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SU-57-2

덤프버전 :

냉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소련식 분류
파일:소련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냉전기
소련군기갑차량
전차 시대별 세대 구분 1세대 전차 中전차Т-2597 "Чи-Ха"L/R, 47mm "Шин-Хо-То" Чи-Ха"L/R, M4A2E8L/R, M4A4L/R, T-34-76R, T-34-85 (D-5T)R, T-34-85MLT, T-44MR, M-50L/R, M-51L/R
重전차МК-IIL/R, T-VL/R, IS-2M, IS-3M
2세대 전차 中전차K-91, T-54, T-55, T-62(A/M), T-64
重전차IS-4M, IS-7, T-10(M), 오비옉트 257, 오비옉트 277, 오비옉트 278, 오비옉트 279, 오비옉트 752, 오비옉트 777
경(부항)전차PT-76 «Плавун», PT-76B «Плавун», PT-85, T-100
미사일 전차IT-1, 오비옉트 287, 오비옉트 775, 오비옉트 780, 오비옉트 906B
3세대 전차 1세대 주 전차T-64A
2세대 주 전차T-72
3세대 주 전차T-80
MBT 기준 세대 구분 1세대 MBTT-62B, T-64(A/R), T-72A
2세대 MBTT-64B/B1/BV, T-72(B/B1), T-80(B/BV/A/U)
장갑차 장륜장갑차BRDM-1, BRDM-2, BTR-60, BTR-70, BTR-80
궤도장갑차BTR-50, MT-LB, GT-T, GT-L, GT-MU, DT-30, BMD-1, BMD-2, BMD-3, BMD-4, BTR-D, BMP-1, BMP-2, BMP-3
차량 소형UAZ-469, GAZ-64, GAZ-67, GAZ-69, UAZ-452, UAZ-469
트럭MAZ-7310, ATS-59, GAZ-51, GAZ-63, GAZ-66, ZiS-151, ZiS-157, ZiL-131, 우랄-4320, KrAZ-255
자주포 자주곡사포2A3 콘덴사토르-2P, 2S1 그보즈디카, 2S2 피알카, 2S3 아카치야,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2S19 무스타-S
자주박격포2B1 오카, 2S4 튤판, 2S9 노나-S
자주평사포SU-M10L/R, SU-76IR, SU-100, ISU-122, ISU-152, SU-122-54, ASU-57, ASU-85, SU-100P, SU-152 타란, SU-100M, 2S2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ZSU-57-2, ZSU-37-2 예니세이, ZSU-23-4 쉴카, 2S6 퉁구스카
단거리 대공미사일2K22 퉁구스카, 9K31 스트렐라-1, 9K33 오사, 9K35 스트렐라-10, 9K330 토르
다연장로켓BM-13, BM-21, BM-24, BM-27, BM-30, TOS-1 부라티노
경전차T-26R, M24 채피L/R, Т-2595 "Ха-Го"L/R, MK-IIIL
기타GRAU 코드명, GABTU 코드명
※ T-64A(오비옉트 434)부터 주력전차로 분류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 L: 렌드리스/전시 노획/노획 차량 인수로 치장장비/연구용으로만 사용했다.
※ 윗첨자 LT: 체급이 경전차로 재편성되었다.
※ 윗첨자 R: 냉전 중 퇴역한 차량.






파일:ZSU-57-2.jpg
ЗСУ-57-2 (Объект 500)



1. 개요[편집]


소련에서 최초로 대량 양산되어 수출까지 된 자주대공포로 1970년대까지 소련군에서 운용되었다.

키릴문자로는 ЗСУ-57-2로 표기되고 라틴 문자로 ZSU-57-2로 표기되며, 명칭의 ЗСУ[1]는 러시아어로 자주대공포를 뜻하며, 57은 주포 구경을 뜻한다. 그리고 2는 2연장을 뜻한다. 직역하자면 2연장 57mm 자주대공포 정도가 된다.[2] 현재 이 구세대 자주대공포를 운용하는 국가는 이란, 시리아, 북한, 베트남, 쿠바, 앙골라, 모잠비크 등 밖에 없으며, 나머지 국가들은 대부분 퇴역하였다.


