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룡팔부/등장인물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천룡팔부

1. 개요
2. 등장인물
2.1. 주인공
2.2. 대리국
2.2.1. 황실
2.2.2. 신료
2.2.4. 염화사
2.2.5. 천룡사
2.3. 단정순의 여인들과 그 주변인
2.3.1. 만겁곡
2.3.2. 진홍면 모녀
2.3.3. 만타산장
2.3.3.1. 왕 부인의 패거리
2.3.4. 완성죽 모녀
2.4. 무림
2.4.6. 영취궁
2.4.6.1. 36동 72도주
2.4.6.2. 무량검파
2.4.6.3. 신농방
2.4.7. 성수파
2.4.8. 취현장
2.4.9. 복우파
2.4.10. 진가채
2.4.11. 청성파
2.4.12. 충소동 부부 & 조전손
2.4.13. 태산선가
2.4.14. 지관사
2.5. 토번
2.6. 서하
2.7. 요나라
2.8. 여진족
2.9. 송나라
2.10. 기타 인물



1. 개요[편집]


소설 《천룡팔부》의 등장인물에 관한 문서.


2. 등장인물[편집]


참고할 만한 사이트.


2.1. 주인공[편집]


  • 교봉 / 소봉(喬峰 / 蕭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 핵심 인물}}}
이 소설의 주인공 1. 개방의 방주. 요나라의 초왕 겸 남원대왕.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양가인.

  • 허죽(虛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 핵심 인물}}}
이 소설의 주인공 2. 소림사의 승려. 소요파의 제3대 장문인. 영취궁의 제2대 궁주.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에선 황일화.

  • 단예(段譽)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 핵심 인물}}}
이 소설의 주인공 3. 대리국의 진남왕부 소왕야. 그리고 황제가 되는 인물.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탕진업.


2.2. 대리국[편집]



2.2.1. 황실[편집]


  • 단정순(段正淳)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대리국 진남왕(鎭南王) 겸 보국대장군(保國大將軍). 단예의 아버지.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사현.

  • 도백봉(刀白鳳)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별호는 '옥허산인(玉虛散人)', '봉황아(鳳凰兒)'[1]. 대리국 진남왕의 비. 단예의 어머니. 단정순에게 실망하여 '옥허관(玉虛觀)'이라는 작은 도관에서 거주하고 있다. 운남파이족(擺夷族) 대추장의 딸로, 연편(軟鞭) 또는 불진을 무기로 쓴다. 작중 파이족은 일부일처를 고수했기 때문에, 도백봉의 요구에 단정순이 처첩을 못 뒀다는 언급도 나온다.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양산.

  • 단정명(段正明)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대리국 황제. 보정제(保定帝). 법명은 '본진(本塵)'. 단정순의 형. 실존인물. 대리국에서 양의정에 의해 내란이 벌어지자 실종된 연경태자를 대신하여 제위에 올랐다. 온후한 성품에 선정을 베풀어 대리국 내에서 명망이 높으며, 무공 또한 강하다. 단연경의 단예 납치 사건을 계기로 출가, 본진이란 법명을 받았다.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장영재.

  • 황후(皇后)
단정명의 부인. 목완청단예와 함께 황궁에 들렀을 때 목완청에게 장신구를 선물로 줬다. 그 이외에는 특별한 존재감이 없다.


2.2.2. 신료[편집]


작위는 '선천후(善天侯)'. 대리국의 재상. 관포대수(寬袍大袖) 차림새에 쇠피리를 무기로 사용하여 음파 공격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소설 중 '관포객(寬袍客)'으로 호칭된다. 대리 단씨들을 제외하면 대리국에서 이 사람보다 강한 사람이 없다.[2]

  • 파천석(巴天錫)
대리국의 사공(司空)으로, 경공이 뛰어나다. 외모는 까무잡잡하고 비쩍 마르다.

  • 화혁간(華赫艮)
대리국의 사도(司徒)로, 본명은 '아근(阿根)'이다. 출사하기 전까지는 도굴 일을 했던 터라 땅굴을 매우 잘 판다. 황미와 협력하여 만겁곡 동굴에 갇힌 단예를 구출하는 데 결정적인 공을 세웠다. 호조공(虎爪功)이라는 기술을 쓰며, 강산(鋼鏟)이라는 무기를 쓴다.

  • 범화(范華)
대리국의 사마(司馬)로 병부를 맡았다.


2.2.3. 사대호위[편집]


  • 저만리(著萬里)
대리국의 사대호위(四大護衛) 중 하나. 강철 낚시대를 무기로 쓴다. 아자와 다투다가 어망에 옴짝달싹 못 하는 수치를 당한다. 단연경으로부터 주군 단정순을 지키려다가 목숨을 잃는다.

  • 고독성(古篤誠)
대리국의 사대호위(四大護衛) 중 하나. 판부(板斧)를 무기로 쓴다. 단연경에게 공격을 당한 후 정신을 놓아서 미치광이처럼 행동한다.

  • 부사귀(傅思歸)
대리국의 사대호위(四大護衛) 중 하나. 숙동제미곤(熟銅齊眉棍)을 무기로 쓴다.

  • 주단신(朱丹臣)
대리국의 사대호위(四大護衛) 중 하나. 별호는 '필연생(筆硯生). 곤륜의 방계인 삼인관(三因觀) 문하의 제자. 판관필(判官筆)의 명수이자, 주자류의 선조이다.


2.2.4. 염화사[편집]


  • 황미(黃眉)
대리국의 염화사(拈花寺)의 주지로, 눈썹이 누래서 '황미'라고 불리고 있다. 쇠로 된 목탁채를 무기로 사용한다. 금강지력을 연성했고, 대리국 내에서 손꼽히는 바둑의 고수로서 단예를 구출하기 위해 찾아온 보정제로부터 소금세 폐지를 약속받고, 단연경과의 바둑 내기에 응한다. 젊은 시절에 금강지로 자부하다가 모용씨의 인물로 추정되는 어떤 소년에게 금강지 공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그 소년 이 시전한 금강지에 왼쪽 가슴이 뚫리는 부상을 입었으나 심장이 오른쪽에 있는 특이 체질이라 살아남았다. 나를 죽이지 못했으니 네 금강지도 아직 제대로 익히지 못했다며 허세를 부렸으나[3] 이후 어린 소년에게 패배했다는 충격 때문에 송나라를 떠나 대리국에 와서 출가하였다.

  • 파의(破疑)
염화사 황미의 대제자.

  • 파진(破嗔)
염화사 황미의 둘째 제자.


2.2.5. 천룡사[편집]


공식 명칭은 '숭성사(崇聖寺)'. 천룡사는 대리성의 외곽인 점창산(點蒼山)의 중악봉(中嶽峰) 북쪽에 위치한 사찰이다. 대리 단씨의 선대 황제들이 출가하는 사찰이다. 사찰 안에는 3개의 탑이 있으며, 높이는 200여 척에 16층 높이이다. 이곳에 《육맥신검경(六脈神劍經)》이 소장되어 있으며, 정숙과 침묵을 뜻하는 '모니당(牟尼堂)'에서 육맥신검(六脈神劍) 에피소드가 전개된다.

