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국해양대학교/대학 조직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국립한국해양대학교





1. 대학(학부)
1.1. 해사대학
1.2. 해양인문사회과학대학(국제대학)
1.2.1. 해양경영경제학부
1.2.1.1. 해운경영전공/해양정보·금융전공
1.2.1.2. 국제무역전공·경제전공
1.2.2. 해사법정학부
1.2.2.1. 국제관계학전공
1.2.2.2. 해양행정학전공
1.2.3. 글로벌해양인문학부
1.2.3.1. 해양영문학전공
1.2.3.2. 동아시아전공
1.3. 해양과학기술융합대학[1]
1.3.1. 해양과학융합학부
1.3.1.1. 해양환경학전공
1.3.1.2. 해양생물공학전공·수산바이오공학전공
1.3.2. 조선·해양개발공학부
1.3.2.1. 조선해양시스템공학전공
1.3.2.2. 해양공학전공
1.3.3. 해양건축·에너지자원공학부
1.3.3.1. 에너지자원공학전공
1.3.3.2. 공간디자인전공·건축방재공학전공
1.3.4. 물류·환경·도시인프라공학부
1.3.4.1. 물류시스템공학전공
1.3.4.2. 환경공학전공
1.3.4.3. 건설공학전공
1.3.5. 해양스포츠과학과
1.3.6. 기계공학부
1.3.6.1. 냉동공조공학전공
1.3.6.2. 기계시스템공학전공
1.3.7. 전자전기정보공학부
1.3.7.1. 전기전자공학전공
1.3.7.2. 전자통신공학전공
1.3.7.3. 나노반도체공학전공
1.3.7.4. 전파융합공학전공
1.3.7.5. 데이터사이언스전공
1.3.8. 해양신소재융합공학과
1.3.9. 제어자동화공학부
2.1.1. 석사
2.1.2. 박사
2.2.1.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OST)
2.3.1. 해사산업대학원
2.3.2. 해양금융대학원[2]
2.3.3. 글로벌물류대학원[3]
2.4. 폐과
2.4.1. 교육대학원




1. 대학(학부)[편집]


한국해양대의 학과에는 희귀 학부·학과·전공이 일반 대학교에 비해서 상당히 많다. 전국에 유일한 학과가 일부 있으며, 극소수로 존재하는 학과가 7할 이상이라고 생각해도 될 만큼 생소한 학과가 많다. 물론 기존의 일반 학문에서 해양으로 파생된 학과가 대다수이지만, 해양과 관련된 그 학문만큼은 전문적이고 여느 학교에 비해 기반시설이나 인프라가 잘 갖춰진 편이라 볼 수 있다.


1.1. 해사대학[편집]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최초의 국립대학인 한국해양대학교의 모체로 1945년에 고등상선학교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한국해양대학교에서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단과 대학이다. 전 학생들에게 1년간의 승선실습과정이 포함된 기본교육과정을 이수하게 하여 폭넓은 인격과 지도력 및 현장 적응력을 갖춘 유능한 해운, 해기전문인력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사대학 소개


  • 항해계열
    • 해사수송과학부(해사경영과학전공, 해사법무정책전공, 해상보험전공) (MT)[4]
항해융합학부 (해사경영관리전공,해사법무전공,해사안전정공,선박운항전공,해사글로벌전공) (NC) [학부]
  • 항해학부(선박운동·구조전공, 항해정보전공, 항만·화물관리전공) (N)[5]
  • 해사글로벌학부(해사문화전공, 해사교섭전공) (G)[6]

해당 학부들은 2021학년도부터 항해융합학부(NC)로 통합되며, 세부 전공으로써 명맥을 이어나간다.

  • 기관계열
    • 기관시스템공학부(동력기계시스템전공, 선박기계․에너지시스템전공, 선박전기전자제어전공) (EG)[7]
    • 기관공학부(기계융합기술전공, 친환경선박전공, 해사자동화전공) (E)[8]
    • 해사IT공학부(기관정보공학전공, 스마트기관공학전공) (IT)[9]

해당 학부들은 2021학년도부터 기관시스템공학부(EG)로 통합되며, 세부전공으로써 그 명맥을 이어나간다.

  • 항해/기관 선택
    • 해양경찰학과(해양경찰항해학전공, 해양경찰기관학전공) (CG)[10]
    • 해양플랜트운영학과(해양플랜트항해학전공, 해양플랜트기관학전공) (OP)[11]
    • 해사인공지능•보안학부(인공지능전공, 사이버보안전공) (A)

해사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제복, 제모 등을 착용하여야 하며, 소속 학과의 학과장을 제복 옷깃, 견장 등에 부착한다.
한국해양대학교 > 해사대학 > 해사대학 소개 > 복제


1.2. 해양인문사회과학대학(국제대학)[편집]


해양인문사회과학대학은 국제화와 해양특성화에 초점을 맞춘 학부 및 학과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국제화를 위해 외국인 학생을 적극 유치하고 있으며 학부학생들을 10여 개 국가에 파견하고 있다.대학원 과정은 각 학부과별 대학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수대학원인 해사산업대학원 가운데 항만 ·물류분야, 선박금융분야 등에 참여하고 있다.

해양인문사회과학대학 소개


  • 해운경영경제학부
    • 해운경영전공/해양정보·금융전공 - Major of Shipping Management
    • 국제무역전공·경제전공 - Major of International Trade and Economics

  • 해사법정학부
    • 법학전공·해사법전공 - Major in Law·Major in Maritime Law
    • 국제관계학전공 - Major of International Commerce
    • 해양행정학전공 - Major of Maritime Administration

  • 글로벌해양인문학부
    • 해양영어영문학전공 - Major of Maritime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 동아시아문화전공 - Major of East Asian Studies

  • 교직과 - Department of Teacher Education

  • 경제산업학부 - Division of Economy and Industry

  • 법무비즈니스학부 - Division of Legal Business

참고로 해운경영학부와 해사법학부가 해사대학을 제외한 학과 가운데 가장 먼저 탄생하였다. 그래서 해운경영학부는 학부 명칭 앞에 선봉(先鋒)이란 명칭을 붙여 선봉해운경영이라고도 한다.


국제대학 과잠 소개


1.2.1. 해양경영경제학부[편집]



1.2.1.1. 해운경영전공/해양정보·금융전공[편집]

파일:해경.jpg

선봉 해운경영(先鋒海運經營)

해운경영학부
학부과정으로 해운경영학전공, 해운경영정보·금융전공으로 나뉜다.

  • 개관
해운경영학부는 해운경영전공 교육과정을 개설한 특성화된 학부로서 우리나라 해운산업을 책임질 전문경영인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되었다. 일부는 줄여서 해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혼선을 피하기 위해 보편적으로는 해운경영이라고 한다. 영어론 Shipping Management을 줄여 SM이라 칭한다.

  • 특징
국내에서 최초로 개설된 해양수산경영학과이다. 한때 해운산업이 활발할 때는 입결이 높았고 아웃풋도 상당했다. 몇몇의 졸업하신 선배들도 이력을 보면 화려하다. 그래서 한국해양대 내에선 메인 학과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정론이고, 각 대학교에 교수로 활동하고 있는 분들도 많다. 극소수 학과이다 보니 학부 내 교수진도 해운경영학부 출신 선배님들이 교수를 맡고 있다.

