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2대 국회의원 선거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선거와 같이 실시될 예정인 재보궐선거에 대한 내용은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문서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번 문단을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
최근선거
다음선거
대통령 선거
19대
2017년 5월 9일
20대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대 · 2대 · 3대 · 3.15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국회의원 선거
21대
2020년 4월 15일
22대
2024년 4월 10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제헌 · 2대 · 3대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21대 · 22대

전국동시지방선거
7회
2018년 6월 13일
8회
2022년 6월 1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재보궐선거
2021년
2021년 4월 7일
2022년 1분기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2대 부선* · 1993 · 1994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2012( · ) · 2013( · ) · 2014( · ) · 2015( · ) · 2016 · 2017(4월 · 5월)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3월 · 6월)

국민투표**
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능***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제2대 부통령 선거는 대통령 선거와 병행하지 않고 이시영 부통령의 사임에 의해 별도로 시행한 보궐선거이므로 편의상 보궐선거로 분류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국회에서 추가적인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함.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펼치기 · 접기 ]
사전투표일 : KST 2024년 4월 5일 ~ 6일 (매일 6시 ~ 18시)
투표일 : KST 2024년 4월 10일 6시 ~ 18시

진행
선거제도 개편 논의 · 선거구 획정 · 여론조사
후보군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본투표일

개표 진행중
18:00~

21대 총선
22대 총선

23대 총선

투표율
집계 중
선거 결과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총합
비율

?석
-
-
?석
국민의힘
국민의미래

?석
-
-
?석

1. 개요
2. 선거 이전
3. 선거 진행
3.1. 선거 일정
3.2. 참여 정당 및 기호
3.3. 후보자
3.4. 선거 운동
3.4.3. 선거 연설
3.4.4. 선거 토론
3.5. 선거 방송
4. 출구조사 및 예측조사
4.2. 예측조사
5. 투표율
5.1. 부재자 투표율
5.2. 사전 투표율
5.3. 투표율
5.4. 지역별 투표율
5.5. 성별-연령대별 투표율
6. 개표 결과
6.1.1. 정당별 지역구 득표율
6.5. 초접전 지역구
6.6. 당선인 통계
8. 여담
8.1. 기록
8.2. 기타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참여[1]
2024년 4월 10일에 실시될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와 동시에 시행된다. 2006년 4월 11일생까지[2], 18세 이상대한민국 국민에게 선거권피선거권이 주어진다.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후 대략 2년 만에 실시되어, 윤석열 정부 후반 국정을 좌우한 중간선거 격 선거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2주년이 되기 딱 1달 전에 실시된 선거로서 향후 국정 동력을 결정한 선거다. 또한 거대 양당의 당수인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정치적 위상에 큰 영향을 준 선거이다.


2. 선거 이전[편집]



2.1. 주요 변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주요 변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주요 상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주요 상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선거제 개편 논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국회 선거제 개편 논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4. 선거구 획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획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5. 선거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6. 여론조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여론조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선거 진행[편집]



3.1. 선거 일정[편집]


