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타인 (r1판)

편집일시 :



+1 이 문서는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은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지역;" 지역}}}에 대한 설명입니다.

아직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거나 출시되지 않은
지역
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공개 전 루머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추후
제작사
의 공식 발표 및 실제 모습과 다를 수 있습니다.



파일:원신 로고.svg 지역
[ 펼치기 · 접기 ]
일곱 도시 국가
[[몬드|

>
파일:원신 몬드성.jpg
>
파일:원신_몬드_아이콘.png
]][[리월|
>

>
파일:원신 리월항.jpg
>
파일:원신_리월_아이콘.png
]][[이나즈마(원신)|
>

>
파일:원신 이나즈마성.jpg
>
파일:원신_이나즈마_아이콘.png
]][[수메르(원신)|
>

>
파일:원신 수메르성.jpg
>
파일:원신_수메르_아이콘.png
]][[폰타인|
>

>
파일:원신 폰타인성.jpg
>
파일:원신_폰타인_아이콘.png
]][[나타(원신)|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
파일:미공개된 국장.png
]][[스네즈나야|
>

>
파일:스네즈나야 건물-1.png
>
파일:미공개된 국장.png
]]>
세부 지역
[[드래곤 스파인|
>
]][[층암거연|>

>
]][[연하궁|>

>
]][[적색 모래 바다|
>
>
파일:원신_사막지역 아이콘.png
]]>
특수 지역
[[켄리아|
{{{#!wiki style="background-color: #152036;" 파일:켄리아멸망.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파일:미공개된 국장.png
]][[셀레스티아(원신)|

{{{#!wiki style="vertical-align: top; padding-bottom: 5px; background-color: #d1c7be;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background-color: #152036;" 파일:원신 셀레스티아 임시 2.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파일:미공개된 국장.png
]][[금사과 제도|

{{{#!wiki style="vertical-align: top; padding-bottom: 5px; background-color: #004e6a;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background-color: #152036;" 파일:금사과 제도 2.8.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유리빛 신기루|

{{{#!wiki style="vertical-align: top; padding-bottom: 5px; background-color: #004e6a;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background-color: #152036;" 파일:유리빛 신기루.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파일:원신_유리빛 신기루 아이콘.png
]]





폰타인
Fontaine
파일:미공개된 국장.png
국장
(캐치프레이즈)
현 집정관[[원신/시스템/원소#물|
파일:원신_물원소.svg
]]
물의 신 포칼로스
건국 시기불명
지형대륙, 섬
중심지폰타인성
무역항루두미스 항구
정치 체제왕정(입헌군주제)
정치 기관
행정 기관
종교 기관
군사 기관
모티브 지역파일:Henry_II,_Plantagenet_Empire.png
18~19세기 프랑스어권 서유럽[*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영국
언어별 표기파일:미국 국기.svg Fontaine
파일:프랑스 국기.svg Fontaine
파일:중국 국기.svg 枫丹(Fēngdān
파일:일본 국기.svg フォンテーヌ


(세부 지역), (중심지)

1. 개요
2. 모티브
3. 특징
3.1. 업데이트 이전 정보
6. 세부 지역
6.1. 페트리코 마을
6.2. 루미두스 항구
7. 여담
7.1. 공식 미디어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ACT. Ⅳ 죄인의 원무곡

「정의」의 신은 법정 다툼을 사랑하고 신들까지 심판하고 싶어 해. 그러나 그녀「천리」와는 절대 싸우지 않지.

원신 PV 발자취 中

Fontaine

원신에 등장하는 국가. 법치주의적인 국가로, 「정의」의 나라. 정의의 신 포칼로스가 다스린다. 상징 원소는 물이다.

2. 모티브[편집]


밤의 신월헌에서 만날 수 있는 프랑시스의 대사에 따르면 화려함과 우아함을 중시하는 나라이며, 사람들이 모두 실속 없이 화려한 옷을 입고 다니는게 일상이라고 한다. 이를 보면 중세 독일어권 지역을 모티브로 한 몬드와는 대조적으로 산업혁명기 근대 유럽 대륙, 특히 빅토리아 시대 영국과 프랑스어권 서유럽[1]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2]

신염의 캐릭터 스토리에 따르면 티바트 록 음악의 발상지가 폰타인이라고 한다.[3] 모나의 점성술 칼럼을 실어주고 신염의 록 공연 평론을 한 <스팀버드> 신문의 본사가 위치한 곳이고, 사진기 또한 폰타인에서 만든 물건이라고 하는 걸 보면 확실히 영국을 주축으로 산업혁명기 근대 유럽을 모델로 한 것으로 보인다. 리월의 경책에서 은거하고 있는 로데이아와 이나즈마의 미카게 용광로의 기술자 자비에의 고향[4]이기도 하다.

