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성전

덤프버전 :

우성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허난설헌 수결.svg허난설헌>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소속허씨 5문장 · 동인 · 이달의 문화인물
가족아버지 허엽 · 이복 오빠 허성 · 동복 오빠 허봉 · 동복 동생 허균

이복 언니의 남편 우성전 · 남편 김성립 · 장남 김희윤

남편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관련 인물스승 (이달)

작품 내 등장인물 (신선)

주군 (선조)
관련 장소허난설헌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난설헌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난설헌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관련 사건임진왜란, 정유재란
작품난설헌시집 · 규원가 · 그 외 작품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생애 · 창작물
평가논란
파일:허난설헌 수결.svg




파일:허균 수결.svg허균>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소속허씨 5문장 · 북인 · 선무원종공신 · 이달의 문화인물
가족아버지 허엽 · 이복 형 허성 · 동복 형 허봉 · 동복 누나 허난설헌

이복 누나의 남편 우성전 · 동복 누나 허난설헌의 남편 김성립 · 조카 김희윤

매형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 딸 소훈 허씨의 남편 폐세자 이지
관련 인물스승 (이달 · 사명당 · 류성룡)

제자 (서양갑 · 이식 · 기준격)

친구 (강변칠우 · 이매창 · 박엽 · 류몽인)

존경하는 인물 (정도전 · 이순신)

본이 되는 인물 (방회 · 이지)

작품 내 등장인물 (이달 · 홍길동)

주군 (선조 · 광해군)
관련 장소허균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균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균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친구 강변칠우의 거주지 여주시 · 이매창과 교류한 장소 부안군
관련 사건임진왜란, 정유재란 · 계축옥사
작품홍길동전 · 도문대작 · 그 외 작품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특징 · 생애 · 창작물
평가평가 · 사상
파일:허균 수결.svg











우성전
禹性傳| Woo Seongjeon
파일:우성전과 양천 허씨 처의 묘.jpg}}}우성전의 묘[1]
출생1542년 ?월 ?일
(중종 37년, 음력 1562년 ?월 ?일)
조선 한성부
(現 대한민국 서울시)
사망1593년 ?월 ?일
(선조 26년, 음력 1593년 ?월 ?일)
(향년 52세, 51년 ?개월 ?일 / 18627일 추정)
조선 경기도 부평도호부
(現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객사 (과로사)
묘소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숙곡리 산 79-1번지
학력퇴계 이황의 문하
식년시 진사시 급제 (음력 1561년 8월 19일)
문과 증광시 병과 급제 (음력 1568년 6월 18일)
직업관료, 의병장
[ 펼치기 · 접기 ]
본관단양(丹陽)
국적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공훈선무원종공신 1등 (宣武原從功臣 一等, 1605)
최종
관등
급제
(及第)
성전(性傳)
경선(景善)
추연(秋淵), 연암(淵庵)
종교유교 (성리학)
붕당
{{{-1 [[남인|

남인

[[동인(조선)|
동인
]]
작품《언행수록(言行手錄)》[1]>
《역설(易說)》
《이기설(理氣說)》
계갑일록(癸甲日錄)》
부모생부 - 우언겸(禹彦謙, 1509 ~ 1573)[2][3]
생모 - 연안 김씨 김석린(金石磷)의 딸
양부 - 우준겸(禹俊謙, 1524 ~ ?)
양모 - 죽산 박씨 박여림(朴汝霖)의 딸
형제
자매
3남 3녀 중 차남
누나 - 우금가(禹今加, 1530 ~ ?)
누나 - 우자절금(禹者卩今, 1532 ~ ?)
형 - 우심전(禹心傳, 1537 ~ ?)
누나 - 우복개(禹福介, 1540 ~ ?)
남동생 - 우도전(禹道傳, 1545 ~ ?)
배우자허대정(許大貞, 1546 ~ ?)[4][5]
자녀불명
경력
[ 펼치기 · 접기 ]
예문관검열
봉교
수찬
수원 현감
장령
사옹원
응교
사인
급제
[1] 퇴계 이황의 언행록 중 하나이다. # [2] 태종의 14녀 숙안옹주의 외증손자.[3] 숙안옹주 → 황정 → 우성윤의 처 황희옥 → 우언겸, 우준겸[4] 허엽의 차녀.[5] 왕실 족보인 선원록에 이름이 나와 있다. 허대정

1. 개요
2. 가족
3. 생애
3.1. 생애 초기
3.2. 관직 생활
3.3. 임진왜란 당시 행적
3.4. 최후



1. 개요[편집]


조선 중기의 관료, 의병장


2. 가족[편집]


생부가 우언겸이며, 양부가 우준겸이다. 김성립의 경우처럼 우언겸의 형제 우준겸의 양아들로 들어가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태종의 14녀 숙안옹주의 외고손자이기도 하다.[2]

허균의 이복 누나 양천 허씨가 배우자이며, 허균에게는 이복 매형이 된다.

처남 허균의 재능을 눈여겨 본 것으로 보인다. 아래는 동시대 인물 유몽인의 '어우야담(於于野談)'에서 소개된 허균의 어린 시절의 일화이다.

9세에 능히 시를 지었는데 작품이 아주 좋아서 여러 어른들이 칭찬하며, ‘이 아이는 나중에 마땅히 문장하는 선비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모 사위 우성전(禹性傳)만은 그 시를 보고, ‘훗날 그가 비록 문장에 뛰어난 선비가 되더라도 허씨 문중을 뒤엎을 자도 반드시 이 아이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어우야담 #



3. 생애[편집]



3.1. 생애 초기[편집]


조선 중기에 태어났다.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한문과 성리학을 공부했다. 이후 이황의 언행록 중 하나인 《언행수록(言行手錄)》을 간행했다.

1561년 음력 8월 19일 식년시 진사시에 합격인원 100명 중 95등, 65위로 급제했다. #

1568년 음력 6월 18일 문과 증광시 병과에 합격인원 33명 중 11등, 1위로 급제했다. #


3.2. 관직 생활[편집]


동인과 서인의 첫 대립 이후 동인으로 분류되었고, 이후 동인의 강경파 이발과 대립하면서 자신과 뜻을 함께 하는 동인 온건파와 함께 동인에서 갈라져 나와 남인이 되었다. 이때 이후 우성전은 남산에 살아서 남인, 이발은 북악에 살아서 북인으로 분류되었다. 1591년 서인 영수 정철과 관한 의견 차이로 인해 북인과 관계가 악화되면서 탄핵을 받고 관직을 삭탈당했다.


3.3. 임진왜란 당시 행적[편집]


임진왜란이 터진 이후 경기도에서 의병 2,000을 모집해서 의병장이 되었다. "추의군(秋義君)"을 자칭하고 소금과 식량을 난민들에게 주었다. 강화도에서 의병장 김천일 밑에서 왜군과 싸웠다. 이후 왜군을 정벌하러 경상우도 의령까지 갔다. #


3.4. 최후[편집]


그러나 과로해서 병을 얻었고 경기도 부평도호부에서 사망했다.

[1] 왼쪽은 우성전, 오른쪽은 우성전의 아내 허대정이다.[2] 숙안옹주 → 황정 → 우성윤의 처 황희옥 → 우언겸 → 우성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2:04:42에 나무위키 우성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