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라이어 벨

덤프버전 :


파일:미국 피겨 선수권.png

[ 펼치기 · 접기 ]
1회(1914년) ~ 50회(1963년)

[ 펼치기 · 접기 ]
1회
1914 뉴헤이븐
테레사 웰드
2회
1915
취소WWI
3회
1916
취소WWI
4회
1917
취소WWI
5회
1918 뉴욕시
로즈메리 베리스퍼드
6회
1919
미개최
7회
1920 뉴욕시
테레사 웰드
8회
1921 필라델피아
테레사 웰드
9회
1922 보스턴
테레사 웰드
10회
1923 뉴헤이븐
테레사 웰드
11회
1924 필라델피아
테레사 웰드
12회
1925 뉴욕시
비어트릭스 로크런
13회
1926 보스턴
비어트릭스 로크런
14회
1927 뉴욕시
비어트릭스 로크런
15회
1928 뉴헤이븐
메리벨 빈슨
16회
1929 뉴욕시
메리벨 빈슨
17회
1930 프로비던스
메리벨 빈슨
18회
1931 보스턴
메리벨 빈슨
19회
1932 뉴욕시
메리벨 빈슨
20회
1933 뉴헤이븐
메리벨 빈슨
21회
1934 필라델피아
수잰 데이비스
22회
1935 뉴헤이븐
메리벨 빈슨
23회
1936 뉴욕시
메리벨 빈슨
24회
1937 시카고
메리벨 빈슨
25회
1938 필라델피아
조앤 토저
26회
1939 세인트 폴
조앤 토저
27회
1940 클리블랜드
조앤 토저
28회
1941 보스턴
제인 본
29회
1942 시카고
제인 본
30회
1943 뉴욕시
그레천 메릴
31회
1944 미니애폴리스
그레천 메릴
32회
1945 뉴욕시
그레천 메릴
33회
1946 시카고
그레천 메릴
34회
1947 버클리
그레천 메릴
35회
1948 콜로라도 스프링스
그레천 메릴
36회
1949 콜로라도 스프링스
이본 C. 셔먼
37회
1950 워싱턴 D.C.
이본 C. 셔먼
38회
1951 시애틀
소냐 크로퍼
39회
1952 콜로라도 스프링스
텐리 올브라이트
40회
1953 허시
텐리 올브라이트
41회
1954 로스앤젤레스
텐리 올브라이트
42회
1955 콜로라도 스프링스
텐리 올브라이트
43회
1956 필라델피아
텐리 올브라이트
44회
1957 버클리
캐럴 하이스
45회
1958 미니애폴리스
캐럴 하이스
46회
1959 로체스터
캐럴 하이스
47회
1960 시애틀
캐럴 하이스
48회
1961 콜로라도 스프링스
로런스 오언
49회
1962 보스턴
바버라 롤스 퍼즐리
50회
1963 롱비치
로레인 핸런

51회(1964년) ~ 100회(2013년)

[ 펼치기 · 접기 ]
51회
1964 클리블랜드
페기 플레밍
52회
1965 레이크플래시드
페기 플레밍
53회
1966 버클리
페기 플레밍
54회
1967 오마하
페기 플레밍
55회
1968 필라델피아
페기 플레밍
56회
1969 시애틀
재닛 린
57회
1970 털사
재닛 린
58회
1971 버팔로
재닛 린
59회
1972 롱비치
재닛 린
60회
1973 미니애폴리스
재닛 린
61회
1974 프로비던스
도로시 해밀
62회
1975 오클랜드
도로시 해밀
63회
1976 콜로라도 스프링스
도로시 해밀
64회
1977 하트퍼트
린다 프래티아니
65회
1978 포틀랜드
린다 프래티아니
66회
1979 신시내티
린다 프래티아니
67회
1980 애틀랜타
린다 프래티아니
68회
1981 샌디에이고
일레인 자약
69회
1982 인디애나폴리스
로잘린 섬너스
70회
1983 피츠버그
로잘린 섬너스
71회
1984 솔트레이크시티
로잘린 섬너스
72회
1985 캔자스시티
티파니 친
73회
1986 유니언데일
데비 토머스
74회
1987 타코마
질 트레나리
75회
1988 덴버
데비 토머스
76회
1989 볼티모어
질 트레나리
77회
1990 솔트레이크시티
질 트레나리
78회
1991 미니애폴리스
토냐 하딩
79회
1992 올랜도
크리스티 야마구치
80회
1993 피닉스
낸시 케리건
81회
1994 디트로이트
-
82회
1995 프로비던스
미셸 콴
83회
1996 산호세
타라 리핀스키
84회
1997 내슈빌
미셸 콴
85회
1998 필라델피아
미셸 콴
86회
1999 솔트레이크시티
미셸 콴
87회
2000 클리블랜드
미셸 콴
88회
2001 보스턴
미셸 콴
89회
2002 로스앤젤레스
미셸 콴
90회
2003 댈러스
미셸 콴
91회
2004 애틀랜타
미셸 콴
92회
2005 포틀랜드
미셸 콴
93회
2006 세인트루이스
사샤 코헨
94회
2007 스포캔
키미 마이즈너
95회
2008 세인트 폴
미라이 나가수
96회
2009 클리블랜드
알리사 시즈니
97회
2010 스포캔
레이첼 플랫
98회
2011 그린스보로
알리사 시즈니
99회
2012 산호세
애슐리 와그너
100회
2013 오마하
애슐리 와그너

