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군 농어촌버스

덤프버전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근교지역간 시내·농어촌버스
[ 펼치기 · 접기 ]
4권역
(청도군)
00-1
5권역
(칠곡군)
성서27920
2750250
5권역
(성주군)
250성주-대구서부
6권역
(고령군)
650달성1606
6권역
(창녕군)
달성6달성7
7권역
(칠곡군)
급행3급행9급행9-1527
730칠곡2칠곡3팔공3
38200250300
7권역
(구미시)
칠곡373-378-3
8, 9권역
(경산/영천)
틀:대구-경산/영천간 시내버스
권역 외
(의성군)
군위-탑리, 백학군위-달산군위-상곡
권역 외
(의령군)
의령/신반-대구[1]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1. 개요
2. 특징
3. 노선목록
3.1. 창녕읍 순환버스
3.2. 창녕 - 안심
3.3. 창녕 - 가복
3.4. 창녕 - 가복(막차)
3.5. 창녕 - 목단
3.6. 창녕 - 월포
3.7. 창녕 - 초지 · 청간
3.8. 창녕 - 송곡(이방)
3.9. 창녕 - 간적
3.10. 창녕 - 원촌
3.11. 창녕 - 이방
3.12. 이방 - 율원
3.13. 이방 - 적교
3.14. 창녕 - 적교
3.15. 창녕 - 옥천(모곡)
3.16. 창녕 - 우포늪(세진)
3.17. 창녕 - 장마(순환)
3.18. 창녕 - 작달
3.19. 창녕 - 영산(장마)
3.20. 창녕 - 계성(순환)
3.21. 창녕 - 옥천계곡 · 노단이
3.22. 창녕 - 영산(평성)
3.23. 창녕 - 부곡(33번)
3.24. 창녕 · 영산 - 노리 (- 부곡)(32,35,36,37번)
3.25. 북면 - 부곡 · 영산(31,31-1번)
3.26. 창녕 - 상길(38번)
3.27. 창녕 - 영산 · 창녕(부곡,길곡)(30,39번)
3.28. 영산 - 청단 · 월하(월평)(40,43번)
3.29. 창녕 - 남지 · 영산 - 남지(25,25-1,25-2번 · 29번)
3.30. 남지 - 영산(작포)(44번)
3.31. 남지 - 영산(신제)(45번)
3.32. 남지 - 월평(27번)
3.33. 남지 - 부곡 · 영산(28번)
3.34. 창녕 - 환곡(17번)
3.35. 영산 - 구계(23번)
3.36. 남지 - 장마(26번)
3.37. 영산 - 광계(24번)
3.38. 이방 - 등림(10번)
4. 폐선된노선
5. 타지역 버스와의 연계



1. 개요[편집]


경상남도 창녕군의 농어촌버스를 모아 둔 정보이다.
개요나 차량 등은 영신버스 문서를 참고할 것.

시간표는 창녕군청 참조[1].

2. 특징[편집]


  • 대부분의 노선이 영신버스터미널, 영산정류장, 부곡버스터미널, 남지정류장, 이방주유소에서 출발하며 이 목적지에서 창녕읍을 있는 노선[2]과 여기서 각 목적지로 뻗어나가는 노선 형태를 많이 취하고 있다[3][4]. 또 일부시간대 ○○연장운행, ○○경유노선등이 많아 노선체계가 많이 복잡하다. 또 영산-광계, 영산-구계, 이방-등림노선처럼 셔틀성격을 띄는 노선도 있다

3. 노선목록[편집]



3.1. 창녕읍 순환버스[편집]


창녕읍 순환버스 노선 문서 참조

3.2. 창녕 - 안심[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안심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대산리(안심)
종점행첫차10:20기점행첫차07:10
막차16:30막차17:00
배차간격1일 2.5회(230~36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왕미 - 미산 - 어은 - 모전 - 수장 - 장기 - 대합농공단지 - 무솔 - 십이리 - 대터 - 냉천- (후천) - 이천 - 운봉교 - 운봉2구 - 연화 - 연당 - 대유 - 월곡 - 중담 -큰담 - 안심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1번 시간표
영신버스터미널 → 안심안심 → 영신버스터미널
110:20107:10
216:30(후천)211:00
3317:00

3.3. 창녕 - 가복[편집]