  • 고영(枯榮)
대리국의 천룡사(天龍寺)의 주지. 단연경의 숙부. 대리 단씨에서 가장 항렬이 높다. 쌍수원(雙樹院)에서 수십 년째 면벽 수행 중이다. 강력한 무공의 소유자로 90대의 나이에 고영선공(枯榮禪功)을 익혀서 반고반영(半枯半榮) 얼굴을, 즉 얼굴의 반쪽은 어린애, 다른 반쪽은 늙은이의 기괴한 외모의 인물이다.

  • 본인(本因)
대리국의 천룡사 방장, 보정제 단정명의 숙부.

  • 본관(本觀)
대리국의 천룡사 고승. 대리 단씨의 원로. 방장 본인의 사제.

  • 본상(本相)
대리국의 천룡사 고승. 대리 단씨의 원로. 방장 본인의 사제.

  • 본참(本參)
대리국의 천룡사 고승. 대리 단씨의 원로. 방장 본인의 사제.


2.3. 단정순의 여인들과 그 주변인[편집]



2.3.1. 만겁곡[편집]


  • 종영(鍾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 핵심 인물}}}
단정순과 감보보의 딸.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황행수[4].

  • 감보보(甘寶寶)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별칭은 '소약차(俏藥叉)', '아보(阿寶)'. 단정순의 정인. 만겁곡(萬劫谷) 곡주. 종만구의 아내. 종영의 어머니. 진홍면의 사매(師妹). 단예의 묘사에 따르면, 33세 ~ 34세 가량이라고 한다. 단정순과 정이 터서 함께 지내다가 배가 불러왔고 종영을 낳기 6개월여 전에 종만구와 결혼을 했다.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여유혜.

  • 종만구(鍾萬仇)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별칭은 '마왕신(馬王神)'[5], '견인취살(見人就殺)'. 만겁곡(萬劫谷) 곡주. 감보보의 남편.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증위명.

  • 진희아(進喜兒)
만겁곡의 하인. 악노삼에게 '셋째 나리'라고 칭했고 '악하지 않다'고 평했다가 살해당했다.

  • 내복아(來福兒)
만겁곡의 하인. 단예에게 목완청의 흑매괴(黑玫瑰)를 빌려준 후 돌아가다가 십수 명의 습격을 받아 죽었다.


2.3.2. 진홍면 모녀[편집]


  • 목완청(木婉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 핵심 인물}}}
단정순과 진홍면의 딸.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양반반.

  • 진홍면(秦紅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별호는 '수라도(修羅刀)'[6], '유곡객(幽谷客)'[7]. 단정순의 정인. 목완청의 어머니이자 사부. 감보보의 사저(師姐). 무공으로 오라경연장(五羅輕烟掌)을 쓰며, 이는 단정순으로부터 전수받은 것이다. 소봉의 평가에 따르면, '시원시원하고 쾌활하다'고 한다.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황문혜.


2.3.3. 만타산장[편집]


  • 왕어언(王語嫣)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 핵심 인물}}}
단정순과 왕부인의 딸.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진옥련.

  • 이청라(李靑羅)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일명 '왕 부인'. 만타산장(曼陀山莊)의 주인. 단정순의 정인. 무애자이추수의 딸이며, 왕어언의 어머니. 정인 단정순의 영향인 건지, 만타라화(曼陀羅花)를 잔뜩 기른다. 꽃을 기르는 이면에는 사람을 생매장하여 거름으로 주는 매우 잔혹한 면모도 있다. 모용복의 어머니로부터 진심 어린 충고를 들었음에도 그걸 고깝게 듣고 조카 모용복도 미워한다. '대리 단씨'라고 소개하는 단예는 처음에는 죽이려고 했다가 꽃에 대한 안목이 높은 걸 알고 대접하다가도 다시 말꼬투리를 잡아서 꽃이나 키우라고 하대하기도 한다.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이림림.

  • 유초(幽草)
만타산장의 시녀. 아주아벽과 친하다.

  • 소차(小茶)
만타산장의 시녀.

  • 소시(小詩)
만타산장의 시녀.

  • 소명(小茗)
만타산장의 시녀.

  • 엄 마마(嚴媽媽)
만타산장의 인물. 이청라의 명에 따라 잔혹한 행위를 일삼는 인물이다. 눈빛에 살기가 가득하고 송곳니가 드러나 있는 등 추한 외모를 가졌다. 아주아벽의 손을 자르려고 할 때, 단예에게 내공이 흡수당해서 놓친다.


2.3.3.1. 왕 부인의 패거리[편집]

  • 서 파파(瑞婆婆)
만타산장의 인물. 사용 무기는 '철괴(鐵拐)'. 목완청을 잡으러 대리국까지 쫓아왔다.

  • 평 파파(平婆婆)
만타산장의 인물. 목완청을 잡으러 대리국까지 쫓아왔다. 뚱뚱한 체구이다. 사용 무기는 '단도(短刀)'.

  • 축 노인(祝老人)
서 파파, 평 파파에 의해 억지로 끌려온 인물이다. 장검을 무기로 쓴다. 목완청은 그의 공손한 태도를 이유로 살려주려고 했지만, 평 파파가 쓴 단도에 맞아 사망한다.

  • 흰 수염 노인
사용 무기는 '철산(鐵鏟)', '강추(鋼錐)'. 서 파파와 평 파파가 목완청을 두 번째로 역습했을 때 함께 공격하다가 목완청에게 공격을 받아서 사망한다.


2.3.4. 완성죽 모녀[편집]


  • 아주(阿朱)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 핵심 인물}}}
고소모용가(姑蘇慕容家)의 시녀. 단정순과 완성죽의 딸. 그리고 소봉의 정인.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황행수.

  • 아자(阿紫)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 핵심 인물}}}
단정순과 완성죽의 딸. 성수파의 대사저. TVB 1982년판에선 진복생의 역할

  • 완성죽(阮星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단정순의 정인. 아주와 아자의 어머니. 나이는 35세 ~ 36세 사이이다. 소경호(小鏡湖)[8] 근방에 위치한 방죽림(方竹林)에 산다. 소봉의 평가에 따르면, '곱고 애교가 많다'고 한다.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백인.


2.4. 무림[편집]



2.4.1. 개방[편집]


《천룡팔부》에서의 개방은 방주, 부방주, 전공장로, 집법장로, 4대장로(四大長老), 7대제자(七袋弟子), 그리고 대지(大智), 대인(大仁), 대의(大義), 대용(大勇), 대례(大禮), 대신(大信) 등 8개의 분타(分舵)로 구성되어 있다.

  • 강민(康敏)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이 소설의 대표적인 악당 1. 별칭은 '마 부인(馬婦人)'. 부방주 마대원의 아내. 교봉(소봉) 제거에 앞장섰을 뿐만 아니라 개방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소봉의 평가에 따르면, '무척이나 부드러우면서도 요염하다'고 한다.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임건명.

  • 전관청(全冠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이 소설의 대표적인 악당 2. 별호는 '십방수재(十方秀才)'. 개방의 팔대타주(八袋舵主)로, 대지분타(大智分舵)의 타주(舵主). 강민과 함께 교봉(소봉)을 쫓아내려고 일을 꾸몄으며, 이후 유탄지를 이용해서 개방 내 실권을 장악한다.

