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레슬링 갤러리 어워즈

덤프버전 :


파일:프갤어워즈2021.png

1. 개요
2. 목록
2.1. BEST 부문
2.1.1. 올해의 남성 레슬러[1]
2.1.2. 올해의 여성 레슬러
2.1.3. 올해의 팀[2]
2.1.4. 올해의 선역[3]
2.1.5. 올해의 악역[4]
2.1.6. 올해의 챔피언[5]
2.1.7. 올해의 워커[6]
2.1.8. 올해의 경기
2.1.9. 올해의 세그먼트[7]
2.1.10. 올해의 모먼트[8]
2.1.11. 올해의 대립
2.1.12. 올해의 캐치프레이즈[9]
2.1.13. 올해의 뉴커머[10]
2.1.14. 올해의 마이크워커
2.1.15. 올해의 논레슬러
2.1.16. 올해의 성장한 레슬러
2.1.17. 내년에 주목할 레슬러
2.1.18. 올해의 기술
2.1.19. 올해의 기믹
2.1.20. 올해의 뉴스
2.1.21. 올해의 컴백
2.1.22. 올해의 등장음악
2.1.23. 올해의 브랜드[11]
2.1.24. 올해의 이벤트[12]
2.2. WORST 부문
2.2.1. 최악의 남성 레슬러
2.2.2. 최악의 여성 레슬러
2.2.3. 최악의 팀
2.2.4. 최악의 선역
2.2.5. 최악의 악역
2.2.6. 최악의 챔피언[13]
2.2.7. 최악의 워커[14]
2.2.8. 최악의 경기
2.2.9. 최악의 세그먼트
2.2.10. 최악의 모먼트
2.2.11. 최악의 대립
2.2.12. 최악의 캐치프레이즈
2.2.13. 최악의 뉴커머
2.2.14. 최악의 마이크워커
2.2.15. 최악의 논레슬러
2.2.16. 올해의 과대평가[15]
2.2.17. 올해의 과소평가
2.2.18. 크리스챤 어워즈 (올해의 불쌍왕)[16][17]
2.2.19. 최악의 기술
2.2.20. 최악의 기믹
2.2.21. 최악의 뉴스
2.2.22. 최악의 등장음악
2.2.23. 최악의 브랜드
2.2.24. 최악의 이벤트[18]
2.3. 폐지된 부문
2.3.1. 스테이블 상
2.3.2. 개때끼 of 개때끼
2.3.3. 해설 부문
2.3.4. TV쇼 부문
2.3.5. 단체 부문
2.3.6. 경기 스타일 부문
2.3.7. 하이 플라이어(크루져웨이트) 부문


1. 개요[편집]


프로레슬링 갤러리에서 매년 실시하는 자체 어워즈. 1월 1일에서 12월 31일까지의 모습을 집계하기에 1월 초에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초창기에는 투표 부문도 적고 투표 후보를 작성자가 임의로 고르는 등의 문제들이 보였지만[19], 해를 거듭하면서 부문도 늘어나고 결선 후보를 정하는 예선 투표와 수상자를 결선 투표를 나눠서 진행하는 등 나름의 형식을 갖춰가고 있다.

다만, 프로레슬링 갤러리 특성상 갤러리 여론에 따라 수상자가 결정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어워즈의 내용이 대부분 WWE에 치중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타 단체의 경우에도 대체로 WWE 출신이어서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특정 인물이나 특정 단체가 자주 나오는 경우가 많다.

