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환(1940)

덤프버전 : r20190312

대한민국 육군 >>{{{#!wiki style="margin: -3px 0px;"
제2작전사령관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
||<width=20%> 초대
강문봉 ||<width=20%> 2대
최영희
||<width=20%> 3대
장도영 ||<width=20%> 4대
최경록 ||<width=20%> 5대
민기식
||
|| 6대
장창국
|| 7대
김용배
|| 8대
박경원 || 9대
정래혁
|| 10대
문형태
||
|| 11대
한신
|| 12대
채명신 || 13대
박원근 || 14대
이병형 || 15대
박희동 ||
|| 16대
김종수 || 17대
진종채 || 18대
차규헌 || 19대
이기백 || 20대
김홍한 ||
|| 21대
오자복
|| 22대
이종구 || 23대
민경배 || 24대
이필섭
|| 25대
김연각 ||
|| 26대
김진선 || 27대
박세환 || 28대
조성태
|| 29대
김진호
|| 30대
조영길 ||
|| 31대
김인종 || 32대
홍순호 || 33대
양우천 || 34대
권영기 || 35대
박영하 ||
|| 36대
조재토 || 37대
이철휘 || 38대
조정환
|| 39대
김요환
|| 40대
이순진
||
|| 41대
박찬주 || 42대
박한기
|| 43대
황인권 || 44대
김정수 || 45대
신희현 ||
|| 46대
고창준 ||
||<-5><bgcolor=#2e3192> 명칭 변천: 제2군사령관(초대~35대) ▸ 제2작전사령관(35대~현재) ||
||<-5><bgcolor=#2e3192>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박세환(朴世煥)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0802211559493771.jpg
1940년 ~
복무대한민국 육군
기간1963년 ~ 1995년
임관학군 1기
최종계급대장
최종보직제 2군사령관

1. 개요
2. 생애
3. 선거이력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국군 최초의 학군사관 출신 대장.[1]


대한민국군인, 정치인이다. 종교개신교이다.


2. 생애[편집]


1940년 경상북도 영주군에서 태어났다. 안동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ROTC 과정을 이수하여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제12보병사단 사단장, 제8군단 군단장, 제2군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3. 선거이력[편집]


이후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제15대, 16대 국회의원(신한국당-한나라당. 전국구)을 역임하였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사무총장인 윤영탁 대신 대구광역시 수성구 을 지구당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연도선거종류소속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여부비고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신한국당6,783,730표당선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한나라당8,083,609표당선

2009년에는 제 33대 재향군인회장을 역임하였다.관련기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박세환 문서의 r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박세환 문서의 r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국군 최초"라고 쓰여있는데, "육군 최초"이기도 하다. 육군의 주 병과인 보병/포병/기갑은 육사 출신만 맡는게 아니기 때문에 비육사 출신도 이론상 대장진급이 가능하지만, 해군과 공군은 기술군 특성이 강해서 사관학교가 주 병과인 조종/항해를 전담하기 때문에 학군사관 출신 대장은 절대로 나올 수가 없다. 즉, "국군 n번째 학군출신 대장"은 사실상 "육군 n번째 학군출신 대장"과 같은 말이라고 봐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