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멘 흑인

덤프버전 : (♥ 0)

셈족
[ 펼치기 · 접기 ]

셈족동셈족†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북서셈족히브리인(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 | 아모리인†(우가리트†) | 칼데아인
남서셈족
(아랍인)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몰타인) | 팔레스타인인(이스라엘 아랍인) | 예멘인(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이라크인 | 아프리카계 아랍인(아프리카계 이라크인 | 아프리카계 예멘인(아크담족) | 수단 아랍인(바까라족))
남셈족사바인† | 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 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셈어파 지역비아랍인 계열 독립국가들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아랍 계열 독립국가들파일: 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다수 거주국가 포함)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
언어셈어파
사상범셈족주의 | 아랍 민족주의 | 시오니즘
신화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아람 신화 | 페니키아 신화(카르타고 신화))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F0921 10%,#fff 10%,#fff 90%,#000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aaa"
[[예멘|[[파일:예멘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예멘
관련 문서
}}}}}}
<^|1><height=34><color=#fff><bgcolor=#000,#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1. 개요
2. 설명
3. 여담
4. 같이보기



1. 개요[편집]


예멘에 거주하는 흑인

영어로는 African Yemeni라고 지칭하는 경우도 있는데, 미국 기준 정치적 올바름과 예멘의 케이스와는 잘 맞지 않으므로 틀린 표현이다. 예멘과 이집트홍해를 사이에 두고 교류가 매우 활발했던 지역으로, 이집트 출신 백인 아랍인들은 순니파 샤피이파이건 시아 보흐라파이건간에 Afro-Yemeni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2. 설명[편집]


이슬람 시기 이전에는 주로 악숨 왕국 출신 정복자 군인도 많았으나 악숨 왕국 몰락 이후에는 주로 노예 혹은 무역상으로 들어왔다. 소말리인의 경우에는 소말리아가 식민지배기 이전에는 무역로를 이용해 번성했던 영향도 있고, 아무리 소말리아의 상황이 막장이라지만 예멘도 내전으로 인해 어지럽기는 마찬가지인지라 크게 차별을 당하고 살지는 않지만 아크담족의 경우 지금도 인도의 달리트처럼 차별받고 있으며 국제 비정부 기구가 이들의 처지에 관심을 보일 정도이다. 아크담족은 경우 자체적으로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닌 쓰레기 수집, 가죽 가공 등 더럽고 힘든 일을 주로 한다. 이슬람주의자들은 서방에서 강연할 때 말콤 엑스의 예를 들며 이슬람교에서는 인종차별이 없다고 선전하지만, 아크담족의 사례로 반박하면 말문이 막힐 정도이다. 물론 공식적으로 차별을 하지 말아야되는것이 FM이지만 실생활에서는 전혀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아크담족은 아예 이름 기원부터 하인에 대한 멸칭 카뎀(Khadem;하등인간)에서 기원한다.[1]

아크담족 인구는 50~350만여 명, 소말리인의 경우 150만여 명으로 추산된다.


3. 여담[편집]


이와별개로 예멘 등 아랍지역이 역사적으로 흑인 노예들을 많이 데려온 탓에 예멘인들의 염색체에는 아프리카인들의 염색체가 10%가량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10%는 거의 모두 여성 유전자였다고 한다. 이유는 흑인 남성들은 노예로 데려오는 족족 모두 거세를 시켰기 때문이다. 아프리카男을 노예로 삼고 거세한 아랍인들…카다피가 사과하기도


4. 같이보기[편집]



[1] 아랍권에서 노예, 종복을 주로 칭하는 말은 Abd, Ghulam,(이 두 단어는 이슬람 시대 이후 주님의 청지기(Abdullah) 등의 좋은 용도로 쓰인다.) Mamluk(백인 노예), Saqalaba(거세한 백인 노예, 중세 초 유럽에서 공급되던 슬라브 스클라베니 포로 노예가 어원으로 영어의 Slave에 해당) Sudani(수단인...), Habash(에티오피아인...), Zanj(흑인 노예) 등이 있다. 한국어로 치면 앞에 단어들은 서민, 카뎀은 쌍놈 정도의 어감 차이에 비교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0:54:11에 나무위키 예멘 흑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