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화성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화성시 갑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fff '''본'''}}}}}} 본청 관할 시군 {{{#fff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fff '''북'''}}}}}} 북부청사 관할 시군
[[고양시/정치|파일:고양시 CI.svg

]]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fff
]] 수원시
[[용인시/정치|파일:용인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용인시]]

[[과천시/정치|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정치|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정치|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정치|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정치|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정치|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정치|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정치|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정치|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정치|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정치|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정치|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정치|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정치|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정치|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정치|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정치|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정치|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
]] 의정부시
[[이천시/정치|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정치|파일:파주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파주시]]
[[평택시/정치|파일:평택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평택시]]
[[포천시/정치|파일:포천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포천시]]
[[하남시/정치|파일:하남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하남시]]
[[화성시/정치|파일:화성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화성시]]

[[가평군/정치|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정치|파일:양평군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양평군]]
[[연천군/정치|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1. 기본 정보[편집]



1.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화성시 CI.svg 경기도 화성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국회의원도의원지역
화성시 갑화성시1봉담읍(일부)[갑],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화성시2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화성시 을화성시3동탄1동, 동탄2동
화성시4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화성시5동탄7동, 동탄8동
화성시 병화성시6봉담읍(일부)[병], 기배동, 화산동
화성시7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화성시8반월동, 동탄3동


1.2. 시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화성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12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3석, 시장 소속 정당
재적

25석



2. 지역 특성[편집]


경기도 농촌 지역의 특성으로 보수 세력이 꽉 잡고 있던 지역이었으나, 동탄신도시 입주를 기점으로 진보 세력이 뚜렷하게 성장하는 곳이다.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의 성향이 매우 크게 갈리는데, 대표적으로 양대 진영이 1:1 구도로 붙었던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잘 드러난다.

급격한 인구 변화는 화성시의 국회의원 의석 수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화성군 시절이던 2000년 16대 총선만 해도 오산시와 선거구가 묶여 0.5석이었던 것이, 시로 승격된 2004년 17대 총선에서 첫 단독 선거구가 되고, 2008년 18대 총선2012년 19대 총선에선 화성시 갑/을(2석)로 분구되었다. 이후에도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2016년 20대 총선, 2020년 21대 총선에선 병 구가 추가되어 총 3석[1]이 되었는데, 동탄2신도시, 송산그린시티, 남양지구, 향남지구 등의 입주가 여전히 진행 중이면서 인구가 급증[2]해 22대 총선 때는 4개로 선거구 증가가 유력해졌고, 실제 획정위원회의 획정안을 통해 분구가 확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3]

갑 선거구는 동탄, 병점, 봉담을 제외한 서부 지역으로 굉장히 보수 성향이 강했다. 그러나 이 지역도 송산그린시티 및 향남읍, 남양읍 등이 개발되면서 젊은 층의 유입이 늘어나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37,272표를 얻어 26,579표를 얻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10,693표차로 이겼고, 이후 모든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전승을 기록하고 있다.

을 선거구는 동탄으로 이루어진 선거구로, 19대 총선20대 총선에서는 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의 이원욱 후보가 당선되면서 민주당계 정당 지지가 높아졌다. 동탄신도시가 위치해 있는 덕분에 젊은 층이 많아 더불어민주당에게 유리한 지역구로 변화하였다.

