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천지현황명 발

덤프버전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51~1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01~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51~2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01~2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51~3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301~336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 번호 없음 ]
}}}


파일:백자 ‘천’ ‘지’ ‘현’ ‘황’명 발.jpg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286호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白磁 ‘天’‘地’‘玄’‘黃’銘 鉢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백자
수량/면적
4점
지정연도
1995년 12월 4일
제작시기
조선 전기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4. 국보 제286호



1. 개요[편집]


白磁 ‘天’‘地’‘玄’‘黃’銘 鉢. 조선 전기, 1467년(세조 13)~1468년(세조 14) 사이에 경기도 광주시 분원에서 생산된 4점의 조선백자 사발 세트.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다가 2021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되었으며, 대한민국 국보 제286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편집]


높이 11.1㎝, 아가리 지름 21.1㎝, 밑 지름 7.9㎝.

조선 세조의 명으로 1467년~1468년 사이에 사옹원의 분원인 경기도 광주 분원에서 진상되어 올려진 왕의 백자로, 조선 전기 순백자기 중 최상품으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명문이 있는 이 4종의 대접은 1467∼1468년경 왕에게 진상되어 왕실 그릇으로 사용된 것이며, 훗날 조선 후기에 같은 경기도 광주 분원에서 만들어진 백자달항아리와 함께 한국의 순백자 중 최고로 꼽히는 것이다.

600여년 전에 왕의 명으로 만들어진 조선백자 세트로, 달항아리와 함께 한국 백자를 대표하고 있다. 1995년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편집]




4. 국보 제286호[편집]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백자발 4점으로 크기는 높이 11.1㎝, 아가리 지름 21.1㎝, 밑 지름 7.9㎝ 내외이다.

아가리는 밖으로 벌어진 당당한 형태를 보여 주고 있다. 문양은 없고 유약은 잘 녹아 밝은 백색을 띠고 있다. 각각의 굽 안쪽 바닥에는 유약을 긁어서 ‘천, 지, 현, 황’이라는 글자를 새겼다. 이 글자들은 경복궁 근정전 주위에 왕실에서 쓰던 그릇을 보관하던 창고인, ‘천자고, 지자고, 현자고, 황자고’가 있어 그 용도를 구분했던 글자가 아닌가 추정된다.

정선된 바탕흙을 사용하였고 고르게 입혀진 유약, 순백의 색깔, 단정한 굽, 가는 모래 받침들로 보아 왕실에서 사용할 고급 자기를 만들기 위해 국가에서 운영하던 경기도 광주지방의 가마에서 만들어진 듯하다.

이 도자기는 조선 전기 백자로서 백자의 계보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8:27:36에 나무위키 백자 천지현황명 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