101회(2014년) ~

* 토냐 하딩 사건으로 인해 1994 전미선수권 챔피언 토냐 하닝의 타이틀을 박탈함.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3 : 남자 | 여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일본 국기.svg 전일본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이름
머라이어 샤이엔 벨(Mariah Cheyenne Bell)
국적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출생
1996년 4월 18일 (28세)
오클라호마 주 털사
신체
160cm
종목
피겨 스케이팅
은퇴
2022년 10월 13일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2011-12 시즌
2.2. 2012-13 시즌
2.3. 2013-14 시즌
2.4. 2014-15 시즌
2.5. 2015-16 시즌
2.6. 2016-17 시즌
2.7. 2017-18 시즌
2.8. 2018-19 시즌
2.9. 2019-20 시즌
2.10. 2020-21 시즌
2.11. 2021-22 시즌
2.12. 2022-23 시즌
3. ISU 공인 최고점수
4. 프로그램
5. 커리어
6. 사건사고



1. 개요[편집]


미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한국에서는 2019 세계선수권 당시 임은수를 스케이트 날로 가격한 사건의 범인으로 유명하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참조. (제 2의 토냐하딩)

2. 선수 경력[편집]


4살 때 스케이트를 타기 시작했고, 2009-10 시즌부터 주니어 데뷔 연령이 되었지만 자국에서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다.

2.1. 2011-12 시즌[편집]


시니어가 가능한 연령인 만 15세가 되어서야 국제대회에 모습을 드러냈다. 2012 전미 주니어선수권에서 5위를 하고, 가데나 스프링 트로피 주니어 부문에 출전하여 은메달을 땄다.

2.2. 2012-13 시즌[편집]


2013 전미 주니어선수권에서 은메달을 땄다.

2.3. 2013-14 시즌[편집]


만 17세가 되어서야 주니어 그랑프리에 데뷔하여 주니어 그랑프리 2차 2013 JGP 멕시코 대회에서 동메달을 땄다. 이어진 주니어 그랑프리 4차 2013 JGP 폴란드 대회에서는 7위를 했다. 2014 전미선수권에 시니어로 참가하여 13위를 기록했다.

2.4. 2014-15 시즌[편집]


시니어 첫 국제대회에 나서, 챌린저 시리즈 네벨혼 트로피에서 5위,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서 8위를 기록했다. 2015 전미선수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2.5. 2015-16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13위,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에서 6위를 기록했다. 자국 그랑프리인 2015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추가 배정을 받으며, 만 19세의 나이에 시니어 그랑프리에 데뷔했다. 이 대회에서 8위를 기록했다. 2016 전미선수권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2.6. 2016-17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은메달,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6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은메달을 따며 첫 그랑프리 시리즈 메달을 얻었다. 이어서 챌린저 시리즈 탈린 트로피에도 참가해 4위를 기록했다. 2017 전미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따며 첫 내셔널 포디움에 들었다. 2017 사대륙선수권에서 6위, 2017 세계선수권에서는 12위를 기록했다.

2.7. 2017-18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5위를 했다. 2017 로스텔레콤 컵에서 6위, 2017 NHK 트로피에서는 9위를 했다. 2018 전미선수권에서는 5위를 하여 올림픽 대표로 뽑히진 못했지만 2018 사대륙선수권에 출전해 5위를 기록했다. 2018 세계선수권카렌 첸애슐리 와그너가 모두 기권해 대신 참가하여 12위를 기록했다.

2.8. 2018-19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네벨혼 트로피에서 4위를 기록했다. 재팬 오픈에 북아메리카 팀으로 출전해 개인 5위, 팀 3위를 기록했다. 2018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4위, 2018 NHK 트로피에서 5위를 기록했다. 챌린저 시리즈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도 참가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9 전미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고 자국에서 열린 2019 사대륙선수권에서는 5위에 올랐다. 2019 세계선수권에서는 9위를 기록했다. 2019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6위, 팀 1위팀원빨로를 기록하며 미국 팀이 우승을 차지했다.

