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터미널남원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도통동에 있던 현재는 폐지된 고속버스 전용 터미널에 대한 내용은 남원고속버스터미널 문서
남원고속버스터미널번 문단을
남원고속버스터미널#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군산시김제시남원시
군산고속 · 군산시외 · 대야 · 군산대 · 군산공항 · 군산시청김제 · 만경 · 원평남원 · 인월지리산 · 뱀사골
익산시전주시정읍시
익산 · 금마 · 여산 · 함열 · 익산역 · 원광대전주시외 · 전주고속 · 덕진 · 완산 · 노송 · 전동 · 전주대 · 호남제일문· 서부시외 · 인후정읍 · 내장산 · 산외 · 신태인 · 칠보 · 태인

고창군무주군부안군순창군
고창 · 흥덕 · 대산 · 무장 · 해리 · 상하 · 구시포 · 선운산무주 · 설천 · 안성부안 · 격포 · 변산 · 줄포 · 곰서(진서)순창 · 금과 · 적성 · 동계
완주군임실군장수군진안군
삼례 · 대둔산 · 고산 · 익산IC · 우석대 · 장신대 · 혁신도시임실 · 강진 · 관촌 · 오수 · 삼계 · 성수 · 청웅장수 · 계남 · 번암 · 산서 · 장계 · 천천진안 · 백운 · 안천 · 우화 · 주천
시외버스 · 고속버스가 정차하는 경우만 표기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만 정차하는 곳은 표기하지 않음.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광주 · 전남 · 대구 · 부산 · 울산 · 경북 · 경남 · 제주




파일:문화터미널남원.png

파일:Culture Terminal Namwon.jpg

1. 개요
2. 특징
3. 고속버스 노선
3.1. 수도권
3.2. 영남권
4. 시외버스 노선
4.1. 호남권
4.2. 영남권
4.3. 충청권
4.4. 수도권[1]
5. 시간표



1. 개요[편집]


전라북도 남원시 용성로 109(동충동 37-1)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탐방기('19년 7월경)


2. 특징[편집]


시외버스 전용 터미널이지만 전환고속 노선이 있는데, 서부산 방면 노선이다.

2022년 3월 31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폐쇄되는 남원고속버스터미널과 통합하며, 서울 ↔ 남원 고속버스는 4월 1일부터 도통동에서 동충동의 이곳으로 기착지를 옮겨서 운행한다.[2]

이로써 이 터미널은 시외버스 전용에서 종합버스터미널로 바뀌게 되었다.

공식 명칭이 문화를 강조하는 뉘앙스로 바뀐 전국에서 몇 안되는 케이스이다. 명칭 자체가 특이하다보니 그냥 간단하게 남원공용버스터미널이라고 지칭되는 경우가 더 많은 편.

이 터미널은 일반이 92.4%, 우등이 7.6%로 일반이 어마어마한 비중을 차지한다. 우등은 부산서부행 전회 및 서울호남행 6회에만 있다. 이는 노선이 단거리 위주인 점도 있다.

3. 고속버스 노선[편집]



3.1. 수도권[편집]


수도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정안알밤휴게소
서울
일 7회금호고속
삼화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서울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정안알밤휴게소1:30₩ 9,600
14,200(우등)
서울(호남)3:00₩ 17,100
25,200(우등)
운행시각표06:30, 08:30, 10:30, 13:00, 15:00, 17:30, 19:30
08:30 ~ 19:30 시간대에 정안알밤 휴게소를 경유한다.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전라선 철도의 존재로 인해 운행 횟수가 많지 않고 막차도 이르다. 따라서 막차시간 이후에는 남원역으로 가야 한다.
삼화고속의 호남선 노선은 이 노선밖에 없다.[1]
[1] 별개로, 전주의 경우 동양고속, 완도의 경우 한일고속에 해당한다.
인천운행중단경기고속
금호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인천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덕과발권불가
오산2:40₩ 21,300(우등)
서수원3:10₩ 24,600(우등)
인천4:30₩ 28,800(우등)
운행시각표운행중단
시외버스 인천-남원 참고.경기고속 차량도 티머니 E-Pass와 실시간 위치정보가 지원된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이 시간대 이외에 다음 목적지로 가려면
오산 => 평택역행 열차 탑승 후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환승
서수원 => 남원역으로 가서 수원역행 열차 탑승
인천 => 서울호남행 고속버스 탑승 후 정안알밤 휴게소에서 내려서 인천행 고속버스로 환승 또는 고속터미널역에서 7호선탑승후 부평구청역에서 인천 1호선으로 환승
현재 코로나 19로 이 노선이 운행이 중단되어서 인천을 가려면 상기한 대체 교통편을 이용해야한다.

고속버스 노선은 서울 센트럴시티행 노선뿐이며, 금호고속삼화고속[3]에서 공동 배차하여 운행한다. 시외버스 노선으로는 인천 ↔ 남원 노선이 있다.

인천 ↔ 남원 노선은 고속에서 시외로 형간전환이 되면서 오산, 서수원을 경유한다.[4] 경기고속삼화고속인천-서수원-오산-남원 노선을 인수한 것. 이 바람에 삼화고속은 전북권에서 남원 노선에만 들어간다.