창녕-가복노선 문서 참조


3.4. 창녕 - 가복(막차)[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가복(막차)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가복리(가복)
종점행첫차18:20기점행첫차
막차18:20막차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왕미 - 미산 - 어은 - 모전 - 수장 - 장기 - 대합농공단지 - 무솔 - 십이리 - 대터 - 냉천- (후천) - 이천 - 운봉교 - 운봉2구 - 연화 - 연당 - 대유 - 월곡 - 중담 -큰담 - 안심 - 큰담 - 중담 - 월곡 - 대산 - 연당 - 연화 - 원동 - 방리 - 덕곡 - 가복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1번 시간표
영신버스터미널 → 가복
118:20

3.5. 창녕 - 목단[편집]


창녕-목단노선 문서 참조

3.6. 창녕 - 월포[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월포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이방리(월포마을)
종점행첫차07:40기점행첫차
막차12:50막차
배차간격1일 3회(110~20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왕미 - 미산 - 어은 - 모전 - 수장 - 장기 - 대합농공단지 - 무솔 - 십이리 (→ 대터 → 정녕2구 → 이방 → 월포마을 → 합리 → 대동 → (도개 → 퇴산 → 모지 → 평지 → 합산) → 신안 → 노인복지회관 →)[5] 이후 십이리부터 역순

  • 운행방식(반대노선,경유지)이 많이 복잡한 노선이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5번 시간표
영신버스발비고(경유지)
07:40
09:30옥산,평지
12:50반대로(대성고→월포)운행

3.7. 창녕 - 초지 · 청간[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초지(청간)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감리(초지)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감리(청간)
종점행첫차06:50기점행첫차07:15
막차19:00막차19:20
배차간격1일 10회(70~12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창녕축협 - 송현사거리 - 도야마을 - 우천 - 중대 - 상대 - 칠월 - 계팔 - 신기 - (미곡) - 덕산 - 초지 -(청간)

중간 출발 정류장
영신버스터미널 방향초지
중간 종료 정류장
청간 방향초지

  • 이노선의 연장형에는 창녕-청간 노선이 있고, 저 노선은 초지에서 운행을 마치는게 아닌, 더 안쪽에 위치해있는 청간까지 들어간다.[6]

  • 창녕군 농어촌버스 노선중에서 간선성격을 띄는 노선이다

  • 화왕산 등산객들과 고암면 주민들이 주를 이루는 노선이며 주말이 되면 등산객들로 미어터지는 노선이디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초지 시간표
영신버스발비고(경유지)초지발비고(경유지)
06:50청간07:15청간
08:00미곡08:25미곡
09:20청간09:50청간
10:3011:00
11:30미곡12:00미곡
12:50청간13:20청간
14:0014:30
15:30청간16:00청간
17:40미곡,청간18:10미곡,청간
19:0019:20

3.8. 창녕 - 송곡(이방)[편집]


창녕-송곡노선 문서 참조

3.9. 창녕 - 간적[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간적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간상리(간적)
종점
첫차06:50기점
첫차07:00
막차16:20막차16:40
평일배차1일 4회(130~280분)
운수사명영신버스인가대수?
노선영신버스 - 창녕축협 - 송현사거리 - 도야 - 우천 - 중대 - 고암초등학교 - 사암 - 대암 - 간상 - 간적[원촌경유]

  • 첫차는 창녕장날(3,8일)에만 운행한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7,8(첫차)번 시간표
영신버스터미널 → 간적간적 → 영신버스터미널
106:50(창녕장날운행)[창녕장날]107:00(원촌)(창녕장날운행)[창녕장날]
208:40209:00
312:00312:20
416:20416:40

3.10. 창녕 - 원촌[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원촌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원촌리(원촌1구)
종점행첫차06:50기점행첫차07:10
막차15:00막차15:30
배차간격1일 4회(180~20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창녕축협 - 송현사거리 - 도야 - 하리 - 청학 - 만촌 - 원촌 - (월미 - 상월마을 - 월미 ) - 원촌1구 - 이후 만촌부터 역순

  • 모든 회차 상월마을을 경유하며 첫차는 간적노선으로 운행한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8번 시간표
영신버스발비고(경유지)원촌마을발비고(경유지)
06:50간적,창녕장날[창녕장날]07:10간적,창녕장날[창녕장날]
09:30상월마을10:00
12:30상월마을09:50
15:00상월마을11:00


3.11. 창녕 - 이방[편집]


창녕-이방노선 문서 참조

3.12. 이방 - 율원[편집]


이방-율원노선 문서 참조

3.13. 이방 - 적교[편집]


이방-적교노선 문서 참조

3.14. 창녕 - 적교[편집]