2.9. 2019-20 시즌[편집]


2019 CS 네벨혼 트로피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그랑프리 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9 로스텔레콤 컵에도 동메달을 획득했지만 합산 포인트에서 밀려 파이널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2020 전미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 시즌은 미국 연맹에서 브래디 테넬알리사 리우 이외에 마땅히 밀어줄 선수가 없어서인지 시니어 데뷔 이후 가장 점수 보정을 많이 받은 시즌이었다. 수행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예전에는 2군 느낌이었다면, 지금은 1군으로 상승하여 그랑프리 시리즈 메달을 따올 수 있는 포지션으로 급전환되었다. 물론 컨시는 굉장히 좋아졌으나, 고질적인 회전수 부족은 거의 지적받지 않았고 구성점도 많이 받았다.

2.10. 2020-21 시즌[편집]


2번의 ISP 포인트 챌린지(온라인 경기)에서 202.78점으로 1위, 194.35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1,2차 합산 결과 최종 순위는 202.78점으로 1위에 올랐다.
2020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3-3 랜딩이 불안했으나 76.48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2개의 연결 트리플 토룹을 더블로 처리하고, 트리플 러츠에서 다운그레이드 판정을 받으면서 넘어져 136.25점을 받았다. 총점 212.73점으로 첫 그랑프리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코로나로 인해 자국 선수들 위주로 초청한 대회라, 내셔널 급으로 점수를 받아 오버스코어였다는 비판이 많았다. 이후 라스베이거스 인비테이셔널에서 개인 2위, 팀 2위를 기록했다.

2021 전미선수권에서는 쇼트 점프에서 단독 트리플 러츠 점프에 쿼터 판정을 받아 72.37점을 기록했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플립에서 넘어지고 트리플 룹의 랜딩이 불안했으며, 후반 트리플 플립을 단독으로 처리하여 REP 판정을 받았다. 이어서 바로 트리플 러츠에 연결 점프들을 연결했으나 러츠에 쿼터 판정을 받는 등 전체적으로 좋지 못한 수행을 하여, 총점 199.95점으로 최종 5위를 기록했다.

2.11. 2021-22 시즌[편집]


비공인 대회인 크랜베리 컵에 출전하여 3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그랑프리 2021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2021 로스텔레콤 컵에서는 각각 6위와 4위를 기록했다.
2022 전미선수권에서는 처음으로 빈집털이 우승[1]을 차지했는데, 이는 전미선수권 여자 싱글 역사상 최고령(만 25세) 우승자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10위를 기록했다.

2022 세계선수권 쇼트 경기에서 연결 트리플 토룹에 쿼터 판정을 받아 72.55점을 받았다.[2] 프리 경기에서는 후반 트리플 러츠+더블 토룹의 랜딩이 좋지 않았고, 단독 트리플 러츠에 쿼터 판정을 받아 136.11점을 받았다. 총점 208.66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2.12. 2022-23 시즌[편집]


2022년 7월 24일에 발표된 그랑프리 대회 참가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선수 본인이 특별한 입장 발표가 없는 사항이라 개인적으로 스킵한 것으로 보인다.

10월 13일 한국 시각으로 아침 6시경, 개인 SNS 계정으로 은퇴를 발표했다.

3.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
72.55(2022 세계선수권)
프리
142.64(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
총점
212.89(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

4. 프로그램[편집]


시즌
쇼트(SP)
프리(FS)
갈라(EX)
2021-2022
River Flows in you
by 이루마
할렐루야
by k.d.lang
레이디 가가 모음곡
• 911
Rain On Me
(From Chromatica)
레이디 가가 모음곡
• 911
Rain On Me
(From Chromatica)
Both Sides Now
by 조니 미첼
샤니아 트웨인 모음곡
2020-2021
Glitter In the Air
by Billy Mann and P!nk
ABBA 모음곡
• The Winner Takes It All
• Mamma Mia
• Thank You for the Music
Always Remember Us This Way
by 레이디 가가
2019-2020
브리트니 스피어스 모음곡
• Radar
• Work
할렐루야
by k.d.lang
2018-2019
To Love You More
by David Foster,
Edgar Bronfman Jr.
• Divenire
by Ludovico Einaudi
• Experience
by Angèle Dubeau
Stand By Me
by Florence + The Machine
2017-2018
시카고 OST
• Roxie
by Renée Zellweger
• All That Jazz / Overture
by John Kander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by 레너드 번스타인
Rise Up
by Andra Day
Across the Universe
by 비틀즈
2016-2017
시카고 OST
• Roxie
by Renée Zellweger
• All That Jazz / Overture
by John Kander
에덴의 동쪽
by Lee Holdridge
2015-2016
Storm Cry
by David Arkenstone
Born on the Fourth of July
by 존 윌리엄스
-
2014-2015
Little Talks
by Of Monsters and Men
타이타닉 OST
제임스 호너
2013-2014
베사메 무초
by Consuelo Velazquez
• 말라게냐
by Ernesto Lecuona
On Golden Pond
by Dave Grusin
2012-2013
I'm a Doun
by 바네사 메이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by Joshua Bell
-
2011-2012
맥 앤 마블
by Jerry Herman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by 히사이시 조
Andante sostenuto
by Max Bruch
2010-2011
에덴의 동쪽
by 레오나르도 로젠만
캣츠
by 앤드루 로이드 웨버
-