3.2. 영남권[편집]


영남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서부산(사상)일 3회대한여객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서부산(사상)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서부산(사상)2:40₩ 13,400
₩ 19,800(우등)
운행시각표08:10, 13:30, 18:30
전환고속 면허로 티머니 E-Pass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수동으로 검표한다.
고속버스 노선 중에서는 유일하게 버스타고에서 인터넷 예매를 할 수 있다.
1일 3회뿐이라 함양행 시외버스를 타고 환승하거나, 남원역에서 열차를 이용하여 순천역으로 이동한 뒤 순천종합버스터미널로 가서 버스로 환승하는 것이 더 낫다.
전회우등 노선이다.

4. 시외버스 노선[편집]



4.1. 호남권[편집]


호남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전주(직통)일 32회대한여객
전북고속
전북여객
호남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전주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남노송동1:00₩ 6,000
전주1:10₩ 6,200
운행시각표07:00, 07:40, 07:50, 08:10, 08:30, 08:50, 09:30, 10:04, 10:15, 10:20, 11:15, 11:45, 12:30, 12:46, 13:01, 13:45, 14:15, 15:00, 15:15, 15:45, 16:15, 16:45, 17:00, 17:30, 18:00, 18:20, 18:30, 18:45, 19:00, 19:45, 20:00, 20:30
사실 남원-전주 구간도 요금은 무궁화호 3500원, ITX-새마을 5200원, 버스 6200원, KTX 8400원, 소요시간은 무궁화호 29분, ITX-새마을 27분, KTX 24분, 버스 1시간이므로, 열차 이용이 더 낫다. 다만 열차 배차(일 12회)가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며 배차는 버스가 압도적으로 많다. 영남권으로 환승할 경우에도 버스가 유리
전주(직행)
오수/임실
일 30회전북고속
전북여객
호남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임실·전주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오수0:24₩ 2,400
₩ 2,600(심야)
임실0:43₩ 4,400
₩ 4,800(심야)
남노송동1:00₩ 6,000
₩ 6,600(심야)
전주1:10₩ 6,200
₩ 6,800(심야)
운행시각표06:15, 07:06, 07:24, 07:48, 08:20, 08:36, 09:40, 10:06, 10:26, 11:20, 12:04, 12:52, 13:28, 14:16, 14:48, 15:16, 15:35, 16:16, 16:52, 17:12, 18:02, 18:20, 19:34, 19:50, 20:40, 20:50, 21:20, (심야)22:00
소요시간은 무궁화호 18분, 버스 39~40분이다. 요금도 무궁화호가 2600원, 버스가 4400원으로 열차가 유리하다. 단, 역시 열차는 배차간격이 길며 임실역은 시가지와 매우 멀다.
전주까지 가는데는 평균적으로 20분 정도가 더 걸린다.
뱀사골일 3회전북여객
호남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뱀사골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운봉0:35₩ 2,800
인월0:43₩ 3,800
산내0:50₩ 4,800
뱀사골1:00₩ 6,000
운행시각표08:55, 12:03(달궁), 19:20
같은 남원시 관내에 위치한 지역들이다. 1회는 달궁까지 내려간다. 달궁시외버스정류소에서 달궁삼거리 방면으로 조금 가면 정령치 및 성삼재 도로의 시작이다.
운행횟수가 적어 그 외 시간엔 시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광주(직통)일 15회동광고속
전북여객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대구서부·남원발 광주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문화동1:03광주 발권 후 하차
광주1:07₩ 5,700
운행시각표07:15, 07:45, 08:15, 08:45, 10:05, 11:25, 12:00, 13:25, 14:05, 14:50, 16:55, 17:40, 17:55, 18:50, 19:40
광주(직행)
순창/담양
일 8회동광고속
전북여객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담양·광주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적성미정₩ 2,800
순창0:40₩ 3,800
금과미정₩ 4,800
금성미정₩ 5,400
담양1:00₩ 6,200
문화동1:36광주 발권 후 하차
광주1:40₩ 5,700
운행시각표07:10, 09:50, 12:30, 12:55, 14:40, 17:50, 20:05, 20:35
과거에는 대구서부 출발도 있었으나 운행이 중지되었다.
순창일 3회전북여객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순창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적성미정₩ 2,800
순창0:40₩ 3,800
운행시각표10:25, 14:05, 18:05
여수(순천직통)일 1회전북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순천·여수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순천2:00₩ 9,000
여천2:40₩ 12,500
여수2:50₩ 13,700
운행시각표10:50
운행횟수가 적어 남원역에서 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낫다.
여수(순천직행)
구례
일 1회전북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대구서부발 순천·여수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구례0:40₩ 4,200
괴목1:00₩ 6,100
순천2:00₩ 9,000
여천2:40₩ 12,500
여수2:50₩ 13,700
운행시각표10:15
곡성일 1회전북여객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곡성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곡성0:25₩ 2,600
운행시각표15:25
동광양일 1회전북여객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동광양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광양0:50₩ 5,400
동광양1:00₩ 7,000
운행시각표10:10
구례일 1회호남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구례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곡성0:25₩ 2,600
구례1:00₩ 4,200
운행시각표07:40
노고단 등반을 원한다면 구례에서 내려서 성삼재행 버스[1] 혹은 택시로 갈아타는 것을 추천한다. 다만 지리산 종주를 원한다면 미리 내려와서 숙박하는 방법뿐이다.[2]
[1] 2023년 4월 21일 까지 운행중단.[2] 야간열차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화엄사일 1회호남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화엄사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곡성0:25₩ 2,600
구례1:00₩ 4,200
화엄사1:20₩ 4,900
운행시각표13:15
운행횟수가 적어 구례구역 - 구례 - 화엄사로 가는 것이 낫다.

