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2016년 전당대회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더불어민주당/역대 전국대의원대회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더불어민주당 제2차 전국대의원대회

파일:160829정권교체.jpg


2016년 8월 27일
2차 전당대회

2018년 8월 25일
3차 전당대회

선출 대상
당대표
최고위원 (노인부문 1인, 여성부문 1인, 청년부문 1인)
방식
본선: (당대표) 대의원 투표(45%), 권리당원 투표(40%), 일반국민 여론조사(10%), 일반당원 여론조사(5%)
(최고위원) 대의원 투표(50%), 권리당원 투표(50%)
예비경선: 중앙위원회에서 당대표는 3인, 최고위원회는 6인으로 압축
당대표 당선인

파일:추미애 예비후보 공식.png


당대표
추미애



파일:송현섭.jpg


파일:양향자(정치인).jpg


파일:100148724.jpg

노인부문 최고위원
송현섭

여성부문 최고위원
양향자

청년부문 최고위원
김병관



파일:민주당2016전당대회.jpg

결과 발표 후 꽃다발을 전달했던 당대표, 최고위원 후보들
1. 개요
2. 상세
3. 일정
3.1. 지역 합동연설회
3.2. TV 토론회
4. 출마 후보군
4.1. 당대표
4.1.1. 김상곤 (원외)
4.2. 최고위원
4.2.1. 노인부문
4.2.1.1. 제정호
4.2.1.2. 송현섭
4.2.2. 여성부문
4.2.2.1. 유은혜
4.2.2.2. 양향자
4.2.3. 청년부문
4.2.3.1. 장경태
4.2.3.2. 이동학
4.2.3.3. 김병관
5. 여론조사
6. 투표율
7. 결과
7.1. 당대표 선거
7.2. 최고위원 선거
8. 총평



1. 개요[편집]


2016년 8월 27일 서울 KSPO 돔(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진행된 더불어민주당 2기 중앙당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이다.

2. 상세[편집]



3. 일정[편집]



3.1. 지역 합동연설회[편집]



3.2. TV 토론회[편집]



4. 출마 후보군[편집]



4.1. 당대표[편집]


  • 기호 번호 순서대로 정리함

4.1.1. 김상곤 (원외)[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김상곤 (金相坤)
파일:32040_11622_2043.jpg}}}
출생
1949년 12월 5일 (74세)
전라남도 광주시 산수동
(現 광주광역시 동구 산수동)
현직
-
슬로건
-

4.1.2. 이종걸 (5선)[편집]



4.1.3. 추미애 (5선)[편집]



4.2. 최고위원[편집]



4.2.1. 노인부문[편집]



4.2.1.1. 제정호[편집]


4.2.1.2. 송현섭[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송현섭 (宋鉉燮)
파일:송현섭.jpg}}}
출생
1936년 10월 12일 (87세)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현직
-
슬로건
-

4.2.2. 여성부문[편집]



4.2.2.1. 유은혜[편집]


4.2.2.2. 양향자[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양향자 (梁香子)
파일:양향자(정치인).jpg}}}
출생
1967년 4월 4일 (57세)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
현직
-
슬로건
-


4.2.3. 청년부문[편집]



4.2.3.1. 장경태[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장경태 (張耿態)
파일:장경태1.jpg}}}
출생
1983년 10월 12일 (40세)
전라남도 순천시
현직
-
슬로건
-

4.2.3.2. 이동학[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이동학
파일:이동학노란컵.jpg}}}
출생
1982년 3월 12일 (42세)
강원도 화천군
현직
-
슬로건
-

4.2.3.3. 김병관[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김병관(金炳官)
파일:100148724.jpg}}}
출생
1973년 1월 15일 (51세)
전라북도 정읍시
현직
제20대 국회의원 (경기 성남 분당 갑)
슬로건
-

5. 여론조사[편집]



6. 투표율[편집]


  • 최고위원

  • 노인부분


선거인수
투표수
투표율
대의원
1,456
1,072
73.17%
권리당원
17,065
3,356
19.06%

  • 여성부분


선거인수
투표수
투표율
대의원
6,129
3,200
52.01%
권리당원
79,351
13,497
17.01%

  • 청년부문


선거인수
투표수
투표율
대의원
4,153
2,128
51.23%
권리당원
93,336
28,687
30.74%

  • 당대표

선거인수
투표수
투표율
대의원
14,272
8,481
59.41%
권리당원
199,401
55,124
27.64%



7. 결과[편집]