  • 왕검통(汪劍通)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교봉(소봉)의 선대 방주. 작중에서는 이미 고인이 된 방주이다.[9] 죽기 전에 교봉에게 개방 절학을 전수했다. 그의 유서가 교봉을 곤란하게 만든다. 과거 소원산이 자신의 아내를 잃었던 안문관(雁門關) 사건[난석곡]의 참가자이다.

  • 서충소(徐冲霄)
개방의 전 장로. 87세. 행자림(杏子林)[10]에서 교봉(소봉)이 방주직을 놓고 떠난 직후 임시로 방주를 맡는다. 선대 방주인 왕검통의 사숙뻘 되는 인물로 항렬이 엄청나게 높다. 좋은 사회성을 가진 듯 보였으나, 실체는 음흉한 변태이다. 구판에서는 소원산에게, 신수판에서는 백세경과 치정다툼 끝에 살해되었다.

  • 마대원(馬大元)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개방 부방주. 작중에서는 처음부터 고인이다. 술을 즐기지 않고 조용한 성품이라 호방하고 술 좋아하는 교봉(소봉)과 서먹서먹한 사이였으나 교봉의 인품과 무공을 높이사며 영웅으로 존경하고 있어 왕검통의 서신을 알면서도 감춰주려 노력했다. 결국 교봉을 헤치려는 강민의 계략에 휘말려 백세경에게 자신의 독보적 무공인 쇄후공(鎖喉功)으로써 살해된다.

  • 여장(呂章)
신수판에서 추가된 인물. 개방의 전공장로(傳功長老). 올곧은 성격의 인물로 행자림(杏子林) 반란 때 교봉(소봉)의 편에 섰다. 신수판에서 개방의 명예를 위해 교봉을 저버린다.

  • 백세경(白世鏡)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개방의 집법장로(執法長老). '전사금나수(纏絲擒拿手)'라는 독특한 무공을 쓴다. 행자림(杏子林) 반란으로 교봉(소봉)이 방을 떠나고 서충소 마저 사망한 이후로는 개방을 이끄는 인물이 된다. 강민과 간통하여 마대원을 죽이고 치정싸움 끝에 서 장로까지 죽인 배신자이기는 하나, 한편으론 마지막까지 누구보다 교봉을 존경하여 심지어 자신의 고유 무공인 전사금나수를 설신의(薛神醫) 설모화(薛慕華)에게 전수하는 걸 조건으로 다친 아주가 치료받게 해주었고 마지막까지 소봉을 배신하는 일만은 하지 않으려 했던 일면이 있다. 강민과의 진상이 드러난 뒤 개방의 위신을 지키려는 장로들에 의해 조용히 제거된다.

  • 해산하(奚山河)
개방 사대장로 중 하나. 사대장로 중 나이가 가장 많아서 그 중 우두머리격에 해당되는 인물이다. 개방에 갓 들어온 교봉(소봉)에게 무공을 가르쳐 준 사람. 행자림 반란이 실패하고 자결하려고 하나 교봉에 의해 제지되고[11] 15년 전 거란의 침공 소식을 전달한 공로[12]를 기려 방주가 피를 흘리는 대속 의식을 치러서 용서받는다. 취현장(聚賢莊)에서 절교식 이후 교봉에게 죽임을 당한다.

  • 진고안(陳孤雁)
개방 사대장로 중 하나. 별칭은 '진 장로(陳長老)', '장비수(長臂叟)', '긴 팔 노선생'. 통비권(通臂拳)과 연편(軟鞭) 무공을 주로 사용하지만, 호북 완가(湖北阮家)의 팔십일로 삼절곤(八十一路三節棍)도 섞여 있다. 젊었을 때 호북 완가의 웃어른을 살해한 후 성과 이름을 바꾸고 개방에 투신한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마대 자루에 전갈을 넣어 쓰기도 한다. 성질머리가 까칠하고 교봉(소봉)에게 불손한 태도로 대한 적이 많아서 서먹한 관계였다. 하지만 교봉이 요나라의 좌로 부원수(左路副元帥) 야율불로(耶律不魯)를 암살해[13] 송나라 침공을 막은 공로를 언급하며 속죄해주자 감복한다.

  • 오장풍(吳長風)
개방 사대장로 중 하나. 성격은 급하지만 표리부동한 개방 수뇌부 중에서 가장 의리있고 사람 구실하는 인물. 귀두도(鬼頭刀)를 무기로 쓴다. 서하 일품당의 고수가 양가장(楊家將)을 암살하려고 했던 걸 무산시킨 공로가 있다. 소봉이 방주직에서 물러난 후 만신창이가 된 개방의 수습을 위해 많은 애를 썼고, 후반부의 소봉 구출작전에도 참가했다. 소봉에게 변함없는 존경과 신뢰를 보내는 몇 안 되는 개방 사람 중 하나이며, 소봉이 죽었을 때에도 그는 거란인이지만 못난 한인들보다 훨씬 뛰어난 영웅이었다고 절규하며 슬퍼했다.

  • 송 장로(宋長老)
개방 사대장로 중 하나. 키가 작은 노인. 선대 방주 왕검통이 거란에 의해서 기련산(祁連山)의 흑풍동(黑風洞)에 붙잡혔을 때 왕검통처럼 위장하여 그를 탈출시키고 대신 고문을 받은 공적이 있다. 소실산 영웅대회에서 소봉에게 패하고 달아난 유탄지아자를 추격하여 소봉의 옛집까지 도착했다가, 유탄지에게 역으로 당해 죽는다.

  • 장 타주(蔣舵主)
개방의 팔대타주(八袋舵主)로, 대의분타(大義分舵)의 타주(舵主).

  • 방 타주(方舵主)
개방의 팔대타주(八袋舵主)로, 대용분타(大勇分舵)의 타주(舵主).

  • 사 부타주(謝副舵主)
대의분타(大義分舵)의 부타주(副舵主). 서하 일품당 세력에 의해서 목숨을 잃었다. 행자림 집회 때 죽은 지 한참 된 시체가 내던져진다.

  • 장전상(張全祥)
7대제자(七袋弟子) 중 하나. 행자림(杏子林) 반란 때 교봉(소봉)의 추궁에 겁을 먹고 인질로 잡혀있던 집법장로, 타주들이 죽지 않았고 무사하다는 발언을 한 인물이다.

  • 이춘래(李春來)
대지분타 전관청의 수하. 전관청이 일으킨 행자림(杏子林) 반란의 진실을 알고 있는 듯하나 진실을 감춘 채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 역대표(易大彪)
대지분타 전관청의 수하. 서하 일품당에 잠입한 첩자이다. 행자림(杏子林)에서 개방 인사들이 서하 일품당을 만나기 직전에 그들의 내부 사정이 담긴 편지를 보냈으나, 교봉(소봉) 문제로 개방 내부가 어수선했던 터라 그의 편지가 전혀 도움이 되질 못했다.

  • 유죽장(劉竹莊)
행자림(杏子林) 반란에 가담한 인물. 도망치려고 했다가 붙잡혔으며, 자결을 시도하려 하나 힘이 부족해서 도움을 받아서 죽는다.


2.4.2. 고소모용가[편집]


  • 아벽(阿碧)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고소모용가(姑蘇慕容家)의 시녀. 단예의 의매. 소요파의 함곡팔우(函谷八友) 강광릉의 제자.

  • 모용복(慕容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 핵심 인물}}}
이 소설의 대표적인 악당 3. 고소모용가(姑蘇慕容家)[14] 가주. 왕어언을 두고 단예와 다툰다.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석수.

