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야테(열차)

덤프버전 :



JR 동일본>
우등열차
운행 중인 열차 - [ 펼치기 · 접기 ]
폐지된 열차 - [ 펼치기 · 접기 ]


はやて
Hayate / 하야테
정보
운행 국가일본
종별신칸센 특별급행열차
현황운행중
운행 지역도호쿠, 홋카이도 도난(도 남부 지역)
(이와테현, 아오모리현, 홋카이도)
전신특급 (슈퍼) 하츠카리 (모리오카~하치노헤)
특급 츠가루 (하치노헤~아오모리)
특급 (슈퍼)하쿠쵸 (신아오모리~하코다테)
급행 하마나스 (아오모리~하코다테)
특급 하쿠츠루 (우에노~하치노헤)
특급 카시오페아 (우에노~하코다테)
특급 호쿠토세이 (우에노~하코다테)
운행개시일2002년 12월 1일
후신신칸센 하야부사 (도쿄~모리오카)
운영자파일:JR 동일본 로고.svg
JR 동일본

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
JR 홋카이도
노선
기점모리오카역, 신아오모리역
종점신하코다테호쿠토역
운행거리327.2km
경유노선도호쿠 신칸센, 홋카이도 신칸센
차내 서비스
클래스그란클래스, 그린샤, 보통차
장애인 배려5, 9호차
TRAIN DESK7호차
좌석그란클라스 (10호차)
그린샤 (9호차)
보통차[1] (1-8호차)
기술
차량E5계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
궤간1435mm
전력 공급교류 25000V 50Hz 가공전차선
최고 속도260㎞/h(모리오카 ~ 신하코다테호쿠토)
160㎞/h(세이칸 터널 구간)





파일:external/www.japan-railpass.co.uk/hayabusa_02.jpg
하야테로 운용되는 신칸센 E5계 전동차

1. 개요
2. 운행 현황
2.1. 과거



1. 개요[편집]


JR 동일본JR 홋카이도에서 운행중인 도호쿠 신칸센홋카이도 신칸센의 열차등급으로 모리오카역 혹은 신아오모리역부터 신하코다테호쿠토역까지 운행하는 열차이다.

2002년 12월 1일 도호쿠 신칸센이 하치노헤역까지 연장되면서 신설되었으며, 하야부사 등장 이전에는 신아오모리까지 가장 빠른 등급의 열차였다.

유래는 질풍을 의미하는 하야테.

2. 운행 현황[편집]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모리오카역[2] ~ 니노헤역 ~ 하치노헤역 ~ 시치노헤토와다역 ~ 신아오모리역[3] ~ 오쿠츠가루이마베츠역 ~ 키코나이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 이후 신설된 운행 패턴으로 이와테누마쿠나이역제외 전역 정차하며, 모리오카 이남으로 운행하지 않는다. 이 열차가 하야테 등급이 된 것은, 모리오카 이북이 정비신칸센 구간에 해당하여 최고 속도가 260km/h라서 하야부사 등급을 받지 못했기 때문. 하야부사는 가산운임이 적용되어 하야테보다 비싸므로 구분을 한 것이다.

전 열차가 E5계로 운행한다. H5계는 투입되지 않는다.

평상시 하야부사와 더불어 이 열차도 전석 지정석으로 운영중다. 그러나 신칸센 특정특급권을 구매하고 보통차 지정석의 빈 좌석을 이용할 수는 있다. 하야테가 운행되는 모리오카~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은 다른 구간에 비해 수요가 저조하여 명절날에도 만석이 되는 경우가 매우 적으므로, 지정석과 크게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임시열차로 운행시 그린샤그란 클라스를 제외하고[4] 전석 자유석으로 운행되며 이때는 좌석지정 없이 특급권만으로 그냥 열차에 승차하면 된다. 이외에도 전 좌석이 매진일 경우 좌석 비지정 특급권[5][6]을 발권받아 빈 자리나 통로 측 빈 공간에 승차하여도 된다. 이는 타 전석 지정석인 특급열차들도 포함.