창녕-적교노선 문서 참조

3.15. 창녕 - 옥천(모곡)[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옥천(모곡)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옥천리(옥천)
종점행첫차09:00기점행첫차07:00
막차18:30막차16:20
배차간격1일 4회[7](140~21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직신 - 학성 - 대초 - 관동 - 예동 - 회룡 - 대대 - 죽만 - 유장 - 선소 - 마등 - 마수원 - 미구 - 승계 - 성산 - (적교합동버스정류장) - 성산리 - 이지 - 상리 - 이산 - (호포) - 모곡 - 잠어실 - 옥천마을

  • 막차는 적교합동버스정류장 경유후 운행을 종료한다

  • 옥천계곡행 노선의 지명과 동일하니 주의할 해야한다[8]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옥천(모곡) 시간표
영신버스터미널 → 옥천(모곡)옥천(모곡) → 영신버스터미널
1107:00
209:00209:40
313:00313:40
415:40416:20
518:30(적교)5

3.16. 창녕 - 우포늪(세진)[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우포늪(세진)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세진리(우포늪)
종점행첫차06:50기점행첫차07:10
막차18:00막차18:15
배차간격1일 3회(180~24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직교마을 - 소림 - 원효정 - 관동 - 대대 - 세진 - 우포늪[학성경유]

  • 우포늪 생태관 이동과 효정,괸동마을을 위해 운행하는 노선이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14번 시간표
영신버스 → 우포늪우포늪 → 영신버스
106:50(학성)107:10
213:30213:50
318:00318:15(학성)

3.17. 창녕 - 장마(순환)[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장마(순환)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광산리(광산)
종점행첫차07:00기점행첫차
막차18:00막차
배차간격1일 5회(100~24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창녕축협 - 창녕경찰서 - 한국전력공사 - 낙영 - 퇴천 - 퇴천리 - 어도- (석비 - 초곡 - 석비) - 월명 - 서장가 - 산지 - (모래등 - 강리 - 모래등) - 화영 - 동정 - 신구 - 신구마을 - 대동 - 광산 - 진창 - 거마 - 선소 - 세거리 - 후포 - 용소 - 구미 - 영신버스[9][10]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5번 시간표
영신버스발비고(경유지)
07:00탐하,동정회차,동정: 07:20
09:20(광산→동정방향순환)
11:00장가, (동정→광산방향순환)
15:20장가, (동정→광산방향순환)
18:00탐하, (광산→동정방향순환)


3.18. 창녕 - 작달[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작달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풍조리(작달)
종점
첫차07:00기점
첫차07:20
막차18:40막차
평일배차1일 6회(90~170분)
운수사명영신버스인가대수?
노선영신버스 - 창녕축협 - 창녕경찰서 - 한국전력공사 - 상퇴천 - 퇴천 - 퇴천리 - 어도 - 이남 - 외부 - 풍조 - 신문 - 작달[11]

  • 첫차는 창녕장날(3,8일)에만 운행한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16번 시간표
영신버스터미널 → 작달작딜 → 영신버스터미널
107:00(용소)(창녕장날운행)[창녕장날]107:20(창녕장날운행)[창녕장날]
208:30208:55
312:20312:45
414:20414:45
516:40517:00
618:40(용소)(월령)6회차

3.19. 창녕 - 영산(장마)[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영산(장마)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서리(영산정류장)
종점행첫차07:30기점행첫차19:00
막차07:30막차19:00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창녕축협 - 창녕경찰서 - 한국전력공사 - 상퇴천 - 퇴천 - 퇴천리 - 어도 - 월명 - 서정가 - 산지 - (동정 - 하이곡 - 고곡 - 하이곡 - 동정) - 모래등 - 강리 - 상유리 - 관동 - 영산정류장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영산(장마) 시간표
영신버스발비고(경유지)영산정류장발비고(경유지)
07:3019:30고곡

3.20. 창녕 - 계성(순환)[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계성(장마)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장마면 장가리(서장가)
종점행첫차13:10기점행첫차
막차13:10막차
배차간격창녕장날 1회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창녕축협 → 창녕경찰서 → 한국전력공사 → 낙영 → 퇴천 → 초막골 → 여초 → 신당 → 계성 → 계남 → 계전 → 평성마을 → 광계 → 평성마을 → 계산 → 장가1구 → 장가2구 → 서장가 → 산지 → 서장가 → 월명 → 어도 → 퇴천리 → 퇴천 → 퇴천. 창녕운동장 → 한국전력공사 → 창녕경찰서 → 명덕초등학교 → 창녕군청 → 영신버스

  • 창녕장날만 운행하는 노선이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계성(장마) 시간표
영신버스발
113:10[창녕장날]

