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오키 노리치카/선수 경력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아오키 노리치카



1. 프로 이전[편집]



1.1. 아마추어 시절[편집]


중학교 시절까진 상당히 자존심이 강한 스타일로 알려졌으며, 이러한 까닭에 고교시절까지 투수로 뛰었으나 와세다대학에 입학하게 되면서 외야수로 포지션을 변경하게 된다.[1] 아오키를 받아들인 와세다대학은 대단한 황금기를 맞게 되는데, 도쿄 6대학 야구 연맹[2][3]에서 와세다는 4년 연속으로 도쿄 6대학 리그의 패권을 차지했는데, 이 때 타선에서 1번부터 6번까지가 모두 프로 지명이라는 기염을 토한 00학번 세대가 주력을 이뤘다. 이 아오키의 동기들 이외에도 1년 선배로 와다 츠요시, 1년 후배로 다나카 히로야스[4]등의 좋은 선수들이 많았던 시기였는데, 아오키는 주로 2번 타순에 배치되면서 높은 타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동기 유격수 토리타니 다카시(현 한신 타이거스)가 대학리그 3관왕에 오르는 등 타격 관련 타이틀을 싹쓸이해가는 바람에 2인자에 머물 수밖에 없었고, 결국 실적에 비해서는 다소 저평가되어 2003년 드래프트에서 4순위로 야쿠르트에 입단하게 된다.[5]


2. 프로 경력[편집]



2.1.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1기[편집]


파일:external/1cc4e2b5b660a27a62f4edfcdab04be875522f2aa15340a4e13b4f5220759a62.jpg

첫 해인 2004년에는 1군 출장은 적었으나 2군에서 빠른 발 외에도 원래 가지고 있던 타격 재능을 발휘해 2군 타율 .372라는 대단한 실적과 2군 올스타게임 MVP 수상 등 뛰어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2005년에 팀 주력 외야수였던 이나바 아츠노리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로 FA 이적하면서 빈 외야 자리를 차지했다. 처음에는 대학 시절과 마찬가지로 2번 타순에 배치되었으나 신통치 않았는데 1번 타자로 타순을 조정하며 대성공, 풀타임 첫해에 시즌 202안타를 기록하며 1999년 로버트 로즈의 192안타를 넘어 센트럴리그 단일시즌 최다안타 신기록을 세우고 신인왕을 수상하였다.[6] 이후 2010년에 개인통산 두번째 200안타를 달성하면서 일본프로야구 역사상 최초로 200안타 시즌을 2번 가진 선수가 되었다. 그러나 214안타를 치며 본인의 기록을 경신한 맷 머튼 덕분에 2005년처럼 수위타자 - 최다안타 타이틀을 동시에 석권하는 것에는 실패했다.

2011년엔 .292/.358/.360, 4홈런 8도루에 그쳤지만 워낙 투신타병투고타저였던 2011년인지라 컨택 능력엔 크게 의문을 갖진 않는 듯. 다만 팀의 3번을 쳤다 하더라도 도루가 8개에 그쳤다는 점에서 주루 능력이 감소한 게 아닌가 하는 의견이 있었다. 다만 이 해는 아오키뿐만 아니라 센트럴리그 타자들의 도루 개수가 전체적으로 줄어든 시즌이긴 했다.[7]


2.2. 메이저 리그 진출[편집]



2.2.1. 밀워키 브루어스[편집]


파일:external/www1.pictures.zimbio.com/Norichika+Aoki+Milwaukee+Brewers+Photo+Day+HuwJUvZ5Sqwl.jpg

2011 시즌 후 메이저 리그 진출을 시도했고 2012년 1월 17일, 포스팅 시스템에서 250만 달러의 이적료를 써낸 밀워키 브루어스와 2+1년 계약에 합의하였다.

2.2.1.1. 2012 시즌[편집]

사실 아오키가 메이저리그 진출을 선언했을 때 처음에는 메이저리그에 정착하기 쉽지 않을 거란 의견이 우세했는데, 2011 시즌에 미네소타 트윈스로 이적한 니시오카 츠요시좆망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일본 출신 타자에 대한 메이저리그 스카우터들의 평가가 급격하게 나빠진게 그 이유다.[8] 250만 달러라는 비교적 박한 금액이 나온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었다.