병 선거구는 병점과 봉담으로 구성된 선거구로 20대 총선에서 신설된 지역구이다. 을 선거구와 더불어 젊은 층이 많은 지역구라 더불어민주당에게 비교적 유리한 지역구이다. 이 지역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후보가 무난히 당선되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6%의 득표율을 얻어 경기도에서 1위를 했다.[4]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불과 17.9%를 얻는데 그쳤고, 중도를 표방한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도 22.1%를 얻어 1위와 두 배 이상 격차가 벌어졌다. 불과 5년 전 18대 대선만 해도 박근혜 후보가 승리했었지만, 인구 구조가 급변하면서 정치 지형이 바뀌었다. 문 후보는 동탄에서만 무려 53.9%의 득표율을 올렸고, 병점 지역에서도 40% 후반대의 압도적인 득표율이 나왔다. 동부 지역 한정으로 호남세종시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문 후보 득표율이 높았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여전히 민주당의 강세임을 입증하였다. 다만, 이번에는 다른 선거들과 다르게 이재명의 득표율은 52.69%, 윤석열의 득표율은 43.9%로 두 후보간의 득표율 차는 8.79%p 차이로 격차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특히 을 지역구(동탄), 병 지역구(병점, 봉담)에서 격차가 확 줄었는데, 5년 전 2위 후보와 30%p 격차를 벌리던 동탄에서 10%p 미만 격차가 되었고, 동탄1동, 6동은 두 후보 사이에 3%p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결국 부동산 이슈가 이 지역에도 영향을 끼쳤음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8회 지방선거에서는 동탄신도시에서 다시 민주당의 몰표를 몰아주는 경향이 보였다.[5] 특히 동탄2동, 3동, 8동에는 압도적으로 민주당으로 몰아주었다. 그러나 화성시 갑 지역구에서는 다시 보수 성향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특히 남양읍에서는 국민의힘 후보를 더 찍었으며, 화성시 병 지역구에서는 화산동만 박빙이 되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화성시 국회의원
화성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박지원,(초선),
오산시·화성군
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정창현,(초선),
15대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박신원,(초선),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강성구,(초선),
화성시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안병엽,(초선)[6],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고희선(초선)[7]
화성시 갑화성시 을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성회,(초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보환,(초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고희선,(재선)[8],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이원욱,(초선),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서청원,(7선)[9],
화성시 갑화성시 을화성시 병
20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서청원,(8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원욱,(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권칠승,(초선),
21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옥주,(재선),
이원욱,(3선),권칠승,(재선),

파일:화성시 CI.svg 역대 화성군수→화성시장 선거 결과
화성군수화성시장
199519981999 재보궐20022005 재보궐
민주자유당새정치국민회의한나라당한나라당
김일수[10]우호태[11]최영근
20062010201420182022
한나라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최영근채인석[12]서철모정명근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화성군수
1995년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김일수 43.01%

2위:
[[무소속|
무소속
]]
홍인화 33.38%
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이호섭 23.10%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김일수 65.72%

2위:
[[무소속|
무소속
]]
이태섭 19.40%
3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박상림 14.87%
1999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우호태 35.10%

2위:
[[무소속|
무소속
]]
홍인화 24.89%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박윤영 22.13%
4위:
[[무소속|
무소속
]]
윤태욱 17.86%
화성시장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우호태 69.04%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송형석 24.26%
2005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영근 58.70%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백대식 35.55%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영근 66.29%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박광직 24.72%
2010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채인석 45.05%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태섭 44.81%
3위:
[[국민참여당|
파일:국민참여당 로고타입.svg
]]
박지영 10.13%
2014년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채인석 48.31%

2위: 최형근 47.50%
2018년1위: 서철모 59.08%
2위: 석호현 19.61%
3위: 최영근 15.36%
2022년1위: 정명근 53.03%
2위: 구혁모 46.96%
[갑] 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병] 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1] 다만 21대 총선 당시에는 지방선거에서만 볼 법한 읍 쪼개기로 인해 봉담읍이 갑과 병, 2지역으로 나눠 논란이 일었다.[2] 현재 안구 약 35만의 화성시 을 선거구는 전체 253개 지역구 중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고 있다. 병 선거구도 상한선을 넘어섰고, 갑 선거구는 근접한 상황.[3] 어차피 2023년 11월 기준으로 사실상 100만 명을 육박한 만큼 기존 3개의 선거구로는 한계가 있다. 물론 4개로 선거구를 증설해도 대부분 25만 선으로 상한선에 육박할 것이며, 현재진행형인 동탄신도시와 봉담, 향남, 남양 등의 대규모 택지 개발도 진행형이라 이후 총선에서는 1석 더 늘어날 전망이다.[4] 시/군 단위로만 계산할 경우. 구 단위까지 따지면 수원 영통에 이어 2위다.[5] 단, 동탄6동의 경우 이원욱의 실책으로 인한 지하도로 개통 연기 때문에 민주당에 반감을 가지고 있는데다, 구 동탄면 시절의 농촌 모습을 유지한 동탄 최후 미개발지 금곡동, 구 동탄면 시절 주민들이 이주한 방교동의 영향으로 타 동탄과는 정치색이 미묘하게 다르다.[6] 06.11.10. 당선무효 (선거법 위반)[7] 07.4.25. 재보궐선거[8] 13.8.25. 별세[9] 13.10.30. 재보궐선거[10] 99.10.22. 군수직 사퇴 (뇌물수수로 구속)[11] 99.12.9. 재보궐선거[12] 14.7.24 당선무효 (선거법 위반). 임기 종료 후 대법원 선고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경기도지사[편집]