  • 취업
비록 지금 해운산업이 과거에 비해 위축된 상황이라 아웃풋은 전성기 때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70% 이상을 유지[12]하고 있다. 이는 현대상선과 같은 대기업만 봐도 알 수 있는데, 현대상선 내 과장 이상의 직급에만 해도 해운경영 선배진이 다수 포진해있고 부장 직급까지도 몇몇 있을 정도니 대기업 미만, 즉 해운 관련 중견기업이나 그 외 기업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게다가 해운이나 물류와 관련된 중소기업의 임원진이나 대표이사/사장직에도 해운경영 선배들이 다수 활동하고 있다.
주로 해운회사나 선사, 항만터미널, 물류업, 해양금융, 선박금융, 무역업, 포워딩업체로 진출한다. 구체적으로는 HMM, 장금상선, CMA CGM[13], 하파그로이드 등의 해운회사나 CJ대한통운, LX판토스 등과 같은 물류회사나, 부산항컨테이너터미널,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연구직의 경우 적어도 석박사 과정을 거쳐야 가능한 경우가 많다. 취업 전 현장실습이나 해운회사 인턴 프로그램, 항만물류산학협력의 일환인 해드림사업단 등 해운경영학부에서도 해운인력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수 운영하고 있고 현직 해운경영 선배들이나 한해대 동문들이 해당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직간접적으로 다른 학교 출신생보다 많은 경험을 축적할 수 있고 따라서 자신의 목표만 명확히 정하고 어느 정도 노력하면 어렵지 않게 위에 나열한 직군으로 진출할 수 있기에 아웃풋이 좋다고 하는 것이다. 물론 노력 없이 얻을 수 있는 건 없기에 본인의 목표에 상응하는 노력은 필수이다.


1.2.1.2. 국제무역전공·경제전공[편집]

파일:국무경1.jpg

국제무역경제학부
학부과정으로 국제무역전공, 경제학전공으로 나뉜다. 영어로는 Major of International Trade and Economics로, 줄여 ITE로 표기한다. 과잠을 보면 가슴팍에 ITE가 박혀있다.

  • 개관
국제무역경제학부, 줄여 국무경이라고 부르는데, 국무경은 기초 경제이론을 중심으로 국제경제·해상보험 등을 연구하는 경제학전공과 국제무역과 실무를 바탕으로 해운·물류·항만·전자상거래 등을 중점으로 연구하는 국제무역학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학부에서는 전공 분야별로 주체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최근에 급변하는 국제무역, 경제환경의 변화에 걸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수함으로써 학생들의 잠재능력을 발견, 개발하여 창의적이고 경쟁력있는 유능한 전문인을 양성하는데 교육 목표를 두고 있고, 따라서 본 학부의 이수자는 국제무역 및 경제금융 분야의 이론과 실무를 조화롭게 겸비하고,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방식을 갖추게 됨으로써 사회 및 국가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유능한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

  • 특징
학부 내 학회로는 글사랑, 무역풍, 해운연구회, 이코노미스트, 해양금융연구회가 있다.


1.2.2. 해사법정학부[편집]


참고로 해사법학부와 해사법정학부는 동일한 게 아니기에 헷갈리면 안 되는데, 해사법학부는 현 법학·해사법학 전공으로 해사법학부(=법학·해사법학 전공)으로 보면 되고, 해사법정학부는 법학·해사법학, 해양행정, 국제관계 총 3개의 학과가 포함된 하나의 학부로서, 통상 어디 학과냐고 물어보면 해사법정학부라고 말하지 않는다. 셋은 전혀 다른 학과이기 때문이다.




1.2.2.1. 국제관계학전공[편집]

파일:86644C49-D8E7-4E91-83B1-7D95A76B9245.jpg

국제통상학과

  • 개관
학우들 사이에선 주로 국통이라고 불리는 국제통상학과는 1995년 개설된 학과로, 국가 간의 경제교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들에 대한 통상전문인력을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제관계학전공은 국가 간의 경제교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들에 대한 이론과 실무교육을 통해 국가와 기업이 필요로 하는 통상전문인력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제통상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배양하기 위해 본 학과에는 통상법, 통상정책론, 통상협상론, 통상분쟁론을 비롯하여 국제경제, 국제경영 및 해외지역연구분야의 다양한 과목들이 개설되어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국제통상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필요한 지식을 갖출 수 있고, 통상실무에 필요한 영어, 중국어 및 일본어과목이 개설되어 있어 글로벌시대에 필수적인 외국어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 특징
학회로는 WTO연구회, 중국통상연구회, 일본통상연구회, 해양영토통상연구회가 있다.

  • 기타
에타에서 최홍배 교수님이 계신 학과로 유명하기도 하다.



1.2.2.2. 해양행정학전공[편집]


해양행정학과

  • 개관
해양행정학과는 해양행정과 해양관련분야의 정책을 연구개발하고 그 실무를 담당할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행정학정책학 일반에 관한 이론은 해양행정관련 전문지식습득의 토대가 되기 때문에 일반 행정학과에서 다루는 교육내용 가운데 일반적인 내용은 교육과정에 포함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해양행정학전공은 행정학, 정책학의 기초 위에 해양행정관련 특수 분야의 교육을 통한 전문화를 지향하고 있다.

  • 특징
해사법학부와 마찬가지로 해양행정에 특성화된 전국 유일 학과에 해당한다.
학회로는 해오라기가 있다.


1.2.3. 글로벌해양인문학부[편집]



1.2.3.1. 해양영문학전공[편집]


해양영문학과

  • 개관
해양영어영문학과는 한국해양대의 교육목표에 맞추어 기존의 ‘영어영문학’에 ‘해양해사영어 전문 지식’을 결합하여 "인문학적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글로벌 해양리더"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어느학교든 마찬가지겠지만 줄여 영문·영문과라고 부른다.

  • 특징
일반 영어영문학과와는 달리, ‘일반전공 영어학과 영문학’ 외에 ‘해양산업분야’와 관련된 전공교과목이 개설돼있어, 약 70%에 육박하는 취업률을 갖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영어 전문인과 직업인(공무원포함) 및 교육자는 물론이고 해양특성화와 관련 있는 조선, 선박, 해운, 무역, 물류와 해양서비스 분야로도 일정 부분 진출하기도 한다.


1.2.3.2. 동아시아전공[편집]

비상 동아세아(飛上東亞細亞)
동아시아학과

  • 개관
동아시아학과는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언어와 문화를 통합적으로 공부하며, 특히 해양문화 분야에 관심을 기울인다. 동아시아의 대표적 언어인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를 읽고 말하고 쓰는 능력을 함양하면서 동아시아 각국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또한 한국해양대 동아시아학과는 인문학 및 지역학을 넘나드는 여러 학문분야의 학제적인 교육과 문화콘텐츠와 같이 인문학을 응용하는 실천학문을 도모한다.