3.21. 창녕 - 옥천계곡 · 노단이[편집]


파일:영신8144.jpg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옥천계곡(노단이)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옥천계곡)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노단이)
종점행첫차07:00기점행첫차07:25
막차18:00막차18:30
배차간격1일 6회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창녕경찰서 - 한국전력공사 - 상퇴천 - 공설운동장 - 초막골 - 여초 - 신당 - 계성 - 달촌 - 사리 - 전평 - 옥천계곡 - (노단이)

중간 출발 정류장
영신버스터미널 방향옥천계곡
중간 종료 정류장
노단이 방향옥천계곡

  • 창녕-옥천(모곡)노선과 종점의 지명이 옥천으로 같다 유의해서 이용할것[12]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6번 시간표
영신버스발비고(경유지)옥천계곡발비고(경유지)
07:0007:25
09:40노단이10:30노단이
12:0012:30
15:50노단이16:30노단이
18:0018:30

3.22. 창녕 - 영산(평성)[편집]


파일:영신창녕-영산.jpg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영산(평성)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서리(영산정류장)
종점행첫차17:10기점행첫차07:50
막차17:10막차07:50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창녕군청 - 창녕경찰서 - 한국전력공사 - 낙영 - 공설운동장 - 초막골 - 여초 - 신당 - 계성 - 계남 - 계전 - 평성마을 - 계산 - 평성마을 - 계산 - 장가1구 - 장가2구 - 서정가 - 산지 - 모래등 - 강리 - 상유리 - 관동 - 영산정류장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영산(평성) 시간표
영신버스터미널 → 영산영산 → 영신버스터미널
117:10107:50

3.23. 창녕 - 부곡(33번)[편집]


파일:영신8140.jpg
북면행 노선으로 그대로 운행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부곡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거문리(부곡버스터미널)
종점행첫차06:40기점행첫차08:15
막차17:40막차19:30
배차간격1일 11회(40~20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창녕군청 - 창녕축협 - 창녕경찰서 - 한국전력공사)(KT창녕지점 - 창녕농협 - 창녕서울병원 - 노인복지회관) - 낙영 - 상퇴천 - 초막골 - 여초 - 화곡 - 계성 - 명리 - 금전 - 영산정류장 - 서리 - (도천면) - 죽사2구 - 덕곡1구 - 덕곡2구 - 온천병원 - 거문.온천단지 - 부곡버스터미널 - (부곡중)

  • 창녕군의 주 간선노선이다

  • 이 노선도 창녕-이방노선처럼 이 노선운행을 종료후 노리,상길,남지,북면[13]등의 행선지로 노선을 바꾸어서 운행한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부곡 시간표
[ 부곡버스터미널 방향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영신버스발서울병원도천면종점
06:40경유북면
07:00--길곡
07:30--노리
08:00-경유
08:30--길곡
09:50--
10:30--영산(길곡순환)
10:45--노리
11:20--북면
11:50경유-
12:50--
13:50--길곡
14:50--북면
15:30--길곡
16:10--노리
16:50--
17:40--길곡
18:20--상길
[ 영신버스터미널(창녕읍)방향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부곡버스터미널발도천면서울병원
07:40--
08:15경유-
09:10--
09:30--
10:50--
11:50--
12:20--
13:30--
15:20--
16:30--
17:00--
17:40--
18:00--
18:40--
19:20--

3.24. 창녕 · 영산 - 노리 (- 부곡)(32,35,36,37번)[편집]


파일:창녕36노리.jpg
영산출발노선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노리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서리(영산정류장)
종점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노리(노리)
종점행첫차07:30기점행첫차07:05
막차16:40막차17:20
배차간격1일 5.5회(120~21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창녕군청 - 창녕축협 - 창녕경찰서 - 한국전력공사 - 낙영 - 상퇴천 - 초막골 - 여초 - 화곡 - 계성 - 명리 - 금전 - 영산정류장[14] - 서리 - (도천면) - 죽사2구 - 덕곡1구 - 덕곡2구 - 온천병원 - 거문.온천단지 - 부곡버스터미널 - 수다 - 수성 - 인교마을 - 비봉 - (비봉마을) - 구산 - 유촌 - 학포 - 노리 → (동점 → 청암 → 차실 → 온정 → 부곡버스터미널)