2. 제원[편집]


ЗСУ-57-2 (Объект 500)
ZSU-57-2 (Object 500)
【펼치기 · 감추기】
개발 및 생산
개발기관OKB-174(현 KBTM)
개발연도1947~1950년
생산기관174번 공장(현 옴스크트란스마쉬)
생산연도1950~60년
생산국가소련
생산량857대
운용연도1950~현재
운용국가* 소련러시아/우크라이나
* 동독
*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
* 스릅스카 공화국
* 베트남
* 시리아
제원
전장6.22m(차체) // 8.48m(전체)
전폭3.27m
전고2.75m
중량28t
탑승인원6명(단차장, 포수 2명, 조종수, 탄약수 2명)
공격력
주무장76.6구경장 2연장 57mm S-68 기관포 (300발)
조준장치
부앙각−5 // +85°
회전각360°
기동력
엔진ChTZ V-54 액랭식 12기통 4행정 디젤 엔진
최고출력 // 회전 수519hp (382kW) // 2,000rpm
출력비18.6hp/t (kW/t)
현수장치토션 바
최고속력50km/h(도로) // 30km/h(야지)
항속거리420km(도로) // 320km(야지)
초호능력2.7m
초월능력0.8m
등판능력30°
도하능력1.4m
방어력
장갑형식균질압연장갑
방어력포탑: 8~13mm // 차체: 8~15mm


3. 개발[편집]


제2차 세계 대전부터 적군 항공기를 방어하기 위한 자주대공포가 개발되었다. 1942년부터 소련에서도 여러 자주대공포가 개발되다가 최종적으로 SU-76M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ZSU-37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ZSU-37이 생산되기 시작한 시점은 2차 대전이 거의 끝나가던 시기라 루프트바페의 항공기는 거의 없어서 2차 대전기 중에 실전 투입되지 못했고, 종전 후 1948년까지만 소량 생산되어 소련군에서 운용되었다. 그러나 소련군에서 운용되면서도 37mm 대공포의 연사력과 화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되었고, 차체도 결함이 있어서 금방 퇴역했다.

2차 대전 종전 이후 소련에서는 BTR-152BTR-40같은 BTR 장갑차에 대공용으로 DShK 중기관총을 장착한 대공 장갑차들을 제외하면 딱히 대공차량이라고 할만한 물건이 새로 개발되지 않았다. 그러나 냉전에서 앞으로 소련의 적성국이 될 미국영국은 공군력을 강화하고 있었고, 소련에서도 미국과 영국의 공군에 대항할 수 있도록 더 강력한 신형 자주대공포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1946년 2월부터 옴스크트란스마쉬의 174번 설계국과 칼린그라드의 58번 연구국에서 공동으로 새로운 자주대공포의 개발에 들어갔다. 원래 계획은 T-34 전차37mm 61-K 대공포를 4연장으로 올려놓은 차량이었으나, 당대 최신형 전차로 개발중이던 T-54의 차체를 사용하기로 계획이 바뀌면서 T-34 기반의 신형 자주대공포는 개발이 취소되었다.

1947년 봄부터 58번 설계국(NII-58)에서 2차 대전 시절부터 57mm ZiS-2 대전차포를 비롯한 여러 화포를 개발한 바실리 그라빈의 지도하에 57mm S-60 대공포를 기반으로 새로운 57mm S-68 2연장 대공포가 개발되었다. 이후 1948년에 S-68 대공 기관포의 개발이 완료되어 테스트를 거쳤다. 테스트를 합격했지만 아직 대량 생산되지는 않았다.

1948년에 T-54 기반의 경량 차체에 57mm S-68 대공포를 장착할 것으로 신형 자주대공포 ZSU-57-2의 계획이 확정되었고, 1950년 6월에 1번 시제차, 동년 12월에 2번 시제차가 제작되었다. 1951년부터 여러번의 테스트가 진행되는 동안 시제차가 6대 더 만들어졌고,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여 탄약고 용량을 252발에서 300발로 키우는 등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도중에 개선된 S-68A 주포의 수급 문제로 개발이 한동안 중단되기도 했고, 1952년~1953년동안 여러 설계 개선이 진행되었다. 이후 S-68의 구동 부품 개발이 지연되어 비로소 1954년에 실전 대비 테스트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1955년 2월에 ZSU-57-2가 소련군에게 채택되어 배치가 시작되어 대공용 중기관총으로 무장한 기존의 BTR-152A, BTR-40A 대공 장갑차들을 대체했다.


