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오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울산 북구)
제19대
박대동

제20대
윤종오
[1]

제20-21대
이상헌


역임한 직위



파일:새민중정당 흰색 로고.svg 원내대표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2차 로고.svg 원내대표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윤종오
尹鍾五 | Yoon Jongo


파일:윤종오국회의원.jpg

출생
1963년 8월 14일 (60세)
경상남도 합천군
본관
칠원 윤씨
재임기간
제4대 울산광역시 북구청장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가족
아내 김종임, 슬하 1남 2녀
병역
대한민국 육군 육군특수전사령부 병장 만기전역
소속 정당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20[*당선무효 ]
학력
부산서중학교 (졸업)
부산공업고등학교 (졸업)
울산대학교 (지역개발학 / 학사)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석사)
경력
울산광역시 북구의회 의원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울산광역시 북구청장
민중당 원내대표
제20대 국회의원(울산 북)
새민중정당 대표
현대자동차 의장1부
진보당(2020년) 울산광역시당 민생특별위원장



1. 소 개
2. 생애
3. 정치 이력 요약
4. 여담
5. 선거 이력
6. 소속 정당
7. 둘러보기



1. 소 개[편집]


현재 진보당 울산광역시당 민생특별위원장이다. 울산 북구에서 구의원으로 시작해서 구청장을 거치고 국회의원까지 4번 연속 당선된 적이 있는 정치인으로서 현재도 울산북구를 정치적 기반으로 하고 있다.

○ 공직 이력 ○
1998.07 ~ 2002.03 제2대 민선 2기 울산광역시 북구의회 의원 (염포동, 무소속→민주노동당)
2002.07 ~ 2006.06 제3대 민선 3기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울산 북구 제3선거구, 민주노동당)
2006.07 ~ 2010.03 제4대 민선 4기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울산 북구 제3선거구, 민주노동당)
2010.06 ~ 2014.06 제4대 민선 5기 울산광역시 북구청장 (초선, 민주노동당→통합진보당)
2016.05 ~ 2017.12 제20대 국회의원 (울산 북구, 무소속→새민중정당→민중당)
└ 2016.06 ~ 2017.07 제20대 국회 전반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
└ 2017.07 ~ 2017.12 제20대 국회 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2. 생애[편집]


부산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울산대학교 지역개발학과,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사회복지학과)을 전공했다. 병역은 특전사 일반적으로 공수부대로 불리는 부대에서 군 복무를 마쳤다고 한다. 군 전역 후 86년 현대자동차에 입사 하였으며 87년 노동자 대투쟁을 계기로 노동운동을 하게 되었다. 이후 현대자동차 노조에서 조직국장 등을 역임했다. 피선거권이 박탈되자 공직자 윤리법 제한 기간이 풀린 뒤 현대자동차로 복직했다.



3. 정치 이력 요약[편집]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울산 북구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노동당 소속으로 울산광역시의회 북구 제3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 광역의회에 입성하였다.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같은 선거구에서 재선에 성공한다.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민주노동당 소속으로 울산 북구청장 선거에 도전하여 당선되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통합진보당 소속으로 북구청장 재선에 도전하였으나, 당시 나락으로 떨어져 있었던 통합진보당에 대한 국민들의 이미지, 새정치민주연합과의 단일화 실패 등 여러 악재들을 극복하지 못하고 새누리당 박천동 후보에 밀려 근소한 표 차이로 2위로 낙선하였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신의 오랜 정치기반인 북구에서 출마를 선언하였다. 정의당 조승수 후보와의 진보진영 단일후보 경선에서 승리한데 이어, 더불어민주당 이상헌 후보와의 단일화[2]에도 성공하였다. 그리고 본 선거에서 새누리당 전직 의원인 윤두환 후보를 큰 표차로 물리치고 여유있게 당선되어 국회에 입성하였다.

병역을 특전사로 마친 덕분에 진보정당 국회의원에게 통상적으로 따라오는 종북공세가 윤종오에게는 전혀 먹혀들지 않았다. 선거기간에 윤두환 측의 종북 공세를 "내가 종북? 나는 특전사 출신이다."라고 맞받아쳤고, 오히려 보수적인 군인단체들의 지지를 끌어내기도 했다.

똑같이 무소속으로 당선된 김종훈과 함께 새민중정당이라는 통합된 진보 정당을 창당했다. 이후 민중연합당과 합당해 민중당에서 활동하다가 후술할 자격정지 선고를 받으며 당적을 상실하게 되었다. #[3]

2021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인해 생긴 취업제한기간인 3년이 끝나서 현대자동차 의장1부로 복직하였고 2023년에는 자격정지도 회복되어 진보당으로 복당하였다. 2023년 진보당 울산광역시당 민생특별위원장으로 선임되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4. 여담[편집]


  • 그의 형제자매(2남 4녀) 가운데 쌍둥이 자매가 있었는데, 그중 동생이 어렸을 때 가정형편이 어려워 부잣집으로 입양되었다고 한다. 2013년 44년 만에 그 쌍둥이 여동생과 상봉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화제가 되었다. 연합뉴스 중앙일보 경향신문 세계일보 뉴스1



5.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98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 북 염포읍

[[무소속|
무소속
]]

2,400 (55.10%)
당선 (1위)
초선
200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 북 3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8,660 (55.17%)
2006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1,782 (58.87%)
재선
2010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 북구청장
37,811 (56.44%)
초선
201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33,877 (43.06%)
낙선 (2위)
[4]
201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울산

[[무소속|
무소속
]]

55,621 (61.49%)
당선 (1위)
초선 [5]
기초의원, 광역의원, 기초단체장, 국회의원 줄줄이 당선되었다.

6.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
무소속
]]

1998 - 2002
정계 입문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2 - 2011
입당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1 - 2014
합당[6]

[[무소속|
무소속
]]

2014 - 2017
정당 해산

파일:민중의 꿈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
무소속
]]
)
2017
창당준비위원회

파일:새민중정당 글자.svg

2017
창당

[[민중당(2017년)|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7
합당[7]

[[무소속|
무소속
]]

2017 - 2023
당적 상실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2023 - 현재
복당


7. 둘러보기[편집]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C9252B><width=20%> ||<width=20%><bgcolor=#C9252B> ||<width=20%><bgcolor=#782B90> ||<width=20%><bgcolor=#782B90> ||<width=20%><bgcolor=#C9252B> 울주 ||
|| 박성민 || 김두겸 || 김종훈 || 윤종오 || 신장열 ||
||<-5>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4:00:29에 나무위키 윤종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2] 단일화 기자회견 자리에는 문재인 전 대표가 직접 참석하였다[3] 기사에는 자의적으로 탈당한 것처럼 서술되어 있지만 자격정지로 인해 당적이 소멸된 것이지 자의로 탈당한 것은 아니다.[4] 5번의 선거 중 첫 낙선[5] 2017.9.3 새민중정당 창당
2017.10.15 민중당 창당(새민중정당-민중연합당 합당)
2017.12.22 당선무효
[6] 국민참여당, 새진보통합연대와 신설 합당.[7] 민중연합당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