로데이아와의 전투 시 고향에서 온 자객이냐고 묻는 대사와, 로데이아 이벤트에서 그녀가 과거 폰타인의 수석 스파이였다고 명시되었는데, 과거의 물의 신은 세상을 사랑한다는 이유로 티바트 대륙의 수로를 전부 연결하고자 하여 물의 요정들을 각지의 수로에 파견했으나, 물의 신이 바뀌고 나서 현 물의 신이 각지에 퍼진 물의 요정들을 스파이로 삼으려 했다. 이에 대다수의 물의 요정들이 지난 물의 신을 그리워하면서 도망쳤다고 한다. 다만 이 세상을 사랑한다는 이유가 반어법이거나 제대로 된 사랑이 아닐 거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3. 특징[편집]



3.1. 업데이트 이전 정보[편집]


리월의 법조인 캐릭터 연비의 대사에 따르면 그 두꺼운 리월의 법률 조항들조차 폰타인의 법률에는 한 수 접어줘야 할 정도로 복잡하다고 한다. 정의(justice)[5]의 신이 다스리는 지역이니만큼 법원과 심판관 등이 존재하며 사법제도가 발달한 곳일 가능성이 있다. 폰타인의 학자 패트리스의 언급에 의하면 연구에 국가 예산을 썼음에도 그것에 대한 성과가 없으면 '공동 재산 낭비', '학술 자원 점용' 등 수십 가지의 죄명이 기다리고 있으며 재산 압류, 처벌은 물론 심하면 목숨이 위험해질 수 있다고 한다.

2.6 버전 후반 희귀품 백화점에 등장한 본이의 언급에 따르면 리월의 북서쪽 교영마을(미구현 지역)과 폰타인이 맞닿아있다고 한다.

2.7 버전에 나온 '노심 제조기' 이벤트에서 보여준 모습에 의하면, 폰타인은 작은 로봇도 만들 수 있는 기술력[6]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2.8 버전에 나온 '무한동력 기계 화폭' 이벤트에 등장한 펠릭스·요그와 자비에한테서 폰타인의 지역 중 하나인 페트리코 마을과 그 곳에서 열리는 공상 클럽이 언급되었다.

폰타인에서 온 장난감 상인인 베르트랑의 언급에 의하면 누군가에게는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는 나라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상심과 실의를 안겨주는 곳이라고 한다. 또한 특별한 에너지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작중 언급과 사진기 등의 문물로 보아 기술력이 아주 상당한 나라이다. 이나즈마의 아이 미도리의 언급에 의하면 비행기와 잠수함도 있다고 한다.[7] 확실한 것은 타타라스나의 미카게 용광로를 폰타인이 만들어낸 작품이라는 것을 보면 폰타인은 기술이 발달한 나라인 것으로 추정된다.

몬드, 리월, 이나즈마가 셀레스티아로부터 대략 비슷한 방향이었던 반면 3.0버전을 시작으로 수메르가 기존의 맵을 서쪽으로 크게 확장하면서 셀레스티아의 대략적인 위치도 삼각측량을 통해 대략적으로 파악이 가능해졌는데, 위치상 폰타인 상공으로 추정된다.

3.2 버전에서 3장 5막 마지막 후일담에서 나히다에게 '폰타인에 대한' 질문 선택지가 존재함에 따라 기존에도 기정사실이나 다름없었지만 다음 4 버전 지역은 폰타인으로 공식 확정되었다.

그리고 같은 버전에 나온 본이의 언급에 의하면 사람들이 기계를 다루는 것을 좋아하고, 쇄국령이 폐지되어서인지 히나 굿즈를 포함한 이나즈마 상품이 인기있다고 한다. 다만 억눌리고 위험한 분위기에 현지인들이 곧 심판이 온다며 잔뜩 긴장하고 있는 등 폭풍전야의 상황이라고 한다.[8]

3.3 버전에서 공개된 마신 임무 중간장 제3막에서 도토레의 언급으로는 이나즈마와는 거리가 상당히 멀다고 한다.[9]

3.4 버전 해등절에서 NPC 드보르작에 의하면 폰타인의 축제는 “무지갯빛 투어” 라는 폰타인 최대 규모 뮤직 페스티벌이라고 한다.

3.5 버전에서 진동수정 연구 이벤트를 통해 폰타인의 주요기관 중 하나인 과학원에 대한 설정이 공개되었다.