화성시
화성시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185,12197,49115,7847,2073,355
득표율59.91%31.55%5.10%2.33%1.08%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551,721
투표 수313,790
무효표 수4,852
투표율56.87%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기 화성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
(득표율)
185,121
(59.91%)
97,491
(31.55%)
15,784
(5.10%)
7,207
(2.33%)
3,355
(1.08%)
+87,630
(△28.36)
56.87%
봉담읍58.77%33.07%4.89%2.10%1.17%△25.7053.24
우정읍50.57%39.33%5.38%2.06%2.66%△11.2451.91
향남읍63.25%27.74%4.61%2.07%2.32%△35.5148.59
남양읍56.55%34.82%5.07%2.06%1.49%△21.7348.96
매송면45.81%46.18%5.62%1.13%1.26%▼0.37[13]52.05
비봉면39.61%51.43%5.66%1.47%1.83%11.8250.14
마도면42.95%48.89%4.71%2.11%1.34%▼5.9447.10
송산면41.36%51.03%4.67%1.42%1.52%▼9.6744.45
서신면39.91%50.61%6.07%1.15%2.26%▼10.7045.19
팔탄면45.67%43.34%5.28%1.80%3.90%△2.33[14]44.54
장안면46.31%40.93%8.43%1.54%2.79%△5.3846.75
양감면43.04%48.52%4.62%1.71%2.11%▼5.48[15]47.96
정남면43.33%47.99%5.44%1.94%1.30%▼4.6643.32
새솔동67.45%23.89%5.98%2.07%0.60%43.5658.43
진안동60.92%31.17%4.73%2.52%0.66%△29.7547.73
병점1동61.60%30.49%4.82%2.30%0.79%△31.1155.44
병점2동63.19%28.80%4.75%2.43%0.83%△34.3958.75
반월동60.54%30.96%5.54%2.51%0.45%△29.5860.55
기배동60.66%31.89%4.60%2.12%0.73%△28.7756.68
화산동56.69%35.70%4.89%1.89%0.82%△20.9948.91
동탄1동62.42%28.75%5.31%3.03%0.49%△33.6759.05
동탄2동62.54%28.80%5.20%2.89%0.57%△33.7462.65
동탄3동66.82%25.07%4.73%2.77%0.61%△41.7558.60
동탄4동62.46%28.90%5.43%2.59%0.62%△33.5665.76
동탄5동63.14%28.52%5.18%2.65%0.51%△34.6258.45
동탄6동63.54%28.28%5.34%2.33%0.51%△35.2655.70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격차
거소·선상투표58.52%28.75%8.01%2.46%2.26%△29.77
관외사전투표62.61%28.87%5.04%2.36%1.11%33.74

3.1.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경기도지사[편집]

화성시
화성시 일원
정당
후보김동연김은혜
득표수173,747153,636
득표율52.03%46.01%
순위1위2위
선거인 수711,229
투표 수336,743
무효표 수2,833
투표율47.35%

8회 지선 화성시 개표 결과
경기도지사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김동연김은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3,747
(52.03%)
153,636
(46.01%)
+ 20,111
(△6.02)
336,743
(47.34%)
진안동[A]51.80%46.34%△5.4537.42
병점1동53.29%44.76%△8.5344.55
병점2동56.89%41.43%△15.4647.07
반월동[B]52.93%45.57%△7.3747.65
기배동[C]52.55%45.62%△6.9444.71
화산동[D]49.28%48.70%△0.5842.64
동탄1동[E]53.52%44.75%△8.7747.36
동탄2동[F]57.86%40.78%△17.0853.02
동탄3동[G]59.51%[16]38.70%20.8144.86
동탄4동[H]54.06%44.21%△9.8555.04
동탄5동[I]53.79%44.26%△9.5345.94
동탄6동[J]51.79%46.21%△5.5841.59
동탄7동[K]55.18%43.13%△12.0545.07
동탄8동[L]56.25%42.26%△13.9946.76
새솔동[M]54.38%44.01%△10.3744.92
봉담읍[N]53.83%44.10%△9.7342.80
우정읍[O]43.17%53.54%▼10.3745.55
향남읍55.16%42.55%△12.6136.82
남양읍[P]48.34%49.50%▼1.1639.92
매송면[Q]38.49%60.07%▼21.5848.16
비봉면35.82%62.36%▼26.5547.99
마도면38.22%60.11%▼21.8943.57
송산면33.68%64.29%▼30.6243.20
서신면34.82%63.43%▼28.6244.72
팔탄면38.29%59.68%▼21.3940.43
장안면36.95%60.02%▼23.0840.08
양감면32.72%65.32%▼32.6044.29
정남면36.63%62.12%▼25.4941.21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
거소투표48.33%43.02%△5.32
관외사전투표51.07%46.48%△4.59
국회의원
선거구
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화성시 갑[R][17]46.39%51.46%▼5.0740.85
화성시 을[S][18]54.02%44.11%△9.9143.39
화성시 병[T][19]54.61%43.68%△10.9347.56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동 지역(병점)[U]52.81%45.39%△7.4243.35
동탄신도시[V]55.13%43.15%△11.9847.26
읍 지역[W]52.25%45.48%△6.7740.29
면 지역[X]36.31%61.80%▼25.4943.25