4. 성능[편집]


실전에서 은근히 자주 모습을 드러냈으며, 쌍열포신을 좌우2련(수평쌍대) 형식으로 오픈탑 포탑에 배치한 2연장 57mm 기관포의 적당한 연사력과 높은 화력으로 대보병전에서도 훌륭한 위력을 보여주었다. 57mm 구경의 대구경 기관포의 위력은 현대전에서도 무시하긴 어려운 수준이고[3], 이 덕분에 보병 제압에 있어서는 꽤 활약할 수 있었다고 한다. 베트남 전쟁 당시 사용된 것 외에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도 산악 지대에서의 보병 제압전에서 활약하였다고 한다.

무장인 57mm 기관포구경이 구경인 덕에 위력은 확실했지만 그만큼 포탄을 많이 탑재하지 못해서 대공전 지속 능력은 떨어졌다. 또한 개발시기가 개발시기였기에 레이더와 포신 안정장치도, 근접신관 고폭탄도 없기 때문에 사실상 2차대전기 자주대공포와 하등 다를바가 없는 차량이었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제트엔진의 상용화로 인해 항공기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상황에서 자주대공포로서의 본연의 임무인 대공사격조차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 ZSU-57-2를 대체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 바로 ZSU-23-4 쉴카다. 사실 양산이 개시될 당시에 ZSU-57-2의 성능을 강화를 위한 현대화 개량도 검토되었으나, 저구경 자주대공포의 개발로 인해 취소되었다. 대신에 생산되는 동안 개선된 S-68 기관포가 적용되는 등의 자잘한 개선은 적용되었다.

참고로 미국에서는 2차 대전 중 40mm 2연장 대공기관포를 탑재한 M19 대공 전차를 사용했었는데, 이후 ZSU의 성공에 자극을 받은 것인지 1970~80년대에 비슷한 성격의 무기로 역시 2연장 40mm 포를 탑재한 M247 서전트 요크를 개발한 바 있지만, 이쪽은 레이더의 신뢰성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던 실패작이었기에 생산수는 고작 50대에 불과했으며 전시용으로 보존된 차량들을 제외하고는 죄다 공군폭격 훈련표적 신세가 되었다. 먼저 등장했던 ZSU-57-2가 실패작 소리까지는 듣지 않았고 ZSU-23-4 쉴카라는 걸출한 후계도 남긴 것에 비하면 참 대조적인 결말…애초에 공군력이 워낙 강하다 보니 지대공에는 신경을 별로 안 쓰고 있어서기도 하다.

한편 이탈리아에서는 일반적인 소구경 대공기관포 대신 76mm 함포[4]를 탑재한 자주대공포오토마틱을 과거 개발한 바 있고, 이후 21세기에 들어 와서도 역시 일반적인 대공기관포 대신 76mm 함포를 탑재한 자주대공포인 드라코를 개발하고 있다.


5. 파생형[편집]


여러 나라에서 운용되는 동안 부무장을 추가하거나 레이더를 추가하는 등의 크고 작은 개량들을 받았으며,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된 장비들도 만들어졌다.

  • ZSU-57-2 불도저
소련에서 대공포 임무에서 물러난 ZSU-57-2 차체들을 공병 불도저로 전환한 차량.

  • ZSU-52-2M
핀란드에서 계획된 현대화 개량형으로, 레이더가 추가되고 조립식 탄약을 사용한다.

  • 80식 자주대공포
중국에서 ZSU-57-2의 복제품 포탑을 자국산 69식 전차/79식 전차 차체에 올려서 개발한 자주대공포.

  • FAB 500U
동독에서 ZSU-57-2 차체로 개발한 T-54/T-55 조종수 교육용 훈련 차량.