처음 입단했을 당시 밀워키 내에서의 아오키의 위치는 백업 외야수였다. 그나마 라이언 브론이 약물 스캔들로 인해 50경기 출장정지를 당하면서 어느 정도 출장 기회는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였으나, 그마저도 브론이 항소에서 이기면서 없던 일이 되자 순식간에 낙동강 오리알이 될 뻔했다. 하지만 여기서 또 하나 운이 따르는데 기존 주전 우익수 코리 하트가 무릎부상을 당하게 되어 외야수비가 힘들어졌고,(이후 하트는 1루수로 전향한다) 그를 대신하여 아오키가 브루어스의 주전 우익수가 된다.

아오키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고, 테이블 세터로 꾸준히 출장하여 밥상을 차리게 된다. 그리고 2012년 4월 21일에 역대 아시아 선수중 두번째로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을 쳤으며[9] 6월 7일에는 시카고 컵스와의 경기에서 선제 솔로홈런을 날리고 3대3 상황인 연장 10회말에는 MLB 데뷔 첫 끝내기 솔로 홈런을 날려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시즌 막판 밀워키가 비스트모드를 보이며 와일드카드 경쟁을 할때 큰 활약을 했다. 한 때 타율이 3할 가까이 올라가기도 했을 정도였으나 막판 두경기에서 대차게 말아먹는 바람에 3할타율은 성공하지 못하였고 팀도 와일드카드 경쟁에서 미끄러져 나갔다. 그래도 팀승률 5할은 넘겼으니까..ㅜㅜ
2012시즌 최종성적은 타율 .288 150안타 10홈런 50타점 30도루. 첫 MLB 풀타임 시즌을 성공적으로 보냈다. 아시아 출신 메이저리거 타자 중에서는 성공사례로 꼽아도 손색없을 정도.


2.2.1.2. 2013 시즌[편집]

2013 홈 개막전에서 3회말 콜로라도의 투수 챠신으로 부터 솔로홈런을 터트리며 첫 번째 팀홈런의 주인공이 되었다. 2013년에는 스타트는 좋았으나 작년보다는 떨어진 활약을 보였다. 시즌 최종 성적은 155경기 .286 .356 .370 171안타 8홈런 37타점 20도루. 테이블 세터로서 그럭저럭 준수한 성적이었지만 장타율이 작년에 비해 6푼 가량 떨어졌고, 도루자도 12개나 당한 것이 흠.

그리고 브루어스의 좌익수 자리에 크리스 데이비스(2번 항목)가 새롭게 떠오르고 라이언 브론도 징계에서 복귀함에 따라 외야에 자리가 없어졌기 때문에 아오키가 트레이드 될 것이라는 전망이 시즌 종료 전부터 돌기 시작했고, 결국 시즌 이후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좌완 윌 스미스와 트레이드 되어 캔자스시티 로열스로 이적하였다.


2.2.2. 캔자스시티 로열스[편집]


파일:external/www2.pictures.zimbio.com/Norichika+Aoki+Kansas+City+Royals+Photo+Day+CQI7LTPrQtal.jpg
구단측에선 알렉스 고든대신 1번 타순에 아오키를 배치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리드오프 자리에 아오키가 더 적임자라고 본듯. 최초 기대와는 달리 시즌 초중반엔 수비, 타격 모든 부분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줬으나 팀의 상승세와 같이 올라가더니 9월 15일부터 벌어진 시카고 화이트삭스와의 3연전에서 무려 12타수 11안타를 기록하면서 팀 역사상 3연전에서 가장 많은 안타를 친 선수로 기록되는 등 9월 22일까지 7경기 타율 0.636을 기록할 정도로 타격에 물이 올라 시즌 막판 타격을 이끌면서 팀을 29년 만에 플레이오프에 올리는데 기여했다. 최종성적은 .285 /.349 /.360 140안타 1홈런 40타점 17도루.