날짜
실시 사항
기준일
2023년 11월 10일까지
인구수 등의 통보
인구의 기준일 후 15일까지
2023년 12월 2일까지
선거비용제한액 공고·통지
예비후보자등록개시일 전 10일까지
예비후보자홍보물 발송수량 공고
2023년 12월 12일까지
현직 지방자치단체장이 선거구역이 자치단체 관할 구역과 같거나 겹치는 지역구에 입후보하고자 하는 때 그 직의 사직
선거일 전 120일까지
2023년 12월 12일부터
예비후보자 등록
선거일 전 120일부터
2024년 1월 11일까지
각급선관위 위원, 향토예비군 중대장이상의 간부, 주민자치위원, 통·리·반의 장이 선거사무 관계자 등이 되고자 하는 때 그 직의 사직
선거일 전 90일까지
입후보제한을 받는 자의 사직
2024년 1월 11일 ~ 4월 10일
의정활동 보고 금지
선거일 전 90일부터 선거일까지
2024년 2월 10일 ~ 4월 10일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금지
선거일 전 60일부터 선거일까지
2024년 3월 19일 ~ 3월 23일
선거인명부 작성
선거일 전 22일부터 5일 이내
거소·선상투표자신고
거소·선상투표자신고인명부 작성
군인 등 선거공보 발송신청
2024년 3월 21일 ~ 3월 22일
(매일 오전 9시 - 오후 6시)
후보자등록 신청
선거일 전 20일부터 2일간
2024년 3월 27일까지
선거벽보 제출
후보자등록마감일 후 5일까지
2024년 3월 27일 ~ 4월 1일
재외 투표
선거일 전 14일부터 9일까지의 기간 중 6일 이내
2024년 3월 28일
선거기간개시일
후보자등록마감일 후 6일
2024년 3월 29일까지
선거공보 제출
후보자등록마감일 후 7일까지
선거벽보 첩부
제출마감일 후 2일까지
2024년 3월 29일
선거인명부 확정
선거일 전 12일
2024년 3월 31일까지
거소투표용지 발송
(선거공보, 안내문 동봉)
선거일 전 10일까지
투표안내문(선거공보 동봉) 발송
선거인명부확정일 후 2일까지
2024년 4월 2일 ~ 4월 5일
선상투표
선거일 전 8일부터 5일까지의 기간 중 선장이 정한 일시
2024년 4월 5일 ~ 4월 6일
(매일 오전 6시 - 오후 6시)
사전투표
선거일 전 5일부터 2일간
2024년 4월 10일
(오전 6시 - 오후 6시)
투표
선거일
개표
(투표 종료 후 즉시)


3.2. 참여 정당 및 기호[편집]


최종 선거기호는 후보자 등록 마감일인 2024년 3월 22일 기준 각 당의 의석 수를 바탕으로 확정된다.
  • 지역구 의석 5석, 또는 직전 대통령선거,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선거에서 3% 이상을 획득한 정당들은 의석 순으로 전국통일기호를 부여받는다. 의석 수가 동일할 경우 직전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득표수 순으로 부여한다. 전국통일기호는 특정 지역구에 후보를 내지 않아도 결번으로 남겨진다.
  • 전국통일기호정당이 아닌 원내정당은 의석수 순으로, 의석이 동일한 경우 직전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득표율 순으로 기호를 부여받는다.
전국 통일 기호 정당
기호
정당
당대표
후보자 수
지역구
비례
설명
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재명
지역구: 245
제1야당이자 21대 국회의 제1당으로, 민주당계 정당이다. 비례대표는 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을 통해 공천하였다.
2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한동훈
지역구: 254
윤석열 대통령이 소속된 집권 여당이자 21대 국회의 제2당으로, 현재 최대의 보수정당이다. 비례대표는 위성정당 국민의미래를 통해 공천하였다.

3


윤영덕
백승아
비례: 30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진보당, 새진보연합이 참여한 비례위성정당이다.

4


조혜정
비례: 35
국민의힘의 비례위성정당이다.
5


김준우
지역구: 17
비례: 14
21대 국회 최대의 진보정당정의당녹색당과 함께 출범한 선거연합정당이다.
6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svg

이낙연
김종민
지역구: 28
비례: 11
더불어민주당 비이재명계 탈당파 일부가 이낙연 전 대표를 중심으로 창당한 제3지대 정당이다.
원내 정당
7

파일:개혁신당(1995년) 흰색 로고타입.svg

이준석
지역구: 43
비례: 10
국민의힘을 탈당한 이준석 전 대표를 중심으로 새로운선택, 원칙과 상식의 일부가 합류한 제3지대 정당이다.
7~8
8

[[자유통일당|
파일:자유통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장경동
지역구: 10
비례: 18
전광훈이 창당한 국민혁명당이 명칭을 변경한 기독교 우파 정당이다. 황보승희 의원의 입당으로 원내정당이 되었다.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윤희숙
지역구: 21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를 통해 원내에 복귀한 NL 계열 진보정당이다. 많은 지역구에서 더불어민주당과의 후보 단일화를 진행했으며, 비례대표 후보는 더불어민주연합을 통해 공천했다.