  • 모용박(慕容博)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이 소설의 대표적인 악당 4. 고소모용가(姑蘇慕容家) 선대 가주.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관해산.

  • 등백천(鄧百川)
고소모용가의 4대 가신 중 첫째.

  • 공야건(公冶乾)
고소모용가의 4대 가신 중 둘째. 적하장(赤霞莊) 장주. 교봉(소봉)과 술을 마시며 속마음을 나눈 적이 있다. 교봉의 평에 따르면 '호탕하고 뛰어난 인물'이라고 한다.

  • 포부동(包不同)
고소모용가의 4대 가신 중 셋째. 금풍장(金風莊) 장주. 시대를 앞서간 프로불편러로 이름부터 '같지 않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미의 부동(不同)이다. "아니로소이다"라는 독특한 말버릇을 가졌다. 상대가 뭘 말하든 일단 반대부터 하고, 상대의 발언 중 한 글자, 한 단어에서 사소한 문제를 걸고 넘어지며 트집을 잡아 상대를 반박한다. 꽤나 비호감적인 성격이지만 모용복이 단연경을 의부로 모시자고 하자 팩트폭력을 시전하며 반대하다가 모용복에게 살해당한다. 교봉의 평에 따르면 '자유롭고 대범한 사람'이라고 한다. 드라마 배우는 TVB 1982년판 여자명.

  • 풍파악(風波惡)
고소모용가의 4대 가신 중 넷째. 별호는 '강남일진풍(江南一陳風)'. 현상장(玄霜莊) 장주. 싸움을 너무 좋아하는 전투광이다. 개방의 진고안이 쓴 독에 죽을 뻔 했으나, 교봉(소봉)단예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졌다. 교봉의 발언에 따르면, 길가에서 농부와 다투다가 그를 한 방에 죽일 수 있었음에도 자신을 낮춰서 농부의 수준에 맞춰서 싸웠다고 한다. 교봉의 평에 따르면 '시비가 분명한 사람'이라고 한다.


2.4.3. 사대악인[편집]


별호에 모두 '악'자가 들어가는데 들어가는 순은 서열과 같다. 예를 들면 제1위인 단연경은 '악관만영(악이 가득 넘침)'으로 악자가 첫 글자이다.

  • 단연경(段延慶)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 핵심 인물}}}
이 소설의 최종 보스(단예 기준). 사대악인 중 첫째인 악관만영. 대리 황제의 본래 계승자로 자신의 자리를 찾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다.

  • 섭이랑(葉二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사대악인 중 둘째인 무악부작. 구판에서는 아이를 납치해서 죽이는 취미, 신수판은 아이를 납치해서 다른 집에 갖다버리는 취미를 가지고 있다.

  • 악노삼(岳老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사대악인 중 셋째인 흉신악살. 보통은 '남해악신'이라는 또 다른 별호로 부른다. 남해파(南海派)의 장문인. 위엄 넘치는 첫 등장과 달리 개그캐릭터가 된다. 위계서열에 목숨을 건다.

  • 운중학(雲中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사대악인 중 넷째인 궁흉극악. 경공이 날렵하며 전형적인 색마이다.

  • 담청(譚靑)
단연경의 제자. 별호는 '추혼장(追魂杖)'. 취현장(聚賢莊)에서 교봉과 맞붙다가 그의 일장에 맞고 사망한다.


2.4.4. 소림사[편집]


  • 현자(玄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소림사 방장으로, 중원 무림을 대표하는 고수로 명성이 자자하다. 가명은 '지씨 노인(遲氏老人)'. 작중 아주 중요한 스포일러가 있다.

  • 현고(玄苦)
소실산 아래 교삼괴 부부의 양자로 들어가 있는 교봉(소봉)에게 외부인에게 무공을 가르치지 않는다는 소림의 규율을 어기고 무공을 가르쳐 준 스승. 현자의 사제이며 연목도법(燃木刀法)의 고수로 계도를 쓰는데 능하다. 중원 무림에게 복수하려는 소원산에게 암습을 당해 죽는다.

  • 현난(玄難)
소림사 달마원(達磨院)의 수석승. 권각술이 뛰어나며 '수리건곤袖裡乾坤'이라는 절기로 이름이 높다. 소림사와 취현장(聚賢莊)에서 교봉(소봉)과 맞붙어 무공을 겨루다가 패배하였고, 정춘추의 화공대법에 당해 폐인이 되었다가 결국 죽임을 당한다.

  • 현적(玄寂)
소림사 계율원(戒律院)의 수좌. 현자, 현난의 사제로 상당한 무공을 갖췄다. 일박양산一拍兩散이라는 절기를 자랑하는데 교봉(소봉)에게 막혀 재미를 보지 못했다.

  • 현통(玄痛)
현난의 사제로 소림사와 취현장(聚賢莊)에서 교봉(소봉)을 협공했다. 정춘추 일당과 조우하여 유탄지의 한독장을 맞아 중독된 채 함곡팔우와 겨루다가 대철대오하여 원적한다.

  • 현비(玄悲)
현자의 사제. 사대악인대리국에 오는 사실을 전하기 위해서 대리국에 왔다가, 가백세와 함께 모용박의 손에 의문의 죽음을 당한다. 대리국 육량주(陸凉州)에 위치한 신계사(身戒寺)[15]에서 입적한다.

  • 혜진(慧眞)
현비의 제자. 현비를 따라 대리국으로 왔다가, 그의 수상한 죽음을 대리국의 황제 단정명에게 알린다.

  • 혜관(慧觀)
현비의 제자. 현비를 따라 대리국으로 왔다가, 그의 수상한 죽음을 대리국의 황제 단정명에게 알린다.

  • 혜륜(慧輪)
허죽의 스승. 파계한 허죽을 계율원에서 벌 받도록 하는 인물이다.

  • 혜정(慧淨)
소림사의 땡추. 술과 고기를 즐기며, 천년빙잠이라는 극독을 가진 누에를 가지고 있었다. 이 천년빙잠은 나중에 유탄지를 거쳐 아자의 손에 들어온다.

  • 허청(虛淸)
허죽과 같은 항렬의 인물. 소림사를 방문한 아주 일행에게 매몰차게 홀대하여 내쫓아서 원한을 샀으며 그 때문에 괜한 오해를 사게 된다. 아주가 역용술로써 변장한 인물이 바로 허청 자신이었기 때문이다.

  • 허잠(虛湛)
허죽과 같은 항렬의 인물. 허청으로 변장하여 소림사에 잠입한 아주에게 기습을 당한 인물이다.

  • 허연(虛淵)
허죽과 같은 항렬의 인물. 허청으로 변장하여 소림사에 잠입한 아주에게 기습을 당한 인물이다.

  • 지계승(持戒僧)
소림사 계율원(戒律院) 소속. 법명은 언급되지 않는다. 누군가의 밀고를 듣고 소실산 아래 교삼괴의 집에 왔다가 교봉이 자기 양부인 교삼괴를 죽였다고 오해하는 승려이다.

  • 수율승(守律僧)
소림사 계율원(戒律院) 소속. 법명은 언급되지 않는다. 누군가의 밀고를 듣고 소실산 아래 교삼괴의 집에 왔다가 교봉이 자기 양부인 교삼괴를 죽였다고 오해하는 승려이다.