2013
2014
2015
2016 ~ 2022 리스트 게시물 삭제됨

2. 목록[편집]



2.1. BEST 부문[편집]


파일:프갤어워즈베스트.jpg

2.1.1. 올해의 남성 레슬러[20][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대니얼 브라이언
2014세스 롤린스
2015세스 롤린스[21]
2016AJ 스타일스
2017AJ 스타일스[22]
2018AJ 스타일스[23]
2019존 목슬리[24]
2020드류 맥킨타이어
2021애덤 페이지
2022세스 롤린스[25]


2.1.2. 올해의 여성 레슬러[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AJ 리
2014페이지
2015사샤 뱅크스
2016샬럿
2017샬럿 플레어[26]
2018베키 린치[27]
2019리아 리플리
2020알렉사 블리스
2021브릿 베이커[28]
2022비앙카 벨레어


2.1.3. 올해의 팀[29][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코디 로즈 & 골더스트
2014더 쉴드
2015뉴 데이
2016브로큰 하디즈
2017더 바
2018언디스퓨티드 에라
2019언디스퓨티드 에라[30]
2020더 허트 비즈니스
2021RK-BRO
2022브롤링 브루츠


2.1.4. 올해의 선역[31][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5딘 앰브로스
2016존 시나
2017AJ 스타일스
2018AJ 스타일스[32]
2019쟈니 가르가노
2020드류 맥킨타이어
2021애덤 페이지
2022코디 로즈


2.1.5. 올해의 악역[33][편집]




2.1.6. 올해의 챔피언[34][편집]




2.1.7. 올해의 워커[35][편집]



2.1.8. 올해의 경기[편집]


연도수상쇼 이름비고
2013CM 펑크 vs 브록 레스너 - 노 홀즈 바드 매치섬머슬램 2013
2014팀 시나[36] vs 팀 어쏘리티[37] - 5 vs 5 제거 매치서바이버 시리즈 2014
2015브록 레스너 vs 존 시나 vs 세스 롤린스 -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쉽로얄럼블 2015[38]
2016존 시나 vs AJ 스타일스섬머슬램 2016[39]
2017존 시나 vs AJ 스타일스로얄럼블 2017[40][41]
2018쟈니 가르가노 vs 토마소 치암파 - 언생션드 매치NXT 테이크오버 : 뉴 올리언스
2019쟈니 가르가노 vs 애덤 콜 - 3판 2선승제 매치NXT 테이크오버 : 뉴욕 2019[42]
2020언더테이커 vs AJ 스타일스 - 본야드 매치레슬매니아 36
2021케니 오메가 vs 애덤 페이지 - AEW 월드 챔피언쉽풀 기어 2021
2022세스 롤린스 vs 코디 로즈 - 헬 인 어 셀 매치WWE 헬 인 어 셀(2022)


2.1.9. 올해의 세그먼트[43][편집]


연도수상쇼 이름비고
2016더 미즈, 본인을 겁쟁이라고 부르는 대니얼 브라이언에게 '슛'을 날리다8월 23일, 토킹 스맥
2017존 시나로만 레인즈에게 이게 세그먼트라며 한 수 알려주다8월 28일, RAW
2018론다 로우지니키 벨라에게 "수많은 문을 두드려온 나와 달리,
네가 두드린 문은 존 시나 방문 뿐이며 거기서도 쫓겨났다"며 팩폭을 날리다
10월 15일, RAW
2019존 목슬리가 "이것이 너희가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부르는 것이다"라며 선전포고를 날리다5월 28일, AEW 유튜브
2020살아있는 전설, 디 언더테이커의 은퇴식서바이버 시리즈 2020
2021CM 펑크가 7년 만에 레슬링에 돌아오다8월 20일, AEW 램페이지 : 퍼스트 댄스
2022새미 제인제이 우소가 단지 'UCEY'하지 못한 거였다고 변호(?)하다10월 28일, WWE 스맥다운!


2.1.10. 올해의 모먼트[44][편집]


연도수상쇼 이름비고
2013트리플 H의 배신과 랜디 오턴의 캐싱인섬머슬램 2013
2014--
2015--
2016AJ 스타일스가 로얄럼블에서 데뷔를 하다로얄럼블 2016
2017하디 보이즈가 갑작스러운 복귀를 하다레슬매니아 33
2018베키 린치샬럿을 공격하며 턴힐하다섬머슬램 2018
2019존 목슬리오메가제리코를 공격하며 AEW에 충격적으로 데뷔하다더블 오어 나씽 2019
2020에지가 긴 공백을 뚫고 로얄 럼블에서 복귀하다로얄럼블 2020
2021CM 펑크가 7년 만에 레슬링에 돌아오다8월 20일, AEW 램페이지 : 퍼스트 댄스
2022코디 로즈가 아메리칸 나이트메어 그대로의 모습으로 6년 만에 WWE로 돌아오다WWE 레슬매니아 38