  • 모리오카 - 신하코다테호쿠토: 모리오카발 하행 첫차, 신하코다테호쿠토발 상행 막전차이다. 이와테누마쿠나이역을 제외한 모든 역에 정차한다. 하행 93호, 상행 98호.
  •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신아오모리발 하행 첫차, 신하코다테호쿠토발 상행 막차이다. 전역정차. 하행 91호, 상행 100호.

2.1. 과거[편집]


2002년에 도호쿠 신칸센의 하치노헤역 연장에 맞춰 속달형 야마비코를 하치노헤까지 연장하였고 이 열차에 하야테라는 애칭을 부여했다. 차량은 신칸센 E2계 전동차를 사용했다.

당시 정차역 패턴은 이전의 속달형 야마비코 및 현재의 하야부사와 거의 비슷하여, 오미야 - 센다이 구간은 무정차, 그 뒤로 모리오카와 하치노헤에만 필수 정차하는 형태였다. 하야테만 다니는 니노헤, 이와테누마쿠나이는 꽤 많은 열차가 선택정차했으나, 센다이 - 모리오카의 경우 대부분의 열차가 통과했다. 2010년에 도호쿠 신칸센이 신아오모리역까지 연장되면서 하야테의 운행 구간도 신아오모리역까지로 연장되었고, 시치노헤토와다역은 일부 정차, 신아오모리역은 필수 정차하는 형태였다.

속달형 야마비코의 이름을 바꿔 만들어졌으므로 원래 야마비코와 병결해 다니던 코마치 역시 2002년부터 2013년까지는 하야테와 병결해서 운행하였다.

2011년에 하야부사 신설 이후로는 점차 하야부사가 늘어가고 하야테가 줄어들었다. 다이아 개정 때마다 하야부사에 다이어를 흡수시켰고, 320km/h 운행 가능 여부로 하야부사와 하야테가 구분되고 있다. (하야테는 최고 속도 275km/h) 지금은 모든 코마치가 하야부사와 병결하고, 하야테는 모든 열차가 10량 편성으로 단독운행 중이다.[7] 도쿄발/도쿄행 하야테는 2019년 3월 시각표 개정으로 정규 열차로는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다.

한때 도호쿠 신칸센이 하치노헤까지만 개통되어있었을 때는 아침 첫차 도쿄행과 저녁 도쿄발 막차의 경우 우에노오미야도 다 건너뛰고 센다이까지 논스톱이라는 막나가는 다이어를 자랑했지만, 신아오모리까지 전구간 개통 후 저런 열차는 없어졌다.

당시에도 전석 지정석이었다. 하야부사의 예처럼 자유석 승객 및 도쿄 - 센다이 구간 이용객 등의 단거리 승객을 하위 등급으로 유도하고 하야테는 장거리 승객만을 받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 때에도 모리오카 - 신아오모리 구간에서는 정기승차권이나 특정특급권으로 보통차의 빈 자리에 승차할 수 있는 특례를 제공하였다. 이 정책은 하야테 이후에 등장한 하야부사에도 계승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3:43:42에 나무위키 하야테(열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규 운행편성은 지정석, 임시 운행편성은 자유석[2] 일 1회 착발[3] 일 1회 착발[4] 이때 그린샤와 그린클라스는 출입하지 못하게 잠궈놓는다.[5] 한국의 입석표와 비슷한 개념으로 조반선이나 츄오본선등 몇몇 전석 지정석으로 운영되는 특급열차에서 해당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6] 단, 좌석 비지정 특급권은 자유석 특급권과 달리, 지정된 열차만 이용할 수 있다.[7] 야마비코나스노는 일부 열차가 E3계E6계와 병결해 16~17량 편성으로 운행하기도 하나, 하야테는 전 열차가 단독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