5. 커리어[편집]


월드 팀 트로피
금메달
2019 후쿠오카
단체전

국제대회:시니어
대회
11–12
12–13
13–14
14–15
15–16
16–17
17–18
18–19
19–20
20–21
21–22
22–23
올림픽










10th

세계선수권





12th
12th
9th
C

4th

사대륙선수권





6th
5th
6th




GP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








3rd

6th

GP 스케이트 캐나다







4th




GP NHK 트로피






9th
5th




GP 로스텔레콤 컵






6th

3rd

4th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8th
2nd



1st


CS 아시안 오픈 트로피










WD

CS 탈린 트로피





4th






CS 네펠라 트로피




13th
3rd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




6th
2nd
5th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8th



3rd




CS 네벨혼 트로피



5th



4th
1st



크랜베리 컵










3rd

국제대회:주니어
JGP 폴란드


7th









JGP 멕시코


3rd









가데나 스프링 트로피

2nd J










국내대회
전미선수권
5th J
2nd J
13th
6th
11th
3rd
5th
3rd
2nd
5th
1st

ISP 포인트 챌린지









1st


단체전
월드 팀 트로피







1st T
6rd P




재팬 오픈







3rd T
5th P



2nd T
3rd P
라스베이거스 인비테이셔널









2nd T
2nd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J=주니어, T=팀 결과, P=개인 결과, C=취소

6. 사건사고[편집]


2019 세계선수권 쇼트 당일날 공식 연습에서 임은수의 종아리를 스케이트 블레이드 날로 가격했다. 이에 임은수의 소속사인 올댓스포츠에서 공식 입장을 밝혔다. 사고 당시 치료를 받는 모습도 올라왔다. 오래 전부터 임은수에게 폭언 및 미국 전지훈련장에서 연습 방해를 해왔다고 하고, 올댓스포츠에서 항의하여 라커룸까지 따로 쓸 정도로 격리되었다고 한다. 임은수의 종아리 가격 당시 일절 사과도 없었으며,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훈련을 계속 했다고 해서 스포츠맨십을 떠나 인종차별 논란이 예상되었다. 피겨계를 아는 사람들은 25년 전에 일어났던 토냐 하딩 사건을 연상했다.[3] 불링의 여신

사건 당시 벨의 前 남자친구이자 프랑스의 남자 싱글 선수인 로망 퐁사르도 인스타그램임은수를 거짓말쟁이로 모는 저격글을 올렸다가 쏟아지는 비난에 비공개로 전환했다. 벨-퐁사르 커플과 친한 아담 리폰트위터에 "벨-임은수 일은 사고였다. 거짓말을 퍼트리지 마라."라는 글을 올리며 벨이 홈 링크에서 임은수를 지속적으로 괴롭혀온 사실도 부정했다. 미국 피겨 스케이팅 연맹에서 공식 사과를 함으로써 사건이 일단락되었다.[4]
[1] 전년도 우승자인 브래디 테넬은 부상으로 시즌을 통으로 스킵했고, 쇼트 경기가 끝나고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은 알리사 리우와 전년도 준우승자인 앰버 글렌이 기권했다.[2] 다만 오버스코어라는 반응이 많다.[3] 괴한이 둔기로 낸시 케리건의 무릎 위 허벅지를 내려친 사건이다. 차이점이 있다면 벨은 본인이 직접 스케이트 날로 임은수의 종아리 쪽을 가격한 반면, 토냐 하딩은 본인이 아닌 자신을 경호한 사람을 시켜서 케리건의 허벅지를 둔기로 가격했다는 것이다.[4] 임은수와 올댓스포츠 측에서는 일이 커지기보단 사과를 받고 끝내는 것으로 결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2:54:54에 나무위키 머라이어 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