  • 청송(靑松)
교봉이 현적을 공격했다고 증언하는 12세 ~ 13세 가량의 사미승이다.

  • 무명승(無名僧)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소림사의 수상한 승려.

이외에 현생, 현도, 현명, 현석을 비롯한 소림사 현자 항렬 고승들이 있다. 방장과 같은 항렬 고승들이 김용 소설에서 유일하게 떼거지로 나온다.


2.4.5. 소요파[편집]


  • 무애자(無崖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소요파의 제2대 장문인이자 공식 계승자. 나이는 93세이지만 40대로 보인다. 소성하정춘추의 사부.

무애자의 제자. 일명 '총변선생'. 무공을 제외한 무애자의 모든 재주를 물려받았으나 사제인 정춘추에게 죽임을 당한다.

  • 강광릉(康廣陵)[16]
함곡팔우(函谷八友) 중 첫째(대사형). 소성하의 제자. 별호는 '금전(琴顚)'. 소성하에게 거문고를 배웠다. 아벽의 스승이다.

  • 범백령(范百齡)[17]
함곡팔우(函谷八友) 중 둘째. 소성하의 제자. 별호는 '기마(棋魔)'. 소성하에게서 바둑을 배웠고, 자석[18]으로 만든 바둑판을 무기로 사용한다. 원래는 흔들리는 마차 위에서도 돌들이 흐뜨러지지 않고 바둑을 둘 수 있도록 고안된 물건인데 어찌어찌하다보니 겸사겸사 무기로도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 구독(苟讀)
함곡팔우(函谷八友) 중 셋째. 소성하의 제자. 별호는 '서애'. 제자백가의 학문은 물론 불경에도 능통한 선비이다.

  • 오영군(吳領軍)
함곡팔우(函谷八友) 중 넷째. 소성하의 제자. 별호는 '화광(畵狂)'. 서화에 정통한 인물이다.

  • 설모화(薛慕華)
함곡팔우(函谷八友) 중 다섯째. 소성하의 제자. 별호는 '염왕적(閻王敵)'[19]. 별칭으로 '설신의(薛神醫)'로 흔히 불리며, 의술의 대가이다. 감주(甘州)[20] 지역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함곡팔우 중 가장 비중이 높으며, 소봉의 연인 아주를 살려낸다.

  • 풍아삼(馮阿三)
함곡팔우(函谷八友) 중 여섯째. 소성하의 제자. 별호는 '교장(巧匠)'. 목수 출신으로 목공과 기관진식에 능한 장인이다.

  • 석청로(石淸露)/석청풍[21]
함곡팔우(函谷八友) 중 일곱째. 소성하의 제자. 별호는 '화치'. 중년의 여성으로, 꽃을 잘 가꾼다.

  • 이괴뢰(李傀儡)
함곡팔우(函谷八友) 중 여섯째. 소성하의 제자. 별호는 '희미'. 이름이 '꼭두각시(傀儡)'이며, 창극을 하는 배우이다.

  • 소요자(逍遙子)
소요파의 초대 장문인. 무애자, 천산동모, 이추수의 스승.


2.4.6. 영취궁[편집]


'영취궁(靈鷲宮)'은 표묘봉(縹緲峰)에 천산동모가 세운 오직 여성들로만 구성된 방파로 서역에 위치해 있다. 구천구부의 9개 조직으로 나뉘며 숫자만 수백 수천 명이다.

  • 천산동모(天山童姥)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영취궁(靈鷲宮)의 초대 궁주(宮主). 소요자의 첫째 제자이자 무애자와 이추수의 사저(師姐). 나이는 96세로 어린애부터 20대 처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 매난국죽
동모 직속의 4쌍둥이인 호위 여종이다. 구판에서는 허죽만 호위하다 어영부영 사라졌지만 신수판에서는 허죽과 이청로단예를 모시라며 효뢰와 함께 대리로 보낸다. 옆에서 데리고 있다가 후궁으로 삼으라는 뜻이었는데, 단예는 이들을 황제의 여동생 신분으로 예우하다 뒷날 본인들의 동의를 얻고 허죽과 이청로에게도 인가를 받아 고태명, 화혁간, 파천석 등 대리국 중신들의 아들들과 점지해 준다.


2.4.6.1. 36동 72도주[편집]

'36동 72도주'는 천산동모가 강제로 복속시킨 세외의 무림 문파 집합체이다. 대리국에서도 신농방, 무량검파 등이 복속당했으며 작중에서 꾸준히 확장하고 있었다. 구성원의 쪽수를 따지면 기본 수천 수만명에 육박하는 김용 월드 최대의 조직 중 하나.

  • 오노대(烏老大)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영취궁에 반란을 일으킨 36동 72도주 중 대표자이다. 그들 중에서 무공이 상당히 강해서 모용복도 오노대를 보고는 단시간에 이기기는 힘들 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허죽에게 사로잡혀서 무공지도 마루타로 쓰였으며, 후반부에는 두 눈이 멀어버린 유탄지에게 잡혀서 네비게이션 신세가 된다. 그리고 108방주들 중 무공이 가장 강한 인물은 오노대가 아니라 안 동주라는 인물이라고 한다.

  • 탁불범
36동 72도주들이 천산동모에게 반란을 일으키는 집회에서 배신자를 처단하며 등장한다. 자신의 문파인 '일자혜문검파'는 천산동모에게 몰살당했는데 그 자리에 없어서 화를 면했다. 천산동모를 피하고자 도망간 장백산에서 선배 고인이 남긴 검경을 발견해 30년의 수련을 거친 뒤 복수하러 중원에 발을 들인다. 때마침 영취궁에 반란이 일어나자 불평도인, 최록화와 결탁해서 반란 세력에 동조한다. 이후 동모가 죽어 닭 쫓던 개 꼴이 되자 허죽에게서 생사부를 제거하는 방법을 알아내어 군웅들 사이에서 떵떵거리면서 살 계획을 세운다. 별호가 자그마치 검신으로 양판소 소드마스터처럼 검에서 푸른색 검기를 뽑아내는 검망(劍芒)이라는 기술을 시전한다. 일행인 불평, 최록화와 비교하면 가장 무공이 강하며, 도동주들 역시 불평이나 최록화와는 달리 탁불범에게는 처음부터 한 수 접어주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불평도인이 무애자의 내공만을 이어받았던 허죽이 던진 솔방울을 맞고 허무하게 죽은 걸 생각해보면 그보다 약간 강한 수준인 탁불범 역시 잘 쳐줘도 모용복 수준이나 그 이하일 가능성이 높다. 작중에서도 갑자기 허죽을 암습한 최록화에게서 허죽을 보호하려다가 당황해서 엉겁결에 천산절매수를 펼쳐낸 허죽에게 검을 빼앗기는 굴욕을 당한다. 최록화가 허죽에게 일장을 날렸다가 반탄진기에 튕겨나와 부상을 입는 걸 보고는 자신이 결코 허죽의 상대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깨닫고 표모봉을 떠난다.


2.4.6.2. 무량검파[편집]

  • 좌자목(左子穆)
무량검파(無量劍派) 동종(東宗)[22]장문인. 영취궁(靈鷲宮)의 천산동모에 복속된다. 섭이랑이 납치한 남자아이 좌산산(左山山)의 아버지이다.