2.1.11. 올해의 대립[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언더테이커 vs CM 펑크
2014딘 앰브로스 vs 세스 롤린스
2015딘 앰브로스 vs 세스 롤린스[45][46]
2016존 시나 vs AJ 스타일스
2017알레이스터 블랙 vs 벨베틴 드림
2018쟈니 가르가노 vs 토마소 치암파
2019쟈니 가르가노 vs 애덤 콜[47]
2020브레이 와이어트 vs 랜디 오턴
2021케니 오메가 vs 애덤 페이지
2022코디 로즈 vs 세스 롤린스


2.1.12. 올해의 캐치프레이즈[48][편집]


연도수상비고
2013"YES!" - 대니얼 브라이언
2014"YES!" - 대니얼 브라이언[49]
2015"New Day Rocks!" - 뉴 데이
2016"DELETE!" - 브로큰 매트 하디
2017"Glorious!" - 바비 루드
2018"Adam Cole, BAYBAY!" - 애덤 콜
2019"Adam Cole, BAYBAY!" - 애덤 콜[50]
2020"Let Me In" - 브레이 와이어트
2021"Adam Cole, BAYBAY!" - 애덤 콜[51]
2022"SHOOOOOOSH!" - 채드 게이블


2.1.13. 올해의 뉴커머[52][편집]




2.1.14. 올해의 마이크워커[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CM 펑크
2014폴 헤이먼
2015폴 헤이먼[53]
2016더 미즈
2017폴 헤이먼[54]
2018베키 린치
2019크리스 제리코
2020브레이 와이어트
2021CM 펑크
2022더 미즈


2.1.15. 올해의 논레슬러[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폴 헤이먼
2014폴 헤이먼[55]
2015폴 헤이먼[56]
2016대니얼 브라이언
2017셰인 맥마흔
2018마우로 라날로
2019마우로 라날로[57]
2020정찬우[58]
2021토니 칸
2022월스트리트 저널[59]


2.1.16. 올해의 성장한 레슬러[편집]




2.1.17. 내년에 주목할 레슬러[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20키스 리
2021
2022코디 로즈


2.1.18. 올해의 기술[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스피어 - 로만 레인즈
2014커브 스톰프 - 세스 롤린스
2015커브 스톰프 - 세스 롤린스[60]
2016RKO - 랜디 오턴
2017페노미널 포어암 - AJ 스타일스
2018클레이모어 - 드류 맥킨타이어
2019패러다임 쉬프트 - 존 목슬리
2020클레이모어 - 드류 맥킨타이어
2021벅샷 래리어트 - 애덤 페이지
2022찹 - 건터


2.1.19. 올해의 기믹[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4데미안 미즈도우
2015뉴 데이
2016브로큰 매트 하디
2017벨베틴 드림
2018'THE MAN' 베키 린치
2019'더 핀드' 브레이 와이어트
2020'더 핀드' 브레이 와이어트[61]
2021'선역이라 생각하는 악역' 코디 로즈
2022'명예 우소' 새미 제인


2.1.20. 올해의 뉴스[편집]


연도수상비고
2014스팅이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정식 데뷔하다
2015세스 롤린스가 머니 인 더 뱅크 캐싱인으로 레슬매니아 31의 마지막을 장식하다
2016AJ 스타일스가 WWE와 계약을 맺다
2017하디 보이즈, 레슬매니아 33에서 화려하게 복귀하다
2018로만 레인즈가 백혈병으로 메인 전선에서 이탈하다
2019모두의 기대를 받으며 새로운 레슬링 단체 AEW가 창설되다
2020언더테이커가 33년의 커리어를 마치고 은퇴하다
2021CM 펑크가 7년 만에 레슬링 업계에 복귀하다
2022빈스 맥맨이 성추문 스캔들의 여파로 40년 만에 WWE 회장직에서 사임하다