3.1.2.2. 화성시장[편집]

화성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정명근구혁모(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6,631
(53.03%)
156,386
(46.96%)
+ 20,245
(△6.08)
336,736
(47.34%)
진안동[A]52.87%47.13%△5.7437.42
병점1동53.94%46.06%△7.8844.55
병점2동58.42%41.58%△16.8447.07
반월동[B]54.12%45.88%△8.2447.65
기배동[C]53.52%46.48%△7.0444.71
화산동[D]50.89%49.11%△1.7842.64
동탄1동[E]54.22%45.78%△8.4447.36
동탄2동[F]59.27%40.73%△18.5453.02
동탄3동[G]60.74%39.26%21.4844.86
동탄4동[H]53.91%46.09%△7.8255.04
동탄5동[I]53.95%46.05%△7.9045.94
동탄6동[J]51.66%48.34%△3.3241.59
동탄7동[K]54.11%45.89%△8.2245.07
동탄8동[L]57.03%42.97%△14.0646.76
새솔동[M]55.05%44.95%△10.1044.92
봉담읍[N]55.55%44.45%△11.1042.80
우정읍[O]45.47%54.53%▼9.0645.55
향남읍57.25%42.75%△14.5036.82
남양읍[P]49.98%50.02%▼0.04[20]39.92
매송면[Q]40.10%59.90%▼19.8048.16
비봉면38.23%61.77%▼23.5447.99
마도면39.57%60.43%▼20.8643.57
송산면35.93%64.07%▼28.1443.20
서신면37.47%62.53%▼25.0644.72
팔탄면39.83%60.17%▼20.3440.43
장안면40.39%59.61%▼19.2240.08
양감면36.06%63.94%▼27.8844.29
정남면38.29%61.71%▼23.4241.21
후보정명근구혁모격차
거소투표54.62%45.38%△9.24
관외사전투표52.05%47.95%△4.10


3.2. 대선[편집]



3.2.1.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화성시
화성시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40,538146,338
득표율48.81%50.82%
순위2위1위
선거인 수385,169
투표 수288,704
무효표 수785
투표율74.96%

18대 대선 경기 화성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
(득표율)
140,538
(48.81%)
146,338
(50.82%)
-5,800
(▼2.01)
74.96%
봉담읍48.20%51.48%▼3.2874.38
우정읍61.07%38.33%△22.7470.28
향남읍48.25%51.34%▼3.0972.46
매송면61.07%38.44%△22.6372.47
비봉면67.81%31.82%△35.9972.89
마도면67.94%31.60%△36.3471.69
송산면72.58%26.89%45.6969.0
서신면70.35%29.17%△41.1868.36
팔탄면61.97%37.54%△24.4367.61
장안면61.66%37.44%△24.2268.70
양감면65.30%34.26%△31.0472.73
정남면62.12%37.57%△24.5569.97
동탄면59.06%40.78%△18.2871.31
남양동55.49%44.16%△11.3369.61
진안동41.83%57.89%▼16.0672.13
병점1동44.01%55.67%▼11.6677.93
병점2동40.73%59.0%▼18.2777.79
반월동46.97%52.78%▼5.8181.02
기배동48.52%51.24%▼2.7276.50
화산동50.46%49.17%△1.2971.28
동탄1동40.50%59.19%▼18.6981.93
동탄2동43.06%56.67%▼13.6179.67
동탄3동35.92%63.86%27.9478.06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37.60%62.22%24.62
국내부재자투표49.56%49.53%0.03[21]