포스트시즌에도 거의 매경기 3타수 1안타 1득점 정도를 해주며 팀이 와일드카드-디비전-챔피언쉽 시리즈를 통과하는데 크게 기여하지만 월드시리즈에서는 타격에서 맛간 모습을 종종 보여주며 결국 경기 후반에 제로드 다이슨과 교체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2.2.3.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편집]


파일:external/www2.pictures.zimbio.com/Arizona+Diamondbacks+v+San+Francisco+Giants+YnmUVuYf1DXl.jpg
2015년 1월 17일 (한국시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1+1년 400만 달러의 FA 계약을 맺었다. 성적에 따라 70만 달러의 바이아웃이 붙어있는 계약. 마이애미 말린스로 이적한 마이클 모스의 공백과 후안 페레즈 외에 풀타임으로 쓸 법한 좌익수가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 보인다.[10] 저지 넘버는 캔자스시티에서 달던 23번을 그대로 달고 출전한다.

시즌 초부터 1번 타자로 나섰고, 3할대 타율을 유지하며 조 패닉과 함께 테이블 세터로 활약했지만, 6월 21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전에서 다저스 선발 카를로스 프리아스의 공에 다리를 맞고 교체되었고, 결국 6월 24일자로 부상자명단에 올랐다.2주 정도 결장할 거라고. 거의 한 달이 넘어서 복귀했지만, 복귀한지 얼마 되지 않아 제이크 아리에타의 공에 머리를 맞으면서 타격감이 죽어버렸고, 이후 뇌진탕 증세까지 보이며 9월 3일 경기를 마지막으로 사실상 시즌 아웃되었다. 이래저래 불운했던 한 해였는데, 결과적으로 메이저리그 진출 이후 처음으로 규정타석을 채우지 못한 시즌이 되었다. 최종 성적은 93경기 0.287 102안타 5홈런 26타점 14도루.

시즌 후에 옵션 사용이 거부되면서 FA로 풀리게 되었다.


2.2.4. 시애틀 매리너스[편집]


파일:external/www.columbian.com/Mariners-Aoki-Baseball.J14-770x0-c-default.jpg
시애틀 매리너스와 1+1년 계약을 맺었다. 2016년도 연봉은 550만달러이고 매년 최대 150만달러까지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인센티브도 계약 내용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반기에는 타율이 2할 5푼을 채 넘지 못하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는데, 그동안 약점을 보이지 않았던 좌완 투수에게 갑자기 약해져버린것도 투수구장인 세이프코 필드의 영향을 받은 것이 컷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시즌 중반에는 부진한 성적과 더불어 팀 내 불펜투수 보강 때문에 마이너리그로 강등되는 굴욕까지 겪어야 했다. 하지만 마이너리그에 다녀온 이후에는 완전히 달라진 모습을 보였는데, 본인 말로는 기술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헬멧과 배트까지 바꾸는 등 절치부심했다고 한다. 그렇게 올스타브레이크 이후 0.339의 타율을 기록하며 부활, 0.283 118안타 4홈런 28타점의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다.

다만 계약 자동 갱신 옵션인 480타석에는 도달하지 못했기에(467타석) 시즌 후 FA로 풀리게 되었는데, 일단 시애틀 측에서는 후반기 활약을 높게 봤는지 옵션과는 별개로 재계약 가능성도 열어둔 상태라고 한다.

시즌 종료 후 웨이버 클레임으로 휴스턴 애스트로스로 가게 되었다. 연봉은 지난 시즌과 같은 550만달러.

2.2.5. 2017 시즌[편집]



2.2.5.1. 휴스턴 애스트로스[편집]

2017년 3월에 열린 WBC에 일본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서 참가했다. 이번 대회 일본팀의 유일한 메이저리거이자 2009 WBC 이후 무려 8년만에 일본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입은 메이저리거가 되었다. 그는 대회내내 팀의 주전 외야수로 활약하며 팀의 4강 진출에 기여했다.

6월 12일(현지시간은 6월 11일) 미일통산 2천안타를 치며 명구회에 가입하게 되었다.