2.1.21. 올해의 컴백[편집]




2.1.22. 올해의 등장음악[편집]


연도수상비고
2017Glorious Domination - 바비 루드
2018Undisputed - 언디스퓨티드 에라
2019Undisputed - 언디스퓨티드 에라[62]
2020Metalingus - 에지
2021Cult of Personality - CM 펑크
2022Kingdom - 코디 로즈


2.1.23. 올해의 브랜드[63][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WWE RAW
2018WWE NXT
2019WWE NXT
2020WWE RAW
2021AEW
2022WWE RAW


2.1.24. 올해의 이벤트[64][편집]


연도수상비고
2013섬머슬램
2014서바이버 시리즈
2015레슬매니아
2016노 머시
2017NXT 테이크오버 : 워 게임
2018NXT 테이크오버 : 뉴 올리언스[65]
2019NXT 테이크오버 : 뉴욕 2019[66]
2020로얄럼블
2021풀 기어
2022WWE 레슬매니아 38 - 데이 1


2.2. WORST 부문[편집]


파일:프갤어워즈워스트.jpg

2.2.1. 최악의 남성 레슬러[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4바티스타
2015로만 레인즈
2016로만 레인즈[67]
2017진더 마할
2018로만 레인즈[68]
2019배런 코빈
2020제이 우소
2021로만 레인즈[69]
2022CM 펑크


2.2.2. 최악의 여성 레슬러[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5니키 벨라
2016에바 마리
2017알렉사 블리스
2018알렉사 블리스[70]
2019알렉사 블리스[71]
2020나이아 잭스
2021에바 마리
2022사샤 뱅크스


2.2.3. 최악의 팀[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4뉴 데이
2015벨라 트윈스
2016호호 룬 & 왕 빈
2017진더 마할 & 싱 브라더스
2018벨라 트윈스[72]
2019다크 오더
2020레트리뷰션
2021블러드라인
2022사샤 뱅크스 & 나오미


2.2.4. 최악의 선역[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5로만 레인즈
2016로만 레인즈[73]
2017로만 레인즈[74]
2018로만 레인즈[75]
2019코피 킹스턴
2020제이 우소
2021도미닉 미스테리오
2022CM 펑크


2.2.5. 최악의 악역[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5니키 벨라
2016스테파니 맥마흔 & 타이터스 오닐[76]
2017진더 마할
2018빅 캐스
2019배런 코빈
2020제이 우소[77]
2021로만 레인즈
2022MJF


2.2.6. 최악의 챔피언[78][편집]




2.2.7. 최악의 워커[79][편집]




2.2.8. 최악의 경기[편집]


연도수상쇼 이름비고
2013토탈 디바스[80] vs WWE 디바스[81] - 7 vs 7 제거 매치서바이버 시리즈 2013
2014언더테이커 vs 브록 레스너레슬매니아 30
201530인 로얄럼블 매치로얄럼블 2015
2016딘 앰브로스 vs 크리스 제리코 - 어사일럼 매치익스트림 룰즈 2016
2017언더테이커 vs 로만 레인즈레슬매니아 33
2018DX vs 파괴의 형제크라운 주얼 2018
2019세스 롤린스 vs '더 핀드' 브레이 와이어트헬 인 어 셀 2019
2020리코셰 vs 브록 레스너 - WWE 챔피언쉽슈퍼 쇼 다운 2020
2021로만 레인즈 vs '데몬' 핀 밸러 - WWE 유니버설 챔피언쉽익스트림 룰즈 2021
2022브록 레스너 vs 로만 레인즈 - 언디스퓨티드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WWE 레슬매니아 38 - 데이 2[82]


2.2.9. 최악의 세그먼트[편집]