3.2.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화성시
화성시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76,94069,01484,96726,19425,910
득표율45.99%17.93%22.08%6.80%6.73%
순위1위3위2위4위5위
선거인 수493,782
투표 수386,002
무효표 수1,282
투표율78.17%

19대 대선 경기도 화성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176,940
(45.99%)
69,014
(17.93%)
84,967
(22.08%)
26,194
(6.80%)
25,910
(6.73%)
+91,973
(△23.91)
78.17%
봉담읍43.36%19.50%23.27%6.34%7.05%△20.0974.46
우정읍34.45%27.94%23.56%5.58%7.67%△6.5167.10
향남읍45.69%16.76%23.46%6.13%7.49%△22.2371.94
남양읍37.97%24.15%24.12%6.18%7.10%△13.8268.75
매송면30.58%31.72%24.86%6.11%5.75%▼1.14[22]69.95
비봉면26.91%38.92%23.06%5.43%4.85%▼12.0170.89
마도면28.92%35.13%25.56%4.69%5.10%▼6.2168.47
송산면25.65%40.21%23.46%5.19%4.61%14.5665.19
서신면25.56%39.34%26.31%3.71%4.35%▼13.0363.26
팔탄면31.72%32.03%25.18%5.51%4.98%▼0.31[23]66.87
장안면30.28%32.15%25.48%5.01%5.97%▼1.8763.03
양감면28.39%34.83%25.45%5.31%5.35%▼6.4467.31
정남면30.52%34.87%23.46%5.34%5.03%▼4.3566.65
동탄면50.29%15.86%20.73%6.68%6.08%△29.5679.68
진안동47.45%16.35%21.44%6.97%7.32%△26.0171.67
병점1동46.91%16.18%22.44%7.11%7.01%△24.4777.95
병점2동50.24%14.33%21.24%6.67%7.09%△29.080.34
반월동48.39%15.28%21.95%7.95%6.14%△26.4482.72
기배동42.51%19.56%23.64%6.57%7.26%△18.8778.69
화산동38.94%23.56%23.02%6.73%7.17%△15.3871.01
동탄1동53.78%12.12%19.59%7.85%6.46%△34.1983.10
동탄2동52.92%12.77%20.63%7.26%6.19%△32.2983.62
동탄3동56.14%10.51%19.99%6.88%6.23%36.1582.53
동탄4동53.01%11.53%21.61%7.56%6.08%△31.4084.82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5.04%13.49%35.92%7.48%4.40%0.88[24]
관외사전투표47.60%15.78%20.61%7.79%7.70%△26.99
재외투표63.16%5.01%15.48%4.18%11.76%47.68

3.2.3.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화성시
화성시 일원[화성]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283,324236,055
득표율52.69%43.90%
순위1위2위
선거인 수703,896
투표 수542,027
무효표 수4,328
투표율77.0%

