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턴(2003)

덤프버전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파일:The Return Logo 2.png파일:The Banishment Logo.png
파일:Elena 10s Logo 2.png파일:Leviathan Logo.png
파일:Loveless Logo.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리턴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 2016년 BBC는 177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21세기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위화양연화
3위데어 윌 비 블러드
4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5위보이후드
6위이터널 선샤인
7위트리 오브 라이프
8위하나 그리고 둘
9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10위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11위인사이드 르윈
12위조디악
13위칠드런 오브 맨
14위액트 오브 킬링
15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16위홀리 모터스
17위판의 미로
18위하얀 리본
19위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20위시네도키, 뉴욕
21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2위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3위히든
24위마스터
25위메멘토
26위25시
27위소셜 네트워크
28위그녀에게
29위월-E
30위올드보이
31위마가렛
32위타인의 삶
33위다크 나이트
34위사울의 아들
35위와호장룡
36위팀북투
37위엉클 분미
38위시티 오브 갓
39위뉴 월드
40위브로크백 마운틴
41위인사이드 아웃
42위아무르
43위멜랑콜리아
44위노예 12년
45위가장 따뜻한 색, 블루
46위사랑을 카피하다
47위리바이어던
48위브루클린
49위언어와의 작별
50위자객 섭은낭
51위인셉션
52위열대병
53위물랑 루즈
54위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55위이다
56위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57위제로 다크 서티
58위물라데
59위폭력의 역사
60위징후와 세기
61위언더 더 스킨
62위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63위토리노의 말
64위그레이트 뷰티
65위피쉬 탱크
66위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67위허트 로커
68위로얄 테넌바움
69위캐롤
70위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71위타부
72위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73위비포 선셋
74위스프링 브레이커스
75위인히어런트 바이스
76위도그빌
77위잠수종과 나비
78위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79위올모스트 페이머스
80위리턴
81위셰임
82위시리어스 맨
83위A.I.
84위그녀
85위예언자
86위파 프롬 헤븐
87위아멜리에
88위스포트라이트
89위머리 없는 여인
90위피아니스트
91위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92위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93위라따뚜이
94위렛미인
95위문라이즈 킹덤
96위니모를 찾아서
97위백인의 것
98위
99위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100위카를로스
레퀴엠
토니 에드만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


리턴 (2003)
Возвращение
The Return
파일:리턴 국내 포스터.jpg
장르
감독
각본
블라디미르 모이센코, 알렉산더 노보토스키
제작
드미트리 레스네프스키
출연
블라디미르 가린, 이반 도브론라보프, 콘스탄틴 라브로넨코, 나탈리아 프도비나
촬영
미카일 크리취만
편집
블라디미르 모길레프스키
미술
자나 파크호모바
음악
안드레이 데르카초포프
의상
안나 바르툴리
제작사
파일:러시아 국기.svg Ren Film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위드 시네마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위드 시네마
개봉일
파일:러시아 국기.svg 2003년 06월 25일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2003년 09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년 09월 01일
화면비
1.85 : 1
상영 시간
109분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8,482,993
북미 박스오피스
$504,256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916명
상영 등급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8. 수상 및 후보 이력
9. 기타
10. 관련 문서
11.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2003년 개봉한 러시아 영화.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감독의 장편 데뷔작으로, 국내에서는 3년 뒤인 2006년에 개봉했다.

12년만에 다시 집으로 돌아온 아버지, 그리고 그 아버지와 함께 여행을 떠나며 형제가 7일 동안 겪는 이야기를 다룬 영화로 감독 및 배우들 모두가 신인이나 다름없었음에도 2003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을 비롯해 5개 부문을 휩쓰는 성과를 거두었다.


2. 예고편[편집]


▲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12년 만에 만난 아버지

오랫동안 아버지와 헤어져 자란 ‘안드레이’와 ‘이반’은 어리지만 우애가 깊은 형제다.

어느 날 동네 아이들과 싸우고 집에 돌아온 두 소년들은

12년 동안이나 집을 떠나있었던 아버지가 집에서 자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난생 처음 아버지와 함께 하는 여행. 그러나...

어머니의 허락을 받고 ‘안드레이’와 ‘이반’은

오래된 사진으로만 보아왔던 아버지와 친해지기 위해 함께 낚시 여행을 떠나게 된다.

이 여행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두 아들과 아버지가 친해지는 것이지만

오랫동안 헤어져 있었던 탓에 두 형제는 아버지의 강압적인 태도를 불편해한다.

여행을 하는 동안 ‘안드레이’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아버지에게 강한 유대감을 가지게 되지만,

이반은 아무것도 해준 것 없이 자신들을 무시하고 꾸짖기만 하는 아버지를 미워하며 반항심을 품게 된다.

그로 인해 안드레이와 이반 형제의 사이도 멀어지게 되면서

세 사람은 이렇게 어색한 관계를 유지한 채 여행의 목적지인 ‘섬’에 도착하게 된다.

알 수 없는 아버지의 행동, 그리고 비극

지난 12년 동안 어디서 무엇을 했는지, 계속 누구와 끊임없이 전화 통화를 하는지,

그 땅속에 묻혀있던 낡고 딱딱한 상자 안에는 무엇이 들었는지,

그리고...그리고...

왜 이제서야 돌아와 평온했던 우리를 혼란스럽게 만드는지....

아버지의 미스터리한 행동과 강압에 이끌리며 의지를 시험 당하게 되는 두 형제.

그들의 이루지 못한 가슴 아픈 화해와 재회에 대한 이 이야기는 누구도 상상치 못한 결말을 향해 달린다.



4. 등장인물[편집]


  • 블라디미르 가린 - 안드레이 역
  • 이반 도브론라보프 - 이반 역
  • 콘스탄틴 라브로넨코 - 아버지 역
  • 나탈리아 프도비나 - 어머니 역


5. 줄거리[편집]




6.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기자·평론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8.00 / 10
관람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없음 / 10
네티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8.59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기자·평론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8.00 / 10
관람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없음 / 10
네티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8.59 / 10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38243"
평점 없음 / 10














A suspenseful but perplexing thriller.

긴장감 넘치면서도 감정을 착잡하게 만드는 스릴러.

- 로튼 토마토 총평


여린 살점 뜯기며 가는 길, 성장기! 읽고 느끼고 이해해야

- 박평식 (★★★★)


훈육하는 아버지, 살부하는 아들, 오이디푸스의 세계사

- 황진미 (★★★★)



7.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8,482,993(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504,256미정


8. 수상 및 후보 이력[편집]




9. 기타[편집]




10. 관련 문서[편집]




11. 외부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11:19:54에 나무위키 리턴(200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