중간 출발 정류장
영신버스터미널 방향영산정류장
중간 종료 정류장
노리 방향부곡터미널,영산정류장

  • 학포에서 노리구간사이를 운행할때 낙동강변에 제방이없어 강건너 힘안이 훤히 보여 풍경이 아름답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노리 시간표
영신버스터미널 ,영산 → 노리노리 → 영산 , 영신버스터미널
1107:05(영산)(비봉)
207:30208:35(비봉)
310:45(비봉)311:50
413:30(영산)414:20(영산)(도천)
516:40517:20(부곡)
618:10(순환)(영산→부곡→노리→청암→부곡)


3.25. 북면 - 부곡 · 영산(31,31-1번)[편집]


북면-부곡, 북면-영산노선 문서 참조


3.26. 창녕 - 상길(38번)[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상길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길곡면 길곡리(상길)
종점
첫차창녕발13:00 차량기점
첫차07:10
막차18:20막차13:00
평일배차1일 2회(240~360분)
운수사명영신버스인가대수?
노선영신버스 - 창녕군청 - 창녕축협 - 창녕경찰서 - 한국전력공사 - 낙영 - 퇴천 - 초막골 - 여초 - 신당 - 계성 - 명리 - 금전 - 영산정류장 - 서리 - 죽사2구 - 덕곡1구 - 덕곡2구 - 온천병원 - 거문.온천단지 - 부곡버스터미널 - 온정 - 차실 - 청암 - 동점 - 아동 - 신덕 - 길곡 - 금곡 - 옥산곡 - 중길 - 길곡리 - 상길 → (창녕발 13:30분 차량은 상길→영산 직행운행)

  • 원래 이 노선은 80년대 말 중길/상길지역 민원으로 인한 학생 통학용으로 특별히 만들어 진 노선이다. 당시는 상길이 길이 끝나는 산골 오지였으며[15] 버스가 들어 오지 않는 지역이라, 부곡/영산으로 통학해야 하는 중/고등학생들이 한시간 넘게 걸어 나가 버스를 타거나 산을 넘어 다녀야 했었다. 오후 6시반이면 막차가 끊기는 창녕지역에서 달리 막차가 된 게 아닌 것이[16], 저녁막차로 버스가 들어간 뒤 기사가 종점에서(도착하면 오후 8시 30분) 하룻밤을 자고 다음날 아침 6시 30분에 첫차로 나오는 형태로 운영되었다[17]. 길곡면 지역이 당시엔 비포장도로여서 지금 20분 거리가 1시간 걸렸었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상길 시간표
영신버스터미널 → 상길상길 → 영신버스터미널
1107:10
213:00(도천경유,상길→영산직행)
318:203

3.27. 창녕 - 영산 · 창녕(부곡,길곡)(30,39번)[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영산(부곡,길곡)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서리(영산정류장)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
종점행첫차07:00기점행첫차13:40
막차15:30막차18:00
배차간격1일 3회(100~40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신버스 - 창녕군청 - 창녕축협 - 창녕경찰서 - 한국전력공사 - 낙영 - 상퇴천 - 초막골 - 여초 - 신당 - 계성 - 명리 - 금전 - 영산정류장 - 서리 - 죽사2구 - 논리 - 우강1구 - 외동 - 내동 - 신촌 - 오호 - 창녕함안보 - 하내 - 증산 - 길곡 - (중마 - 북마 - 중마) - 신덕 - 아동 - 동점 - 청암 - 차실 - 온정 - 부곡 - 원동 - 부곡버스터미널 - 거문.온천단지 - 온천병원 - 덕곡2구 - 덕곡1구 - 죽사2구 - 서리 - 영산정류장

  • 하루 1회 창녕읍으로 연장한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30,39번시간표
영신버스발비고(경유지)영산정류장발비고(경유지)
07:0013:40
08:3010:30창녕
15:3018:00

3.28. 영산 - 청단 · 월하(월평)(40,43번) [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영산 - 청단 · 월하(월평)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서리(영산정류장)종점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월하리(월하)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시남리(청단)
종점행첫차08:30기점행첫차07:00
막차19:00막차18:30
배차간격월하행 6회 청단행 3회
운수사명영신버스
청단행노선
영산정류장 - 관동 - 상유리 - 강리 - 모래등 - 화영 - 동정 - 상이곡 - 하이곡 - 대봉 - 두곡 - 고곡 - 금곡 - 수개 - 청단
월하(월평)행노선
영산정류장 - 관동 - 상유리 - 강리 - 모래등 - 화영 - 동정 - 상이곡 - 하이곡 - 대봉 - 두곡 - 고곡 - 칠현 - 담곡 - 반포 - 대곡 - 월상 - 월하 - (월평)[18][19]