  • 특징
전국대학에서 유일한 동아시아문화전공는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언어와 문화를 통합적으로 공부한다. 근래에 한·중·일 삼국 간의 상호의존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고, 어느 한 국가에 대한 이해는 동아시아 3국의 상호관계 속에서 접근하지 않으면 온전할 수 없다. 동아시아문화전공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교육 목표 속에 녹혀내어, 인문학적 통찰력을 바탕으로 실용능력을 가진 시민을 육성하고자 한다.동아시아의 대표적 언어인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를 읽고 말하고 쓰는 능력을 함양하면서 동아시아 각국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또한 동아시아문화전공는 인문학 및 지역학을 넘나드는 여러 학문분야의 학제적인 교육과 문화콘텐츠와 같이 인문학을 응용하는 실천학문을 도모한다. 동아시아 문화에 대한 학제적 지식은 문화산업을 위한 필수지식이 될 뿐 아니라 국제적 교류나 통상무역에 진출하기 위한 기초지식으로 이바지할 것이다.


1.3. 해양과학기술융합대학[14][편집]


파일:B9EF5F8E-E323-4859-8610-D9401180142E.jpg

[ 펼치기 · 접기 ]
2020학년도 기준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가천대학교
O
-
-
워싱턴
가톨릭대학교
O
-
-
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강원대학교
O
-
-
워싱턴
거제대학교
-
-
O
시드니
건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
O
O
-
워싱턴
경복대학교
-
-
O
더블린
경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상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경성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일대학교
O
-
-
워싱턴
경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계명대학교
O
O
-
워싱턴
고려대학교
O
-
-
워싱턴
공주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광운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구미대학교
-
-
O
더블린
국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군산대학교
O
-
-
워싱턴
금오공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죽전)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
O
-
-
서울/워싱턴
대구대학교
O
-
-
워싱턴
대덕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대진대학교
O
-
-
워싱턴
동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국대학교 경주
O
-
-
워싱턴
동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서대학교
O
-
-
워싱턴
동서울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동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원대학교
-
-
O
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동의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마산대학교
-
-
O
더블린
명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목원대학교
O
-
-
워싱턴
목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부경대학교
O
-
-
워싱턴
부산대학교
O
O
-
워싱턴
백석대학교
-
O
-
서울
상명대학교(서울)
-
O
-
서울
상명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상지대학교
O
-
-
워싱턴
서강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
-
-
O
더블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
O
-
-
워싱턴
서울시립대학교
O
-
-
워싱턴
선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세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숙명여자대학교
-
O
-
서울
순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순천향대학교
O
-
-
워싱턴
숭실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신라대학교
O
-
-
워싱턴
아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아주자동차대학교
-
-
O
더블린
안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연성대학교
-
-
O
시드니
연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영진전문대
-
-
O
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울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이화여자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천대학교
O
-
-
워싱턴
인하대학교
O
-
-
워싱턴
전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한라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
O
O
-
워싱턴
중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
O
-
-
워싱턴
청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경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교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산업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항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성대학교
O
-
-
워싱턴
한신대학교
O
-
-
워싱턴
한양대학교
-
O
-
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
-
O
-
워싱턴
호남대학교
O
-
-
워싱턴
호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호원대학교
-
O
-
서울
홍익대학교(서울)
O
O
-
서울/워싱턴
홍익대학교(세종)
O
-
-
워싱턴



바다는 생명탄생의 원천이고 식량과 자원 등 인류가 기대어야 할 마지막 공간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바다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 해양과학기술대학은 해양의 보존, 개발에 대한 과학기술의 선도적인 연구를 통해 미래의 해양산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창조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둔다.

해양과학기술융합대학 소개


  • 해양과학융합학부
    • 해양환경학전공 - Major of Ocean Science
    • 해양생물공학전공·수산바이오공학전공 - Major of Marine Bioscience

  • 조선·해양개발공학부
    • 조선해양시스템공학전공 - Major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Systems Engineering
    • 해양공학전공 - Major of Ocean Engineering

  • 해양건축·에너지자원공학부
    • 에너지자원공학전공 - Major of Energy & Resources Engineering
    • 공간디자인전공·건축방재공학전공 - Major of Architecture and Ocean Space

  • 물류·환경·도시인프라공학부
    • 물류시스템공학전공 - Major of Logistics
    • 환경공학전공 - Major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 건설공학전공 - Major of Civil Engineering

  • 해양스포츠과학과 - Department Of Ocean Physical Education

  • 기계공학부 - Divis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 냉동공조공학전공 - Major of Major of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Engineering / Divis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 기계시스템공학전공 - Major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 / Divis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 전자전기정보공학부
    • 전기전자공학전공 - Major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 전자통신공학전공 - Major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 데이터사이언스전공 - Major of Data Science

  • 해양신소재융합공학과 - Department of Ocean Advanced Materials Convergence Engineering

  • 제어자동화공학부 - Division of Control and Automation Engineering


공과대학 과잠 소개


해양과학기술대학 과잠 소개


1.3.1. 해양과학융합학부[편집]


학부과정으로 해양환경학전공과 해양생물공학전공·수산바이오공학전공으로 나뉜다.
해양과학융합학부는 분야가 그렇다보니, 특히 학교 바로 옆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나 교내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과 함께 연계하고 있는 부분이 많다.


1.3.1.1. 해양환경학전공[편집]

  • 개관
1999년에 신설한 학과로, 처음엔 해양과학부라는 이름으로 신설했다. 그러다 2005년 해양환경ㆍ생명과학부로 명칭이 변경 되었고, 2015년 해양환경학과와 해양생명과학부로 분리되었으나 2021년부터 다시 해양생명과학부와 학부로 병합하였다.
해양생명과학부와 병합하면서 명칭이 해양과학융합학부로 변경되어 해양환경학 전공이라 칭하고 있다.

  • 실험실
연구실로는 해양수치모델링연구실, 해양환경화학실험실, 고기후연구실, 해양퇴적학실험실, 해양생태학실험실, 해양시뮬레이션실험실이 있다.


  • 특징
해양생물관련 수업을 들으면 플랑크톤 채집을 하고 통통배를 타고 바다로 나간다. 해양생물관련 수업뿐만 아니라 해양지질관련 과목을 들어도 현장 답사를 나가기도 한다.
학교 자산 중에 한나라호, 한바다호 및 통통배가 있다. (학과 학생들은 이 통통배를 실제로 본 적이 없다.)
해양환경학과의 꽃이라 불리는 3학년 전공 과목 중 짧은 기간 배에서 생활하며 승선 실습을 하는 과목이 있다. 이때 학교 내 해사대학 실습선이 아닌 외부 실습선에 승선하여 실습을 나가게 된다. 주로 시료 채취하는 방법, 해양 탐사방법이나 연구선에서 사용하는 장비와 활동들에 대해 배우게 된다.


