민사회 구성 명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2 02:32:54에 나무위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후보자/더불어민주연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2] 대구·경북 지역 권리당원 투표로 선출된다. 여성 후보는 당선 안정권에, 남성 후보는 예비 우선권에 배치된다.[3] 남성 7인과 여성 2인이 입후보하였으며, 더불어민주당 사무직당직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투표를 실시하여 남성 상위 득표자 1명과 여성 상위 득표자 1명을 선출했다.[4]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추천[5] 교사노동조합연맹 추천[6] 경제, 민생, 산업, 조세, 농축산, 기후에너지 등[7] 보건, 복지, 안전, 문화, 재외동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