7월 1일 팀이 크게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투수로 등판, 1이닝 3실점을 기록했다. 현재 타율 0.272로 나쁘진 않으나 출장빈도가 줄고있다.

7월 31일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트레이드 되었다. 트레이드 상대는 피츠버그 파이리츠에서 작년까지 뛰다 토론토로 트레이드 됐었던 프란치스코 리리아노로,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와 같이 토론토로 건너가게 되었다.

다만 2017년 월드시리즈에서 휴스턴이 우승함에따라 2017 정규시즌을 휴스턴에서 뛰었던 아오키도 운좋게 월드시리즈 우승반지를 받게 됐다.#


2.2.5.2. 토론토 블루제이스[편집]

현지 시간 8월 6일, 친정팀인 휴스턴과의 원정 경기에서 홈런을 쳤지만 팀 패배에 빛이 바랬다. 이후 제한된 출장기회 속에서도 홈런 3개를 때리는 등 타격 성적은 나쁘지 않았지만 입지를 다지는데는 실패해 8월 28일에 지명할당 조치되었고 곧바로 다음날인 29일에 완전 방출되었다.


2.2.5.3. 뉴욕 메츠[편집]

현지 시간 9월 2일, 마이클 콘포토, 요에니스 세스페데스의 부상으로 외야진이 초토화된 뉴욕 메츠와 계약을 맺었다. 이로써 2017년 한 시즌동안 세 팀의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남은 시즌동안 주전 우익수 겸 테이블 세터로 나서며 나름대로 꾸준한 모습을 보였으나 시즌 종료 후 방출됐다. 올해가 연봉조정 자격 마지막 해라 메츠 측에서 금액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2.3.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기[편집]


파일:20180206_aoki2_ay-560x373.jpg

시즌 후 다시 FA가 되었는데, 본인은 메이저리그에서 더 뛰고 싶다는 의욕을 보이며 팀을 계속 물색했으나 스프링캠프 시기가 코앞으로 다가온 1월 말까지 메이저리그 팀과 계약이 이루어지지 않자 결국 1월 30일, 3년 10억엔의 규모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계약을 맺으면서 7년만에 친정팀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유니폼 번호는 이전에 쓰던 23번을 그대로 사용한다고 한다.[11]


2.3.1. 2018 시즌[편집]


2018년 5월 2일 경기에서 NPB 통산 4천타수를 채우면서 롯데 오리온즈에서 뛰었던 레론 리의 통산 타율 3할2푼의 기록을 뛰어넘어 통산 타율 3할2푼7리로 NPB 통산타율 랭킹 1위에 오르게 되었다. 물론 아직 현역이기 때문에 향후 퍼포먼스 여하에 따라서 다시 레론 리에게 1위자리를 내줄 수 있지만 레론 리가 통산타율 랭킹 1위에 오른 1993년 이후[12] 무려 25년간 통산 타율 랭킹 1위의 자리를 외국인 타자에게 내줬던 NPB로서는 일종의 자존심 회복에 성공한 셈. 참고로 아오키가 NPB 통산타율 랭킹 1위로 올라서기 이전의 현역타자 통산 최고 타율은 우치카와 세이이치의 3할8리였다.

6월 14일 세이부와의 교류전 경기에서는 인사이드 파크 홈런을 쳤다. 평범한 중플타구였으나 중견수 아키야마 쇼고가 달려가다 자빠지며(...) 홈까지 들어왔다. 실책으로 기록되지 않아 인사이드 파크 홈런으로 인정.

시즌초는 전반적으로 미국 시절 하향세가 그대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보통 리그수준을 낮추면 리바운딩을 하기 마련인데 리바운딩하지 못하고 미국 마지막 해보다 좀 낮은 성적을 기록하며 크게 생산성있는 모습을 보이지 못하는 중이었다가...6월 26일 현재 .287을 기록하고 있고 점점 상승곡선에 있다. 4월에 .250, 5월에 .280, 6월 현재 .340의 월별 타율이다. 날이 더워질수록 잘하고 있다. 말그대로 슬로스타트라고 봐도 될듯하다.