1.3.1.2. 해양생물공학전공·수산바이오공학전공[편집]

Major of Marine Bioscience

해양·수산생물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 보전 및 개발에 관해 교육하고 연구하며 관련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우리 학부는 해양생물공학전공 및 수산바이오공학전공으로 구성된다.해양생물공학전공은 생명현상에 관한 생물학적 특성과 화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식의약품소재 및 바이오에너지 등과 같은 유용 생물산업소재에 관행 교육하고 연구한다.수산바이오공학전공은 수산바이오산업이 미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산업임을 고려, 수산양식산업에서 수산바이오공학기법들을 통하여 그 생산성향상 극대화를 전공목표로 한다.


학부과정으로 해양생물공학전공과 수산바이오공학전공으로 나뉜다.

  • 개관
- 해양생물공학전공
  • 식품
  • 화학
  • 미생물
- 수산바이오공학전공
  • 사료
  • 유전자
해양생명과학부를 주로 해생이라고 부른다. 2021년부터 다시 해양환경학과와 학부로 합병될 예정이다.

  • 특징
연구실로는 수산유전육종학실험실, 생유기신소재연구실, 사료영양공학실험실, 해양바이오식품학연구실, 해양분자환경생리학연구실, 해양미생물학실험실이 있다.


1.3.2. 조선·해양개발공학부[편집]



1.3.2.1. 조선해양시스템공학전공[편집]

Major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Systems Engineering

한국의 조선해양산업은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괄목한 성장을 거듭하여 현재 선박 수주 및 건조량에서 세계 제1위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조선해양시스템공학전공는 미래의 해양 활동의 발판이 되는 각종 수송 수단과 해양구조물에 관련된 지식을 교육하여, 조선해양 관련 산업에 필요한 기술 및 연구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우리 학부는 선박과 해양구조물의 설계, 건조 및 성능 해석 등에 관한 학문과 기술을 교육하는 조선해양공학전공을 개설하고 있다. 최근에는 교육과학부에서 지원하는 ‘해양플랜트인재양성사업(GLOPEC)’ 수행으로 획기적인 교육의 질 향상과 취업률 제고를 이루고 있다. 또한 공학교육인증제의 제도 도입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기업체와의 공동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도 노력하고 있다.


  • 개관
조선해양시스템공학부는 줄여 조해시라고도 불리며, 조선해양시스템공학부는 미래의 해양 활동의 발판이 되는 각종 수송수단과 해양구조물에 관련된 지식을 교육하여, 조선해양 관련 산업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고 및 연구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 특징
2000년대 중·후반에서 2010년대 초반, 조선업 호황기 시절에는 취업률이 80~90%에 육박하여 웬만해선 입학하면 취업이 보장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그래서 그때 당시에는 부산대 조선공학과도 그렇고, 해양대, 부경대를 비롯한 조선(造船)과 관련된 부산의 일부 중상위 이상의 학교는 기계공학과와 비슷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상의 인기를 구가하기도 했다. 산학일체형 사업으로 조선해양기업이 상주해있는 미음캠퍼스에서 간헐적으로 수업을 하는 학과에 해당한다. 연구실로는 선박생산연구실, 선박운동조종실험실, 선박유체역학연구실, 해양플랜트공학연구실, 조선M&S연구실, 선체구조설계연구실, 응용역학 및 구조해석연구실, 해양시스템연구실이 있다.


1.3.2.2. 해양공학전공[편집]

  • 개관
해양공학과에서는 해양 및 연안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공학적 분야에 대한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는 곳으로, 해양 구조물 및 지반 공학, 해양 유체 및 수중 음향 등의 해양과 관련된 폭 넓은 공학적 해석 및 설계 지식을 배양하고, 다양한 실험실습 과정을 통해서 현장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특징
산학일체형 사업으로 조선해양기업이 상주해있는미음캠퍼스에서 간헐적으로 수업을 하는 학과에 해당한다. 연구실로는 잠수공학실험실, 해양구조공학실험실, 해양구조물실험실, 수중음향연구실, 해양지반공학연구실, 해양유체역학실험실, 전산구조설계연구실이 있다.


1.3.3. 해양건축·에너지자원공학부[편집]



1.3.3.1. 에너지자원공학전공[편집]

  • 개관
줄여 에자공이라고도 하는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지구를 대상으로 국내외 에너지자원, 유용광물자원 등의 탐사개발처리,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이용, 원유·가스·핵폐기물 등의 저장을 위한 지하공간설계, 자원 재활용에 필요한 관련 학문과 실무기술 등을 교육·연구하는 학과이다.
2003년 ‘자원공학’분야로는 국내 최초로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의 『에너지자원공학심화 프로그램』으로 인증을 받아 현재까지 체계적인 공학교육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8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자원개발특성화대학』에 선정되어 다양한 장학혜택을 통해 우수 인재를 유치양성하고, 대학이 보유한 실습선과 기자재를 이용한 해양 조사, 탐사 및 자료를 분석하는 실험실습 교육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 특징
연구실로는 암석역학실험실, 물리탐사공학실험실, 석유공학실험실, 친환경에너지소재실험실, 자원처리공학실험실, 응용지구물리탐사실험실이 있다.


1.3.3.2. 공간디자인전공·건축방재공학전공[편집]

  • 개관
공간디자인전공은 해양공간에서 인간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생활하기 위한 해양건축물 및 수변공간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분야라고 생각하면 쉽고, 건축방재공학전공은 해양 및 일반 건축공학에서의 태풍, 지진 등 자연재해에 대해 안전한 건축물을 설계하는 분야라고 생각하면 좋다.

  • 특징
해양공간건축학부는 1996년 설립된 이래 해양공간을 활용하는 건축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국내 유일의 학과로, 기존 건축학에 해양 전반위를 접목시킨 학과라고 볼 수 있다.특히 1999년부터 일본대학 해양건축공학과와 격년으로 국제해양건축심포지엄 및 해양디자인 캠프를 개최하고 있다.


1.3.4. 물류·환경·도시인프라공학부[편집]



1.3.4.1. 물류시스템공학전공[편집]

  • 개관
우리나라 최초의 물류학과[15]로 물류개론, 물류관리론을 통해 물류의 기본을 배우고, 하역론, 계량분석, 화물운송론, 유통론, 보관시스템, 시스템공학, 물류실무, 현장실습 등을 통해 물류전반의 흐름과 실무를 익힘으로써 지역 및 글로벌 물류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특징
국토교통부 글로벌물류인력양성사업, 해양수산부 해운항만물류산학협력파이오니아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물류커리어프로그램, 현장실습 순회교육 및 산업체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한국항공대, 인하대, 중앙대 등을 비롯한 물류 관련 5개교 학과와 함께 CJ대한통운과 취업 연계 과정인 G-TRACK을 운영하고 있어 각 대학교 경쟁에서 이겨 선발된다면 장학금과 함께 대졸 공채 정사원으로 채용된다. 연구실로는 수송계획실험실, 항만물류실험실, 물류정보실험실, 유통모형실험실, 물류자동화실험실, 교통물류계획실험실, G-SCM실험실이 있다. 참고로 문과적 색채가 아주 강한 공학과라 문과생들의 상당수가 교차지원으로 지원하는데, 일반적으로 물류학과라고 하면 상경계열에 해당하나 한국해양대 물류시스템공학과의 경우 공학에서 배우는 통계·컴퓨터·미적분 등과 상경학에서 배우는 물류·유통·마케팅이 어우러져 융합되어 있어 상당히 독특한 형태의 학과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아이러니하게도 겉은 공학과이지만 취득하는 자격증 종류를 보면 물류관리사, 유통관리사, 무역영어(1급, 2급), 구매자재관리사, 물류관련 국제공인자격증-CPL, CPIM, CPM 등으로 대부분 상경계열에서 취득하는 자격증들이다.