연도수상자쇼 이름비고
2016빈스 맥마흔 "Undertaker is also.. MY BITCH"3월 21일, RAW
2017알렉사 블리스 "Bayley, This is Your Life"5월 29일, RAW[83]
2018로만 레인즈가 '브록빈스의 양아들'이라고 말하다3월 12일, RAW[84]
2019리바이벌우소즈의 장난에 속아 중요 부위에 화상을 입다5월 6일, RAW[85]
2020로만 레인즈가 "I'm Next"라는 한 마디로 레슬매니아 메인이벤트 행을 결정짓다2월 28일, 스맥다운
2021빈스 맥마흔이 황금알을 도둑맞았다며 로스터를 닦달하다서바이버 시리즈 2021[86]
2022빈스 맥맨이 성추문 스캔들에 대해선 해명 없이 "Then, Now, Forever, Together"를 외치고 사라지다7월 17일, WWE 스맥다운![87]


2.2.10. 최악의 모먼트[편집]


연도수상쇼 이름비고
2013트리플 H가 모든 레슬러를 불러세운 후 마지막에 등장하다
2014-
2015-
2016로만 레인즈, 1년 만에 대관식의 주인공이 되다레슬매니아
2017로만 레인즈언더테이커의 은퇴전에서 수많은 실수를 저지르며 승리를 거두다레슬매니아[88]
2018셰인 맥마흔이 말도 안 되는 전개 끝에 WWE 월드컵에서 우승하다크라운 주얼
2019커트 앵글배런 코빈과의 은퇴전에서 어이없게 패배하여 초라하게 은퇴하다레슬매니아
2020빌 골드버그가 난공불락이던 핀드를 3분 만에 꺾다WWE 슈퍼 쇼다운
2021쓰러졌던 핀 밸러가 경기 중 부활(?)했지만 갑자기 로프가 끊기며 떨어지다익스트림 룰즈
2022CM 펑크가 올 아웃 이후 기자회견에서 폭탄 발언으로 AEW 백스테이지를 혼돈으로 만들다AEW 올 아웃


2.2.11. 최악의 대립[편집]


연도수상비고
2013토탈 디바스 vs WWE 디바스
2014브리 벨라 vs 니키 벨라[89]
2015로만 레인즈 vs 브레이 와이어트
2016로만 레인즈 vs 디 어소리티[90]
2017언더테이커 vs 로만 레인즈[91]
2018DX vs 파괴의 형제[92]
2019세스 롤린스 vs '더 핀드' 브레이 와이어트[93]
2020리코셰 vs 레트리뷰션
2021로만 레인즈 vs 핀 밸러[94]
2022CM 펑크 vs '행맨' 애덤 페이지


2.2.12. 최악의 캐치프레이즈[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6"I'm THE GUY" - 로만 레인즈
2017"I'm THE GUY" - 로만 레인즈[95]
2018"어훌러 어훌러" - 타이터스 오닐
2019"The BEST! In The World~~! Shane McMahon!" - 셰인 맥마흔
2020"Oh Yeah~" - 오티스
2021"Acknowledge Me" - 로만 레인즈[96][97]
2022"Acknowledge Me" - 로만 레인즈[98]


2.2.13. 최악의 뉴커머[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6호호 룬
2017마이크 카넬리스 & 마리아 카넬리스
2018SAnitY[99]
2019라스 설리반
2020레트리뷰션
2021오모스
2022제프 하디


2.2.14. 최악의 마이크워커[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5로만 레인즈
2016로만 레인즈[100]
2017로만 레인즈[101]
2018로만 레인즈[102]
2019배런 코빈[103]
2020제이 우소
2021로만 레인즈[104]
2022배런 코빈[105]


2.2.15. 최악의 논레슬러[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6딕시 카터
2017김남훈[106]
2018빈스 맥마흔
2019빈스 맥마흔[107]
2020브랜디 로즈
2021빈스 맥마흔[108]
2022빈스 맥마흔[109]


2.2.16. 올해의 과대평가[110][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커티스 액슬
2014로만 레인즈
2015로만 레인즈[111]
2016로만 레인즈[112]
2017진더 마할
2018알렉사 블리스
2019코피 킹스턴
2020제이 우소
2021로만 레인즈[113]
2022CM 펑크