9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국
비례: 25
조국 전 법무부장관을 중심으로 창당한 민주당계 정당으로, 지역구 후보 없이 비례대표만 공천하였다. 당명의 '조국'은 명목상으로는 조국 대표의 이름이 아닌 祖國을 의미한다.
21대 국회 원외 정당

[ 펼치기 · 접기 ]
기호
정당
후보자 수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10



1

11


7

12


2
8
13

1
2

14


1

15


10

16


2

17


1
9
18

1
2
7
19

1
1
20

2
7
21

1
2

22


5

23


5
9
24

1
4

25


2

26


4

27


1
10


1


28


1
8


1

29

2
8

30


2

31


1
8~9
32

2
8
8
33

2
7

34


4

35


2
7~8


3

36

2
2

37


8

38


3

39


2

40


1

7~9


[[무소속|
무소속
]]


지역구: 56}}}
무소속 후보는 모든 정당 후보가 부여된 후 맨 마지막 기호를 받는다. 여러 명일 경우 추첨.


3.3. 후보자[편집]



3.3.1. 지역별 후보자[편집]





3.3.2. 정당별 후보자[편집]





3.4. 선거 운동[편집]



3.4.1. 선거 공약[편집]





3.4.2. 선거 광고[편집]





3.4.3. 선거 연설[편집]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후보 연설- 국민의미래(연설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3])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후보 연설- 자유통일당(연설자: 석동현 총괄선거대책위원장)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후보 연설- 조국혁신당(연설자: 조국 대표)


3.4.4. 선거 토론[편집]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1차 정책토론회(정치, 외교 분야)[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차 정책토론회(사회 분야)[5]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3차 정책토론회(경제 분야)[6]

  • 비례대표 후보자 토론회(초청 1차)[7]

  • 비례대표 후보자 토론회(초청외)[8]

  • 비례대표 후보자 토론회(초청 2차)[9]


3.5. 선거 방송[편집]


방송국별 선거 방송
방송국
타이틀
비고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4 총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선택 202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4 국민의 선택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민심 2024


2024 우리의 선택 로그:인


결정 2024


나의 선택 2024

파일:YTN 로고.svg
민심 2024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
선택, 우리의 내일

파일:OBS경인TV 로고.svg
보도특집 선거방송

파일:B tv 로고.svg
우리의 선택

파일:LG헬로비전 로고.svg
선택2024 나는 후보자다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4.10 총선

파일:JCN 울산중앙방송 로고.svg
2024 울산의 선택

파일:중앙선거관리위원회 시그니처.svg
국회의원 선거방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external/www.natv.go.kr/logo.gif
2024 국민의 선택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4. 출구조사 및 예측조사[편집]



4.1. 출구조사[편집]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방송 3사 공동 출구조사

더불어민주당
<nopad> 더불어민주연합
국민의힘
국민의미래
? ~ ?
? ~ ?
? ~ ?
? ~ ?
18:30 공표
18:30 공표
녹색정의당
새로운미래
개혁신당
자유통일당
18:30 공표
18:30 공표
18:30 공표
18:30 공표
진보당
조국혁신당
기타정당
무소속
18:30 공표
18:30 공표
18:30 공표
18:30 공표
방송3사 종합. 방송사별 보정값은 항목 참조.
출구조사 개요
의뢰기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방송사 공동예측조사위원회
(한국방송협회, KBS, MBC, SBS)
수행기관
한국리서치, 코리아리서치, 입소스코리아
수행기간
2024년 4월 10일 06:00~18:00[10]
조사대상
전국 254개 선거구, - 개 투표소 유권자 -명
(매 5번째 투표자 등간격)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 2.9 ~ 7.4%p

4.2. 예측조사[편집]


파일:JTBC 로고_White.sv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JTBC 메타분석 예측조사

정당별 예상 의석수
더불어민주당
<nopad> 더불어민주연합
국민의힘
국민의미래
? ~ ?
? ~ ?
? ~ ?
? ~ ?
? ~ ?
? ~ ?
녹색정의당
새로운미래
개혁신당
자유통일당
? ~ ?
? ~ ?
? ~ ?
? ~ ?
진보당
조국혁신당
기타정당
무소속
? ~ ?
? ~ ?
? ~ ?
? ~ ?