4.2. 영남권[편집]


영남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진주일 1회전북여객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진주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운봉0:35₩ 2,800
인월0:43₩ 3,800
함양1:00₩ 6,100
수동1:10₩ 6,900
생초1:20₩ 7,700
산청1:30₩ 9,100
원지1:50₩ 11,500
진주2:00₩ 13,900
운행시각표10:27
그 외 시간에 진주로 가려면 우선 터미널 밖에 가서 인월행 버스를 탄 다음 인월에서 함양행을 타고 함양에 내려 함양에서 진주(시외)행 버스를 타면 된다.
마산행, 부산서부직행 역시 진주를 거치므로 최종적으로 남원-진주는 1일 3회 운행한다.
마산일 1회전북여객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마산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운봉0:35₩ 2,800
인월0:43₩ 3,800
함양1:00₩ 6,100
수동1:10₩ 6,900
생초1:20₩ 7,700
산청1:30₩ 9,100
원지1:50₩ 11,500
진주2:00₩ 13,900
마산3:00₩ 19,200
운행시각표15:50
부산사상(직행)
함양/진주
일 1회대한여객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부산사상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운봉0:35₩ 2,800
인월0:43₩ 3,800
함양1:00₩ 6,100
수동1:10₩ 6,900
생초1:20₩ 7,700
산청1:30₩ 9,100
원지1:50₩ 11,500
진주2:00₩ 13,900
부산사상4:20₩ 22,300
운행시각표14:15
부산사상으로 가려면 이 노선을 타지 말고 전환고속을 이용하자. 경유지가 많아서 전환고속보다 2시간이 더 걸린다.
대구서부(직통)일 2회전북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대구서부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대구서부1:30₩ 10,000
운행시각표14:10, 18:10
18:10 구례(여수) 출발 차량의 경우 인터넷 예매가 불가능하며 비좌석제 선착순 승차로 운영한다.
남원북부에는 정차하지 않으므로 주의. 그 외 시간에 남원에서 대구서부로 가려면 함양에서 갈아타야 하며, 함양에서 조차 시간이 안 맞으면 또 거창에서 갈아타야 한다.
남원-대구서부 단일계통 한정으로 고속버스 요건이 맞으므로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고속버스로 전환할 수 있다.


4.3. 충청권[편집]


충청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대전복합일 4회전북여객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대전복합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번암0:25₩ 2,400
장수0:40₩ 4,700
계남0:50₩ 6,000
장계1:00₩ 6,400
계북1:15₩ 7,600
전북안성1:30₩ 9,000
적상1:45₩ 13,000
무주2:00₩ 11,800
대전복합2:50₩ 16,700
운행시각표8:30, 12:40, 14:45, 18:40
경유지를 가기 위해 이용하게 되며 남원-대전 구간도 철도가 더 유리하다. 단, 대전복합터미널 환승이 필요한 경우 등은 예외
하루 4회 뿐이므로 서대전에서 환승하기 어렵거나 시간대가 맞지 않으면 전주로 가서 환승하는 게 낫다.


4.4. 수도권[5][편집]


수도권(시외)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동서울일 1회경기고속
호남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남원발 동서울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오수발권불가
임실
동서울4:00₩ 17,000
운행시각표10:05
오수, 임실 경유. 현재는 미운행 상태이다.
부천일 1회(금,토,일 2회)대원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동광양발 부천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안양3:50₩ 24,900
부천4:20₩ 27,700
운행시각표09:00, 12:00(금,토,일)
동광양 출발 노선이며 안양 경유. 현재는 미운행 상태이다.


5. 시간표[편집]


파일:Screenshot_20230616_132447_Gallery.jpg
15.06.2023 시간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9:39:10에 나무위키 문화터미널남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수도권 방향 시외버스 노선이 코로나19로 운행중단되어 현재 남원에서 운행하는 수도권 방향 시외버스 노선은 없다.[2] 추후 인천 ↔ 남원노선도 운행재개시 이곳으로 기착지를 옮겨서 운행한다.[3] 삼화고속 유일의 호남선 노선이자, 이 터미널에 유일하게 들어오는 노선이다.[4] 그러나 용인 전환시외 노선처럼 '고속'으로 찍혀 나오고, 고속버스 어플로도 예매가 되는 등, 취급은 고속버스 취급이다.[5] 수도권 방향 시외버스 노선이 코로나19로 운행중단되어 현재 남원에서 운행하는 수도권 방향 시외버스 노선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