오르모스 항구의 바스코라는 npc가 말하길, 수질이 이곳과 다르다고 한다. 이 점을 미루어볼 때, 폰타인의 수질이 좋지 않다는 추측을 해볼 수 있다. 그 밖에도 '맹수는 어디에 있을까' 월드임무에서 만나는 폰타인 출신 NPC 산톤에 말에 따르면 수메르의 숲에 비하면 폰타인의 숲 환경은 형편없다는 말을 한 것과 '타타라 모노가타리'의 핵심인물인 자비에가 직접 자기 고향 페트리코 마을의 상황이 타타라스나처럼 오염된 듯한 묘사를 한 것을 통해 우아하고 아름답다는 묘사와 대비되는 산업혁명 시기 영국, 프랑스 등의 서유럽처럼 환경오염 문제가 있는 듯하다.

3.6 버전에서 소루쉬의 언급을 통해 '순례길'이라는 설정이 나왔는데, 대재앙이 발생한 후 물의 정령들이 하나둘 폰타인에서 수메르로 넘어왔고 그들이 지나간 길을 순례길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또한 모래가 에워싼 황야 월드 임무에서 만날 수 있는 폰타인 출신 NPC 줄리앙의 언급에 따르면 물의 도시답게 수도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모래가 에워싼 황야 지하의 켄리아 시설들에서 폰타인에서 온 인물들이 켄리아의 동력원을 연구한 흔적이 발견된다.

3.7 버전 생방송이 끝나고 마지막에 바닷속을 보여주며 여행자가 잠수한 모습[10]을 보여줬는데 기계로 된 물고기 등이 있는 것을 보면 정황상 폰타인으로 보인다.[11]

3.8 버전 생방송 이후 앨리스의 설명과 함께 모습이 공개되었다. 전체적으로 흰색과 파란색 톤이 돋보이며 NPC들의 의상이 여타 지역보다 화려하고 강아지들도 화려하게 치장한 푸들이 있다. 길가에는 기계 병사로 보이는 로봇이 있다. 벨기에나 독일, 프랑스에 실제로 존재하는 운하 다리가 구현되어 미래적인 분위기가 돋보이나, 화려한 도시와는 정반대로 지하의 경우 허름하고 파이프로 가득한 모습이 묘사되었다. 또한 3.7 버전 방송에서 예고되었듯 잠수가 가능하며 여러 동식물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고 작은 잠수함 또한 있다. 그 밖에 물 속에선 참격을 날려 해초 등을 제거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3.8 버전 업데이트 이틀 전인 7월 3일, 아를레키노와 폰타인의 등장인물이 대거 등장하는 서곡 PV가 공개되었는데,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추정되는 클로린드가 총기류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타국과 달리 무기 기술력도 상당한 나라임을 추측할 수 있다.

4.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원신/등장인물/폰타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원신/설정/폰타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세부 지역[편집]



6.1. 페트리코 마을[편집]


페트리코
Petrichor
언어별 표기파일:미국 국기.svg Petrichor
파일:프랑스 국기.svg Petrichor
파일:중국 국기.svg 佩特莉可(Pèitèlìkě
파일:일본 국기.svg ペトリック
폰타인의 마을 중 하나로, 현재까지는 2.8 버전에 나온 '무한동력 기계 화폭' 이벤트에 등장한 펠릭스·요그와 2.0 버전에 등장한 자비에[12]의 언급으로 나온다.

페트리코라는 명칭은 1964년 네이처지에 투고하면서 처음 사용된 용어인데, 그리스어로 돌을 뜻하는 페트라(πέτρᾱ)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이코르(ῑχώρ)의 합성어로 건조한 흙 위에 비가 내리면 나는, 흔히 '비 냄새'라고 부르는 그것이라고 한다.


6.2. 루미두스 항구[편집]



폰타인의 항구 중 하나로, 현재까지는 3.8버전에 나온 아우구스투스 러브레이스의 언급으로 나온다.

7. 여담[편집]


  • 도시명인 Fontaine(퐁텐)은 프랑스어로 샘, 샘물을 뜻한다. 비영어권 명칭은 대부분 프랑스어를 기반으로 번역했다.[13] 따라서 한국어 명칭도 영어식인 '폰타인'보다 프랑스어식인 '퐁텐'이 적절할 것 같다는 의견이 있으나, 영어에도 이 프랑스 단어에서 유래된 fountain이라는 단어가 있기도 하고 프랑스와 영국 양국에서 모티브를 따온 국가로 추정되니 폰타인이라 번역해도 틀린 건 아니다.