파일:채널A 로고 화이트.sv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채널A 예측조사

정당별 예상 의석수
더불어민주당
<nopad> 더불어민주연합
국민의힘
국민의미래
? ~ ?
? ~ ?
? ~ ?
? ~ ?
? ~ ?
? ~ ?
녹색정의당
새로운미래
개혁신당
자유통일당
? ~ ?
? ~ ?
? ~ ?
? ~ ?
진보당
조국혁신당
기타정당
무소속
? ~ ?
? ~ ?
? ~ ?
? ~ ?


5. 투표율[편집]



5.1. 부재자 투표율[편집]


투표별 부재자 투표율
선거인 수: 150,039명
투표
투표자 수
투표율
재외국민 투표율
92,923
62.8%
선상 투표율
1,992
97.2%
거소 투표율




5.2. 사전 투표율[편집]


일자·시간별 사전 투표율[11]
선거인 수: 44,280,011명
4월 5일
시간
투표자 수
누적 투표율
7시
275,795
0.62%
8시
553,458
1.25%
9시
968,438
2.19%
10시
1,579,055
3.57%
11시
2,255,688
5.09%
12시
2,903,033
6.56%
13시
3,541,778
8.00%
14시
4,236,336
9.57%
15시
4,922,548
11.12%
16시
5,578,006
12.60%
17시
6,235,274
14.08%
18시
6,910,510
15.61%
4월 6일
시간
투표자 수
누적 투표율
7시
7,158,347
16.17%
8시
7,463,543
16.86%
9시
7,875,045
17.78%
10시
8,430,301
19.04%
11시
9,079,657
20.51%
12시
9,747,125
22.01%
13시
10,365,722
23.41%
14시
11,037,285
24.93%
15시
11,747,305
26.53%
16시
12,442,964
28.10%
17시
13,135,999
29.67%
18시
13,849,043
31.28%

지역별 최종 사전 투표율
지역
선거인 수
사전투표자 수
투표율
서울
8,310,021
2,711,316
32.63%
부산
2,884,261
852,871
29.57%
대구
2,051,656
525,222
25.60%
인천
2,582,765
776,408
30.06%
광주
1,199,920
455,962
38.00%
대전
1,236,801
374,206
30.26%
울산
934,661
281,659
30.13%
세종
301,297
110,888
36.80%
경기
11,595,385
3,425,648
29.54%
강원
1,331,959
434,704
32.64%
충북
1,372,679
420,624
30.64%
충남
1,825,472
552,098
30.24%
전북
1,517,738
583,724
38.46%
전남
1,565,232
644,774
41.19%
경북
2,224,011
683,836
30.75%
경남
2,779,542
853,610
30.71%
제주
566,611
161,493
28.50%

투표율 최저 지역 :
style="background: #263545; color: #99baff"
파랑색

투표율 최고 지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6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e0e0; color: #980000" dark-style="background: #442f34; color: #ff6666"
빨강색


이전 선거 사전투표율과 비교
1일차
시간
2020
총선

2022
대선

2022
지선

2024
총선

7시
0.41%
0.58%
0.48%
0.62%
8시
0.86%
1.20%
0.93%
1.25%
9시
1.51%
2.14%
1.59%
2.19%
10시
2.52%
3.64%
2.56%
3.57%
11시
3.72%
5.38%
3.59%
5.09%
12시
4.90%
7.11%
4.49%
6.56%
13시
5.98%
8.75%
5.32%
8.00%
14시
7.19%
10.48%
6.26%
9.57%
15시
8.49%
12.31%
7.25%
11.12%
16시
9.74%
14.11%
8.22%
12.60%
17시
10.93%
15.84%
9.20%
14.08%
18시
12.14%
17.57%
10.18%
15.61%
2일차
시간
2020
총선