9월 현재는 타율 .328 8홈런 58타점 출루율 .416 장타율 .475 OPS .892로 한창 일본에서 활약하던 시절의 비율스탯까지 올라왔다. 타율은 센트럴리그 5위, 출루율은 리그 8위에 해당하는 기록. 홈런은 8개를 기록하고 있지만 리그 최다인 33개의 2루타를 때려내고 있어 갭파워는 아직 남아있다. 다만 도루시도는 크게 줄였기에 현재까지 2개의 도루만을 기록하고 있다. 주로 2번 타순에서 활약하면서 야마다와 발렌틴 등 중심타선의 타점 기회를 최대한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최악의 시즌을 보냈던 소속팀도 2위로 반등했고 아오키 본인도 복귀 첫 시즌 녹슬지 않은 기량을 보여주었기에 일본에서의 첫 시즌은 성공적이라 볼 수 있을 듯 하다. '2번타자=희생번트 전담 요원'이라는 통념이 여전한 일본에서 강한 2번타자의 역할을 잘 보여주는 중.

10월까지 타율 .327(리그 4위) 162안타(리그 5위) 10홈런 67타점 출루율 .409(리그 7위) 장타율 .475 OPS .884를 기록했으나, 10월 2일 베이스타즈와의 경기에서 8회 무사에 기습번트로 1루에 출루하는 중에 발목에 부상을 당했다. 다음날 1군 로스터에서 말소되었다. CS를 준비해야하는 야쿠르트로서는 리그 최고의 테이블세터 역할을 해주던 아오키의 부재라는 뜻밖의 악재를 만난 셈. 결국 CS 1차전 전날 극적으로 1군에 다시 등록되었지만 아오키는 CS 내내 한 타석도 출장하지 못했고, 팀은 아오키의 부재로 인해 CS 사상 최초의 노히트노런을 당하는 등 식물타선이 되어 광탈했다.


2.3.2. 2019 시즌[편집]


2019년도 야쿠르트의 테이블세터로 활약했다. 타출장 .297/.385/.442에 OPS 0.826. 16홈런 58타점 1도루. 작년보다 OPS는 좀 떨어졌지만 홈런을 16개나 쳤다. 이젠 도루는 아예 시도도 3개밖에 안했고 타율 또한 하락했으며, 대신 삼진과 홈런수가 대폭 늘어났는데, 스탯을 보면 알겠지만 82년생 나이 37살에 장타 위주의 타격으로 전환하려 시도한 것. 주력이 떨어질 나이이니 당연하다면 당연한 선택이지만 나이 37살에 플레이스타일을 바꾸기도 쉽지 않은데, 어쨌든 어느 정도 성공해서 주력의 노쇠화에 따른 생산성 하락을 어느정도 방어할 수 있었다. 한 해 한 해가 다른 나이인 만큼 다음 시즌에도 유의미한 결과를 거둘지는 또 내년을 지켜봐야 할 것이다.


2.3.3. 2020 시즌[편집]


38세 시즌인 2020년에는 좌익수로 전향하였다. 본래 송구가 그리 뛰어난 편은 아니었지만 팀에 리그에서 제일 수비못하는 발렌틴이 있어서 둘을 같이 쓰려다 보니 자연스럽게 아오키가 중견을 볼 수 밖에 없었는데, 발렌틴이 FA로 나가며 좌익수 자리가 비게 되어 아오키가 맡게 되었다.[13] 전향은 대성공으로 수비는 발렌틴보다 훨씬 안정감이 있는 데다가 수비부담이 줄어들어서인지 나이 38살에 장타력도 만개했다. 시즌 1개월 반 지난 7월말 시점에서 타출장 3/4/6(!)에 6홈런, OPS 1을 넘기며 세리그 최고 타자 중 하나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그와중에 도루는 0개로 완전히 장타 위주의 타격으로 갈아탔다. 나이 38살에 이러는 걸 보면 역시 야구는 원래 잘하는 놈이 잘한다. 10월 19일 시점에서도 타출장 .313(리그 공동 5위)/.413(리그 2위)/.567(리그 4위)에 OPS 0.980(리그 2위) 18홈런(리그 10위)를 기록하며 무라카미 무네타카와 둘이서 야쿠르트 타선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활약 덕분에 시즌 후 3년 10억엔 잔류계약을 따냈다.


