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거 브라질의 화폐에 대한 내용은
크루제이루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참고하십시오.
,2024 시즌 참가 구단, |
- [ 펼치기 · 접기 ]
#00000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height=40><width=25%> [[아틀레치쿠 고이아니엔시|[[파일:아틀레치쿠 고이아니엔시 로고.svg|height=50]]]][br][[아틀레치쿠 고이아니엔시|{{{#ffffff '''고이아니엔시'''}}}]] ||<width=25%> [[그레미우|[[파일: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 로고.svg|height=50]]]][br][[그레미우|{{{#FFF '''그레미우'''}}}]] ||<width=25%> [[아틀레치쿠 미네이루|[[파일:클루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로고.svg|height=50]]]][br]{{{#000,#FFF [[아틀레치쿠 미네이루|{{{#ffffff ''' 미네이루'''}}}]] }}} ||<width=25%> [[CR 바스쿠 다 가마|[[파일:CR 바스쿠 다 가마 로고.svg|height=50]]]][br][[CR 바스쿠 다 가마|{{{#ffffff '''바스쿠 다 가마'''}}}]] ||
||<height=80> [[EC 바이아|[[파일:EC 바이아 로고.svg|height=50]]]][br][[EC 바이아|{{{#ffffff '''바이아'''}}}]] || [[보타포구 FR|[[파일:보타포구 FR 로고.svg|height=50]]]][br][[보타포구 FR|{{{#ffffff '''보타포구'''}}}]] || [[레드불 브라간치누|[[파일:RB 브라간치누 로고.svg|height=50]]]][br][[레드불 브라간치누|{{{#FDCD02 '''브라간치누'''}}}]] || [[EC 비토리아|[[파일:EC 비토리아.png|height=50]]]][br][[EC 비토리아|{{{#ffffff '''비토리아'''}}}]] ||
||<height=80> [[상파울루 FC|[[파일:상파울루 FC 로고.svg|height=50]]]][br][[상파울루 FC|{{{#ffffff '''상파울루'''}}}]] || [[SC 인테르나시오나우|[[파일:SC 인테르나시오나우 로고.svg|height=50]]]][br][[SC 인테르나시오나우|{{{#ffffff '''인테르나시오나우'''}}}]] || [[EC 주벤투지|[[파일:EC 주벤투지 로고.svg|height=50]]]][br][[EC 주벤투지|{{{#ffffff '''주벤투지'''}}}]] || [[SC 코린치안스|[[파일:SC 코린치안스 로고.svg|height=50]]]][br][[SC 코린치안스|{{{#ffffff '''코린치안스'''}}}]] ||
||<height=80> [[쿠이아바 EC|[[파일:쿠이아바 EC 로고.svg|height=50]]]][br][[쿠이아바 EC|{{{#ffffff '''쿠이아바'''}}}]] || [[크루제이루 EC|[[파일:크루제이루 EC 로고.svg|height=50]]]][br][[크루제이루 EC|{{{#ffffff '''크루제이루'''}}}]] || [[크리시우마 EC|[[파일:크리시우마 EC 로고.svg|height=50]]]][br][[크리시우마 EC|{{{#000000 '''크리시우마'''}}}]]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파일:클루비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로고.svg|height=50]]]][br][[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ffffff '''파라나엔시'''}}}]] ||
||<height=80> [[SE 파우메이라스|[[파일:SE 파우메이라스 로고.svg|height=50]]]][br][[SE 파우메이라스|{{{#ffffff '''파우메이라스'''}}}]] || [[포르탈레자 EC|[[파일:포르탈레자 EC 로고.svg|height=50]]]][br][[포르탈레자 EC|{{{#ffffff '''포르탈레자'''}}}]] || [[CR 플라멩구|[[파일:CR 플라멩구 로고.svg|height=50]]]][br][[CR 플라멩구|{{{#000 '''플라멩구'''}}}]] || [[플루미넨시 FC|[[파일:플루미넨시 FC 로고.svg|height=50]]]][br][[플루미넨시 FC|{{{#ffffff '''플루미넨시'''}}}]] ||
||<-4><bgcolor=#FEF318> [[틀: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B|{{{#3700FE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B 참가 구단 ▶'''}}}]] ||
