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상 한자

최근 편집일시 :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 펼치기 · 닫기 ]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학년별한자배당표 · 통용규범한자표) ·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인명용 한자표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일본 한자음 · 상고음 · 중고음 · 양안 간의 독음 · 광동어 정음 운동 · 문백이독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나라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한한대사전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가나(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방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입력 · 검색
중국어/입력기 · 창힐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한자


1. 개요
2. 생기는 이유
3. 목록
3.1. 훈을 알 수 없는 한자
3.2. 음을 알 수 없는 한자
3.3. 음훈 모두 알 수 없는 한자



1. 개요[편집]


한자벽자로 등재되어 있거나, 국자(한자)로 분류된 자들 중에서 음과 훈을 알 수 없는 한자들을 정리한 문서.

대다수의 미상 한자의 출전이 강희자전, 옥편 등, 중국 역사 상 왕조들이 편찬한 사전에 기원을 두고 있다.

2. 생기는 이유[편집]


이는 한자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전세계의 문자체계 중 매우 드문 열린 집합에 속하는 문자다.[1] 제자 원리만 안다면 누구나 새 한자를 뚝딱 만들어낼 수 있고, 개중에는 '자기 혼자 쓰려고 만든 글자'도 정말로 있기 때문에[2] 후세의 고고학자들에게 큰 빡침을 선사한다.

벽자 문서에도 서술되어 있는 것으로, 현존하는 한자들 중에는 이러한 미상 한자들이 매우 많은데, 이는 중국의 넓은 영토와 산맥, 사막 등으로 타 지방과 단절되기 쉬운 지리적 특성상, 일부 지방에서만 사용하였던 방언자, 혹은 좡족좡어를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한자인 고장자[3], 월어를 표현하는 쯔놈, 혹은 순전히 작성자의 악필(...)로 추가된 오탈자[4] 또한 옥편, 오음편해, 강희자전 등, 역대 중국 왕조에서 편찬한 한자를 집대성한 사전들에 실렸기 때문이다.

추가로, 한국의 국자와, 일본의 와세이칸지 중에서도 음훈미상의 한자들이 다수 존재하며, 이 중에도 이름자로 사용되어 아예 유니코드 등재조차 되지 않은 한자들이 매우 많은 것도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일본에서는 이러한 독특한 미상 한자들을 일컫어, "유령 문자"로 칭한다.

3. 목록[편집]



3.1. 훈을 알 수 없는 한자[편집]


  • 𪑐[⿰尾黑](믁) : 강희자전에서 설명하기로는, 석전에서 유래되었으며, 설명에는 훈에 대한 설명 없이 음만 꼬리 미와 검을 흑의 반절이라고만 기술되어 있다.

  • 𪒇[⿰黑⿱夳旦](묵) : 음은 묵이고, 뜻은 알 수 없으며, 강희자전에서 출전된 한자로, 설명에는 잠잠할 묵과 발음이 동일하다고 기술되어 있다.

  • 𧀎[⿰艹亠口冖肙](고): 강희자전 1064쪽에서 발췌된 한자로, 음만 "고"라고 기록되어 있다.

  • 𪅝[⿰鳥鳥](조): 강희자전 1500쪽에서 발췌된 한자로, "【편해류편】 음은 조.(【篇海類編】 音鳥。)"라고만 기록되어 있다.

  • 𪙹[⿱齒齒](칩): 강희자전 1536쪽에서 발췌된 한자로, 읽는 방법만 칩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𡷈[山⿰山山](습): 강희자전 311쪽에서 발췌된 한자로, 읽는 방법만 습이라 기록되어 있다.

  • 𡑍[⿰土勞](로): 간체자는 𫭼. 강희자전 239쪽 발췌. 읽는 방법만 "로"라고 알려져 있으며, 뜻은 불명이나 그 대신 중국 산서성 방언인 을로(圪𡑍)[5]에 사용되는 방언자이다. 주산자, 앙가극선에서 전거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弓山](산): 강희자전 357쪽 발췌, 읽은 방법만 "산"이라 알려져 있다.