2.3.4. 2021 시즌[편집]


2021년 시즌은 쾌조의 출발을 보이려다가 팀의 백업포수 니시다 아키히사가 코로나에 걸렸는데, 니시다와 농후접촉자 판정을 받아 자택대기 처분을 받았다. 선발 수아레스, 주포인 야마다와 아오키, 유격수 니시우라까지 자택근신을 먹어 야쿠르트는 시즌 초반부터 주전력을 한꺼번에 잃는 악재를 맞았다. 이후 다시 그라운드에 복귀해 경기 출장을 이어나가고 있으나, 시즌 초반의 좋던 기세를 잃어버리고 5월 기준 OPS 5할대로 부진 중이다. 그나마 여름 들어서 타격이 조금 살아나 OPS가 7할 턱걸이 수준까지는 올라왔지만 타율 .257에 3홈런으로 노쇠화가 완연한 모습. 그러나 아직은 살아있다는걸 알리려는지 10월 들어 조금씩 타격을 살리면서 타율 .267로 천천히 반등하고 있다.

파일:7663f6984157a7fba5ae38ca0db46549_1.jpg

그런 와중인 5월 26일 닛폰햄(진구 구장)과의 경기에서 일미 통산 2500안타를 달성해 냈다.[14]

결국 2021시즌을 타율 .258 9홈런 56타점으로 마무리하며 일본 복귀 후 가장 낮은 타율을 기록했다. 통산 타율도 .3198로 떨어지며 통산 타율 1위 자리를 다시 레론 리에게 내 주었다. 그래도 프로 데뷔 첫 일본시리즈 우승을 맛보았다.


2.3.5. 2022 시즌[편집]


천하의 아오키도 가는 세월을 피할 수는 없는 건지, 개막부터 극도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5/5 현재 2할의 타율, 5할대 OPS로 멘도사 라인을 치고 있다. 결국 2할 4푼대의 타율과 6할 9푼대의 OPS로 커리어 로우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쳤다. 팀은 세리그를 제패했고 일본시리즈에서 준우승했다.


2.3.6. 2023 시즌[편집]


3년 계약의 마지막 해로 23년을 마지막으로 은퇴가 유력하다.

7월 11일 기준으로 2할 7푼의 타율과 3할 8푼대의 출루율로 반등하고 있다. 그러나 8,9월에 부진해 결과적으로 전년과 별 다를 것 없는 성적을 기록했다.

9월 11일 은퇴하지 않고 2024년에도 현역생활을 이어간다는 기사가 나왔다. #


2.3.7. 2024 시즌[편집]


3년 10억엔의 계약이 끝나 1억 4천만엔에 새로 계약을 맺었다. 2023년 연봉이 3억 4천만엔이었고 2억엔이 삭감됐으니 약 59% 삭감이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3.1. 2006 WBC[편집]


2006년 제1회 WBC 일본 대표팀에 승선해 6경기 5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3.2. 2008 베이징 올림픽[편집]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야구 일본 대표팀에 승선되어 9경기 39타수 10안타 7타점 5득점으로 맹활약했다. 더군다나 동메달 결정전에선 홈런까지 쳤으나 미국에 8-4 패, 팀은 4위에 그쳐 노메달로 대회를 마쳤다.


3.3. 2009 WBC[편집]



2009년 제2회 WBC 일본 대표팀에 선출되어 9경기 37타수 12안타를 기록. 특히 이번 대회에서는 타율 .324, 7타점의 호성적으로 타선을 이끌어 대회 베스트 팀(ALL WBC TEAM)에도 선정되는 활약을 보였다. 두 번째 WBC 우승반지를 끼게 됐다.

파일: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2009 WBC ALL-WORLD TEAM AWARD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 국기.svg OF


파일:쿠바 국기.svg OF


파일:쿠바 국기.svg OF


파일:미국 국기.svg SS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B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B



파일:일본 국기.svg S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B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H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P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이와쿠마
파일:일본 국기.svg CP





3.4. 2017 WBC[편집]


2017년 제4회 WBC 일본 대표팀에 선출되어 팀 유일의 메이저리거이자 최연장자로서 팀을 이끌었다.


