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8일
덤프버전 : r20230302
1. 개요[편집]
1년의 108번째(윤년의 경우 109번째) 날에 해당한다.
2. 사건[편집]
2.1. 실제[편집]
- 1906년(수) - 샌프란시스코에서 대지진이 일어났다.
- 1942년(토) - 둘리틀 특공대의 B-25편대가 항공모함 호넷에서 발진하여 일본 본토에 폭격작전을 수행했다. 무모한 작전이었지만 이 작전이 일본에 끼친 영향은 어마어마했다. 바로 1년 후에 일본 해군 항공을 주도하였던 야먀코토 이로소쿠가 4월 18일에 전사한 것. 사실, 전사되지 않을 수 있었지만, 이 인물보다 유능한 이는 없다는 평가에 니미츠 당시 해군 제독은 이를 존중하고, 시행된 것이라 일본으로서는 방공망에 대한 트라우마를 상징할 만한 날짜다.
- 1960년(월) - 이승만 정권에 항의하여 고려대학교 중심의 학생들이 시위를 펼쳤고, 정부의 무자비한 진압으로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다음 날인 4월 19일 타 대학교 학생들이 시위에 합류하면서 전국적인 독재 타도 운동이 전개되었다. 고려대학교에서는 이 시위를 기념하기 위해 매년 4월 18일 중앙광장에서 4.19 국립묘지까지 마라톤 행사와 4.18 구국대장정이라는 행사를 실시한다.
- 1963년(목) - 철도특별사법경찰대가 설립되었다.
- 1980년(금) - 짐바브웨가 영국으로부터 정식 독립했다.
- 2000년(화)
- 롯데 자이언츠의 포수 임수혁이 이날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LG 트윈스와의 경기 도중 부정맥으로 인한 심장마비 증세로 쓰러졌다.[1]
- 캔다스 뉴메이커 살인 사건이 일어났다.
- 국내 일부 지역의 현역 중2(1986년생)를 대상으로 2000년 제1회 영어듣기평가가 시행되었다.
- 2001년(수) - 국내 일부 지역의 현역 중3(1986년생)을 대상으로 2001년 제1회 영어듣기평가가 시행되었다.
- 2002년(목) - 국내 일부 지역의 현역 고1(1986년생)을 대상으로 2002년 제1회 영어듣기평가가 시행되었다.
- 2003년(금) - 국내 일부 지역의 현역 고2(1986년생)를 대상으로 2003년 제1회 영어듣기평가가 시행되었다.
- 2007년(수)
- 2008년(금)
- 2009년(토) - 가족오락관이 25년 간의 역사를 마감했다.
- 2012년(수)
- 국내 일부 지역의 현역 중2(1998년생)를 대상으로 2012년 제1회 영어듣기평가가 시행되었다.[연기1]
- 2013년(목) - 국내 일부 지역의 현역 고3(1995년생)을 대상으로 2013년 제1회 영어듣기평가가 시행되었다.
- 2017년(화) - 국내 일부 지역의 현역 고1(2001년생)을 대상으로 2017년 제1회 영어듣기평가가 시행되었다.
- 2018년(수) - 국내 일부 지역의 현역 고2(2001년생)를 대상으로 2018년 제1회 영어듣기평가가 시행되었다.
- 2019년(목) - 국내 일부 지역의 현역 고3(2001년생)을 대상으로 2019년 제1회 영어듣기평가가 시행되었다.
- 2021년(일) - 유럽 명문구단들이 모여 더 슈퍼리그를 창설했다.
- 2022년(월)
-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었다.
- K리그 팀 대구, 전남, 울산이 모두 동남아 팀에 패하는 굴욕을 당한 날이다.
2.2. 가상[편집]
3. 기념일 및 절기[편집]
- 서강대학교 개교기념일
- 13궁 물고기자리 마지막 번째다.
- 13궁 별자리 중에 뱀주인 자리가 추가되어서 1900년부터 2009년까지에서는 4월 18일은 물고기 자리에서 29번째로 뒤에서 1번째의 별자리였지만 2010년부터 그 후 계속까지는 새로 바뀐 별자리 4월 18일이 마지막 번째 물고기 자리가 되었다.
- 충주중학교 개교기념일
4. 축일[편집]
- 성 갈디노
- 성 라세리안
- 복녀 마리아(강생의)
- 성 비테오
- 성녀 아지아
- 성 아폴로니오
- 복자 안드레아 이베르논
- 성녀 안티아
- 성 엘레우테리오
- 성 이데스발도
- 성 제노코
- 성 제부이노
- 성 칼로체로
- 성 코레보
- 성 코지토소
- 성 페르펙토
5. 생일[편집]
5.1. 실존 인물[편집]
- 1545년 - 충무공 이순신율리우스력(~1598년)[당시] : 조선의 군인; 임진왜란의 명장, 맹장, 지장. 한국사에서 유일하게 성웅이라 호칭되는 위인이다.