  • 첫차는 영산장날만 운행한다

  • 특이하게도 창녕군청에서 게시한 시긴표, 카카오맵, 네이버지도에서는 종점이 월하가 아닌 낙동강 건너에 있는 박진으로 표기가 되어있다 아마도 박진 이란 지명이 더 인지도가 높기 때문인가 싶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40,43번 시간표
영산정류장발종점월하발청단발비고(경유지)
07:00영산장날[영산장날]
08:30월평09:20월평,창녕
10:00청단10:40
11:30월하12:20
13:10청단13:55
14:00월하14:50
16:00월하16:50
17:00청단17:45
18:00월하18:30
19:00고곡운행종료

3.29. 창녕 - 남지 · 영산 - 남지(25,25-1,25-2번 · 29번)[편집]


파일:영신창녕-남지.jpg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남지 · 영산-남지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서리(영산정류장)
종점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남지)
종점
첫차08:00기점
첫차07:50
막차16:30막차19:00
평일배차1일 10회(80~150분)[20]
운수사명영신버스인가대수?
노선영신버스 - 창녕군청 - 창녕축협 - 창녕경찰서 - 한국전력공사 - 낙영 - 상퇴천 - 초막골 - 여초 - 신당 - 계성 - 명리 - 금전 - 영산정류장[21] - 서리 - (신제) - 일리(도천) - 도천2구 - 송진 - 송진2구 - 송진1구 - 남지시외버스터미널 - (남지중학교) - 남지[22]

중간 출발 정류장
남지 방향영산정류장
중간 종료 정류장
영신버스터미널 방향영산정류장

  • 창녕군의 주 간선노선이다

  • 1일 1.5회 영산에서 출발 종착한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25,25-1,25-2,29번 시간표
영신버스발비고(경유지)남지발비고(경유지)
07:00서울병원07:50신제
08:30영산출발08:20영산종착
08:5010:15
10:10남지중11:10
12:20남지중13:10
13:3014:10
14:30남지중15:25
16:3017:10
18:30영산출발19:00


3.30. 남지 - 영산(작포)(44번)[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남지-영산(작포)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남지)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서리(영산정류장)
종점행첫차09:50기점행첫차07:35
막차18:00막차15:50
배차간격1일 3회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남지 - 남지시외버스터미널 - 송진1구 - 송진2구 - 송진 - 월령2구 - 새룡마을 - 월령 - 작포 - 둔암 - 연포 - 봉산 - 영산정류장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44번 시간표
영산정류장 → 남지읍남지읍 → 영산정류장
107:35109:50
212:00215:20
315:50318:00

3.31. 남지 - 영산(신제)(45번)[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남지-영산(신제)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남지)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서리(영산정류장)
종점행첫차15:20기점행첫차13:10
막차15:20막차13:10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남지 - 남지시외버스터미널 - 상대포 - 월령 - 새룡마을 - 당포 - 덕산 - 신제2구 - 신제1구 - 신제3구 - 영산정류장

  • 남지-창녕 노선중 신제경유노선과 이노선이 경유하는곳이 다르므로 주의할 것[23]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45번 시간표
영산정류장 → 남지읍남지읍 → 영산정류장
113:10115:20

3.32. 남지 - 월평(27번)[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월하(월평)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남지)종점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월하리(월하)
종점행첫차08:45기점행첫차07:20
막차19:00막차17:00
배차간격1일 4회(180~28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남지 - 남지시외버스터미널 - 상대포 - 매전 - 성사 - 아지 - (금곡 - 수개 - 청단 - 수개 - 청단) - 고곡 - 칠현 - 담곡 - 반포 - 대곡 - 월상 - 월하 - (월평)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27번 시간표
남지발비고(경유지)월하발비고(경유지)
08:45청단07:20
12:00청단09:10
16:20월평12:40월평
19:00청단17:00

3.33. 남지 - 부곡 · 영산(28번)[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남지-부곡(영산)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남지)종점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거문리(부곡버스터미널)
종점행첫차08:20기점행첫차09:50
막차16:00막차18:10
배차간격1일 3회(210~32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남지 - 남지시외버스터미널 - 송진1구 - 우강2구 - 외동 - (외동 - 내동 - 신촌) - 오호 - 창녕함안보 - 하내 - 증산 - 길곡 - (중마 - 북마 - 중마) - 신덕 - 아동 - 동점 - 청암 - 차실 - 온정 - 부곡 - 원동 - 부곡버스터미널 - (덕곡2구 → 덕곡1구 → 죽사2구 → 서리 → 영산정류장)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28번 시간표
남지발비고(경유지)부곡발비고(경유지)
08:20내동09:50내동
12:30영산,내동14:30내동
16:0018:10