2.2.17. 올해의 과소평가[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안토니오 세자로
2014세자로[114]
2015-
2016새미 제인
2017루크 하퍼
2018안드라데 시엔 알마스
2019새미 제인[115]
2020존 모리슨
2021핀 밸러
2022채드 게이블


2.2.18. 크리스챤 어워즈 (올해의 불쌍왕)[116][117][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돌프 지글러
2014세자로
2015킹 바렛
2016새미 제인
2017리바이벌[118]
2018SAnitY[119]
2019에릭 영[120]
2020리코셰
2021트리플 H[121]
2022드류 맥킨타이어[122]


2.2.19. 최악의 기술[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4애콜레이드 - 루세프
2015스쿨보이 파워밤 - 로만 레인즈
2016스쿨보이 파워밤 - 로만 레인즈[123]
2017칼라스 - 진더 마할
2018예스 킥 - 브리 벨라
2019로즈 플랜트 - 베일리
2020슈퍼킥 - 제이 우소
2021슈퍼맨 펀치 - 로만 레인즈[124]
2022벅샷 래리어트 - CM 펑크[125]


2.2.20. 최악의 기믹[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4뉴 데이
2015로만 레인즈
2016'THE GUY' 로만 레인즈[126]
2017'무기로 때리지 못하는 착한 레슬러' 베일리
2018'LGBT' 핀 밸러
2019'불륜 커플' 바비 래쉴리 & 라나
2020레트리뷰션
2021'블러드라인의 리더' 로만 레인즈[127]
2022'모던 데이 레슬링 갓' 배런 코빈[128]


2.2.21. 최악의 뉴스[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4언더테이커의 레슬매니아 연승 신화가 무너지다
2015로만 레인즈로얄 럼블 경기에서 우승하다
2016대니얼 브라이언의 은퇴가 확정되다
2017언더테이커로만 레인즈와의 안타까운 경기 끝에 은퇴하다
2018브록 레스너가 WWE와 재계약을 하고 다시금 유니버설 챔피언 자리에 오르다
2019세스 롤린스SNS에서 수많은 문제를 일으키며 안티를 끌어모으다
2020'브로디 리' 존 휴버가 4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다
2021WWE가 끝없는 방출 러쉬로 수많은 선수와 스태프들을 내보내다
2022CM 펑크가 스크럼에서 슛을 날리고 백스테이지에서 난동을 피운 여파로 AEW가 난장판이 되다


2.2.22. 최악의 등장음악[편집]




2.2.23. 최악의 브랜드[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WWE 스맥다운
2018WWE RAW
2019WWE RAW[129]
2020AEW
2021WWE 스맥다운
2022AEW


2.2.24. 최악의 이벤트[130][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배틀그라운드
2014배틀그라운드[131]
2015로얄럼블
2016레슬매니아
2017레슬매니아
2018크라운 주얼
2019크라운 주얼[132]
2020슈퍼 쇼 다운
2021익스트림 룰즈
2022로얄럼블


2.3. 폐지된 부문[편집]



2.3.1. 스테이블 상[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더 쉴드

이후 태그 팀 부문이 팀으로 변경되어 편입되며 폐지.


2.3.2. 개때끼 of 개때끼[편집]


연도수상자비고
2013트리플 H
2014브록 레스너
2015WWE 각본진


2.3.3. 해설 부문[편집]


연도최고의 해설 수상자최악의 해설 수상자비고
2013김남훈김남훈
2015르네 영김남훈
2016마우로 라날로김남훈

객관적인 투표가 아닌 특정 인물을 겨냥한 투표가 많고, 언어의 차이로 인해 제대로 된 투표가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폐지되며 올해의 논레슬러로 편입되었다.


2.3.4. TV쇼 부문[편집]



TV쇼가 없는 단체는 투표에서 소외되어 브랜드 부문으로 편입되며 폐지.


2.3.5. 단체 부문[편집]


연도최고의 단체최악의 단체비고
2014WWETNA
2015WWE NXTWWE
2016WWETNA

브랜드 부문으로 편입되며 폐지.