  • 신쌍청(辛雙淸)
무량검파(無量劍派) 서종(西宗)[23]장문인. 영취궁(靈鷲宮)의 천산동모에 복속되며, 동종까지 통제한다.

  • 용자구(容子矩)
무량검파 동종의 제자. 좌자목의 사제이다. 신농방(神農幇)에게 극독으로 죽임을 당했다.

  • 공광걸(龔光傑)
무량검파 동종의 제자. 신농방(神農幇)이 보낸 편지의 극독에 죽임을 당했다.

  • 간광호(干光豪)
무량검파 동종의 제자. 갈 사매와 연인 관계이며, 갈 사매와 함께 문파를 배신하고 도망친다. 단예가 이들의 대화를 엿듣자 죽이려고 들지만, 결국 목완청의 암기에 맞아서 사망한다.

  • 갈광패(葛光珮)
별칭은 '갈 사매(葛師妹)'. 무량검파 서종의 제자. 얼굴에 곰보 자국이 있다. 간광호와 연인 관계이며, 간광호와 함께 문파를 배신하고 도망친다. 단예가 이들의 대화를 엿듣자 죽이려고 들지만, 결국 목완청의 암기에 맞아서 사망한다.

  • 욱광표(郁光標)
무량검파 동종의 제자. 산 꼭대기에 있던 단예를 데려와서 무량동에 가뒀다. 도망치려는 단예를 잡으려다가 내력을 빼앗겨서 폐인이 된 첫번째 인물.

  • 전광승(錢光勝)
무량검파 동종의 제자. 산 꼭대기에 있던 단예를 데려와서 무량동에 가뒀다. 도망치려는 단예를 잡으려다가 내력을 빼앗겨서 폐인이 된 두번째 인물.

  • 당씨 사내(唐氏)
무량검파의 제자. 단예가 무량검파의 비무대회에서 본 기억이 있다. 단예가 아주, 아벽과 함께 만타산장에 들렀을 때 무슨 이유에서인지 만타산장에까지 끌려와서 이청라에게 취조를 받았고, 이후 홍하루(紅霞樓) 앞의 붉은 꽃 옆에 생매장 당했다.


2.4.6.3. 신농방[편집]

  • 사공현(司空玄)
신농방(神農幇)의 장문인. 작중 시점 전인 8년 전부터 영취궁(靈鷲宮)의 천산동모에 복속되어 있다. 단예가 주제 넘게 무량검파와의 화해를 권유하자 코웃음을 치며 무시한 후 종영을 인질로 삼는다. 종영의 섬전초 극독에 당해서 팔을 스스로 잘라내기까지 한다. 단예와 목완청이 영취궁 사자인 척 해서 그들에게 속았던 일 때문에 영취궁의 불신을 받은 직후 산 꼭대기에서 란창강을 향해 투신한다.

  • 아승(阿勝)
신농방의 제자.


2.4.7. 성수파[편집]


  • 정춘추(丁春秋)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이 소설의 대표적인 악당 5. 일명 '성수노괴'. 소요파의 제2대 장문인 무애자의 두번째 제자. 스승을 배신하고 성수파(星宿派)를 개파한다.[24]

  • 마운자(摩雲子)
성수파의 둘째 제자. 청성파(靑城派) 장문인 사마림을 납치했다가, 동백산(桐柏山)에서 소봉과 맞대결 후 도망친다.


2.4.8. 취현장[편집]


  • 유탄지(游坦之)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 핵심 인물}}}
이 소설의 대표적인 악당 6. 취현장(聚賢莊)의 소장주(小莊主). 취현장 유씨쌍웅 중 동생 유구의 아들. 자신의 아버지가 죽은 원흉인 소봉에 대한 원한에 그를 쫒아다닌다. 하지만 아자에게 딱 걸려서 요나라의 남경에서 개고생하다가 소봉이 흘린 《역근경》을 얻고 무공이 비약적으로 상승한다. 자신을 괴롭혔던 아자를 미워하기는커녕 오히려 좋아한다.

  • 유구(游駒)
유탄지의 아버지. 취현장(聚賢莊)의 장주(莊主). 유씨쌍웅(游氏雙雄) 중 동생. 형은 유기(游驥). 날카로운 날이 달린 강철 방패를 쓰는 외문무공으로 강호에 이름이 났으며 많은 무림인사들과 교분을 맺고 있다. 취현장에 찾아온 소봉을 무림인들과 함께 협공해 일망타진하려 했으나, 소봉에게 방패를 빼앗긴 후 "방패가 있는 곳에 사람이 있고 방패가 없으면 사람도 없다."라는 사부의 발언을 곱씹으며 수치심에 형과 함께 나란히 자결했다.

  • 유기(游驥)
유탄지의 큰아버지. 취현장(聚賢莊)의 장주(莊主). 유씨쌍웅(游氏雙雄) 중 형. 남동생은 유구(游駒). 소봉과 싸우다가 동생과 함께 자결한다.


2.4.9. 복우파[편집]


  • 최백천(崔白泉)
대리국에서 '곽 선생'이라는 이름으로, 장방(帳房)에서 황궁 회계 일을 보는 관리. 본명은 '최백천'. 별호는 '금산반(金算盤)'. 가백세의 사제이다. 별호처럼 '황금 주판'을 무기로 쓴다. 단예악노삼을 스승을 삼는 걸 피하기 위해서 비루해보이는 그를 스승인 것처럼 데려오기도 했는데, 사실 상당한 무공을 가진 고수였다. 화혁간과 함께 땅굴작전으로 단예를 구출하는 공을 세웠다. 모용박 부부에게 공격을 받은 적이 있어서 두려움에 대리국에서 신분을 감춘 채 숨어지낸 인물이다.

  • 과언지(過彦之)
복우파(伏牛派)의 대제자. 별호는 '추혼편(追魂鞭)'.

  • 가백세(柯百歲)
복우파(伏牛派)의 장문인. 연편(軟鞭)을 이용한 천령천렬(天靈千裂) 공격을 당해서 사망했다.


2.4.10. 진가채[편집]


  • 요백당(姚伯當)
운주(雲州)[25]에 위치한 진가채(秦家寨)의 채주. 독문 무공인 '오호단문도(五虎斷門刀)'를 구사한다. 사부는 진가채를 세운 진 씨(秦氏)인데, 그의 아들 진백기(秦伯起)가 영 시원찮자 채주 자리를 계승한다. 진백기가 흉수에 의해서 목숨을 잃었는데, 고소모용가의 소행으로 판단하여 아주가 사는 청향수사(聽香水樹)로 쳐들어왔다. 한편 왕어언의 무공 지식이 탐나자 온갖 거짓을 늘어놓으며 그녀를 데려가려고 한다.


2.4.11. 청성파[편집]


  • 사마림(司馬林)
사천(四川)[26] 청성산(靑城山)에 위치한 청성파(靑城派)의 장문인. 아버지는 청성파 장문인 사마위(司馬衛). 독문 병기인 뇌공굉(雷公轟)을 구사한다. 사마위가 공격을 받자, 고소모용가의 소행으로 판단하고 아주의 별장인 청향수사(聽香水樹)에 쳐들어왔다.