- 1590년 - 아흐메트 1세(~1617년): 오스만 제국의 14대 술탄
- 1917년 - 프리데리케 루이제(~1981년): 하노버의 공주, 그리스 왕국의 왕비
- 1918년 - 앙드레 바쟁(~1958년): 프랑스의 영화 평론가
- 1947년
- 1953년 - 릭 모라니스: 캐나다의 배우
- 1956년 - 에릭 로버츠: 미국의 배우
- 1961년 - 이순철: 한국의 야구 선수
- 1962년 - 민해경: 한국의 가수
- 1968년 - 이와마 요시카즈: 일본의 유튜버 aiueo700
- 1969년 - 구로다 사야코: 일본의 前 황족. 아키히토 천황의 딸.
- 1970년 - 유영철: 한국의 연쇄살인마
- 1971년 - 데이비드 테넌트: 영국 스코틀랜드의 배우 겸 성우
- 1972년 - 김성재(~1995년): 한국의 가수, 그룹 듀스의 멤버
- 1974년 - 에드거 라이트: 영국의 영화 감독
- 1975년 - 정재헌: 한국의 성우
- 1978년 - 조윤호: 대한민국의 개그맨
- 1979년 - 오지헌: 대한민국의 개그맨
- 1981년
- 1984년
- 1985년 - 시마무라 유: 일본의 성우
- 1988년
- 1989년 - 제시카: 한국의 가수 및 디자이너
- 1990년
- 1992년
- mattyburitto 유튜버
- 원창연: Liiv SANDBOX 소속 피파 온라인 4 프로게이머
- 1994년 - 아미네: 미국의 래퍼
- 1995년 - 디보크 오리기: 리버풀 FC의 공격수
- 1996년 - 박삐삐: 한국의 인터넷 방송인
- 1997년 - 도니 판더베이크: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미드필더
- 2000년 - 유민선: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 2001년 - 산티아고 히메네스: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의 공격수
- 2002년 - 김지민: BLADES 소속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 2006년 - 수리 크루즈: 미국의 배우 톰 크루즈의 딸
- 2009년 - 김민서: 한국의 아역배우
5.2. 가상 인물[편집]
- 고우라이 - 프레임 암즈 걸
- 그리신느 블루메르 - 사쿠라 대전
- 메리베리 - 라피스 리라이츠
- 모모에 마리아 - 크게 휘두르며
- 라기 부치 - Disney Twisted Wonderland
- 신죠 세리카 - 도키메키 메모리얼 3
- 아사히나 노노 - 얼터너티브 걸즈
- 야이바 유아 - 가면라이더 제로원
- 요나가 안지 - 단간론파 시리즈
- 우스이 나오히로, 이시가키 쥰 - 마인탐정 네우로
- 이치죠 카오루 - 가면라이더 쿠우가
- 이스미 신이치로 - 히카루의 바둑
- 자이젠 토키코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카렌 타치바나 - 소울링크
- 카시노 마코토 - 꿈빛파티시엘
- 코디 트래버스 - 파이널 파이트
- 코우지 테츠야 - 신혼합체 고단나
- 코코노에 - 블레이블루
- 쿠와야마 치유키 -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 키타가와 준 - Kanon
- 타이라노 카츠자네 - 머나먼 시공 속에서 2
- 테루시마 유우지 - 하이큐!!
- 하츠메 메이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헨리에타 워홀 - Hello Charlotte
- 히메사토 마리아 - 아이카츠!
6. 기일[편집]
6.1. 실존 인물[편집]
- 1943년 - 야마모토 이소로쿠(1884년~): 일본의 군인
- 1955년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879년~): 독일의 물리학자
- 1972년 - 서보 언털(1910년~): 헝가리의 전 축구선수
- 1988년 - 안토닌 푸치(1907년~): 체코의 전 축구 감독
- 2011년 - 마츠노 아키나리(1979년~): 松野秋鳴, MM!의 작가
- 2018년 - 김상현(1935)(1935년~): 민주당계 정당의 전 의원(6선)
- 2021년 - 헬렌 맥크로리
6.2. 가상 인물[편집]

[1] 스포츠계의 안전불감증이 빚어낸 엄청난 비극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임수혁 문서 참조. 참고로 임수혁은 이날 쓰러진 이후 10년에 걸친 투병 생활 끝에 2010년 숨을 거뒀다.[일정변경1] 4월 11일 선거로 인해 4월 25일 시행.[연기1] 원래 예정일이던 4월 11일에 선거가 있어서 이 날 시행.[원래] '탄신'이라는 낱말의 '신'이 '일'과 똑같은 의미를 내포하는 낱말이다. 쉽게 비유하자면 '어른들의 생일'을 '생신'이라고 높여 사용하는 바와 똑같다. 따라서 '탄신일'이라고 하면 겹말이 된다. 자세한 건 겹말의 한자어+한자어 항목을 참조.[당시] 유럽에서는 그레고리력이 아닌 율리우스력이 사용되고 있어서 그렇다.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면 4월 28일이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충무공 이순신 '탄신'[원래] 을 이 날로 지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