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석종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해군 >>{{{#!wiki style="margin: -3px 0px;"
해군사관학교장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3399> [[중장|[[파일:external/flagspot.net/kr~n3.gif|width=85]]]] || ||<width=20%><rowbgcolor=#87CEFA,#2d2f34> 초대[br][[손원일]] ||<width=20%> 2대[br]김일병 ||<width=20%> 3대[br]김장훈 ||<width=20%> 4대[br]김영철 ||<width=20%> 5대[br][[이용운(군인)|이용운]] || ||<rowbgcolor=#87CEFA,#2d2f34> 6대[br]정경모 || 7대[br]이종우 || 8대[br]이희정 || 9대[br][[민영구]] || 10대[br]이각순 || ||<rowbgcolor=#87CEFA,#2d2f34> 11대[br][[현시학]] || 12대[br][[장지수(군인)|장지수]] || 13대[br]김광옥 || 14대[br]김준태 || 15대[br]고경영 || ||<rowbgcolor=#87CEFA,#2d2f34> 16대[br]김상길 || 17대[br][[김규섭]] || 18대[br]신상대 || 19대[br]안병기 || 20대[br]김상모 || ||<rowbgcolor=#87CEFA,#2d2f34> 21대[br]이상해 || 22대[br]최중하 || 23대[br]김대용 || 24대[br]백승훈 || 25대[br]황철구 || || 26대[br]정용근 || 27대[br]김형진 || 28대[br]백석기 || 29대[br]최일근 || 30대[br]간용태 || || 31대[br][[유삼남]] || 32대[br]이지두 || 33대[br][[이수용]] || 34대[br][[장정길]] || 35대[br]송근호 || || 36대[br]서영길 || 37대[br][[윤연]] || 38대[br][[김성만]] || 39대[br]권영준 || 40대[br]정관옥 || || 41대[br][[이홍희]] ||<bgcolor=#87CEFA,#2d2f34> 42대[br]윤공용 || 43대[br][[최윤희(군인)|최윤희]] || 44대[br]원태호 || 45대[br][[손정목(군인)|손정목]] || || 46대[br][[황기철]] || 47대[br][[이기식]] || 48대[br]구옥회 || 49대[br] [[김판규(해군)|김판규]] || 50대[br] [[이범림]] || ||<bgcolor=#87CEFA,#2d2f34> 51대[br]정안호 || 52대 [br][[부석종]] || 53대 [br][[김종삼]] || 54대[br][[박기경]] ||<bgcolor=#87CEFA,#2d2f34> 55대[br][[김명수(군인)|김명수]] || || 56대[br][[김현일]] || ||<-5><bgcolor=#000080> {{{-2 {{{#FFF ※ 초대~25대, 42대, 51대, 55대: 소장 또는 소장 이하 · 46대~현임: 중장}}}}}} || ||<-5><bgcolor=#000080> [[:분류:둘러보기 틀/직위/군인|{{{#FFF {{{-2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해군 >>{{{#!wiki style="margin: -3px 0px;"
제2함대사령부 사령관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3399><bgcolor=#003399> 파일:external/flagspot.net/kr~n2.gif ||
||<width=20%> 초대
정진석 ||<width=20%> 2대
김성득 ||<width=20%> 3대
안병태 ||<width=20%> 4대
임태섭 ||<width=20%> 5대
이지두 ||
||<width=20%> 6대
윤광웅 ||<width=20%> 7대
장정길 ||<width=20%> 8대
송근호 ||<width=20%> 9대
오승열 ||<width=20%> 10대
박정성 ||
||<width=20%> 11대
남해일 ||<width=20%> 12대
정관옥 ||<width=20%> 13대
정병칠 ||<width=20%> 14대
서양원 ||<width=20%> 15대
장승학 ||
||<width=20%> 16대
김중련 ||<width=20%> 17대
황기철 ||<width=20%> 18대
김동식 ||<width=20%> 19대
엄현성 ||<width=20%> 20대
이기식 ||
||<width=20%> 21대
정진섭 ||<width=20%> 22대
박성배 ||<width=20%> 23대
박헌수 ||<width=20%> 24대
부석종 ||<width=20%> 25대
이종호 ||
||<width=20%> 26대
강동훈 ||<width=20%> 27대
유근종 ||<width=20%> 28대
황정오 ||<width=20%> ||<width=20%> ||
||<-5><bgcolor=#000080> ※ 초대~현임: 소장 ||
||<-5><bgcolor=#000080>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제34대 해군참모총장
부석종
夫石鍾 | Boo Suk-jong
파일:해군참모총장 부석종.jpg
출생1964년 2월 20일[1] (60세)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 한동리
(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2]
본관제주 부씨[3]
복무대한민국 해군
1986년 ~ 2021년
재임기간제34대 해군참모총장
2020년 4월 10일 ~ 2021년 12월 16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백미자[1]
자녀슬하 1남 2녀
학력제주한동국민학교 (졸업)
세화중학교 (졸업)
제주 세화고등학교 (졸업 / 27회)
종교불교 (법명: 반야[2])
임관해군사관학교 (40기)
최종 계급대장 (대한민국 해군)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주요 보직합동참모본부 군사지원본부장
해군사관학교장
제2함대사령관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 건설사업단장
제21구축함전대장
왕건함장
제34대 해군참모총장
[1] 白美子. 1964년 4월 6일생. 수원 백씨 백수남(白守南)의 딸이다.[2] 재적 사찰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에 있는 통해사.