  • 𠔻[⿱⿰興興⿰興興](정): 오음편해에서 발췌. 읽는 방법만 "정"이라고만 기록되어 있다.

  • 𡷻[⿰山杣](추): 용감수경에서 발췌. 읽는 방법만 "추"라 기록되어 있다.

  • [⿱木彐𢑑](추): 강희자전 542쪽 발췌. 읽는 방법만 "추"라 기록되어 있다.

  • 𩅦[⿰雨單](만, 완):강희자전 1378쪽에서 발췌. "【광운】 【집운】 오나라 왕 손휴장남 이름. 음은 완 (【廣韻】 【集韻】 𠀤烏關切,音彎。【廣韻】 吳王孫休長子名。)" 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뜻에 대한 설명없이 읽는 방법과 유래만이 설명되어 있다. 한국 자전과 네이버 한자사전에는 "사람 이름 완"이라 등재되어 있으나 이 또한 확실한 것이 아니다. 다만 해당 자의 경우에는 피휘 문화로 손휴가 장차 왕이 될 자신의 아들을 위해 특별히 문자를 창제했다는 설이 있다.

  • 𠂥(총): 강희자전 83쪽에 따르면, 오음편해에서 전거된 한자라고 하며 설명은 "장과 종의 절, 음은 바쁠 총 ()과 동일. 이상. (【五音集韻】 藏宗切,音悤。從也。)"이라고 적혀있다. 네이버 한자사전에는 '좇을 종'이라는 훈음을 달아놨다.[6]

  • 𱤺[7](팽/붕): 귀주성잠공현지명지 전거. "치벙차이"라는 마을의 이름을 표기할때 사용되는 방언자로 음은 사성음으로 벙(bēng)이라 발음하나 국음은 명확히 알 수 없다. 다만, 해당 한자의 전거 기록에서 치벙차이라는 말이 '여러번 무너진 마을'이라는 뜻에서 지어진 것으로 보아 이 한자가 무너질 붕 ()의 동자일 가능성이 높다.

  • 𱸃(석): 안휘성흡현지명지 전거. 루시컹이라는 마을의 이름을 나타내는데 사용된 한자이다.

  • (노): 푸젠성 및 대만에서 사용되는 방언자로, 음은 노, 훈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 𠀎(모): 한자를 구성하는 부건으로, 훈에 대한 기록이 유실된게 아니라 애초부터 부건으로 사용될 목적의 한자이기에 훈이 존재하지 않는다. 많고 많은 미상 한자들 중에서도 희귀한 케이스.

3.2. 음을 알 수 없는 한자[편집]


  • 𫙹[8]: 훈은 "블리자드"이며, 음을 알 수 없는 한자이다. 중국 및 한국에서 기원된 한자가 아니며, 최초로 등장한 것으로 보이는 것은 1978년에 출판된 漢字と遊ぶ―現代漢字考現学(한자로 배우는 현대한자고현학)으로 추정된다.

  • : 훈은 "바람이 멎고 바다가 고요해지다."로, 일본에서 창제된 와세이칸지이다. 일본 내에서도 음독이 없으며, 오직 훈독으로만 "나기"라 발음한다. 다만, 대다수 미상 한자들이 벽자인데 반해, 해당 자는 일본 내에서도 정말 많이 사용되는 한자이다.

  • : 훈은 "몬메"로, 몬메는 일본 고유의 무게단위이며, 현대에는 3.75g으로 환산된다. 2010년 일본 한자 개정사업 중 상용자에서 제외된 5개의 글자들 중 하나이다.

  • : 훈은 "비쭈기나무"로, 독음은 존재하지 않고, 일본어 훈독으로 사카키 (さかき)라고 발음한다.

3.3. 음훈 모두 알 수 없는 한자[편집]


  • 𦰩(근?/간?): 상나라 시절부터 사용해온 갑골문에서 내려온 정말 오래된 한자이지만, 현재까지도 음은 물론, 훈도 확실치 않아 의견이 분분한 한자이다. 다만 갑골문이 무언가를 불태우는 듯 한 형상이기에, 인신공희와 관련된 한자라는 설이 현재까지 지배적으로 보인다.
    • 𱕭[9][⿰𦰩𦰩]: 상단의 근/간을 2개 배치한 회의자이자 한국에서 유래된 국자로, 송사 기우만의 송사집을 전거로 두고 있으며, 인명으로 사용되는 한자라고 전해진다.