20대 대선 화성시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83,324
(52.69%)
236,055
(43.90%)
+ 47,269
(△8.79)
542,027
(77.00%)
진안동[A]52.69%43.88%△8.8168.58
병점1동53.42%43.10%△10.3275.58
병점2동58.01%38.37%△19.6476.81
반월동[B]52.93%43.86%△9.0778.21
기배동[C]56.33%39.81%△16.5279.97
화산동[D]52.99%43.66%△9.3371.72
동탄1동[E]50.45%46.50%△3.9578.25
동탄2동[F]55.79%41.09%△14.7081.09
동탄3동[G]56.82%39.75%△17.0778.40
동탄4동[H]52.61%44.44%△8.1783.93
동탄5동[I]52.45%44.08%△8.3777.65
동탄6동[J]49.94%46.78%△3.1674.75
동탄7동[K]53.60%43.26%△10.3476.77
동탄8동[L]55.60%40.87%△14.7279.56
새솔동[M]56.50%40.35%△16.1478.10
봉담읍[N]55.61%40.54%△15.0872.80
우정읍[O]48.68%47.43%△1.2570.92
향남읍57.48%38.97%△18.5067.95
남양읍[P]51.20%45.08%△6.1269.10
매송면[Q]42.86%54.18%▼11.3373.71
비봉면41.81%55.25%▼13.4574.06
마도면44.96%52.02%▼7.0571.09
송산면38.12%58.67%▼20.5571.05
서신면40.09%56.94%▼16.8670.25
팔탄면47.97%49.14%▼1.1874.21
장안면45.05%51.29%▼6.2465.29
양감면46.18%50.88%▼4.7078.61
정남면43.88%52.46%▼8.5871.29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6.87%47.13%▼0.25
관외사전투표50.17%46.21%△3.96
재외투표64.42%32.18%△32.24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화성시 갑[R][25]50.75%45.82%△4.9370.52
화성시 을[S][26]52.85%43.95%△8.9078.72
화성시 병[T][27]54.90%41.53%△13.3774.63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동 지역(병점)[U]54.08%42.45%△11.6374.38
동탄신도시[V]53.33%43.45%△9.8778.68
읍 지역[W]54.86%41.42%△13.4370.16
면 지역[X]43.53%53.30%▼9.7771.83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화성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화성시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송옥주최영근(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8,689
(49.65%)
52,291
(44.24%)
+ 6,398
(△5.41)
119,449
(59.89%)
[ 펼치기 · 접기 ]
봉담읍[1][2]39.91%55.85%▼15.9450.13
우정읍[O][3]44.19%48.33%▼4.1557.68
향남읍55.76%37.41%△18.3556.13
남양읍[P]53.62%40.65%△12.9755.73
매송면[Q]41.61%52.93%▼11.3260.33
비봉면37.02%57.73%▼20.7062.44
마도면42.04%51.80%▼9.7556.99
송산면34.82%60.22%▼25.4058.49
서신면35.33%59.39%▼24.0556.83
팔탄면42.25%51.51%▼9.2657.90
장안면40.57%53.14%▼12.5753.13
양감면37.65%57.99%▼20.3463.18
정남면39.12%55.79%▼16.6756.05
새솔동[M]66.07%28.65%△37.4365.88
후보송옥주최영근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41.60%41.25%△0.35
관외사전투표52.62%41.10%△11.51
재외투표72.56%24.77%△47.79
[1]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가 있는 동네[2] 남부 미개발지역 한정(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O] [3] 송옥주 후보의 고향[P] [Q] [M]
국회의원 선거 (화성시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이원욱임명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8,612
(64.53%)
52,802
(34.55%)
+ 45,810
(△29.98)
154,360
(68.81%)
[ 펼치기 · 접기 ]
동탄1동[E]64.05%35.04%△29.0167.08
동탄2동[F]69.89%29.36%△40.5371.34
동탄4동[H]63.88%35.25%△28.6472.98
동탄5동[I]64.53%34.45%△30.0865.71
동탄6동[J]60.80%38.30%△22.4960.58
동탄7동[K]63.00%36.11%△26.8963.96
동탄8동[L]64.45%34.57%△29.8864.00
후보이원욱임명배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57.28%37.68%△19.60
관외사전투표66.53%32.35%△34.18
재외투표69.39%30.60%△38.80
국회의원 선거 (화성시 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권칠승석호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8,793
(64.45%)
47,377
(34.38%)
+ 41,416
(△30.06)
139,281
(63.41%)
[ 펼치기 · 접기 ]
진안동[A]63.21%35.69%△27.5255.63
병점1동64.95%33.89%△31.0661.50
병점2동67.20%31.72%△35.4864.21
반월동[B]64.10%35.08%△29.0265.87
기배동[C]62.66%36.19%△26.4764.60
화산동[D]55.98%42.65%△13.3358.73
동탄3동[G]70.61%28.44%△42.1763.93
봉담읍[1][2]62.48%36.33%△26.1560.09
후보권칠승석호현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62.05%36.75%△25.30
관외사전투표67.55%30.58%△36.97
재외투표77.01%22.98%△54.04
[A] [B] [C] [D] [G] [1] 수원대학교, 협성대학교가 있는 동네[2] 북부 개발지역 한정(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10,707
(27.89%)
148,203
(37.34%)
41,800
(10.53%)
32,435
(8.17%)
25,376
(6.39%)
- 37,496
(▼9.45)
413,056
(64.18%)
[ 펼치기 · 접기 ]
진안동[A]26.94%38.65%10.84%8.24%5.15%▼11.7255.63
병점1동25.99% 39.85%10.35%7.56%5.35%▼13.8761.50
병점2동24.89%41.66%10.92%7.03%6.48%▼16.7764.21
반월동[B]27.15%38.80%10.66%8.54%6.54%▼11.6565.87
기배동[C]28.02%38.17%10.06%6.34%6.24%▼10.1564.61
화산동[D]33.45%35.97%9.18%5.49%4.55%▼2.5158.72
동탄1동[E]25.35%37.89%11.03%10.79%7.37%▼12.5467.08
동탄2동[F]22.76%40.20%11.48%9.19%8.27%▼17.4471.34
동탄3동[G]20.89%42.81%11.75%8.86%7.43%▼21.9263.92
동탄4동[H]23.72%37.58%12.46%11.98%8.08%▼13.8672.97
동탄5동[I]24.25%38.33%11.73%10.40%7.64%▼14.0765.71
동탄6동[J]25.27%36.33%11.86%10.94%7.34%▼11.0760.58
동탄7동[K]23.58%38.79%12.29%10.84%6.97%▼15.2163.95
동탄8동[L]23.00%39.40%11.15%10.41%7.58%▼16.4064.02
새솔동[M]22.87%41.36%11.57%8.93%6.23%▼18.4965.87
봉담읍[N]28.68%38.57%10.17%6.72%5.46%▼9.9059.32
우정읍[O]38.09%29.68%8.63%4.34%5.15%△8.4157.66
향남읍27.62%39.09%9.97%6.35%5.51%▼11.4756.13
남양읍[P]32.18%34.72%9.35%6.66%5.47%▼2.5455.73
매송면[Q]41.44%29.14%6.16%5.14%4.09%△12.3060.33
비봉면46.46%25.47%6.99%4.71%3.56%△20.9962.44
마도면43.25%28.57%7.02%4.72%4.38%△14.6856.96
송산면48.12%23.36%6.06%4.33%3.15%△24.7658.50
서신면48.02%25.88%5.78%4.40%2.78%△22.1456.84
팔탄면42.53%28.72%7.65%4.42%4.75%△13.8257.89
장안면42.56%28.74%7.03%4.74%3.83%△13.8253.13
양감면46.48%27.50%6.76%3.64%3.38%△18.9863.18
정남면44.96%26.78%7.04%4.63%3.95%△18.1956.05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30.01%28.13%9.52%10.67%3.75%△1.88
관외사전투표27.03%36.89%10.50%7.41%7.58%▼9.86
재외투표22.29%36.78%11.26%5.74%16.09%▼14.48