2.3.6. 경기 스타일 부문[편집]


연도최고의 브롤러최고의 테크니션비고
2015딘 앰브로스세자로

경기 스타일의 논란으로 폐지.


2.3.7. 하이 플라이어(크루져웨이트) 부문[편집]


연도최고의 크루져웨이트비고
2015네빌
2016칼리스토
2017네빌
2018버디 머피

경기 스타일의 논란이 있어, 각종 경기 스타일이 2016년 어워즈에서는 삭제되었으나 205 쿼터제(..)로 인해 크루져웨이트로 이름을 바꿔 명목을 유지한 시상 목록. 하지만 205 라이브의 NXT 편입, 관심도 저조 등으로 인해 폐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10:31:53에 나무위키 프로레슬링 갤러리 어워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올해의 선수에서 2016년부터 올해의 레슬러로 변경.[2] 첫 해에만 최고의 태그 팀이라는 이름으로 시상[3] 2015년부터 시행[4] 2015년부터 시행[5] 2019년부터 시행[6] 한 해동안 최고의 경기를 보여준 선수. 2018년부터 시행[7] 2016년부터 시행[8] 2014, 15에는 시상하지 않음[9] 2013년엔 최고의 챈트로 시상[10] 이전엔 올해의 신인, 브레이크아웃 스타 등으로 시상[11] 2014~18년은 시상하지 않음[12] 기존엔 최고의 PPV로 시상[13] 2019년부터 시행[14] 한 해동안 최악의 경기를 보여준 선수. 2018년부터 시행[15] 2013년엔 과대 푸쉬로 시상[16] 올타임 불쌍왕인 크리스챤을 기리며(...) 붙여진 이름이다.[17] 기존엔 올해의 나락으로 시상[18] 기존엔 최악의 PPV로 시상[19] 2015년에 최악의 기술을 로만 레인즈가 5가지의 후보를 모두 가져가는 등, 그 문제가 상당히 두드러졌다.[20] 올해의 선수에서 2016년부터 올해의 레슬러로 변경.[21] 2년 연속 수상[22] 2년 연속 수상[23] 3년 연속 수상[24] 최초의 비 WWE 선수 수상[25] 통산 3회 수상[26] 2년 연속 수상[27] 90.9%로 프갤 어워즈 역대 최고 득표율[28] 최초의 비 WWE 여성 선수 수상[29] 첫 해에만 최고의 태그 팀이라는 이름으로 시상[30] 2년 연속 수상[31] 2015년부터 시행[32] 2년 연속 수상[33] 2015년부터 시행[34] 2019년부터 시행[35] 한 해동안 최고의 경기를 보여준 선수. 2018년부터 시행[36] 존 시나 & 돌프 지글러 & 에릭 로완 & 빅 쇼 & 라이백[37] 세스 롤린스 & 케인 & 마크 헨리 & 루크 하퍼 & 루세프[38] 세스 롤린스, 존 시나 2년 연속 수상[39] 존 시나 3년 연속 수상[40] 존 시나 4년 연속, AJ 스타일스 2년 연속 수상[41] 최초로 같은 대진 2년 연속 수상[42] 자니 가르가노 2년 연속 수상[43] 2016년부터 시행[44] 2014, 15에는 시상하지 않음[45] 2명 모두 2년 연속 수상[46] 같은 대립 2년 연속 수상[47] 쟈니 가르가노 2년 연속 수상[48] 2013년엔 최고의 챈트로 시상[49] 동일 캐치프레이즈 2년 연속 수상[50] 동일 캐치프레이즈 2년 연속 수상[51] 통산 3회 수상[52] 이전엔 올해의 신인, 브레이크아웃 스타 등으로 시상[53] 2년 연속 수상[54] 통산 3회 수상[55] 2년 연속 수상[56] 3년 연속 수상[57] 2년 연속 수상[58] IB스포츠 RAW 한국 중계 캐스터.