3.34. 창녕 - 환곡(17번)[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창녕-환곡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영신버스터미널)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신촌리(환곡)
종점
첫차09:30기점
첫차07:40
막차18:00막차14:45
평일배차1일 3회(120~190분)
운수사명영신버스인가대수?
노선영신버스 → KT창녕지점 → 창녕농협사거리 → 장애인종합복지관 → 탐하리 → 회산 → (용소) → 환곡 → 구미 → 회산 → 탐하리 → 장애인종합복지관 → 영신버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17번 시간표
영신버스발비고(경유지)환곡발비고(경유지)
07:40
09:30용소09:45
14:30용소14:45
18:50

3.35. 영산 - 구계(23번)[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영산-구계리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서리(영산정류장)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구계리(구계)
종점행첫차08:40기점행첫차08:55
막차17:30막차17:45
배차간격1일 3회(180~28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산정류장 - 영산시장 - 구계

  • 창녕군에서 운행거리가 왕복 7.2km로 제일 짧은 노선이다 영산면 마을버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23번 시간표
영산정류장발비고(경유지)구계리발비고(경유지)
08:4008:55
12:2012:35
17:3017:45

3.36. 남지 - 장마(26번)[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남지-장마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남지)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장마면 장가리(장마)
종점행첫차09:30기점행첫차09:45
막차17:30막차17:45
배차간격1일 3회(150~38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남지 - 남지시외버스터미널 - 상대포 - 매전 - 학암 - 남유 - 강리(장마)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26번 시간표
남지읍 → 장마면장마면 → 남지읍
109:30109:45
211:00211:15
317:30317:45

3.37. 영산 - 광계(24번)[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영산-광계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서리(영산정류장)종점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광계리(광계)
종점행첫차09:10기점행첫차09:20
막차16:30막차16:40
배차간격1일 3회(150~380분)
운수사명영신버스
노선영산정류장 - 관동 - 광계

  • 창녕군에서 운행거리가 왕복 8.8km로 영산-구계노선 다음으로 짧은 노선이다 영산면 마을버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24번 시간표
영산정류장 → 광계광계 → 영산정류장
109:10109:20
211:40211:10
316:30316:40

3.38. 이방 - 등림(10번)[편집]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이방-등림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거남리(이방주유소)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등림리(등림)
종점
첫차07:40기점
첫차08:10
막차14:50막차15:10
평일배차1일 3회(180~220분)
운수사명영신버스인가대수?
노선이방주유소 - 장천 - 곡척 - 합천창녕보 - 죽전 - 등림

  • 낙동강과 고장산에 가로막혀 교통이 불편한 등림마을을 운행한는 유일한 노선이다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농어촌버스 10번 시간표
이방주유소발비고(경유지)등림발비고(경유지)
07:4008:10
11:4012:10
14:5015:10

4. 폐선된노선[편집]



5. 타지역 버스와의 연계[편집]



  • 창원시 시내버스
    • 창원시 시내버스가 관내로 들어오진 않고 북면-부곡,영산노선이 3번 운행하며 북면에서 편도1회 영산까지 연장운행한다. 그 외에는 학포에서 하차후 본포교를 이용하여 본포마을회관 정류장까지 2.2km 도보하여 30,31,33,40,41번을 이용해서 창원,마산으로 갈수있다.

  • 합천군 농어촌버스
    • 창원과 마찬가지로 합천군 농어촌버스노선은 창녕군에 들어오진 않는다. 하지만 창녕군에서 운행하는 창녕-적교노선과 이방-적교노선이 창덕면 적교합동버스정류장까지 운행하며 이곳에서 합천,초계,신반행 노선[24]을 이용할수 있고 다른방법으로는 이방-율원 노선이 율지면 율원마을까지 운행한다 하지만 이곳은 합천군 농어촌버스 노선[25]과의 연계가 오전에만 쉽게 가능하며 오후에는 거의 불가능하다.