6. 실전[편집]



6.1. 냉전기[편집]



6.1.1. 베트남 전쟁[편집]



6.1.2. 제3차 중동전쟁[편집]



6.1.3. 제4차 중동전쟁[편집]



6.1.4. 에티오피아 내전[편집]



6.1.5. 앙골라 내전[편집]



6.1.6. 중국-베트남 전쟁[편집]



6.1.7. 이란-이라크 전쟁[편집]



6.1.8. 레바논 내전[편집]



6.1.9. 걸프 전쟁[편집]



6.2. 현대[편집]



6.2.1. 유고슬라비아 전쟁[편집]



6.2.2.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전쟁[편집]



6.2.3. 이라크 전쟁[편집]



6.2.4. 시리아 내전[편집]




7. 사용 국가[편집]



7.1. 유럽[편집]



7.1.1. 소련[편집]


원조 사용국. 1955년부터 도입하였다. 1970년대부터 ZSU-23-4 쉴카가 등장하자 서서히 물러나기 시작했으며, 70년대 이후로 대다수가 치장물자로 전환되었고 몇대가 조종 훈련용으로만 쓰였다.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로 배치되었다.

7.1.2. 러시아[편집]


2004년까지 치장물자로 보관했다.

7.1.3. 우크라이나[편집]



7.1.4. 독일[편집]


동독에서 1957년에 소련에 주문한 ZSU-57-2 129대를 1961년까지 인도받았다. 이후 ZSU-23-4 쉴카로 대체했다. 퇴역 후 일부 차량은 FAB 500U 조종 훈련 차량으로 전환되기도 했다.

7.1.5. 폴란드[편집]


1957년에 소련에 주문한 ZSU-57-2 129대를 1961년까지 인도받았다. 이후 ZSU-23-4 쉴카로 대체했다.

7.1.6. 루마니아[편집]



7.1.7. 세르비아[편집]



7.1.8. 스릅스카 공화국[편집]



7.1.9. 체코슬로바키아[편집]


ZSU-57-2 1대를 테스트용으로 도입했다. Vz.53/59 PLDvK에 비해 성능적으로 우위가 없다는 이유로 채택하지 않았다.

7.1.10. 유고슬라비아[편집]



7.1.1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편집]



7.1.12. 슬로베니아[편집]



7.1.13. 핀란드[편집]


1960년에 12대를 주문하여 1961년까지 인도받았으며, ItPsv SU-57라는 명칭으로 도입했다. 포탑 앞에 기관총을 다는 개조를 하였고, 레이더를 추가하고 조립식 탄약을 사용하는 자체적인 현대화 개량형인 ZSU-57-2M을 계획하기도 했으나 가격 문제로 취소되었다. 2006년에 전량 퇴역했다.

7.1.14. 크로아티아[편집]



7.1.15. 헝가리[편집]




7.2. 아시아[편집]



7.2.1. 중국[편집]


복제품 포탑을 자국의 79식 전차 차체를 활용한 80식 57mm 자주대공포를 개발했고, 인민해방군에서 테스트를 받았지만 성능 문제로 채택되지 못했다.

7.2.2. 북한[편집]


소련에서 포탑을 구입하여 북한군이 보유한 59식 전차의 차체를 활용하여 제작한 자주대공포를 1991년까지 운용했다고 알려졌다.

7.2.3. 베트남[편집]


베트남 전쟁 당시 북베트남군이 100대를 소련에서 인도받아 사용했다. 그 뒤로도 계속 주문하여 베트남 전쟁 이후엔 총 500대를 운용했었는데, 현재는 퇴역한 상태다.

베트남 전쟁 당시 남베트남군도 북베트남이 사용한 몇몇 차량을 노획하여 썼다고 한다.


7.2.4. 이란[편집]


1967~1968년에 소련에서 100대를 도입했다. 2023년에도 80대 가량이 현역 장비로 사용중이다.

7.2.5. 이스라엘[편집]


중동전쟁 당시 이집트군과 시리아군의 ZSU-57-2를 노획하여 운용했다.


7.2.6. 시리아[편집]


1966년에 250대룰 주문하여 1967년부터 1973년 사이에 인도받았다. 2011년에도 10대가 사용되고 있었다.