7.1. 당대표 선거[편집]


기호
성명
대의원
(45%)
권리당원
(30%)
일반당원
(10%)
일반국민
(15%)
합산 득표율
(100%)
순위
선거 결과
계파
1
김상곤
23.24%
20.25%
19.6%
23.9%
22.08%
3위
낙선
진보
2
이종걸
25.24%
18.09%
25.25%
30.59%
23.89%
2위
낙선
친명
3
추미애
51.54%
61.66%
55.15%
45.52%
54.03%
1위
당선
친문


7.2. 최고위원 선거[편집]


  • 노인 최고위원
기호
성명
대의원(50%)
권리당원(50%)
합계(100%)
순위
당선 여부
1
제정호
47.39%
32.33%
39.86%
2
낙선
2
송현섭
52.61%
67.67%
60.14%
1
당선

대의원에선 비교적 접전이 일어났으나, 권리당원에서 송현섭 후보가 더블스코어 격차로 앞서면서 승리를 거두었다.

  • 여성 최고위원
기호
성명
대의원(50%)
권리당원(50%)
합계(100%)
순위
당선 여부
1
유은혜
52.38%
33.46%
42.92%
2
낙선
2
양향자
47.63%
66.54%
57.08%
1
당선

대의원에선 유은혜가 앞섰으나, 권리당원에서 양향자가 더블스코어 차이로 앞서면서 당선되었다.

  • 청년 최고위원
기호
성명
대의원(50%)
권리당원(50%)
합계(100%)
순위
당선 여부
1
장경태
15.51%
13.72%
14.61%
3
낙선
2
이동학
40.65%
19.02%
29.83%
2
낙선
3
김병관
43.84%
67.27%
55.56%
1
당선

대의원에선 이동학 후보와 김병관 후보가 접전을 이루었으나, 권리당원에서 김병관 후보가 2/3을 쓸어가서 압도적인 격차로 승리를 거두었다.

  • 권역 대표 최고위원
    • 서울특별시 & 제주특별자치도 대표: 김영주 서울시당위원장 (2년)[1]
    • 인천광역시 & 경기도 대표: 전해철 경기도당위원장 → 박남춘 인천광역시당위원장 (1년 씩)
    • 강원도 & 충청도 대표: 심기준 강원도당위원장 (2년)[2]
    • 호남권 대표: 김춘진 전북도당위원장(6개월) → 이형석 광주시당위원장(8개월) → 이개호 전남도당위원장 (10개월)
    • 영남권 대표: 최인호 부산시당위원장 → 임대윤 대구시당위원장 → 정영훈 경남도당위원장 → 임동호 울산시당위원장 (6개월 씩)[3]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4;"
, 5.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4;"
, 5.4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8. 총평[편집]


이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추미애 전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제19대 대통령 선거 압승,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압승까지 이끌어내며 레전드 지도부로 남게 되었다.

그리고 6년 뒤 TK출신 두번째 당대표가 탄생하였다.

또한 청년 최고위원 부문에서 낙선한 나머지 2명도 훗날 최고위원이 된다.[4]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6:04:39에 나무위키 더불어민주당/2016년 전당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김우남 제주도당위원장이 김영주 서울시당위원장이 유일한 여성 시도당위원장이고 또 서울이란 상징성도 있다며 양보하였다고 전한다. 김영주 최고위원이 부득이한 사정으로 사퇴할 경우에만 승계하겠다고 밝혀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김영주 의원이 임기를 계속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2] 충청권 시도당위원장인 박범계(대전시당위원장), 도종환(충북도당위원장), 박완주(충남도당위원장) 의원이 양보하였다. 김영주 최고위원처럼 심기준 위원장이 임기를 끝까지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셋 다 국회에서의 요직인 상임위 간사(박범계-법사위, 도종환-교문위)와 원내수석부대표(관례적으로 운영위 간사로 선임)를 겸직중이라 업무에 전념해야하는 이유가 많이 작용했다. 또 나름 선전한 충청권에 비해 강원도는 여전히 열세지역이라 이에 대한 배려도 있었다고 전한다.[3] 오중기 경북도당위원장은 50만 원이 든 돈봉투를 건넸다는 고발이 들어와 당선 인준이 보류되었다.[4] 다만 임명 방식이 다른데 이동학 후보는 2021년 송영길 지도부가 탄생할 때 지명직으로 들어가고, 장경태 후보는 2022년 이재명 지도부가 탄생할 때 전당대회 순위 5위로 들어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