||<-4><bgcolor=#FFFFFF> {{{-1 [[틀: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세리 A]]|[[틀:브라질의 주별 축구 리그|주 리그]] | [[틀: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리가 프로페시오날]]|[[틀: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0]] 프리메라 디비시온]][br][[틀:파라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20]] 프리메라 디비시온]]|[[틀:칠레 프리메라 디비시온|[[파일:칠레 국기.svg|width=20]] 프리메라 디비시온]][br][[틀: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0]]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틀:에콰도르 세리에 A|[[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20]] 세리에 A]][br][[틀: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파일:페루 국기.svg|width=20]] 프리메라 디비시온]]|[[틀:볼리비아 프리메라 디비시온|[[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20]] 프리메라 디비시온]][br][[틀:베네수엘라 프리메라 디비시온|[[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20]] 프리메라 디비시온]]}}} ||
||<-4>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크루제이루 EC |
Cruzeiro EC |
정식 명칭 | 크루제이루 이스포르치 클루비 (Cruzeiro Esporte Clube) |
별칭 | A Raposa (여우들) |
창단 | 1921년 1월 2일 (104주년) |
소속 리그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 (Campeonato Brasileiro Série A) 캄페오나투 미네이루 |
연고지 | 미나스제라이스 주 벨루오리존치 |
홈구장 | 미네이랑[1]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와 2022 시즌까지 공동으로 사용했다. 미네이루가 2023년 새 홈구장 아레나 MRV로 옮긴 후에는 크루제이루만 미네이랑을 사용하고 있다. (66,658명 수용) |
구단주 | 호나우두 (Ronaldo) |
회장 | 리드송 포치 (Lidson Potsch) |
감독 | 페르난두 세아브라 (Fernando Seabra) |
라이벌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수페르클라시코 미네이루 |
공식 웹사이트 | |
우승 기록 |
세리 A (1부) (4회) | 1966, 2003, 2013, 2014 |
코파 두 브라질 (6회) | 1993, 1996, 2000, 2003, 2017, 2018 |
캄페오나투 미네이루 (미나스제라이스 주 챔피언십 / 40회) | 1926, 1928, 1929, 1930, 1940, 1943, 1944, 1945, 1956, 1959, 1960, 1961, 1965, 1966, 1967, 1968, 1969, 1972, 1973, 1974, 1975, 1977, 1984, 1987, 1990, 1992, 1994, 1996, 1997, 1998, 2002, 2003, 2004, 2006, 2008, 2009, 2011, 2014, 2018, 2019 |
수페르코파 두 브라질 (4회) | 1993, 1996, 2000, 2003 |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 (2회) | 1991, 1992 |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2회) | 1976, 1997 |
CONMEBOL 레코파 (1회) | 1998 |
코파 암스테르담 (3회) | 2006, 2008, 2012 |
코파 데 오로 (1회) | 1995 |
수페르코파 마스테르스 (1회) | 1995 |
클럽 기록 |
최다 출장 | 파비우(Fábio Deivson Lopes Maciel) - 969경기 (2005~) |
최다 득점 | 토스탕(Tostão) - 249골 (1963~1972) |
브라질의 축구 클럽으로,
미나스제라이스주의
벨루오리존치를 연고지로 삼고 있다. 현재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와
캄페오나투 미네이루에 참가한다.
1921년 1월 2일에
이탈리아 이민자들에 의해 SE 팔레스트라 이탈리아(Sociedade Esportiva Palestra Itália)라는 클럽 이름으로 창립되어 1925년까지 이탈리아계 이민자만을 허용하였다. 원래 클럽 색상은 이탈리아 국기와 같은 백, 녹, 적색이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에서 브라질이
연합국 쪽으로 합류하면서 이탈리아를 연상시키는 조직은 개명이 강제되었고, 1942년에 크루제이루 E.C.로 개칭하였다. 엠블렘의 중앙에 있는 별들은 크루제이루와
브라질 국기에도 그려져 있는
남십자성을 나타낸다. 이때 클럽 색상도 파란색과 흰색으로 바뀌었다.