1.3.4.2. 환경공학전공[편집]

  • 개관
환경공학은 해양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대기오염 등과 관련된 국내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으로서, 국가 6대 중점육성분야(6T) 중의 하나이고, 최근 그린라운드 등의 이유로, 전 산업분야에 우수한 환경전문인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환경공학과에서는 국제적 수준의 첨단환경기술을 교육하여 고급환경전문가로서 필요한 지식과 소양을 갖추도록 하며, 나아가 국내외 환경보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 특징
연구실로는 환경공학실험실, 환경기기실험실, 환경미생물실험실, 환경자원실험실, 환경대기실험실, 물-에너지융합실험실이 있다.


1.3.4.3. 건설공학전공[편집]

  • 개관
일반 다른 대학교에서의 토목공학과에 해당하는 학과로서, 사회기반시설인 교량, 도로, 지하철, 공항, 항만, 댐, 터널, 발전소 등과 같은 사회간접자본시설의 계획, 설계, 시공, 유지 및 관리 등을 배운다. 따라서 건설 관련 프로젝트의 계획에서부터 관리에 이르기까지의 시공ㆍ설계기술자, 기술전문행정가 및 연구자가 되고자 하는 학생에게 건설공학도로서 전공지식, 수학, 기초과학, 컴퓨터 및 첨단공학도구의 이용과 관련된 공학지식과 함께 공학도로서 직업적, 도덕적 책임과 윤리의식을 갖추게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 특징
연구실로는 구조역학실험실, GIS연구실, 지반공학연구실, 항만기술연구실, 해안공학연구실, 콘크리트구조연구실이 있다.


1.3.5. 해양스포츠과학과[편집]


파일:3F764C62-5D5C-491D-9623-69456B5D2112.png
  • 개관
학우들 사이에선 줄여서 해체라고 불리는 해양스포츠학과는 세계최초로 해양레저스포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1998년에 개설되었고, 한국의 해양레저스포츠 및 관련 산업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유능한 해양체육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국 200여 개의 체육관련 학과와 차별화를 위해 체계적인 해양레저스포츠 이론교육, 현장 실습교육 그리고 국내외 해양레저스포츠 산업체와의 산학 연계 교육 등 다양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해양레저의 전문가를 양성한다.

  • 특징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체육학과는 효과적인 해양레저스포츠 교육 운영에 필요한 시설 및 장비를 국내 최대 규모로 보유하고 있으며 해양체육의 과학적 연구와 개발에 있어 국내 최고를 자랑하고 있다. 이에 졸업생들은 국내외 각종 해양레저스포츠 분야에 진출하고 있으며 해양체육학과 산하 요트, 카누, 그리고 조정 등의 운동부도 아시안 게임올림픽에 출전하여 한국 해양체육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연구실로는 트레이닝연구실, 스포츠산업마케팅연구실, 스포츠사회현상분석실, 스포츠의학연구실, 스포츠잠수연구실이 있다.

  • 기타
- 여러 해양스포츠 종목 중 특히 요트(세일링)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매 올림픽 및 아시안게임 대다수의 요트 국가대표 선수가 한국해양대 해양체육학과 출신이며, 국내 요트계의 간판이자 아시안 게임 레이저급 금메달 3연패의 주역인 하지민 선수가 해양체육학과 출신이다.


1.3.6. 기계공학부[편집]


Divis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기계공학부는 기계공학 및 냉동공조공학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기술, 국제감각, 창의적 사고를 갖추고 미래 첨단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고급 인력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12년부터는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및 LINC+)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전문기술 배양을 위한 다양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학생의 관심과 능력에 맞는 심화교육이 가능하며, 국제적 감각습득을 통한 유연한 사고와 의식의 국제화를 위해 미국, 중국, 일본 등으로의 해외연수 프로그램과 교내 외국어 강좌 지원 및, 어학연수 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학생 각자의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관련 산업체와 긴밀한 산학협동체제를 유지하며 현장실습교육, 인턴, 공동개발 등 다양한 기회를 통해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이론과 실기를 갖춘 인력을 육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기계공학부에는 기계시스템공학전공, 냉동공조공학전공을 두고 있다.


  • 특징
기계공학부로 함께 묶여있지만, 기계시스템공학과와 냉동공조공학과 별도로 나뉘어져있으며, 별개로 본다.


1.3.6.1. 냉동공조공학전공[편집]

Major of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Engineering / Divis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 개괄
냉동공조공학전공은 특수목적으로 설립된 학과 중 하나로 특성화된 분야의 기술인력을 양성하는 학과이다. 냉동공조공학전공이 개설된 대학은 한국해양대를 포함해 총 4개 대학[16]만이 개설된 만큼 희귀성을 지닌 학과이며 한국해양대 내 간판학과 중 하나다. 보통 줄여서 냉동이라고 부른다.

  • 특징
냉동공조공학은 경제발전 및 산업기술의 고도화에 따른 쾌적한 주거환경 제공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작업환경 구축에 필수적인 학문이다. 관련 산업으로 냉장고 및에어컨과 같은 가전산업, 인텔리전트 빌딩의 HVAC 시스템, 자동차, 선박, 열차 및 항공기 등 수송기기용 공기조화설비, 반도체 공정의 클린룸 등 정밀산업의 제조라인 구축, 식품저장, 에너지 환경 분야, 생명공학 등에 필요한 초저온 냉동산업 등이 있다. 교육과정은 공학의 기본인 수학과 역학을 기초로하며, 냉동공학, 공조공학, 열전달 등의 응용공학, 그리고 냉동설비설계, 공조설비설계 등의 심화 교육으로 구성된다. 냉동 공조 기계 관련 분야는 매년 생산 규모나 성장률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장래성이 매우 밝은 산업 분야로서 냉장고 및 에어컨으로 대별되는 가전제품 분야, 자동차 및 선박과 같은 수송 분야, 건물의 냉난방 및 히트펌프 분야, 클린 룸과 같은 공기 조화 분야, 태양열 및 미활용 에너지 이용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분야, 고부가 상품 및 제품을 보관하는 초저온 분야 등에 취업가능하다. 특히, 냉동공조공학전공은 수소자동차, 냉동 인간, 초저온 케이블 등에 필요한 초저온공학 분야를 포함한다. 미래 대체에너지인 수소를 이용한 '수소자동차'를 설계할 때 초저온 기술관련전문인력이 필요한데,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초저온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는 냉동공조공학은 앞으로도 유망한 산업 분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취업
1) 특성화 학과답게 아웃풋이 좋아 LG전자, 삼성전자,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주) STX, 한화건설, 한진중공업, 포스코플랜텍, 동부제철 등의 다수 대기업 및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등의 공기업으로 다수 취업한다.


