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로부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혁거세 후남해 후유리 후
알영부인운제부인이리생부인사요왕의 딸 김씨
탈해 후파사 비지마 후일성 후
아효부인사성부인애례부인지소례왕의 딸 박씨
아달라 후벌휴 후내해 후조분 후
내례부인석골정의 모후아루부인아이혜부인
조분 후미추 후흘해 후내물 후
운소부인광명부인석공한의 모후보반부인
실성 후눌지 후자비 후소지 후
아류부인차로부인
1}}} 복호의 딸 김씨
2}}} 미사흔의 딸 김씨
1}}} 습보의 딸 김씨
2}}} 선혜부인
3}}} 벽화부인
지증왕 후법흥왕 후진흥왕 후진지왕 후
연제부인보도부인지도부인
진평왕 후무열왕 후문무왕 후신문왕 후
문명왕후자의왕후
성덕왕 후효성왕 후경덕왕 후
1}}} 왕비 박씨
3}}} 정종의 딸 김씨
폐}}}사량부인
경수태후
혜공왕 후선덕왕 후원성왕 후소성왕 후
1}}} 신보왕후
2}}} 창창부인
구족부인숙정부인계화부인
애장왕 후헌덕왕 비흥덕왕 후희강왕 후
왕후 박씨귀승부인정목왕후문목왕후
민애왕 후신무왕 후문성왕 후헌안왕 후
윤용왕후정계부인
1}}} 소명왕후
문의왕후의 모후
경문왕 후헌강왕 비효공왕 후신덕왕 후
의명부인왕비 박씨의성왕후
경명왕 후경애왕 후경순왕 후
왕비 김씨왕비죽방부인




차로부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신라의 왕녀
{{{-1 [[틀:신라의 왕녀/혁거세 거서간 ~ 진안 갈문왕|
혁거세 거서간 ~ 진안 갈문왕
]]
[ 펼치기 · 접기 ]
혁거세 거서간
>
>
[[신라/왕사#s-2.1|{{{#fbe673
추존
사요왕
]]
>
후 김씨
>
[[신라/왕사#s-2.1|{{{#fbe673
추존
허루 갈문왕
]]
>
>
[[신라/왕사#s-2.1|{{{#fbe673
추존
마제 갈문왕
]]
>
애례부인
>
내례부인
>
[[신라/왕사#s-2.1|{{{#fbe673
추존
일지 갈문왕
]]
>
이리생부인
>
[[신라/왕사#s-2.1|{{{#fbe673
추존
지소례왕
]]
>
후 박씨
>
[[신라/왕사#s-2.1|{{{#fbe673
추존
구도 갈문왕
]]
>
옥모부인
>
[[신라/왕사#s-2.1|{{{#fbe673
추존
세신 갈문왕
]]
>
후 석씨
>
아이혜부인
>
[[신라/왕사#s-2.1|{{{#fbe673
추존
이칠 갈문왕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술례부인

[[신라/왕사#s-2.1|{{{#fbe67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추존
내음 갈문왕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후 박씨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
명원부인 · 광명부인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
보반부인 · 아류부인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
차로부인 · 치술신모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
조생부인

[[신라/왕사#s-2.1|{{{#fbe67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추존
파호 갈문왕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후 김씨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
지소태후

[[신라/왕사#s-2.1|{{{#fbe67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추존
입종 갈문왕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만호부인

[[신라/왕사#s-2.1|{{{#fbe67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추존
복승 갈문왕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마야부인

[[신라/왕사#s-2.1|{{{#fbe67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추존
만천 갈문왕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월명부인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
선덕여왕 · 문정태후 · 선화공주

[[김국반|{{{#fbe67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추존
진안 갈문왕
]]{{{#!wiki style="padding: 5px 10px; border: 1px solid #4A2D5B; border-radius: 0 0 4px 4px"진덕여왕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황남대총>
皇南大塚
[ 펼치기 · 접기 ]
남분 추정 피장자내물 마립간 · 실성 마립간 · 눌지 마립간
북분 추정 피장자보반부인 · 아류부인 · 차로부인 · 자비 마립간
북분 출토 유물
[ 펼치기 · 접기 ]
남분 출토 유물
[ 펼치기 · 접기 ]



신라 눌지 마립간의 왕비
차로부인 | 次老夫人
신라 실성왕의 왕녀
파일:황남대총 피장자.jpg
특수효과로 복원한 황남대총 피장자의 모습
출생393년 이전[1]
사망미상
능묘황남대총(추정)
재임기간
(음력)
신라 왕비
417년 5월 ~ 458년 8월 (41년)
[ 펼치기 · 접기 ]
본관경주 김씨
부왕실성 마립간
모후아류부인
부군눌지 마립간
자녀슬하 1남 2녀?
아들 - 김자비
딸 - 조생부인, 성국공주?[1]
신장143cm(추정)[2]
차로부인(次老夫人)
이칭아로부인(阿老夫人)
[1] 조생부인과 동일인물일 가능성 있음.[2] 출처 황남대총의 북분 주인 머리부터 발까지의 길이로 추정한 키인데 황남대총 북분의 주인이 차로부인이라고 가정하면 차로부인의 키는 143cm가 된다.
1. 개요
2. 관련 기록



1. 개요[편집]


신라의 공주이자 왕비. 본관은 경주 김씨. 실성 마립간아류부인의 딸, 눌지 마립간의 왕비, 자비 마립간의 어머니.

아버지와 남편 사이의 관계가 막장인데, 차로부인은 아버지 실성 마립간을 시해한 친척 눌지 마립간의 왕비가 된 것이다.

별칭은 아로부인(阿老夫人)[2]이지만, 아효부인의 별칭과 한자까지 똑같아서 혼동할 우려가 있다. 다만 둘의 성씨가 김씨와 박씨로 다르기 때문에 성씨를 병기하면 혼동을 피할 수 있다.

능묘는 비정된 곳이 없으나 대릉원에서 두 무덤이 합쳐진 모습의 황남대총 남분이 남편 눌지 마립간의 무덤이라는 설이 인정받고 있으니 차로부인도 황남대총 북분에 묻혔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북분의 주인이 그녀라면 황남대총 북분 금관의 주인이기도 할 것이다.


2. 관련 기록[편집]


  • 삼국사기 신라본기 눌지 마립간조: (눌지 마립간의) 왕비는 실성왕의 딸이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자비 마립간조: (자비 마립간의) 어머니 김씨는 실성왕의 딸이다.
  • 삼국유사 왕력편 자비 마립간조: (자비 마립간의) 어머니는 아로부인인데 차로부인이라고도 하며, 실성왕의 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6:56:04에 나무위키 차로부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눌지 마립간이 393년 이전에 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차로부인이 눌지 마립간과 결혼할때 당시 결혼 연령인 15세때 결혼했고 결혼 당시에 눌지 마립간과 같은 나이였다면 차로부인은 393년 이전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2] 次와 阿의 상고한어 발음은 각각 /*[s-n̥\]i[j\]-s/, /*qˤa[j\]/로 서로 상당히 다르다. 차로(次老)는 훈차표기인데 차로(次老)의 로(老)는 말음 첨기이다. 일본서기에 가야의 관직 하한기(下旱岐)와 차한기(次旱岐)가 보인다. 둘은 한자표기만 다른 같은 관직으로 下를 훈으로 아로시(アロシ)로 적고있다. アロ는 아래(下)를 シ는 사이시옷을 적어 놓은 것인데 次 또한 アロ로 볼 수 있으므로 아로(阿老)와 차로(次老)는 서로 같은 음을 적어낸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