[13]12표 차였다.[14]88표 차이였다.[15]96표 차였다.[A] A B C 법정동 진안동 · 기산동 · 반정동[B] A B C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이 있는 동네[C] A B C 법정동 안동 + 양동[D] A B C 법정동 안녕동 · 송산동 · 황계동[E] A B C 법정동 석우동 · 반송동(일부). 메타폴리스가 있는 동탄1신도시[F] A B C 법정동 반송동(일부). 동탄1신도시[G] A B C 법정동 능동. 동탄1신도시[16] 김동연 후보 경기도 전체 읍면동에서 최고 득표율[H] A B C 법정동 청계동. 동탄2신도시[I] A B C 법정동 영천동 · 중동. 동탄2신도시[J] A B C 법정동 오산동 · 방교동 · 금곡동. 동탄2신도시[K] A B C 법정동 목동 · 신동 · 산척동 · 송동. 동탄2신도시[L] A B C 법정동 장지동 동탄2신도시[M] A B C = 송산그린시티[N] A B C 수원대학교, 협성대학교, 장안대학교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가 있는 동네[O] A B C 기아자동차 화성공장이 있는 동네[P] A B C 화성시청 및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가 있는 동네[Q] A B C 제51보병사단이 있는 동네[R] A B 새솔동, 우정읍, 향남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팔탄면, 장안면, 양감면, 정남면[17] 지역구 국회의원: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재선)[S] A B 동탄1동, 동탄2동,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18] 지역구 국회의원: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3선)[T] A B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동탄3동, 봉담읍[19] 지역구 국회의원: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재선)[U] A B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V] A B 동탄1~8동[W] A B 남양읍, 봉담읍, 우정읍, 향남읍[X] A B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팔탄면, 장안면, 양감면, 정남면[20] 단 3표 차이였다[21]2표 차이였다.[22] 불과 50표 차이였다.[23] 불과 18표 차이였다.[24] 불과 6표 차이였다.[화성] [25] 지역구 국회의원: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재선)[26] 지역구 국회의원: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3선)[27] 지역구 국회의원: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