1. 개요
2. 생애
2.2. 전역 이후
3. 주요 보직
4. 여담



1. 개요[편집]


파일:부석종2.jpg

대한민국 해군 대장이자 제34대 해군참모총장.#


2. 생애[편집]


1964년 2월 20일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의 농가에서 아버지 부영수(夫永壽, 1939. 6. 11 ~ 1988. 2. 24)와 어머니 광산 김씨 김수열(金秀烈, 1941. 9. 23 ~ )[4] 사이의 6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중고생 시절 4km되는 통학길을 자전거로 통학했고, 수학여행을 가지 못해 아쉽다고 했을 만큼 가정 형편이 좋지 않았다.

제주한동국민학교, 제주세화중학교, 제주 세화고등학교(27회)를 졸업하고 해군사관학교(40기)에 입교하여 1986년 해군 항해 소위로 임관하였다.

경남함(APD 822) 갑판사관을 맡아 대마도 근처에서 대간첩 경비작전을 수행했고 고속정 편대장(소령), 순천함장(중령), 왕건함장(대령) 등을 역임했다. 왕건함장 당시 청해부대 지휘관으로 해적에 납치됐다가 7개월 만에 풀려난 삼호드림호를 오만 살랄라항까지 호송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2013년 준장으로 진급하며 고향인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 건설사업단장으로 부임했고, 2015년 소장으로 진급하며 2함대 사령관에 임명됐다. 2017년 12월에는 중장으로 진급하며 해군사관학교 교장으로 부임했다.

이후 해군참모총장을 전역하고 이재명 캠프에 합류하였다. #

파일:mftzi2zR.jpg
중장 시절 사진.

제주 출신으로 최초의 해군 소장, 중장, 대장 진급자다. 타군까지 범위를 넓히면 김인종 육군 대장 이후 2번째 제주 출신 대장 진급자다.

해군사관학교 입학을 결정하게 된 계기는 고2 당시 4년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다는 담임선생님의 권유였다. 그는 해군사관학교 입학 전까지 단 한 번도 제주도를 떠나 본 적이 없었고 기차도 사관학교 1학년 시절 훈련을 받으러 갈 때 처음 타봤다고 한다. 생도 시절 휴가 때는 늘 제주도에 와서 농사일을 도왔으며, 농사일보다 힘든 훈련은 없었다고 말한다.

만약 해사에 진학하지 않았으면 제주대학교 수학교육과에 진학해 수학교사가 됐을 것이라고 했다.

2.1. 파일:haijun.png 제34대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편집]


2020년 4월 6일자로 신임 해군참모총장에 내정되었고, 4월 10일 오후 4시 계룡대에서 취임식을 갖고 해군참모총장으로 취임했다.