  • 제보곤(諸保昆)
청성파 사마위의 제자. 사마림의 사제. 얼굴에 곰보 자국으로 덮혀있는 인물로, 짧은 강추와 소추를 무기로 쓴다. 사마림처럼 뇌공굉(雷公轟)을 구사하며, 천왕보심침(天王補心針)이라는 암기를 쓴다. 실제로는 산동(山東)에 위치한 봉래파(蓬來派) 소속으로 원수인 청성파에 잠입한 인물이다.[27] 산동 사람이었음에도 산동 사투리까지도 버렸다. 왕어언에 의해서 정체가 들통난 이후 그녀의 지시에 따라서 청성파의 공격에도 대등하게 겨룬다.

  • 사마위(司馬衛)
사천(四川)[28] 청성산(靑城山)에 위치한 청성파(靑城派)의 장문인. 사마림의 아버지. 백제성 근처에서 열린 동지 연회 때 고막이 터지는 공격을 받아 치명상을 입었다.

  • 강 노인(姜老人)
청성파의 인물.

  • 맹 노인(孟老人)
청성파의 인물.


2.4.12. 충소동 부부 & 조전손[편집]


  • 담공(譚公)
태행산(太行山) 충소동(沖霄洞)에 사는 남자 무공 고수. 담파의 남편이다. 소봉이 담파와 조전손을 죽인 것으로 오인했을 뿐만 아니라 담파와 조전손의 불륜 의심 행위에 격분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개방 장로 서충소의 죽음을 듣고 조문을 위해서 위휘성(衛輝城)[29]에 왔다가 소봉이 안문관(雁門關) 사건[난석곡]의 통솔자를 알아내기 위해서 자신의 아내 담파를 죽인 걸로 오해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 담파(譚婆)
태행산(太行山) 충소동(沖霄洞)에 사는 여자 무공 고수. 담공의 아내이다. 별칭은 '소연(小娟)', '아혜(阿慧)'. 위휘성(衛輝城)에서 소봉에게 통솔자의 정체를 숨기다가, 정체 불명의 인물에게 목숨을 잃는다.

  • 조전손(趙錢孫)
말장난에 능한 인물이다. 행자림(杏子林)에서 담공-담파 부부와 함께 등장했으며, 태산선가 측이 하는 말을 그대로 받아 되풀이해서 농을 치며 도발한다. 담파와 과거 정분을 나눈 사이였는데, 그런 이유로 담파에게 '소연'이라고 친근하게 호칭한다. 안문관(雁門關) 사건[난석곡]의 참가자이다. 위휘성(衛輝城)에서 소봉에게 통솔자의 정체를 숨기다가, 정체 불명의 인물에게 목숨을 잃는다.


2.4.13. 태산선가[편집]


태산선가(泰山單家)는 산동태안 대동문(大東門) 외곽에 위치한 선가장(單家莊)에 근거를 둔 가문이다. 행자림(杏子林) 사건 이후로 정체 불명의 인물에 의해서 집안이 불태워지고 30명에 달하는 가문 사람들이 화재로 떼죽음을 당했다.

  • 선정(單正)
태산선가(泰山單家)의 우두머리. 별호는 '철면판관(鐵面判官)'. 개방의 부방주 마대원의 사망과 관련하여 강민이 상의를 구한 인물이다. 이에 따라 행자림(杏子林)에 온다. 정체 불명의 인물에게 목숨을 잃는다.

  • 선백산(單伯山)
선정의 아들. 태산오웅(泰山五雄) 중 첫째.

  • 선중산(單仲山)
선정의 아들. 태산오웅(泰山五雄) 중 둘째.

  • 선숙산(單叔山)
선정의 아들. 태산오웅(泰山五雄) 중 셋째. 별호는 '선숙산(單叔山)'. 개방의 사대장로 오장풍과 잘 아는 사이이다.

  • 선계산(單季山)
선정의 아들. 태산오웅(泰山五雄) 중 넷째.

  • 선소산(單小山)
선정의 아들. 태산오웅(泰山五雄) 중 다섯째(막내).


2.4.14. 지관사[편집]


송나라 양절동로 태주(台州) 천태현(天台縣)에 위치한 조그만한 사찰. 워낙 허름해서 사찰인 줄 몰랐다는 설명이 나온다.

  • 지광(智光)
천태산(天台山) 지관사(止觀寺)의 승려. 개방의 서충소와 태산선가의 선정의 청유로 행자림(杏子林)에 왔으며, 교봉(소봉)의 정체를 밝히는 인물이다. 안문관(雁門關) 사건[난석곡]의 참가자이다. 이후 소봉에게 소봉 자신의 숨겨진 개인 내력을 밝힌 후에 사망한다.


2.5. 토번[편집]


  • 구마지(鳩摩智)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토번국의 호국법왕, 대륜명왕.


2.6. 서하[편집]


  • 이추수(李秋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천산동모와 무애자의 사매(師妹)로 구판에서는 80대, 신수판에서는 88세로 나온다. 무애자이추수 사이의 딸이 이청라. 서하국의 황태비. 서하 경종 이원호의 비빈이었다고 한다.

  • 이청로(李淸露)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서하의 공주. 별칭은 '은천공주(銀川公主)', '몽고(夢姑)'. 허죽의 아내이고 이추수의 손녀이다.

  • 효뢰(曉蕾)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서하황궁에서 이청로를 모시는 궁녀. 공주가 머무르는 궁안으로 참가자들을 안내하며 등장한다. 일개 궁녀지만 교육을 잘 받아 금기서화와 무공에 어느정도 조예가 있다. 천진난만하고 수줍음을 많아 포부동의 말꼬리 잡기에 놀림을 당하기도 했다. 남원에서 소봉을 구출해서 안문관으로 향할 때 소봉, 단예와 안면을 튼 이청로가 매난국죽과 함께 단예에게 보내준다. 단예는 군주낭랑으로 삼아 황제의 여동생으로 대우하다 뒷날 목완청, 종영과 함께 비로 맞아들여 숙비(淑妃)에 봉했다. 2003년판 배우는 황소뢰인데, 소뢰와 효뢰는 중문으로 읽으면 둘 다 '샤오레이'로 배우개그가 성립된다.

  • 혁련철수(赫連鐵樹)
서하 일품당(西夏一品黨)의 우두머리. 관직은 정동대장군(征東大將軍). 34세에서 35세 정도에 매부리코팔자수염을 가졌으며 대홍금포(大紅錦袍)를 입고 있다고 묘사된다. 개방의 행자림 집회 때 교봉(소봉) 이 맞대결에 나서지 않자 나타났다.

  • 노아해(努兒海)
서하 일품당(西夏一品黨)의 인물. 혁련철수의 부하. 행자림에서 왕어언이 무공에 대한 뛰어난 지식을 뽐내자 그녀를 납치해서 써먹자고 권하는 인물이다.

  • 서하 일품당(西夏一品黨)
천산동모와 다른 나라의 고수들에 대항하기 위해 이추수가 주도한 무림고수들로 이루어진 조직. 사대악인이 이들과 협력관계로 있으며 우두머리는 혁련철수이다. 절세고수라도 일단 한 번 냄새를 맡으면 내력을 못 쓰게 되는 비소청풍(悲酥淸風)[30]이라는 무색무취의 독을 사용하는데 작중에서 큰 역할을 한다.