2022
대선

2022
지선

2024
총선

7시
12.65%
18.29%
10.66%
16.17%
8시
13.25%
19.11%
11.16%
16.86%
9시
14.04%
20.17%
11.81%
17.78%
10시
15.16%
21.62%
12.67%
19.04%
11시
16.46%
23.36%
13.65%
20.51%
12시
17.80%
25.19%
14.61%
22.01%
13시
19.08%
26.89%
15.44%
23.41%
14시
20.45%
28.74%
16.37%
24.93%
15시
21.95%
30.74%
17.38%
26.53%
16시
23.46%
32.76%
18.39%
28.10%
17시
24.95%
34.69%
19.44%
29.67%
18시
26.69%
36.93%
20.62%
31.28%


5.3. 투표율[편집]



시간별 투표율[12][13]
선거인 수: 44,280,011명
시간
투표자 수
누적 투표율
비고
7시
788,600
1.8%

8시
1,851,674
4.2%

9시
3,074,727
6.9%

10시
4,610,155
10.4%

11시
6,424,367
14.5%

12시
8,184,220
18.5%

13시
23,662,112
53.4%
[합산]
14시
24,974,380
56.4%

15시
26,259,770
59.3%

16시
27,370,609
61.8%

17시
28,385,254
64.1%

18시
-
0.0%

지역별 투표율
지역
선거인 수
투표자 수
총 투표율
서울
8,310,021
-
0.0%
부산
2,884,261
-
0.0%
대구
2,051,656
-
0.0%
인천
2,582,765
-
0.0%
광주
1,199,920
818,365
68.2%
대전
1,236,801
-
0.0%
울산
934,661
-
0.0%
세종
301,297
211,404
70.2%
경기
11,595,385
-
0.0%
강원
1,331,959
-
0.0%
충북
1,372,679
-
0.0%
충남
1,825,472
-
0.0%
전북
1,517,738
-
0.0%
전남
1,565,232
1,080,202
69.0%
경북
2,224,011
-
0.0%
경남
2,779,542
-
0.0%
제주
566,611
-
0.0%

투표율 최저 지역 :
style="background: #263545; color: #99baff"
파랑색

투표율 최고 지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6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e0e0; color: #980000" dark-style="background: #442f34; color: #ff6666"
빨강색


이전 선거 투표율과 비교
시간
2020
총선

2022
대선

2022
지선

2024
총선

7시
2.2%
2.1%
1.7%
1.8%
8시
5.1%
5.0%
3.8%
4.2%
9시
8.0%
8.1%
6.0%
6.9%
10시
11.4%
11.8%
8.7%
10.4%
11시
15.3%
16.0%
12.0%
14.5%
12시
19.2%
20.3%
15.0%
18.5%
13시[합산]
49.7%
61.2%
38.3%
53.4%
14시
53.0%
64.8%
40.7%
56.4%
15시
56.5%
68.1%
43.1%
59.3%
16시
59.7%
71.1%
45.4%
61.8%
17시
62.6%
73.6%
47.6%
64.1%
18시
(최종)
66.2%
77.1%
50.9%
-


5.4. 지역별 투표율[편집]


최고투표율 1~10위 선거구

순위

선거구명
투표율

1위

-
-%

2위

-
-%

3위

-
-%

4위

-
-%

5위

-
-%

6위

-
-%

7위

-
-%

8위

-
-%

9위

-
-%

10위

-
-%

최저투표율 1~10위 선거구

순위

선거구명
투표율

1위

-
-%

2위

-
-%

3위

-
-%

4위

-
-%

5위

-
-%

6위

-
-%

7위

-
-%

8위

-
-%

9위

-
-%

10위

-
-%

광역자치단체별 투표율 순위
최고투표율 1위
-
(-%)
최고투표율 2위
-
(-%)
최고투표율 3위
-
(-%)