4. 연도별 성적[편집]



4.1. NPB[편집]


파일:NPB 로고.svg 아오키 노리치카의 역대 NPB 기록
연도
소속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2004
야쿠
르트

10
16
3
0
0
0
1
0
1
1
6
.200
.250
.200
.450
-0.1
2005
144
649
202
26
4
3
100
28
29
37
113
.344
.387
.417
.803
3.8
2006
146
680
192
26
3
13
112
62
41
68
78
.321
.396
.439
.836
5.9
2007
143
652
193
26
2
20
114
58
17
80
66
.346
.434
.508
.942
6.6
2008
112
500
154
29
5
14
85
64
28
31
47
.347
.413
.529
.942
5.8
2009
142
624
161
23
2
16
87
66
18
75
65
.303
.400
.444
.844
4.4
2010
144
667
209
44
1
14
92
63
19
63
61
.358
.435
.509
.944
6.2
2011
144
643
170
18
5
4
73
44
8
51
55
.292
.358
.360
.718
3.3
2018
127
567
162
37
3
10
85
67
3
51
48
.327
.409
.475
.884
3.5
2019
134
565
145
19
2
16
84
58
1
61
72
.297
.385
.442
.827
4
2020
107
425
113
30
1
18
64
51
2
62
51
.317
.424
.557
.981
5.1
2021
122
501
115
29
0
9
57
56
0
43
44
.258
.335
.384
.719
0.9
2022
81
256
55
8
1
5
27
22
3
28
28
.248
.336
.360
.696
-0.5
2023
96
264
55
8
0
3
25
19
2
39
28
.253
.371
.332
.703
0.1
NPB 통산
(14시즌)

1762
7009
1929
323
29
145
1006
658
175
701
762
.315
.394
.448
.843
49



4.2. MLB[편집]


역대 기록 (MLB)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12
MIL
151
588
150
37
4
10
81
50
30
43
55
.288
.355
.433
.787
2.3
2013
155
674
171
20
3
8
80
37
20
55
40
.286
.356
.370
.726
1.2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14
KC
132
549
140
22
6
1
63
43
17
43
49
.285
.349
.360
.710
2.2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15
SF
93
392
102
12
3
5
42
26
14
30
25
.287
.353
.380
.733
1.4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16
SEA
118
467
118
24
4
4
63
28
7
34
45
.283
.359
.388
.738
1.2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17
HOU
TOR
NYM
110
374
93
20
2
5
48
35
10
29
44
.277
.335
.393
.728
0.4
MLB 통산
(6시즌)