2.7. 요나라[편집]


  • 소원산(蕭遠山)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주요 인물}}}
소봉의 친아버지. 요나라 속산군(屬珊軍)의 친군총교두(親軍總敎頭)이다.

  • 야율홍기(耶律洪基)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01; font-size: .8em;"
★ 핵심 인물}}}
이 소설의 최종 보스(전체 기준). 요나라 도종(道宗). 소봉이 우연히 야율홍기가 이끄는 거란군과 맞닥들였을 때 생포했다가 구해준 일을 계기로 의형제가 된다.

  • 야율열로고(耶律涅魯古)
초왕(楚王). 야율홍기를 상대로 반역을 시도한다.

  • 야율중원(耶律重元)
야율열로고의 아버지. 황태숙.

  • 실리
요나라 왕부 사람으로 소봉이 가장 믿고 의지한 가신


2.8. 여진족[편집]


여진족의 인물. 훗날 금나라를 개국하는 인물. 소봉이 호랑이에게 죽을 뻔한 아골타를 구해준다.

  • 완안핵리발(完顔劾里鉢)
실존인물.


2.9. 송나라[편집]


송나라 황제. 실존인물.

  • 선인황후(宣仁皇后)
실존인물.

그 유명한 소동파의 동생이며 본인도 유명한 시인이자 정치가이다. 실존인물.

  • 범순인(范純仁)
실존인물

  • 범조우(范祖禹)
실존인물


2.10. 기타 인물[편집]


  • 마오덕(馬五德)
전남(滇南) 보이(普洱) 지방[31]의 늙은 무사이자 차를 파는 장사꾼(茶商). 이 소설 초반부에 단예와 알게 되어서 무량검의 검술대결에 그를 데리고 온 인물이다.

  • 금아이(金阿二)
단예왕어언이 행자림에서 서하 일품당을 피해서 도망치다가 방앗간에서 만난 젊은 사내. 18세에서 19세 사이 정도의 나이이다. 젊은 처녀와 뜨거운 연애를 벌이다가, 단예와 왕어언을 추격해온 서하 일품당 무사들에게 죽임을 당한다.

  • 젊은 처녀
단예왕어언이 행자림에서 서하 일품당을 피해서 도망치다가 방앗간에서 만난 젊은 여인. 18세에서 19세 사이 정도의 나이이다. 금아이와 뜨거운 연애를 벌이다가, 단예와 왕어언을 추격해온 서하 일품당 무사들에게 죽임을 당한다.

  • 기육(祈六)
일명 '쾌도기육(快刀祈六)'이라고 불리는 인물. 관서(關西) 지방에 사는 부호에 무공도 대단하다고 알려진 인물이다. 교봉아주를 구출하여 치료하고 있을 때 기육 일행이 뒷담화를 하는 걸 듣는다. 이후 취현장(聚賢莊) 모임에 참가한다.

  • 향망해(向望海)
상동(湘東)[32] 지방에 사는 인물이다. 교봉아주를 구출하여 치료하고 있을 때 기육 일행이 뒷담화를 하는 걸 듣는다. 이후 취현장(聚賢莊) 모임에 참가한다.

  • 포천령(鮑千靈)
별호는 '몰본전(沒本錢)'. 부잣집을 털어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주는 걸로 유명한 인물이다. 교봉아주를 구출하여 치료하고 있을 때 기육 일행이 뒷담화를 하는 걸 듣는다. 이후 취현장(聚賢莊) 모임에 참가한다.

소봉이 자신을 계속 상대하길 거부하자 심통이 난 아자에게 중독되고 혓바닥이 잘리는 변을 당했다.

[1] 단정순이 쓰는 호칭[2] 실제 역사에서는 단정명을 폐위시키고 자신이 황제가 된다. 1년 후 위독해지자 황위를 다시 단정순에게 물려주지만, 그의 고씨 일족은 이후에도 강한 권력을 휘둘렀다.[3] 황미승의 체질을 모르는 소년의 어머니는 소년이 무공을 제대로 익히지 못했다며 벌을 준다.[4] 1인 2역[5] 사조영웅전의 한보구 역시 이 별명을 달고 있다.[6] 쓰는 무기 이름이 '수라도'이다.[7] 살던 곳이 '유곡'이다.[8] 송나라 양절동로 무주(婺州) 영강현(永康縣). 현대 기준으로 '중국 저장성 진화시 융캉시'.[9] 2차 창작물에서는 교봉의 방주직 승계를 묘사하면서 이 등장인물이 등장하기도 한다.[난석곡] A B C D 정확히는 난석곡(亂石谷)에서 일어난 사건이다.[10] 송나라 양절서로 상주(常州) 무석현(無錫縣). 현대 기준으로 '중국 저장성 우시시'.[11] 개방의 규정상, 죽을죄를 지었더라도 자결을 선택하면 그 죄가 청산되어 명예를 보전할 수 있다. 하여 교봉에게 제지하자 "죄가 너무 커서 자결까지도 허락하지 않고 사형을 집행하려는가보다."라고 생각하기도 했다.[12]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이 정보를 전달하느라 사나흘동안 먹지도 자지도 못하고 내상을 입어 피를 토할 정도였다.[13] 원문에서 刺殺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문자 그대로 찔러 죽였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해당 단어는 직역인 '찔러 죽이다'는 의미 외에도 '암살하다'는 의미가 있다.(일례로 날붙이가 아닌 총으로 사살한 이토 히로부미 암살도 중문에서는 刺杀伊藤博文으로 표기된다.) 진고안은 날붙이를 무기로 쓰지 않으므로 후자의 의미가 가능성이 더 높다.[14] 중국 강남쑤저우 지방에 있는 모용세가를 뜻한다.[15] 신계사의 방장은 오엽(五葉). 오엽은 현비의 죽음이 고소모용가의 소행임이 확실하다고 발언한 인물이다.[16] 이름의 모티브는 광릉산으로 유명한 혜이다.[17] 이름의 모티브는 명, 청의 바둑 명수인 서병과 과백령인 것으로 보인다.[18] 흡철석(吸鐵石)이라고도 한다.[19] '염라대왕'이라는 뜻으로, 죽음에 이른 사람마저도 살려낸다는 뜻을 담고 있다.[20] 현대 기준 '중국 간쑤성 장예시'.[21] 신수판에서 개명.[22] 작중 이 집단의 인적 구성으로 보건대, 동종은 남성으로만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23] 작중 이 집단의 인적 구성으로 보건대, 서종은 여성으로만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24] '성수'로 읽어야 한다. 흔히 알려진 '성숙'은 오류이다.[25] 현대 기준으로는 '중국 산시성 다퉁시'이다.[26] 현대 기준으로는 '중국 쓰촨성 청두시'[27] 사부 도영도인(都靈道人) 도영자(都靈子)가 젊었을 때 청성파에게 크게 패한 적이 있었기 때문.[28] 현대 기준으로는 '중국 쓰촨성 청두시'[29] 현대 기준으로 '중국 허난성 신샹시 웨이후이시(卫辉市)'[30] 비(悲)는 '눈물이 비처럼 쏟아진다'는 의미, 소(酥)는 '전신을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는 의미, 청풍(淸風)은 '독기가 무색무취'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31] 현대 기준 '중국 윈난성 푸얼시'[32] 현대 기준으로 '중국 후난성 일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9 15:59:09에 나무위키 천룡팔부/등장인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