최저투표율 3위
-
(-%)
최저투표율 2위
-
(-%)
최저투표율 1위
-
(-%)


5.5. 성별-연령대별 투표율[편집]



6. 개표 결과[편집]



6.1. 지역구[편집]





6.1.1. 정당별 지역구 득표율[편집]


정당별 지역구 득표율
정당
득표수
의석
득표율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21대 국회 원외 정당

[ 펼치기 · 접기 ]
정당별 지역구 득표율
정당
득표수
의석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
-
00.00%
선거인 수
44,280,011
투표율
00.00%
투표 수
-
무효표 수
-


6.2. 비례대표[편집]



정당별 비례대표 득표율
정당
득표수
의석
득표율

-
-석
00.00%

-
-석
00.00%

-
-석
00.00%

-
-석
00.00%

-
-석
00.00%

-
-석
00.00%

-
-석
00.00%
선거인 수
-
투표율
00.00%
투표 수
-
무효표 수
-


6.3. 정당별 결과 분석[편집]



무소속 당선자들의 복당이 모두 이루어졌다고 가정했을 때의 의회 구도
진보정당
민주당계
제3지대
보수정당


6.4. 지역별 결과 분석[편집]





6.5. 초접전 지역구[편집]


  • 1,000표 미만의 표차로 승패가 갈린 지역구의 목록


6.6. 당선인 통계[편집]



시도명
학력별 당선인수

미기재
무학(독학)
초퇴
초졸
중재
중퇴
중졸
고재
고퇴
고졸
전문대재
전문대퇴
전문대졸
대재
대퇴
대학교 수료
대졸
대학원재
대학원퇴
대학원 수료
대학원졸
서울






















인천






















경기






















강원






















대전






















세종






















충북






















충남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광주






















전북






















전남






















제주






















비례























시도명
당선인 수
성별
연령별 당선인 수
남성
여성
30세 미만
30세 이상
40세 미만
40세 이상
50세 미만
50세 이상
60세 미만
60세 이상
70세 미만
70세 이상
서울









인천









경기









강원









대전









세종









충북









충남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광주









전북









전남









제주









비례










시도명
직업별 당선인수

국회의원
지방의원
정치인
농축산업
상업
광공업
운수업
수산업
건설업
언론인
금융업
약사 의사
변호사
종교인
회사원
교육자
정보통신업
출판업
공무원
무직
기타
서울






















인천






















경기






















강원






















대전






















세종






















충북






















충남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광주






















전북






















전남






















제주






















비례
























7.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8. 여담[편집]



8.1. 기록[편집]


  • 잠정 투표율 62.8%로 역대 총선 재외선거 중 최고 투표율을 달성했다.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재외선거 절차의 변동이 없었기에, 유권자의 투표 참여 의지가 높아져 이러한 기록적인 투표율을 달성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전 최고 기록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45.7%다. # 총 투표자 수도 92,923명으로 역대 총선 재외선거 최다 투표자 수를 갱신했다. 이전 최다 기록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63,797명이다. #

  •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에 총 38개 정당이 후보자를 등록하면서 비례대표 투표용지의 길이가 51.7cm로 역대 최장 길이를 경신했다. 지난 21대 총선에서는 35개 정당이 등록하면서 48.1cm의 길이를 기록했는데 이를 바로 다음 선거에서 넘어선 것이다. 선관위에서는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 투표지를 수개표한 이후 34개 정당, 46.9cm의 투표용지까지 분류할 수 있는 신형 투표지 분류기를 도입했는데, 이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다시 한 번 수개표로 비례대표 투표지를 개표하게 되었다. 비례대표 투표용지가 매우 큰데다 잉크 소모가 많은 연두색 투표용지를 사용했고, 사전투표율이 높았기 때문에 현장에서 투표지 인쇄기 잉크가 바닥나는 일이 속출했다. 일부 사전투표소에서는 인근 투표소나 도 선관위에서 물자를 긴급 조달받아 잉크를 리필했다. #