1.3.6.2. 기계시스템공학전공[편집]

Major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 / Divis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 취업
1)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두산중공업 등의 조선, 중공업, 조선기자재 특성화 분야,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원자력연료(주), 한국남동발전(주), 한국해양조선기자재연구원 등이 있다.


1.3.7. 전자전기정보공학부[편집]


학부과정으로 전기전자공학전공, 전자통신공학전공, 전자소재공학전공, 전파융합공학전공으로 나뉜다.


1.3.7.1. 전기전자공학전공[편집]

Major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전기전자공학은 현대 과학기술 문명의 핵심분야로 기초과학을 연구하고 첨단 기술을 개발, 선도해 나가는 학문이며 21세기 산업정보화 사회를 구성하는 핵심기술로 기술 인력을 필요로 한다. 전기전자공학부는 육,해상 산업체의 기술적 욕구를 충실히 반영할 수 있는 기본이론과 실제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산업현장에 적용 가능한 교육을 통하여 창의적이며 진취적인 공학도를 배출하고 있다.


  • 특징
연구실로는 고전압응용기술연구실, 반도체소자실험실, 초고속광전자실험실, 전력전자실험실, 전기제어실험실, 신호처리실험실, 무선통신실험실, 전자기 응용연구실이 있다.


1.3.7.2. 전자통신공학전공[편집]

Major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전자통신공학전공 소속 학생들은 전자 공학 및 통신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두 가지 분야의 기초과정을 공통 핵심과정으로 이수한다. 이를 바탕으로 각자의 관심사에 맞는 선택된 정보기술영역에서 광범위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심도 있는 전공영역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통신 분야는 통신 공학, 기초 과학, 컴퓨터 기술 등의 다양한 분야 간의 상호 작용이 자동차, 조선, 의료 등의 분야까지 진출하여 서로 융합하는 중요한 교차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과과정은 이론과 실습, 실험, 팀워크활동을 통한 다양한 분야의 전자통신 시스템 설계에 맞춰져 있다. 또한, 학생들이 산업체 실무경험을 얻을 수 있도록 창의적 공학 설계 프로젝트에서 인턴쉽까지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모든 교과과정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에 의해 인증되고 있다.


  • 특징
전자통신공에는 연구회와 연구실이 있는데 연구회에는 Hertz, 네트워크연구회(KOMANET), 마이크로&나노시스템연구회, 전자통신연구회, 통신시스템 및 신호처리 연구회, 초고주파 및 안테나 연구회, 레이다신호처리 연구회가 있고, 연구실로는 모바일컴퓨팅 네트워크실험실, 초고주파 및 안테나 실험실, 마이크로 나노시스템 실험실, 광통신·광전자 실험실, 통신시스템 및 신호처리실험실, 지능무선통신실험실, 레이다신호처리실험실이 있다.


1.3.7.3. 나노반도체공학전공[편집]

Major of Nano-Semiconductor Engineering

나노반도체공학전공은 나노반도체와 관련된 연구, 기술 개발, 교육 활동 및 응용 분야에 관련된 과학자, 엔지니어 및 대학원생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재료에서 반도체 장치에 이르기까지 미래 반도체 과학 분야의 혁신적인 통찰력, 새로운 성과, 돌파구 및 미래 동향을 연구 및 제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나노기술은 10억 분의 1m (나노미터: nm) 크기인 원자나 분자 수준에서 물질을 규명하고 제어하는 기술로서, 이 기술을 이용하면 소자의 크기를 극소화 할 수 있어 모든 최첨단 과학 기술에 활용이 가능한 21세기의 핵심 기술이다.특히 양자컴퓨터(QC),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차세대 전력 등의 핵심 부품인 반도체의 중요성은 점차 확대 및 필수가 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새로운 최첨단 기술 환경에 필요한 나노 기술이 접목된 미래 반도체 교육과 연구를 통해 전자공학, 화학공학, 물리학을 융합하는 다학제간 융합연구 활성화로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초지능, 초연결 사회를 이끌어갈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전공이다.


  • 특징
연구회로는 에너베스트 연구회, SWL Project(Combining Study, Work and Life-Experiences in the Future), 산화물 반도체 연구회, 나노소재연구회, 디스플레이 재료 및 소자 연구회, 첨단 광전소자 연구회가 있다.
연구실로는 반도체공정실험동(Semiconductor Fabrication Lab.)이 있는데, 산업체 현장과 동일한 실험시설(크린룸)로서 MOCVD, HVPE, MBE, LPE, PECVD, RIE, Sputter, e-Beam, Aligner, RTA, Thermal Evaporator, PL system 등의 최첨단 반도체 장비를 갖추고 있다.


1.3.7.4. 전파융합공학전공[편집]

  • 개관
1993년, 정보통신부 및 당시 한국이동통신[17]의 신설 요구 및 지원 약속에 부응하고, 21세기를 맞이하여 가장 각광받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는 전파공학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교육·연구를 하고자 설치된 학과이다. 쉽게 말해 국가 주도에 의해 1993년에 신설된 학과로, 학부과정으로는 전국에 3개[18]밖에 존재하지 않는 희소성 있는 학과이다. 그 중 한국해양대에 전파공학과를 설치한 이유로는 교내에서 통신사를 양성하기도 했고 그에 따른 노하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설치하였다고 한다.

  • 특징
전파공학과에서는 주로 미래 정보화 사회의 꽃이라 불리는 전파의 이용, 이동 및 위성 통신과 같은 방송과 무선통신의 융합을 비롯하여 무선 전력 전송, 초고주파 소형 회로 설계, 스마트 안테나, 수중 음파 통신 등의 차세대 무선통신 서비스의 개발하며, 이를 기반으로 조선·해양·항만분야와 육상 무선 통신의 ICT 융합과정을 통한 대학 특성화와 부합하는 전파 공학 관련 핵심기술을 교육 및 연구하고 있다.
연구실로는 이동통신실험실, 회로 및 시스템실험실, DSP실험실, 위성통신 및 설계실험실, 안테나 및 전파응용실험실, MMIC실험실, 마이크로파실험실이 있다.

  • 기타
여담으로, 과거 초기 전파공학과가 신설되고 졸업한 선배들이 주요 통신사에서 근무하며 우리나라 무선통신 시대를 주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세계화에 따른 통신 및 인터넷 교류를 위한 해저케이블은 한국해양대가 독점적이었다. 그래서 전파공학과 교수님들의 자부심이 상당히 높다고 한다. 게다가 과거 전파공학과 입시에서 면접을 치를 때도 전파공학과는 따로 면접을 치르기도 했다고 한다.


1.3.7.5. 데이터사이언스전공[편집]

  • 개관
데이터정보학과는 자연과학의 기초가 되는 수학 지식을 기본으로 데이터사이언스와의 유기적 연계를 지향함으로써 지능정보화 사회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수학, 통계학 및 전산학을 통섭하여 첨단 데이터 분석 및 컴퓨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연구하고 교육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급속한 기술력 발전에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특징
연구실로는 데이터사이언스연구실, 빅데이터분석실험실, 컴퓨터프로그래밍실습실, 수리과학연구실이 있다.