  • 𡸫[10][⿰山幷]: 진수가 작성한 삼국지에서 초주의 아버지를 설명할 때 처음 등장한 한자로, 현재까지는 삼국지 이전 해당 한자를 사용하였던 기록을 찾을 수 없기에 음과 훈 모두 미상으로 남은 글자가 되었다. 이 탓에, 초주의 아버지를 말할 때에는 자인 영시를 따, 초영시라고 칭하게 되었다. 다만 해당 자의 경우, 초영시의 지연 및 전거인 삼국지의 해당자 성부의 형상을 근거로 하여 (산이름 견)의 오자로 보기도 한다.

  • 𤪠[11]: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채훈의 이름으로 사용된 한자로, 이 외의 용례가 아예 없는 한자이다. 현재는 (질나팔 훈)의 오자로 추정된다.

  • 𬀷[12]: 기원 불명 미상자. 다만 해당자를 성부로 사용하는 한자가 다수 존재한다.

  • 𠂉: 강희자전 81쪽 수록. 설명 없음. 다만 해당 부수가 포함된 의 갑골문 형태 중에 화살 모양이 그려진 형태가 발견되어 현재는 이 글자에서 𠂉 부분이 矢의 생략형이라는 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𠃙: 출전 불명, 아홉 구를 2개 배치한 회의자이다.
  • 𫡤[13]: 일본에서 전거된 와세이칸지로 확인되었다. 관련자로는 모을 집 ()이 존재한다.

  • 𬻅[14]: 기원 불명 미상자. 강희자전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다.

  • 𭁳[15]: 기원 불명 미상자. 강희자전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다.

  • 𱁬[16]: 일본에서 전거된 한자로, 획이 무려 84획에 달하는 압도적인 분량을 지니고 있다. 일부 문헌에서는 음독에 대한 기록이 나오나, 이에 대한 증거가 미비하고, 쇼와에 해당자를 성씨로 사용한 사람이 있다고는 하나 역시 기록이 미비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한자 학회에 따르면 근현대 임의적으로 가장 많은 획수를 지닌 한자 타이틀을 위해 의도적으로 만들었다는 설과, 세로쓰기한 한자 2개를 잘못 봐서 만들어졌다는 오탈자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 𬚩[17][⿳⿲山山山⿲石石石⿱⿲石石石聞]: 일본에서 전거된 와세이칸지로 확인됨. 훈음은 이와쿠라/이와구라로, 뜻과 음독은 알 수 없다. 인명자로 사용된 것으로만 추정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4:46:31에 나무위키 미상 한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비슷한 성격으로 서하 문자가 있다.[2] 사람 이름 완/만이 이런 케이스로 추정된다.[3] 예시 중 하나로, 벌레 이름 뢰는 𧒽(⿰虫雷)로 표기하지만, 좡족에서는 𬠵(⿰虫蜜, 파일:벌레이름뢰-고장자이체.png)로 표기한다.[4] 음훈미상 한자 중, 𤪠의 경우, 질나팔 훈의 오자로 추정되며, 중세-근대의 사례는 아니지만, 일본의 출전 미상의 음훈미상 한자를 칭하는 유령 문자 중, 가 이런 케이스로 출전된 오타로 추정된다.[5] 모퉁이라는 말이다.[6] 근데 새김이 같은 從와 동자라는 설명은 없다.[7] 파일:⿱次⿰次次.svg[8] 파일:200px-U2b679.svg.png[9] 파일:U3156d.svg.png[10] 파일:𡸫.svg[11] 파일:91827272737477474747473747373626151515255227.png[12] 파일:⿱𠂉昜.png[13] 파일:⿱九⿰九九.svg[14] 파일:U+2CEC5.png[15] 파일:U+2D073.png[16] width-100[17] 파일:2c6a9.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