  • 사전투표율은 31.28%으로, 총선 기준 역대 최대 사전투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선대위 종합실장이 4월 4일에 제시한 '사전투표율 목표치 31.3%'에 거의 근접한 수치이다. #


8.2. 기타[편집]


  • 지난 21대 국회와 비교해 지역구는 1석이 늘어 254석, 비례대표 의석은 1석 줄어 46석이 된 선거이다. 2004년에 치러진 17대 총선에서 처음 비례대표가 생겼을 때 56석이었는데, 20년 뒤인 이번 선거까지 누적 총 10석이 줄게 된 것이다. 전체 의석 중 비례대표 비율이 15.3%로[14], 역대 국회의원 총선거 중 비례대표(전국구 포함) 비율이 가장 낮은 선거이다. 이는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선관위 선거구획정위에서 전북특별자치도의 의석을 1석 줄이는 안을 권고했는데, 지방 및 농어업촌 대표성을 고려하여 비례대표를 1석 줄이는 대신 전북의 의석은 유지하는 절충안에 여야가 합의하면서 결정되었다.


  • 1992년 14대 총선 이후 32년 만에 짝수일에 열리는 총선이다. 15~17대 총선은 당시 목요일이 선거일이었기 때문에 선거 기간(4월 9~15일)이 홀수일인 11, 13, 15일에 걸렸고 이대로라면 18대 총선은 10일이어야 맞는데 선거 날짜가 200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부터는 수요일로 바뀌어 18대 총선은 홀수일인 4월 9일에 치러졌고 9일이 선거 기간 첫날이기 때문에 이후 21대 총선까지 모두 홀수일에 걸렸다. 이후 22대 총선에 와서야 짝수일에 걸리게 되었다. 즉, 15~17대 총선일은 19~21대 총선일과 날짜가 같다. 사실 국회의원 임기는 4년인데 윤년이 4년 주기인 데다가 4년 뒤의 같은 요일은 같은 날짜보다 이틀 뒤이기 때문에 이런 규칙이 생기게 되었다.

  • 제3지대 정당들이 생겨나면서 거대 양당은 평소보다 늦은 2월 중하순부터 공천을 시작했다.

  • 지역구 출마자 경쟁률이 예상보다 저조하다. 양당에 대한 피로감에 대비해 상술한 늦은 공천으로 인한 제3지대의 '이삭 줍기'가 실패로 선거비 보전에 한참 미달하는 지지율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예비후보들이 차라리 등록하지 않는 방향을 택했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제3당인 녹색정의당도 지역구 출마자를 20명도 내지 못했다.

  • 아이돌 그룹 뉴진스(NewJeans)의 멤버 민지가 공식 홍보대사를 맡았다. 캠페인 '우리들의 이야기' 시리즈로 다양한 인물들이 투표에 나선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휠체어무용가 김용우, 다운증후군 화가 정은혜, 시니어 모델 김칠두가 캠페인에 참여했다.

  • 이번 선거도 일부 지역구에서는 여론조사 남발이 지적받았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이 맞붙는 인천 계양구 을은 2023년 12월부터 2024년 4월 3일까지 총 34개의 여론조사가 진행되었을 정도이다. 표본수가 최소 17,000명인데, 계양구 을 선거인 수의 10%가 넘어가는 수치이다. 반면 여론조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지역구도 있어, 해당 지역구 거주민들이 답답함을 토로하기도 하였다. 유동수 후보와 최원식 후보가 맞붙는 계양구 갑이 그 예시.[15] 비슷한 사례는 양산시에서도 발생했는데, 양산시 을 선거구는 수시로 여론조사가 진행되었으나 양산시 갑의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서 양산시 거주자로서는 크게 차별을 받았다고 느낄 수 있는 상황이다.