  • 취업
주로 4차 산업 분야나 통계와 관련된 분야로, 빅데이터 분석, 지능정보처리 및 딥러닝 관련 전문회사(Konan Technology, Lunit, SaltLux 등)나 대기업과 관공서의 전산, 통계 및 금융 부문, 여론조사기관(갤럽, 코리아리서치 등), 컴퓨터 분야의 전문회사 등으로 취업한다.


1.3.8. 해양신소재융합공학과[편집]


  • 개관
2018년도에 기계공학부 내 조선기자재공학전공로부터 분리되어 해양신소재융합공학과로 신설되었다.

  • 특징
산학일체형 사업으로 조선해양기업이 상주해있는미음캠퍼스에서 간헐적으로 수업을 하는 학과에 해당한다.
연구실로는 복합재료응용공학실험실, 전자재료실험실, 선박의장설계실험실, 첨단소재가공 및 적층제조연구실, Metalcasting Research Lab이 있다.


1.3.9. 제어자동화공학부[편집]


학부과정으로 제어계측공학전공, IT융합전공으로 나뉜다.

  • 개관
14년까지 IT공학부 산하 컴퓨터정보공학과와 제어자동화공학과가 존재하였는데 15년부터 컴퓨터정보공학과가 해사대로 옮겨지고사실상 폐지 이후 신설 제어자동화공학과만 남게 되었다. 다만, 14학번까지는 컴퓨터정보공학과 학생이 공대소속으로 존재한다.

  • 특징
연구실로는 제어기기실험실, 지능제어실험실, 영상처리실험실, 해상통신실험실, 지능로봇실험실, 사이버마린시스템실험실, 자연언어처리실험실, SoC설계실, 자동화실험실, 컴퓨터응용실험실이 있다.



2. 대학원[편집]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은 본교 졸업생들도 많지만 주로 인서울권이나 지거국을 졸업하고 해양 관련 전문 과정을 거치기 위해 입학하는 학생이나 본인 역량 강화를 위해 사회생활을 하는 기업인이나 개인들도 다수 있다. 흔치 않거나 독점적으로 다루는 학문들이 많아서 그런데, 그 예로 많은 수요를 필요로 하는 해상변호사나 해운회사 기업운영을 위해 해사법학전공 대학원이나 해양금융대학원, 전국에서 유일무이한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을 수료하기 위해 그렇다.


2.1. 일반대학원[편집]



2.1.1. 석사[편집]


  • 인문사회
    • 해운경영학과
    • 해사법학과
해사법, 공법, 형사법, 국제법, 민사법, 상사법 분야에 관한 강좌들을 개설, 전공분야의 법학이론과 실제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해사법 분야에 관하여 국내에서 독보적인 학과이다.
  • 무역학과
  • 영어영문학과
  • 통상행정학과
  • 국제지역문화학과

  • 협동과정
    • 해양문화콘텐츠융복합전공(해양문화콘텐츠융복합전공, 해양문화디자인융복합전공)
    • KMI 학연협동과정 [해양정책융복합전공(인문·사회계), 해양산업융복합전공(이공계)]
KMI-KMOU 학연협동과정은 세계적 수준의 해양융복합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한국해양대학교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학연협력 대학원'으로, 대학원생 전원에게 학비, 학술연구활동지원비 및 기숙사를 제공하며, 학위 취득 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및 해양관련기관으로의 취업을 적극 지원한다. 재학 중에는 해양이 갖는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이수체계에 따라 수학하게 되며 KMOU 교수뿐만 아니라 KMI 소속의 교수로부터 공동지도를 받게 된다.
참여학부로는 국제대학의 해운경영학부, 해사법학부, 국제무역경제학부, 공과대학의 물류시스템공학과, 해양과학기술대학의 해양체육학과, 해양공간건축학과, 해사대학의 해사수송과학부가 있다. 참고로 전일제(Full-Time) 수강 가능자만 가능하고, 연구소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교통연구원, 기업체로는 다양한 상선회사, 커머셜사업부 등으로 취업한다.
파일:kmi.png



  • 계약과정
    • 국제관세학과
국제관세학과는 한국해양대학교와 부산경남본부세관의 관·학협력을 통해 전국 최초로 공공기관에 설립된 대학원 석사과정으로서, 신항 개장과 함께 세계 최대 항만으로 위치한 부산항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부산경남본부세관의 U-port구축 및 배후물류단지 활성화를 행하고자 하며, 이에 해외 우수 항만들과의 경쟁력을 위한 관세행정 및 통관·물류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전문 지식을 학습한다.

  • 자연과학
    • 데이터정보학과
    • 해양생명환경학과

  • 공학
    • 기계공학과
    •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 전자통신공학과
    • 해양공학과
    • 해양에너지자원공학과
    • 물류시스템학과
    • 제어계측공학과
    • 조선기자재공학과
    • 냉동공조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 전파공학과
    • 토목환경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 전자소재공학과
    • 해양건축공학과
    • 해양정책학과
    • 기관시스템공학과
    • 항해학과
    • 기관공학과
    • 해양경찰학과
    • 해양플랜트운영학과

  • 예체능
    • 스포츠융합학과


2.1.2. 박사[편집]


  • 인문사회
    • 해운경영학과
    • 해사법학과
    • 무역학과
    • 영어영문학과
    • 통상행정학과
    • 국제지역문화학과

  • 협동과정
    • 해양문화콘텐츠융복합과정(해양문화디자인융복합전공, 해양문화콘텐츠융복합전공)

  • 자연과학
    • 데이터정보학과
    • 해양생명환경학과

  • 공학
    • 기계공학과
    •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 전자통신공학과
    • 해양공학과
    • 해양에너지자원공학과
    • 물류시스템학과
    • 제어계측공학과
    • 조선기자재공학과
    • 냉동공조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 전파공학과
    • 토목환경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 해양건축공학과
    • 해양정책학과
    • 기관시스템공학과
    • 항해학과
    • 기관공학과
    • 해양경찰학과


2.2. 전문대학원[편집]



2.2.1.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OST)[편집]


파일:OST.png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와 공동으로 설립한 전문대학원으로, 총 6개의 연구그룹으로서, 『1)해양기후 연구그룹』, 『2)해양생명 연구그룹』, 『3)해양환경 연구그룹』, 『4)해양에너지・자원 연구그룹』, 『5)해양안전・재해 연구그룹』, 『6)해양선박・플랜트 연구그룹』으로 나뉘어져있고 학과로는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와 해양관리기술학과가 있다.

저명한 교수진으로 이루어져있단 점과 함께 학부 학생에게 소정의 관심만 있다면 어느 학교보다 쉽게 해당 분야의 연구로 뛰어들 수 있단 점으로 미뤄 봤을 때 홍보가 안돼서 그렇지 이는 사실 학연 인프라가 상당히 좋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우선 해양과학기술과 관련해 교내에 집적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진 학교 자체가 전국에 거의 없는 데다가, 해과기전원은 전국 최초이자 유일하다. 그리고 학교가 주체적으로 KIOST를 통해 석박사를 딸 수 있는 학교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한국해양대 외엔 없다. 물론 학연석박사 협동연구생이라고 한양대, 부산대, 인하대, 충남대, 부경대 일부 학과가 협약돼있지만 일방적인 관계에 불과하므로 전제 자체가 다르다. 위치 또한 학교 바로 맞은편 해양클러스터에 있어 접근성이 좋다.