[59] 프갤 어워즈 모든 부문 최초 언론사 및 非인물 수상[60] 2년 연속 수상[61] 2년 연속 수상[62] 2년 연속 수상[63] 2014~18년은 시상하지 않음[64] 기존엔 최고의 PPV로 시상[65] NXT 테이크오버 2년 연속 수상[66] NXT 테이크오버 3년 연속 수상[67] 2년 연속 수상[68] 통산 3회 수상[69] 통산 4회 수상[70] 2년 연속 수상[71] 3년 연속 수상[72] 통산 2회 수상[73] 2년 연속 수상[74] 3년 연속 수상[75] 4년 연속 수상[76] 공동 1위[77] 프갤 어워즈 역대 최초 최악의 선수+선역+악역 동시 수상[78] 2019년부터 시행[79] 한 해동안 최악의 경기를 보여준 선수. 2018년부터 시행[80] 나탈리아 & 브리 벨라 & 니키 벨라 & 카메론 & 나오미 & 조조(WWE) & 에바 마리[81] AJ 리 & 타미나 스누카 & 써머 래 & 로사 멘데스 & 알리샤 폭스 & 악사나 & 케이틀린[82] 브록 레스너, 로만 레인즈 통산 3회 수상[83] RAW 2년 연속 수상[84] RAW 3년 연속 수상[85] RAW 4년 연속 수상[86] 최초의 PPV 세그먼트 수상[87] 빈스 맥맨, 통산 3회 수상[88] 로만 레인즈 2년 연속 수상[89] 벨라 트윈스 2년 연속 수상[90] 로만 레인즈 2년 연속 수상[91] 로만 레인즈 3년 연속 수상[92] 언더테이커 2년 연속 수상[93] 브레이 와이어트 통산 2회 수상[94] 로만 레인즈 통산 4회 수상[95] 2년 연속 수상[96] 단일 후보로 인한 어워즈 최초로 결선투표 없이 당선[97] 로만 레인즈 통산 3회 수상[98] 2년 연속 수상[99] 에릭 영. 알렉산더 울프, 킬리언 데인[100] 로만 레인즈 2년 연속 수상[101] 로만 레인즈 3년 연속 수상[102] 로만 레인즈 4년 연속 수상[103] 로만 레인즈 : 최악의 마이크워커 시상 이후 최초 수상 실패 및 5년 연속 수상 실패[104] 로만 레인즈 통산 5회 수상[105] 통산 2회 수상[106] 해설자 부문 포함 3년 연속 수상[107] 빈스 맥마흔 2년 연속 수상[108] 빈스 맥마흔 통산 3회 수상[109] 빈스 맥마흔 2년 연속 수상[110] 2013년엔 과대 푸쉬로 시상[111] 로만 레인즈 2년 연속 수상[112] 로만 레인즈 3년 연속 수상[113] 4회 수상[114] 세자로 2년 연속 수상[115] 새미 제인 통산 2회 수상[116] 올타임 불쌍왕인 크리스챤을 기리며(...) 붙여진 이름이다.[117] 기존엔 올해의 나락으로 시상[118] 스캇 도슨 & 대쉬 와일더[119] 에릭 영, 알렉산더 울프, 킬리언 데인[120] 에릭 영 2년 연속 수상[121] 임팩트 월드 챔피언을 획득한 크리스챤은 올해는 행복왕이라며 짧게 지나갔다.[122] 엄청난 악역으로써 어그로를 끌고 있는 크리스챤은 올해는 배신왕이라며 짧게 지나갔다.[123] 로만 레인즈 2년 연속 수상[124] 로만 레인즈 통산 3회 수상[125] 최악의 기술 최초 본인의 시그니처가 아닌 일회성 기술로 수상[126] 로만 레인즈 2년 연속 수상[127] 로만 레인즈 통산 3회 수상[128] 배런 코빈 최악의 기믹 부문 최초로 동일 인물의 기믹 2개 입후보[129] 2년 연속 수상[130] 기존엔 최악의 PPV로 시상[131] 배틀그라운드 2년 연속 수상[132] 크라운 주얼 2년 연속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