취임 후 대한민국의 항공모함 계획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항공모함 도입이 대한민국 해군 창설 이래 최대 사업이자 찬반여론 사이에서 대국민적인 격론이 지속되고 있는 사업인 만큼 소요를 제기한 해군의 참모총장이자, 사업을 추진하는 실무자로서 이전보다 적극적인 홍보로 전면에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

2021년 5월 6일에는 최근 격리 장병들의 부실식단 논란을 의식했는지 하루에만 4개 부대를 돌면서 격리 수병들의 도시락을 직접 확인했다.

방역을 핑계로, 함 승조원 총원을 출동 이틀 전, 입항 후 이틀 후까지 함에서 대기하라는 지시를 내려 해군 내에서 공분을 샀다. 함내 확진 사건이 몇 차례 터지면서, 불합리하게 개인 시간만 뺏는 정책으로 욕을 먹었으며, 결국 유명무실화됐다. 거기에 더해, 방역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한답시고 해군 출동 수당을 삭감해 놓고는 출동 시간은 그대로 유지하는 등 무보수 노동을 강요하는 짓도 저질렀다.

공군[5]에 이어 해군에서도 성추행 피해를 입은 여중사 사망사건이 터짐에 따라 부석종 총장의 책임론이 떠오르고 있다. 이후 12월 장성급 장교 인사에서 해군참모총장 인사도 예정되었다고 발표된 것을 보면 기사는 문책성이 아니라지만 이 사건이 영향이 되어 원 임기보다 4개월 일찍 교체되는 것으로 예상된다.문화일보 물론 2022년 4월에는 차기정부로 인수인계하는 일 때문에 부 총장의 만기 시 인사가 늦어질 가능성이 있어서도 있겠지만 원포인트 인사가 없었던 것도 아니기에 이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이후 2021년 12월 16일, 김정수 제독에게 해군 참모총장 직을 이임하고 전역하였다.


2.2. 전역 이후[편집]


전역 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캠프에 합류하였다.

제주시 을의 현역 오영훈 의원이 8회 지선 제주도지사에 출마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보궐선거 성사 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해당 지역구에 출마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강남구 병에서 고향 제주로 지역구를 옮긴 김한규 변호사가 공천받아 당선되었다.

현재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국방정보공학과 특훈교수로서 재직중이다.

3. 주요 보직[편집]





4. 여담[편집]


  • 최초의 제주 출신 해군참모총장이다. 따라서, 본관이 제주(濟州) 단본인 부씨로도 최초이다.

  • 남영신 육군참모총장과 같이 해군 내 비주류 세력이라는 평가가 있다. #

  • 2019년 4월부터 국군불교총신도회장을 역임한 적이 있으며, 법명반야(般若)다. 2021년 불자대상을 받았다.#

  • '정직'과 '성실'을 모토로 삼고 있다. 진급 심사 때도 매번 선두주자로 승진하지 못했다. 소령에서 중령 진급은 2차, 중령에서 대령 진급은 3차에서야 했다. 준장 또한 2차 진급하였고 이후 모든 진급은 동기들 중 가장 빠르게 하였다. 부석종 제독은 "중령과 대령을 1차로 승진했다면 자만심 때문에 현재에 이르지 못했을 것이고, 진급에 연연하지 않고 자신을 되돌아보며 어디서든 최선을 다해 정직하고 성실하게 근무를 했기 때문에 오늘이 있게 된 것 같다"고 술회한 바 있다.

  • 제주해군기지에 가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없어서 자진하여 인사처로 찾아가 고향으로 보내달라고 했다고 한다.

  • 제주해군기지사업단장 당시 감귤의 과잉생산으로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었는데 해군 장병들의 급식에 감귤을 보급할 수 있도록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4:29:44에 나무위키 부석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식적으로는 음력 생일인 1월 8일로 알려져 있다.[2] #[3] 열공계(悅公系) 20세 석(石) 항렬.[4] 김봉홍(金奉洪)의 딸이다.[5] 이성용 대장도 즉각 경질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