7.3. 아메리카[편집]



7.3.1. 쿠바[편집]




7.4. 아프리카[편집]



7.4.1. 모잠비크[편집]



7.4.2. 에티오피아[편집]


1978년에 소련군이 사용하던 10대를 도입했다. 에티오피아 내전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전쟁 당시 사용했다고 한다.

7.4.3. 이집트[편집]


중동전쟁 당시 운용했다.


8. 말로[편집]


1960년대 생산이 중지된 이후 소련을 비롯하여 여러 우방국에 수출 또는 공여되어 사용되었다. 소련에서 ZSU-23-4 쉴카가 배치되면서 부터 전차 학교에 전차 조종 차량으로 재활용되거나 치장 물자로 보관, 불도저 등으로 개조되었다. 러시아군에서도 2000년대 초반까지 전량 치장 물자로 보관 중이다가 퇴역했다.


9.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북한과 폴란드, 동독 진영 장비로 등장한다. 근데 지원 항목이 아닌 그냥 차량탭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다. 단, 북한은 대공포로도 등장한다. 대공차량 중에서는 가장 두꺼운 장갑을 가졌다. 명중률은 심각하게 나쁜 정도다.

월맹군베트콩 진영 대공포로 등장. 근데 이걸로 공중장비보단 사람을 더 많이 잡고 다닌다. 자주대인포

지상 병기 소련 트리 자주대공포 라인에서 5랭크 자주대공포로 등장하는데. 대공포 주제에 57mm의 우월한 화력과 연사력으로 경장갑 차량은 물론, 중장갑 차량까지 잡고 다니면서 공방을 마구 헤집어 놓아 소련 트리 최고의 예능장비로 등극하게 되었다. 장갑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기에 이걸로 전면전은 피하는 것이 좋다. 그냥 뒤에서 두루루루룩 갈겨주는 형식으로 움직여줘라 여담으로, 전진할 때 뒤를 보고 포를 연사하면 진흙속에서도 시속 50km/h까지 올라간다. 엔진이 망가졌을 때에도 포를 쏘면 평지인 조건에 시속 20km/h를 낼 수 있다(!) 오르기 힘든 곳을 오를때도 포를 쓰면 로켓추진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 WARNO의 일부 소련 사단 덱에서 사용 가능하다. 짧은 사거리와 끔찍하게 느린 기동성, 제트기 상대로 절망적인 명중률을 보여주지만, 헬기, 보병, 경차량 상대로는 가공할 화력을 보여준다.

10. 둘러보기[편집]