이외 자세한 사항은 해당 사이트 참조.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대학교

  • 석사
    •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해양관리기술학과
  • 박사
    •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2.3. 특수대학원[편집]



2.3.1. 해사산업대학원[편집]


  • 석사
    • 해사수송과학과, 기관시스템공학과, 해양교통학과, 기관공학과, 해양플랜트운영학과, 조선․해양․건축공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 전기․전자․제어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해양에너지자원공학과, 해사법학과, 해사행정학과, 컴퓨터공학과


2.3.2. 해양금융대학원[19][편집]


  • 석사
    • 해양금융학과
한국해양대는 2017년 9월 금융위원회부산광역시를 통해 ‘금융중심도시’ 부산에서 금융대학원 설립을 지원할 교육기관으로 선정됐고, 이에 해양금융대학원을 개원하게 되었다. 특히 해양금융은 금융뿐만 아니라 해운, 조선 등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고 있어 해당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받았고, 해양금융대학원은 4차 산업혁명으로 급변하고 있는 금융환경에 알맞은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우리나라 해운과 조선 등을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해양금융 전문인을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3.3. 글로벌물류대학원[20][편집]


  • 석사
    • 해운항만물류학과

2.4. 폐과[편집]



2.4.1. 교육대학원[편집]


2018년 6월 7일 학칙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3. 계약학과[편집]


  • 국제대학
    • 경제산업학부 (경제학전공, 금융학전공, 무역학전공)
    • 법무비즈니스학과
  • 해양군사대학[21]
    • 해양군사학부
    • 해양군사학과 (석사/박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8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
, 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8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
, 4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1:55:45에 나무위키 국립한국해양대학교/대학 조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구 해양과학기술대학·공과대학.[2] 2018년 6월 7일 학칙 개정으로 해양금융‧물류대학원으로부터 분리되었다.[3] 2018년 6월 7일 학칙 개정으로 해양금융‧물류대학원으로부터 분리되었다.[4] 기존 항해과가 전문성을 위해 공학적인 부분은 운항과로 분리된 이후, 법, 보험, 경영분야를 전문화한 학부로 항해본과이다.[학부] 통합으로 기존 해사수송과학부과 항해 융합학부로 분리되었다[5] 전신으로 운항시스템공학부가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졸업시 이학사가 아닌 공학사를 수여받는다. 하선 이후 대학원 진출을 고려해 만들어진 학부로 이과적 성향을 띠는, 기관계열 학생들이 배우는 공학적인 과목을 수강하기 때문에 이를 염두에 둬야 한다.[6] 2015년 신설학과다. 약칭 G. 국제대학에 있던 유럽학과가 15학년도부터 신입생을 받지 않게 되었다. 대신 학과를 옮겨 15학년도부터 해사대학 산하학부가 되었다. 유럽학과의 경우 학과 폐지 반대운동을 진행하고 학교 곳곳에 대자보를 붙이는 등 14년도 1학기에는 활발한 운동을 진행하였으나 어느 순간 잠잠해져버렸다.[7] 기관본과이다[8] 전신으로 선박전자기계공학부(ME)가 있다. 2011년 기관공학부로 바뀌었다. 하지만 해대에서 보통 기관과라고 하면 기관시스템공학부를 가리킨다.(전통 항해과가 해사수송과학부인 것과 같은 이치) 기관시스템공학부와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이쪽은 3학년 때 한 학기만 개인실습을 나가고 나머지 한 학기는 승선생활관에서 지내며 용접 등의 육상실습을 진행한다.[9] 2015년 신설학과다. 약칭 IT. 학과장이 어중간하게 생긴 와이파이 로고 모양이다. 공과대학에 있던 IT공학부의 컴퓨터정보공학과가 15학년도부터 신입생을 받지 않게 되었다. 대신 학과를 옮겨15학년도부터 해사대학 산하학부가 되었다. 컴공과 유럽학과가 해사대학 산하로 옮겨지게 된 것은 교육부, 국회, 해양산업종사자 등 많은 이익관계가 얽힌 사건이다. 몇 해 전부터 국가차원에서 수준미달학과를 폐지하도록 압박을 넣기 시작했고 이에 많은 대학들이 학과를 축소, 폐지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해양대의 경우 해양산업계에서 인력난이 심각하다며 국회에 해사대 증원을 하라고 압박을 넣었고 국회는 그것을 승인하였다.(해사대의 경우 학생모두가 전액 장학금을 받으므로 국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그렇게 해양대는 인원 감축이 아니라 증원을 하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인근 대학들은 모두가 인원축소를 하는 가운데 해양대만 증원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며 교육부에 항의하게 되었다. 해양대는 교육부에게서 이러한 사실을 전달받게 되었고 주위 대학과 교육부가 만족할 만한 절충안인 학과이전을 시행하게 되었다. 이로써 해양대는 전체인원수는 그대로지만 해사대학의 인원은 증가하게 되었고 업계와 주위 대학 모두 만족하게 되었다. 문제는 학과이전을 하는 과정에서 아직까지 기존 학과학생들에게 적절한 보상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기존 학생들은 기존의 커리큘럼대로 진행하여 졸업을 시켜주겠다고는 하였으나 그것은 당연한 것이지 보상이 되지는 않는다.[10] 과거 경위특채가 존재하던 시절에는 상위 4%의 입결을 보이며 모든 학부를 씹어먹는 기염을 토했으나, 폐지 후 임용계급이 낮아지면서 자연스레 밀리게 되었다. 2008년에는 경사특채도 사라지고 경장특채로 변경되고 2009년에는 순경특채화되는 등 점점 특채계급이 다운되고 있다. 그래도 해경간부후보생 합격에서 다른 출신들에 비해 압도적인 비율을 보여준다.2012년2014년 1학년 때 항해전공/기관전공을 선택할 수 있으며, 항해전공 선택자가 많은 편이다.[11] 2011년 신설학과로,족보상으로는 ME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한다. 항해전공/기관전공을 선택할 수 있으며, 기관전공 선택자가 많은 편이다. 2021학년도부터 기괸시스템공학부로 통폐합된다.[12] 2019년[13] 프랑스 해운운송회사[14] 구 해양과학기술대학·공과대학.[15] 88년도 신설[16] 한국해양대, 부경대, 전남대 여수캠퍼스, 동명대로, 주로 해양이나 수산과 관련된 학과들이 개설된 학교들에 있다.[17]SK텔레콤[18] 한국해양대, 충남대, 공주대.[19] 2018년 6월 7일 학칙 개정으로 해양금융‧물류대학원으로부터 분리되었다.[20] 2018년 6월 7일 학칙 개정으로 해양금융‧물류대학원으로부터 분리되었다.[21] 대한민국 해군과 계약한 학과로 현역 해군이 교육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