  • 이번 선거부터 관외 사전투표함을 옮길 때 경찰이 함께 움직인다. 이전 선거들에선 우정사업본부 단독으로 사전투표함을 이송했는데, 배송 과정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국민적 우려를 고려해 이번 선거부터 경찰이 우정사업본부 공무원과 함께 사전투표함을 관리한다. #

  • 30년 만에 수검표 절차가 부활한다. 각종 음모론이 제기되자 이를 원천 차단하기 위한 조치이다. 때문에 개표 결과 확정은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2시간 정도 늦어질 것이라고. 구체적으로 보자면 기존에는 투표함에서 꺼낸 투표지를 투표지 분류기 작업을 거쳐 후보자정당별 유효 투표지와 재확인 대상 투표지로 분류하고, 유효 투표지를 심사계수기를 이용해 정확히 분류됐는지 확인해 득표수를 집계했다. 재확인 대상 투표지는 수작업으로 유무효표로 구분해 유효표는 다시 정당후보자별로 구분했다. 그러나 이번 총선부터는 투표지 분류기와 투표지 심사계수기 사이에 수검표 절차가 추가되는 것이다. #
    • 대부분의 언론사가 비슷한 내용으로 보도하는 것으로 보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보도자료를 그대로 인용한 듯 하다. 그러나, 투표지분류기를 개표현장에서 실제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2002년[16]부터이다. 1995년에 도입하고 내부 검토와 법률 개정을 거쳐 2002년부터 사용한 것이라면 30년이라는 수치는 이해할 수 있으나, 30년 동안 수검표를 하지 않았다는 것은 잘못이다. 수검표와 관련해 자세한 설명을 덧붙이자면, 2002년의 두 선거에서는 투표지분류기가 유효투표지와 재분류투표지로 분류한 것 중에서 재분류투표지만 수검표하고 유효투표지는 수검표하지 않았는데, 2002년 대선 직후 한나라당에서 제기한 개표조작 논란 이후 2004년 총선부터는 투표지분류기가 유효투표지도 분류한 것도 전부 수검표했다. 다시 말해, 수검표는 2002년 두 번의 선거에서만 하지 않았을 뿐 그 이후로 꾸준히 계속 된 것이다. 거기다가 당장 2020년 총선에서도 정당투표용지가 너무 길어서 투표지분류기에 들어가지 않아 수검표를 했으니, 그 동안 수검표를 하지 않았다가 이번에 비로소 다시 한다는 내용도 사실과 다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보도자료를 배포하기 전에 사실도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셈이다.


9. 둘러보기[편집]






[1] 영상 속 인물은 이번 선거 홍보대사로 위촉된 아이돌 그룹 뉴진스의 멤버 민지.[2] 초일산입이므로 익일까지 포함.[3] 찬조연설[4]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참여[5]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녹색정의당 참여[6]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녹색정의당 참여[7] 더불어민주연합, 국민의미래, 녹색정의당, 새로운미래, 조국혁신당 참여[8] 초청 토론회에 초청받지 못한 33개 정당 중 개혁신당, 자유통일당, 가가국민참여신당, 공화당, 한국농어민당, 히시태그국민정책당을 제외한 27개 정당 참여[9] 더불어민주연합, 국민의미래, 녹색정의당, 새로운미래, 조국혁신당 참여[10] 사전투표 조사수행기간은 2024년 4월 6일 ~ 4월 9일. 100% 전화 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11] 사전투표상황은 해당시간의 10분 전에 집계된 자료입니다. (18:00 제외) #[12] 투표상황은 해당시간의 10분 전 집계된 자료임.[13] 각 시간별 투표자 수는 잠정 투표자 수임.[합산] A B 13시부터 사전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재외선거 투표자 수 합산 시작(14,017,445명). 누적 투표수에 포함되어 반영됨.[14] 지역구:비례 비율은 5.5 : 1이 넘는다.[15] 이쪽은 후보자가 나오자마자 아예 유동수 후보의 3선이 확실시 된다는 분석이 나올 정도로, 두 거대정당의 관심도가 0에 수렴하는 지역이 됐다.[16] 지방선거 때 부분 도입, 대통령선거 때 전면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