냉전기의 이라크군 기갑차량
파일:이라크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핀란드 국기.svg 현대 핀란드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핀란드군|{{{#000080 핀란드 방위군 (1918~현재)
Puolustusvoimat
Försvarsmakten }}}]]'''
기타전차4호전차 J형 "Nelonen/Ravistin"R, T-34-76 "Sotka"R, T-34-85 "Pitkäputkinen Sotka"R, T-26 "Viku"R, T-28 "Postivaunu / Postijuna"R, T-26ER, 코멧 Mk. I 모델 BR, T-50 "Pikku Sotka" R
MBT1세대T-54S, T-55M
3세대T-72M1(K1)R, 레오파르트 2A4
3.5세대레오파르트 2A6
경전차PT-76BR
장갑차차륜장갑차XA-180, XA-185, XA-202, XA-203 OWA "Pasi", XA-300,
XA-360 AMV, RG-32M, BTR-60PBR
궤도장갑차CV9030 FIN, BTR-50YVI, BMP-1TJ*, BMP-2MD FIN,
MT-LBV, Bv 206(S/D6N), Bv 202R, NA-120GT
차량소형랜드로버 디펜더 110, 겔란데바겐 300/270 CDI,
토요타 하이럭스, UAZ-469R · UAZ-452R, GAZ-69R
트럭Sisu E13TP · SM312 · SA-150 · SA-240,
스카니아 4시리즈 · P · R · G 시리즈,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 · 아테고 · 제트로스
GAZ-66R, ZiL-131R, ZiL-157R, KrAZ-255, ATS-59
자주포자주곡사포BT-42R, 122 PsH 74, K-9FIN "Moukari"
자주평사포152 TelaK 91R
자주박격포XA-203 AMOS, XA-361 AMOS-FIN
대전차 자주포3호 돌격포 G형 "Sturmi"R, 채리어티어 Mk. VII 모델 BR
대공 차량자주대공포ItPsv SU-57-2R, ItPsv 90 막스맨R, ItPsv 레오파르트2 막스맨
단거리 대공미사일XA-181 ItO 90M, ItO 2005 유니목 기반, NASAMS 2
다연장로켓BM-13R, 122 RakH 76R, 122 RakH 89 M1, 298 RsRakH 06
지원 차량구난차량BPz 2
전투공병차량PiPz 2 닥스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포병 관측용 장갑차로만 사용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현대 슬로베니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슬로베니아군 (1991~현재)
Slovenska Vojska
기타 전차경전차PT-76BR
중형전차T-34-85C/R
MBT1세대M-55SM/S
3세대M-84A4 스나이퍼
장갑차차륜장갑차SKOV 스바룬 | LKOV 발루크 | 쿠거 JERRV | BRDM-2S
궤도장갑차BVP M-80A | BTR-50PUR
차량오토바이혼다 XL 600 정찰용 | BMW R 1250 RT 헌병용 · R 1150 RT 헌병용
소형L-ATV | 험비 | 오토카르 코브라 | 벤츠 G바겐 | 아흘라이트너 MMV 서버이버M | 시트로엥 베를링고
트럭MAN 15 TMILGL W A1 · KAT1 | 벤츠 악트로스 · 유니목 · NG | 이베코 T 시리즈 · 유로카고 · 유로트래커 | TAM 150 T11 B/BV · 110 T7 B/BV
자주포자주박격포스바룬 NEMO | 발루크 AMC
자주곡사포2S1 그보즈디카S
대전차 자주포SO-90 잭슨
대공 차량자주대공포BOV 3R | M53/59 프라가R | ZSU-57-2R
단거리 대공미사일FRR 롤란드 2S | 9K31 스트렐라-1MR
다연장로켓M-63 플라멘
공병차량구난차량JVBT-55 | VT-55A
교량차량MT-55A
기타코마츠 PW158-11 굴착기 · WB97S-5 백호로더 | 캐터필러 428F2 백호로더 | 옥토바르 ULT 160C 로더 | 뉴 홀랜드 E 195 EL 굴착기 | 암만 ASC 150 롤러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현대 크로아티아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크로아티아 국군 (1991~현재)
Oružane snage Republike Hrvatske
기타전차중형전차T-34-85C/R | M4A3E4C/R
MBT1세대T-55AC/R | M47 패튼C/R
3세대M-84A4 스나이퍼 | M-84AC | M-84A5(D) | M-95 데그만
장갑차차륜장갑차파트리아 AMV | BOV | M1224 MaxxPro | RG-33L HAGA 6x6 | BRDM-2R | OT TAB-71C/R | M-100C/R
궤도장갑차{M2A2 ODS 브래들리} | BVP M-80A | OT M-60(P/SAN)C/R | BTR-50C/R | MT-LBC/R
차량소형이베코 LMV | M-ATV | 험비 | 벤츠 G바겐 | 랜드로버 울프 | 토요타 랜드 크루저 | 닛산 나바라 | 포드 레인저 | VW 트랜스포터 | 르노 마스터 | 피아트 두카토
트럭벤츠 악트로스 · 아록스 · SK | MAN TGS Mil · KAT1 · HET | 이베코 트래커 · 유로카고 · 아스트라 | DAF YA 시리즈 | 포드 카고 | TAM 110 T7 · 150 T11 | FAP 2026C | 토피도 TK 130 T7 4x4 | CCKW 353 (DShK/M55A4B1) 건트럭C/M/R
자주포자주곡사포SO-122 그보즈디카 | PzH2000
대전차 자주포SO-90 잭슨C/R | SO-76 핼캣C/R
대공 차량자주대공포SPAT BOV-20 · BOV-3 | M53/59 프라가C/R | ZSU-57-2C/R
단거리 대공미사일SLRS 스트렐라-10CRO A1M
다연장로켓M-92 불칸M | APR-40 | M-94 플라멘-SR | M-87 오르칸C/R
공병차량구난차량T-55TZI | M1224 맥스프로 구난차
AEV MV-4 CEV
교량차량MT-55A | KrAZ-255 TLB | T-813/FAP 2026 PMS 부교운반차
기타PTS-M 수륙양용 운반차 | GSP-55 자주식 페리 | JCB 4CX 로더 · Fastrac 트랙터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취소선: 개발 취소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현대 인도네시아 국군 및 경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인도네시아 국군 (1945~현재)
Tentara Nasional Indonesia
기타전차치하IJA/R, M4 셔먼C/R, M3A3 스튜어트C/R, M5A1 스튜어트C/R, 하고IJA/R, 97식 경장갑차 테케IJA/R, 89식 중전차 이고/치로 을형IJA/R
MBT3세대레오파르트2(A4+/RI)
경전차AMX-13-(90/105)R, PT-76R, FV101 스콜피온, 하리마우
장갑차차륜장갑차M8 그레이하운드POLISI, 파나르 EBR, {판두르 II}, 두산 타란튤라, 핀덱 데덱 · APS-3 아노아,
V-150, 맘바, 부시마스터, 카스피르, FV601 살라딘, FV701 페렛,
VAB, 르노 셰르파 II, BTR-152R, BTR-40, BTR-82A, BTR-4M, 바라쿠다POLISI, 블루샤크POLISI, LAWPOLISI
궤도장갑차M113(A1/A2), 마르더 1A3, FV4333 스토머, AMX-10P,
AMX-VCI, BTR-50PKR, BMP-2, BMP-3F, KAAVP7A1O
차량소형코모도, M151, 디펜더, VBL, K-131, P6 ATAV
트럭KM500, KM450, M35, 우니모크 U1300L, 볼보 FMX, 카이저 M715R
자주포자주곡사포CAESAR, M109A4BE, AMX Mk.61R
자주박격포아노아-MC
대공 차량자주대공포ZSU-57-2R
단거리 대공미사일셰르파 TNI AD*, 코모도 AD*, URO VAMTAC ST5 AD, 디펜더 AD, NASAMS
다연장로켓RM-70 그라드/밤피르 R-Han 122, NDL-40, ASTROS II
지원 차량구난차량BPz 3 뷔펠
전투공병차량PiPz 2 닥스
교량차량M3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POLISI: 인도네시아 경찰 차량
※ {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차량의 지붕에 미스트랄 발사기를 올린 대공용 파생차량.