  • 의령군 농어촌버스
    • 일반농어촌버스는 창녕군 관내에 들어오지않고 약 2년 전에 공공형버스로 개통한 남지-신반노선이 일 2회, 시외버스에서 농어촌버스로 전환한 대구-의령(신반)노선이 3회 적교,이방을 경유한다

  • 함안군 농어촌버스
    • 마산행 113-1번 버스가 8번 남지시외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한다 하지만 시외 할증이 붙어서 성인기준으로 500원씩 추가요금을 지불해야하며 마산(창원)터미널까지 갈시 시외버스 타라고 기사님께 승차거부까지 당할 수 있다. 그냥 창녕-남지-마산 시외버스 타고가자
함안군 농어촌버스 113-1번 남지행 시간표
마산,창원발비고(경유지)남지발비고(경유지)
07:15113-58(칠서)08:15113-58(칠서)
09:50(창원)113-80(칠북)09:00113-38(대산)
10:15113-58(칠서)09:05(창원)113-80(칠북)
13:40113-58(칠서)11:40113-81(칠북)
15:50113-81(칠북)12:20113-57(칠서)
16:45113-56(칠서)15:40113-57(칠서)
17:40113-41(대산)17:25113-82(칠북)
20:05113-59(칠서)18:15113-57(칠서)
19:35113-39(대산)

  • 밀양시 시내버스[27]
    • 두 지역은 붙어있지만 무도보로 연계는 불가능하다. 무도보로 창녕에서 밀양을 가려면 1일 5회 다니는 창녕 - 밀양간 시외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정 가려면 고암면에서 청도면으로 가는건 화왕산[26]을 넘지않고서는 불가능하고 부곡면에서 청도천과 접경된 지역에서만 가능하다. 먼저 인교에서 하차후 인교를 건너 인근에 초동농공단지까지 1.2km 도보해서 초동3,초동공단번을 타야하거나 학포에서 하차후 2.1km를 도보해 반월마을을 가서 삼남4번,삼남7번,삼남8번을 이용해야한다

  • 청도군 농어촌버스
    • 두 지역 역시 붙어있지만 무도보로 연계는 불가능하다. 과거에는 그나마 인터시티경산(당시 경산버스의 시외부)가 창녕과 청도를 이어줬지만, 폐지된 지금은 무조건 대구로 가야한다. 정 바로 가려면 창녕에서 방리가는 버스 타고 방리 하차 후 4.8km 도보 햇허 금곡리마을회관에서 청도 버스 풍각순환을 타야한다. 하지만 방리행 버스는 1일 3회로 매우 적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0:10:31에 나무위키 창녕군 농어촌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창녕장날운행,경유지 등이 기재되어있지 않고 또 번호도 다르며 몇 년전 시간표를 그대로 가져와 쓰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다 차라리 영신버스에 물어보는게 낫다[2] 이 노선(창녕-적교, 창녕-이방, 창녕-부곡)의 경우 각 읍면지역 목적지까지 운행후 각 목적지로 뻗어나가는 노선을 그대로 운행하는 경우가 많다[3] 창원 버스 70번대 노선과 유사하다[4] 대부분 부곡면,길곡면,남지읍,이방면,유어면이며 나머지 읍면은 대부분 노선이 창녕읍내까지 운행한다 [5] 일부 시간대에는 반대로 운행한다[6] 창녕군청 시간표를 볼때는 감리-청간으로 별도로 게시되어있다[원촌경유] 원촌경유시 간적 → 대암 → 원촌 → 민촌 → 청학 → 하리 → 송현사거리 순으로 운행[창녕장날] A B C D E F G 3,8일[7] 창녕-적교노선의 막차까지 합하면 4.5회이다[8] 노선을 찾아볼때는 모곡이라고 찾아야한다[학성경유] 학성경유시 영신버스 - 직교마을 - 학성 - 대초 - 관동 - 예동 - 회룡 - 세진 - 우포늪[9] 일부시간에는 반대로 순환한다[10] 첫차는 동정에서 회차한다[11] 첫차 막차는 용소,월령경유[12] 창녕-옥천(모곡)노선은 행선판에 모곡이라고 표시한다[13] 상단 사진참조[14] 중간출발지[15] 지금은 부곡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이 생겼다[16] 영산 오후 7시, 부곡에서 오후 7시 30분 출발[17] 처음 개통때 집집마다 기사를 재워준다고 줄을 섰다고...[18] 1일 1회 창녕읍으로 연장운행한다[19] 막차는 고곡까지만 운행[영산장날] 5,0일[20] 영산출발,종착 1.5회[21] 중간출발지[22] 일부시간대 서울병원경유[23] 당포,덕산,상대포경유[24] 100-2,100-3,100-4,110-1,110-3,110-4,110-5,110-8,110-12[25] 180번[26] 창밀로. 도보가 10km다.[27] 비단 창녕 뿐만 아니라 밀양버스는 경상북도 지역인 청도를 제외한 모든 버스와 무도보로 연계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