  • 여러 모로 디젤펑크-스팀펑크 장르의 대표 게임 중 하나인 바이오쇼크 시리즈에 대한 오마주가 엿보인다. 폰타인이라는 이름은 분수라는 뜻의 영어 단어 fountain에서 온 것으로 추측된다. 폰타인은 티바트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 카메라 등 기술이 발달해 있는데, 랩처1960년대의 과학을 훨씬 앞선 기술력을 가진 것과 비슷하다.


7.1. 공식 미디어[편집]


서곡 PV - 「종막을 향한 연회」
기타 언어 버전 ▼
[ 일본어 ]

[ 영어 ]
[ 중국어 ]


8. 둘러보기[편집]





[1]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네덜란드 등. 프랑스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프랑스어의 영향권인 동시에 독일어의 영향권이기도 해서, 네덜란드의 풍차와 스위스의 알프스 산맥이 몬드와 드래곤 스파인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이 지역들의 중세시대는 몬드, 근대는 폰타인의 모티브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2] PV에 폰타인 음악으로 사용된 음악은 프랑스 작곡가인 카미유 생상스동물의 사육제 중 '수족관'을 모티브로 했다.[3] 이로 미루어보아, 신염은 폰타인에 가본 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거대한 항구도시인 리월의 특성상 리월을 방문한 폰타인 출신의 음악가나 여행자 등을 통해 록 음악을 알았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리월의 모티브에 청나라도 일부 반영된데다 청나라 말기에는 영국을 비롯한 유럽 열강과 이래저래 얽혀있던 역사가 있다. 록 음악의 전신격인 로큰롤은 유럽이 아닌 제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에서 시작되었지만, 비틀즈로 대표되는 60년대 영국 밴드들이 록 음악의 방향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이후에도 펑크 록, NWOBHM 등 여러 장르와 무브먼트의 발산 및 파생이 영국에서 이루어졌으므로 적절한 반영으로 볼 수 있다.[4] <페트리코>라는 지역을 언급하는데, 이 <페트리코>는 자비에의 고향이자 폰타인의 지역이라고 한다. 또한 무상의 물을 처치하면 얻을 수 있는 배척의 이슬에서도 <페트리코>가 언급되는데 물의 신이 다스리는 나라답게 수질이 한없이 맑은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 폰타인 해금 시에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정작 산업 혁명 당시 영국을 비롯한 유럽 대부분의 환경오염은 막장의 절정이라서 대기오염은 현대의 중국 뺨치는 수준에, 수질 역시 최악이었다. 이런 수질 오염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가 바로 템스강으로 한창 오염이 심할 때는 '불로의 물'이라는 반어법스러운 별명이 있었는데, 물이 너무 유독해져서 마시면 즉사에 방부처리까지 되어서 그렇다고... 실제로도 템스강 수상에서 선박 사고가 발생했는데 사망자의 대부분이 오염된 템스강 물을 마셔서 사망한 것으로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한참 동안 정화를 위한 노력을 해서 20세기 중반에서야 겨우 수질 회복을 위한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5] justice에는 '사법'이라는 뜻도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법무부를 영어로는 'Ministry of Justice' 등으로 부른다.[6] 이미 타르탈리아의 전설 임무에서 원신 세계관 내에도 장난감이란 물건이 존재함은 암시된 적이 있다. 그것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7] 미도리에게 이를 알려준 램지의 발언이 일부 과장되었다는 걸 감안하면 이 부분은 확실하지 않다.[8] 상술했듯 현재 셀레스티아가 폰타인 위에 정박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PV 종막을 향한 심판에서 느비예트가 아직 심판은 끝나지 않았다고 언급 하는 것으로 보아, 폰타인 스토리에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9] 사실 현재 이나즈마와 가장 가까운 리월조차 이나즈마와 4000m 떨어져 있는 걸 보면, 어디에 위치하든 말이 안 되는 건 아니다. 3.6버전에서 추가된 수메르 최북서단인 모래가 에워싼 황야로부터 이나즈마의 거리는 무려 10km가 넘는다.[10] 지상을 향해 부상하고 있는 모습이다. 여행자의 옷에서 공명한 원소의 색이 나타나는 부분을 잘 보면 파란색. 즉, 물 원소 색이다.[11] 아직 개발중이라는 캡션이 달려 있어 적어도 3.7 이벤트용 맵이 아니란 건 알 수 있다.[12] 이나즈마의 월드 퀘스트중 하나인 타타라스나 퀘스트에 의하면 스스로 고향이라고 밝힌다.[13] 중국어 명칭이 枫丹(펑단, fēngdān), 일본어 명칭이 フォンテーヌ(폰테-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원신/지역 문서의 r96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원신/지역 문서의 r9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