파일:이란 국기.svg 현대 이란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1979~현재)
ارتش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기타 전차M4A1 (76) WL/R/이란 제국, M4A3 (105) HVSSL/R/이란 제국
MBT1세대T-54, T-55, 59식 전차, M47, M48
2세대FV4201 치프틴 Mk.(2K, 3, 5), 모바레즈M, M60, 천마호 가형, 69식 전차, 사피르-74M*, T-72(M1/S), Sabalan, 줄피카-1/2
3세대줄피카-3, KarrarM
경전차M24 채피, FV101 스콜피온, Tosan
장갑차차륜장갑차BRDM-2, BTR-40, BTR-60PB, BTR-82, EE-9 Aghareb, Rakhsh, Sarir, Haweize
궤도장갑차BTR-50PK, OT-62B, BMP-1 · Boragh, BMP-2, M113, FV107 시미터
차량소형M38R, KM410, KM414, M151R, Safir
트럭MAZ-543, Ural-4320, ZiL-130 · 131 · 135, M548, KrAZ-5233
벤츠 악트로스 · L 시리즈, Neynava
자주포자주곡사포M107, M110, M109A3, 알-라으드2, 곡산포, 2S1, 알-라으드1
자주박격포Boragh 자주박격포형
대전차 자주포M18 헬캣L/R/이란 제국, M36 잭슨L/R, M36B2R, A-36L/R
대공 차량PADAJA자주대공포ZSU-57-2 · Bahman, ZSU-23-4 쉴카, 판치르-S1
단거리 대공미사일Herz-9, Shahab Saqeb · Ya Zahra
다연장로켓63식 다연장로켓, BM-11, BM-21, BM-13, BM-24, M-1989, Fajr-3/5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참자PADAJA: 이란 이슬람 공화국 방공군 소속 차량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59식 전차, T-54, T-55의 현대화 개수 모델.
※ 윗첨자이란 제국: 1979년 이전까지 이란 제국에서 운용한 차량




