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오그란데강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은하영웅전설에 등장하는 우주전함에 대한 내용은 리오그란데(은하영웅전설) 문서
리오그란데(은하영웅전설)번 문단을
리오그란데(은하영웅전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존 포드 감독의 서부극에 대한 내용은 리오 그란데 문서
리오 그란데번 문단을
리오 그란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
[ 아시아 ]
아시아
중국황하 · 장강 · 회하 · 황푸강 · 주강 · 송화강 · 요하 · 한수 · 위수 · 타림강 · 펀허강 · 하이허 · 호타하 · 목단강
일본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아라카와강 · 시나노강 · 도네강 · 덴류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가와 · 쿠즈류가와
대만아이허
동남아시아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이라와디강 · 똔레쌉 · 카푸아스강 · 뱅완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 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 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갠지스강 · 인더스강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톤레산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추 강 · 일리 강
북아시아 · 몽골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 유럽 ]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 강 · 마른 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 강 · 론 강 · 가론 강 · 에브로 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 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 강 · 엘베강 · 오데르 강 · 비스와 강 · 이손초 강 · 부크 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 강 · 다우가바 강 · 드니프로강 · 네바 강 · 모스크바 강 · 바트강 · 베저 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 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 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 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 강 · 옴강 · 레크 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 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 강 · 남부크 강 · 사바 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마리차 강 · 머지 강 · 메드웨이강 · 세번 강 · 트렌트 강 · 네카어강 · 모젤 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 강 · 도루 강 · 후카르 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 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 아프리카 ]

[ 아메리카 ]


리오그란데강
Rio Grande River
파일:rio grande.jpg
1. 개요
2. 위치
3. 어원
4. 기타



1. 개요[편집]


미국-멕시코 국경을 흐르는 이다. 미국 콜로라도주 로키산맥에서 발원, 뉴멕시코주까지는 미국 영토 내에서 흐르다가 텍사스에서 멕시코와의 국경을 이룬다. 최종적으로 대서양으로 이어지는 멕시코만의 하류로 빠진다.

리오그란데강은 길이가 3,051km이며 미국에서 다섯 번째, 전 세계로는 스무 번째로 긴 하천이다. 하천의 침식 작용이 심하므로 대부분 지역에서 강폭이 좁은 편이다.

이 강의 특징은 본류의 강폭이 100m(328피트) 내외, 좁은 곳은 20~25m에 불과한 대신 유속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여행자들이 유념해야 한다. 지류의 경우, 가뭄이 심할 때는 강바닥을 드러내며 메마르기도 한다.

2. 위치[편집]


리오그란데강은 콜로라도에서 발원하여 뉴멕시코를 동서로 가르며 남쪽으로 흐르고 텍사스멕시코를 나누며 멕시코만으로 흐른다. 뉴멕시코의 앨버커키와 라스 크루세스를 지나며 텍사스의 엘파소와 멕시코의 시우다드후아레스를 가로지른다. 한편, 본래 미국-멕시코의 국경은 이 강보다 훨씬 북쪽에 있었지만,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패한 멕시코가 과달루페 이달고 협정으로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여 리오그란데강을 국경선으로 삼았고 현재는 미국-멕시코 국경을 이루고 있다.


3. 어원[편집]


Rio는 스페인어로 '강(江)', Grande는 '크다'는 뜻으로, 말 그대로 ‘큰 강’ 이다. 정작 멕시코에서는 리오 브라보(Río Bravo del Norte)라 부른다고 한다. 한국에서 리오그란데강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미국, 캐나다에서도 Rio Grande River 같은 식으로 부르다 보니 역전앞 같은 표현이 되어버렸지만 지명은 고유 명사라서 소통에 문제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당연히 현지인도 단번에 알아듣는다.

'리오그란데 강'으로 많이 적히지만, 표기법상 리오그란데강으로 붙여 적는 게 맞다.

The Rio Grande River


4. 기타[편집]


앞서 언급하였듯이 강폭이 좁다 보니 운이 좋으면 헤엄쳐서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밀입국하려는 중남미 난민들의 익사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미국에서 멕시코인을 폄하하는 'Wetback'이란 단어도 리오그란데강을 몰래 건너다가 익사해서 엎어진 채로 떠오르는 밀입국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10 01:36:05에 나무위키 리오그란데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