미나스제라이스 주에서 펼쳐지는 캄페오나투 미네이루(Campeonato Mineiro) 우승 횟수는 벨루오리존치의 라이벌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에 이은 2위를 달리고 있다. 2003년에는 브라질 전국 선수권 대회에 처음 우승했다. 이 해에는
코파 두 브라질과 주 리그 우승도 같이 차지하며 브라질 축구 사상 처음으로 트레블을 달성한 클럽이 되었다. 국제 무대에서는 1976년과 1997년 두 차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우승하고 남미 챔피언으로 올라섰다. 2013시즌에는 네이마르가 떠난 브라질 리그의 '새로운 지배자'
에베르통 히베이루[2] 이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필두로 한 수많은 유럽 클럽들과 이적설이 돌았지만, 결국 2015년 UAE의 알 아흘리 클럽으로 이적했다. 실력이 부족해서라기 보다는 돈을 고려한 이적이라는 평.
의 활약에 힘입어 10년만에 세리 A에서 우승하였다.
브라질 전국에서 6번째로 인기 있는 클럽으로, 미나스제라이스 주에서 가장 인기 있는 클럽이다.
홈구장은
미네이랑(공식 명칭: 이스타지우 고베르나도르 마갈량이스 핀투)이다. 2022년까지는 이 경기장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와 공유했었다.
크루제이루의 최대 라이벌은 같은 벨루오리존치를 연고지로 하는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이다. 이 두 팀의 대결은 수페르 클라시쿠 미네이루(미네이루 슈퍼 더비)라고있다. 또한
아메리카 미네이루와도 라이벌 관계가 있다.
이 팀의 홈구장에서 열린
2014 브라질 월드컵의 4강 1경기에서 홈팀 브라질이
독일을 상대로 역사상 최악의
1-7 참패를 당해, 이 팀의 홈구장인 미네이랑 경기장이 세계적인 유명세를 타게 되었다.
2019년 브라질 명문이었던 크루제이루가 98년만에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그리고 얼마 뒤 구단은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한다는 회장명의의 공식성명을 발표한다. 현재 추정되는 부채만 2000억 이상이며 900억대의 운영예산을 200억대로 축소하고, 직원 98명 해고, 구단소유 차량 50%처분, 부동산 등 각종 돈 될만한 것을 처분 중이라는 충격적인 소식이다.
2019시즌은 충격의 강등을 당하며 팬들이 분을 이기지 못하고 폭동을 일으켜 소요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2020시즌 세리 B에서 11위를 기록하며 세리 A 승격에 실패했다.
2021시즌에서는 창단 100주년을 맞이하는 시즌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시즌보다 세 계단 하락한 14위로 마무리하며 다음 시즌도 세리 B에서 뛰게 되었다. 게다가, 최대 라이벌 아틀레치쿠 미네이루가 1971시즌 이후 50년만이자
[3] 공교롭게도 이 해는 세리 A의 출범 원년이었으며, 크루제이루가 창단 50주년을 맞이하는 해였다.
이 팀이 100주년을 맞이하는 시즌에 1부리그 우승을 했으니 팬들의 속은 더더욱 탈 예정.
2022시즌에는 클럽의 레전드이자 브라질 축구의 레전드
호나우두가 구단을 인수하면서 새 출발을 다짐하고 있다. 그러면서 첫 영입을 했는데, 놀랍게도
K리그 부천 FC 1995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를 거친
바그닝요가 호나우두 회장 체제의 1호 영입이 되었다. 이는 한국 팬들에게도 이슈가 되었다.
호나우두 인수 후 첫 시즌인 2022시즌,
세리 B 우승을 차지하고
세리 A로 복귀하며 좋게 끝났다. 2023시즌에는 세리 A 14위로 잔류에 성공했다.
2024시즌 코파 두 브라질 1라운드에서 세리 D 소속의 소자 EC와 맞붙어서 후반에 내리 2골을 먹히며 2-0로 완패하면서 탈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