파일:시리아 국기.svg 현대 시리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시리아군 (1946~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기타전차셔먼 IIUK/S, M-50C/R, T-34/55CZ/M, 4호 전차FR/E/S, T-40/75CZ/S, 르노 R35FR/R
MBT1세대T-55(MV/AM/AMV)
2세대T-62(M/K), T-72(A/AV/M1 마흐미아)
3세대T-72(B/BM/B3)
3.5세대T-90(A/K)
경전차PT-76B, 82식 경전차
장갑차차륜장갑차파나르 178BFR, OT-64, BRDM-2, BTR-60PB/PU-12, BTR-152, BTR-40
궤도장갑차셔먼 II APCUK/M, BMP-1, BMP-2, BTR-50, OT-62
차량소형UAZ-469
트럭우랄-4320ㆍ375D, ZiL-131ㆍ135 · 157, KamAZ-43114, GAZ-66ㆍ3308
자주포자주곡사포품멜FR, T-34-122 (D-30)M, 2S1, 2S3 아카치야
자주박격포2S4 튤판, 2S9
대전차 자주포SU-75CZ/E/S, 4호 구축전차CZ/S, SU-100
대공 차량자주대공포ZSU-57-2, ZSU-23-4, 판치르-S1
단거리 대공미사일9K31, 9K35, 9K33 오사
다연장로켓BM-14, BM-24, BM-21 그라드, BM-27 우라간, BM-30 스메르치, TOS-1 부라티노,
63식 다연장로켓, 카이바, 파자르-3, 파자르-5, Ra'ad, 팔라크-2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군 철수 이후 남겨진 차량을 수습/프랑스로부터 구매
※ 윗첨자UK: 영국군 철수 이후 남겨진 차량을 수습
※ 윗첨자CZ: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구매
※ 윗첨자E: 스페인국으로부터 구매
※ 취소선: 도입 무효화




파일:알제리 국기.svg 현대 알제리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23:19:33에 나무위키 ZSU-57-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Зенитная Самоходная Установка의 약자로 지니트나야 싸마허드나야 우스타놉까로 읽으며 라틴 문자로는 Zenitnaya Samokhodnaya Ustanovka이다.[2] 소련의 자주포 제식명에는 차량분류-주포구경-주포숫자가 붙는다. 예를들어 쉴카는 23mm 4연장을 장착한 자주대공포라 ZSU-23-4가 붙고, 단장이면 맨 뒤의 숫자와 하이픈은 생략, 공수자주포는 ASU가, 자주포나 구축전차는 SU가 붙었었다. 냉전 중기부턴 이러한 표기는 GRAU 코드명으로 대체된다.[3] 그 덕분인지 러시아에서도 아직 시험적인 수준이긴 하지만, ZSU-57-2에 탑재되었던 57mm S-60 기관포를 기반으로 한 57mm 구경의 대지상용 기관포를 다시금 새로 개발하고 있을 정도. 이는 57mm라는 구경기관포 구경의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 실용 가능한 상한선에 가깝다고 생각되기 때문인 듯 하다. 그 결과 아르마타 계열의 T-15 장갑차를 위해 S-60을 베이스로 만든 57mm 기관포 RWS도 개발되었고, BMP-3의 차체를 기반으로 하여 57mm 기관포를 주포로 1문 탑재한 포탑을 얹은 신형 자주대공포인 2S38 ZAK-57 데리바치야-PVO가 개발되었으나, 아직 양산되지는 않았다.[4] 고속정이나 초계함 등에 많이 탑재되는 함포로서, 자동 사격이 가능하지만 연사력은 분당 100발을 좀 넘기는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자동화기로서의 구조를 자체적으로 갖추지 않고 그 대신 별도의 자동장전장치에 의존하여 자동 사격을 실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보통은 '기관포(機關砲, Autocannon)'가 아닌 '속사포(速射砲, Quick-Firing Gun)'로 분류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