759
3044
774
135
22
33
377
219
98
234
258
.285
.350
.387
.738
9.0

[1] 다양한 이유가 거론되나 가장 유력한 것은 외야수 훈련이 편해서(...)[2] 와세다대와 게이오기주쿠대의 정기전에서 출발한 야구리그로 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메이지대학, 호세이대학, 릿쿄대학, 도쿄대학이 소속되어있다. 1925년에 출범되었는데 야구에서 시작된 대학간의 교류는 곧 확대되어서 도쿄 6대학이 일본의 상징적인 대학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들을 부르는 다른 명칭은 '일본의 아이비리그'다. 여담으로 와세다와 게이오기주쿠 사이의 정기전에서 시작된 까닭에 리그 최종전은 언제나 이 두 대학의 경기로 끝나게 된다.[3] 도쿄 6대학 야구 연맹의 리그전은 메이지 진구 구장에서만 치뤄지는데, 진구 구장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홈구장이다. 즉 아오키는 대학 때부터 무려 11년을 진구 구장과 함께한 셈이다.[4] 야마다 테츠토 이전까지 야쿠르트의 주전 2루수였던 선수. 2017년부터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서 뛴다.[5] 흥미롭게도 이치로 역시 오릭스의 드래프트 4위 지명이었다.[6] 센트럴리그에선 최초의 200안타였다. 퍼시픽리그는 94년 이치로가 기록한 210안타가 최초의 200안타였다.[7] 실제로 도루 1위가 28개를 기록한 요미우리의 신인 후지무라 다이스케였다. 사족이지만 이 타자는 .222의 타율에 OPS 5할을 기록하는 위엄을 보여줬는데, NPB판 강명구 주루 능력은 최상급이지만 타격과 수비가 발목을 잡으면서 2013년부터는 사실상 1군에서 얼굴을 보기가 어려워졌고 결국 2017년 시즌 종료 후 전력외통보를 받고 요미우리 구단 직원으로 전업하면서 은퇴했다. 참고로 헤이세이 출신 선수 최초의 타이틀 수상자다.[8] 그래서 메이저리그 진출을 고려했던 나카지마 히로유키도 메이저리그 진출을 철회했을 정도였다. 1년 후 나카지마는 미국에 도전했지만 결국 마이너만 전전하다가 돌아왔다.[9] 스즈키 이치로가 MVP를 받은 올스타전에서 사상 처음 친 이후 두번째며, 스즈키 세이야가 2022년 7월 4일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을 기록함으로써, 아시아 선수 3명째가 됐다.[10] 엄연히 말하자면 2014년 포스트시즌에서 좌익수 포지션을 병행했던 트래비스 이시카와의 주전 포지션은 1루수이지 좌익수가 아니다. OME급 외야 수비를 보여준 데엔 다 이유가 있었던 것.[11] 야쿠르트 1기 시절에는 23번과 1번을 썼는데, 1번은 야마다 테츠토가 물려받았기도 했고 선수 본인도 1번보다 23번을 선호해서 23번을 단 것. 재밌는 점이라면 아오키가 1번으로 바꾼 후 남은 23번을 물려받은 선수도 야마다 테츠토였다. 아오키의 번호를 2번이나 물려받은 것. 야마다가 1번으로 바꾼 후 23번은 한동안 비어있었으니 결과적으로는 둘의 번호를 맞바꾼 셈.[12] 레론 리 본인은 1987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했고 그 직후에는 아직 현역으로 뛰고 있던 부머 웰스(한큐/오릭스, 다이에)와 오치아이 히로미츠(롯데, 주니치, 요미우리, 닛폰햄) 등이 레론 리보다 높은 통산 타율을 기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선수들도 은퇴가 가까와지면서 노쇠화로 인한 기량 하락으로 통산타율이 하락했고 1993년 시즌 중에 오치아이의 통산타율이 3할2푼 밑으로 내려가면서 레론 리가 통산타율 랭킹 1위에 오르게 되었다. 그 이후로는 NPB의 통산타율 기준인 4천타수를 넘는 선수 중에서 일시적으로라도 레론 리의 타율을 뛰어넘는 선수가 나오지 않아서 무려 25년동안 레론 리가 통산 타율 랭킹 1위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었다. 참고로 스즈키 이치로는 3619타수 1278안타로 타수 부족으로 인하여 NPB 통산타율 랭킹에 들어오지 못하며 4000타수까지 남은 타수를 전부 무안타라고 계산하면 .3195로 레론 리의 타율보다 0.0007정도 뒤지게 된다. 물론 통산 타율은 개인 타이틀 시상 대상이 아니므로 나머지 타수를 전부 무안타로 가정한 타율이 레론 리를 뛰어넘는다고 해서 이치로를 통산 타율 랭킹 1위로 인정하는 것도 아니다. 참고로 한국은 3000타수가 기준인데 기준을 높일 경우 장효조(통산 3050타수)의 기록이 참고 자료로 밀려나 버리기 때문.[13] 중견수와 우익수에는 세대교체의 일환으로 야마자키 코타로 등의 젊은 선수들이 여럿 기용되었다.[14] 일본 통산 1726번째로, 메이저 리그에서 활약한 스즈키 이치로, 마츠이 히데키, 마츠이 카즈오에 이은 위업을 달성이다. 2142경기에서의 달성은 이치로의 1808경기에 이은 속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3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
, 4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2:01:02에 나무위키 아오키 노리치카/선수 경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