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논란 및 사건 사고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 개요
2. 시험 종료령 오작동
3. 2020년 철도노조 준법운행
5. 한국사 영역 20번 문항 관련 논란
5.1. 조선일보 · 뉴스1 오보 논란
5.2. 난이도 논란
5.2.1. 정말 가장 쉬운 문제였는가?
5.2.2. 3점 문제는 어려운 문제를 의미하는가?
6. 국어 영역 37번 복수정답 논란
7. 사회탐구 영역 정치와 법 5번 복수정답 논란
8. 과학탐구 영역 물리학Ⅱ 18번 문제오류 논란
9. 그 외 사건사고


1. 개요[편집]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논란,사건 사고 등을 정리한 문서다.


2. 시험 종료령 오작동[편집]


수능 당일 서울 강서구의 한 시험장에서 4교시 탐구과목 종료 2분을 앞두고 종료 안내벨이 잘못 울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

이러한 종료령 오작동에 대해 감독관의 대처 방식이 달랐던 것도 문제가 되고 있다. 한 감독관은 종료령 오작동 사실을 인지하고 시험을 계속 치를 수 있도록 안내했지만, 다른 감독관은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시험지를 걷어갔고, 뒤늦게 시험시간 2분을 추가로 주었으나, 시험지를 돌려받자마자 다시 종료령이 울렸다는 점에서 수험생들은 분통을 터뜨렸다.

종료 안내벨이 잘못 울려 자신의 잘못도 아닌데 시험 시간 2분을 손해본 것도 억울한데, 짧은 시간에도 1문제를 더 볼 수 있는 탐구과목 특성상 해당 수험생은 매우 큰 타격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감독관들은 시험지를 수거했지만, 타종 오류를 파악하자 시험지를 학생들에게 다시 나눠준 뒤 문제를 풀게 했다. 하지만 A씨 등은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빚어진 혼란으로 문제를 풀지 못하는 등의 손해를 봤다면서 "총 8800만원을 배상하라"며 국가 등을 상대로 2021년 6월 소송을 냈다.

2022년 2월 24일, 서울중앙지법 민사84단독 김홍도 판사는 A씨 등 수험생과 학부모 등 25명이 국가와 서울시, 덕원여고 방송담당 교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국가는 A씨 등 수험생 9명에게 각각 200만원씩 지급하라"며 원고일부승소 판결했다. 다만 서울시와 덕원여고 교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부분은 기각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21가단5136948) #

2023년 4월 19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항소5부(한숙희 부장판사)는 수험생들이 국가와 방송 담당 교사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소송 항소심에서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 재판부는 수험생 8명에게 국가가 1인당 700만원씩 지급하라고 명령했다. 1심 배상액 200만원에 500만원을 더 보탰다. 1심과 같이 담당 교사의 배상 책임은 인정하지 않았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나17712) #

3. 2020년 철도노조 준법운행[편집]


전국철도노동조합의 준법운행으로 인한 2020년 12월 1일까지 일부 열차 운행 중지가 됨에 따라 시험장으로 가는 수험생들이 큰 혼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4. 수능 시험장 방역용 책상 칸막이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능 시험장 방역용 책상 칸막이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한국사 영역 20번 문항 관련 논란[편집]



5.1. 조선일보 · 뉴스1 오보 논란[편집]


파일:조선일보가 조선일보했네.png


조선일보 정치부 원선우 기자는 수능 다음 날인 2020년 12월 4일, 한국사 영역 20번 문제 논란에 관하여 '너무 쉬운 한국사 20번 논란… 수능 문제로 정권 홍보?'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 기사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해당 수능 한국사 20번 문제가 문재인 대통령의 연설문 일부를 인용하였으며, 수능 한국사 문제가 정부의 대북 정책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활용됐다고 주장했던 것.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심지어 기본적인 팩트체크도 되지 않은 기사였다. 해당 20번 문제에 제시된 지문은 문재인 대통령의 연설문 일부가 아니라, 노태우 전 대통령의 1992년 1월 연두 기자회견 담화문 중 일부였던 것. 어이없게도 조선일보가 이를 문재인 대통령이 한 것으로 써놓고, 아예 수능 문제가 정치적으로 편향되었다는 식으로 주장한 것이다. 여담으로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부산에서 인권변호사로 활동하고 있었다.

해당 지문의 연설문은 남북한 UN 동시 가입에 관한 지문으로써[1], 조금만 생각해 봐도 문재인 정부 시기의 대북정책 사례가 아니라 1990년대 초반의 것임을 알 수 있다.[2] 한마디로 정부 여당을 비난하기 위한 목적으로 무리하게 허위보도를 한 것인데, 언론으로서 최소한의 기본적인 팩트체크 기능조차 작동하지 않은 전형적인 사례 중 하나로 남게 되었다. 심지어 해당 기사의 내용 중에는 '초등학생도 풀 정도로 쉬워서 변별력이 없다'는 언급도 있었는데, 애초에 수능 한국사 자체가 변별력을 갖고자 만든 시험이 아닐 뿐더러 정작 조선일보의 해당 기자와 조선일보 데스크가 그 초등학생도 하지 않을 법한 어이없는 오류를 범한 셈이 되었다.[3]

기사 출고 후, 허위보도를 했다는 맹비난을 받게 되자 조선일보 측은 해당 기사의 제목을 '중학생도 안틀릴 한국사 20번 논란… 수능 문제인지 통일교육인지'로 슬쩍 수정하고, 해당 문항의 지문이 문재인 대통령의 연설이라는 서술도 조용히 삭제했다. 그러나 미디어오늘의 비판 기사를 비롯하여 수정 전 기사 캡처와 여러 비평 기사들이 남아 웃음거리가 되고야 말았다.

심지어 수정한 기사의 방향조차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의 페이스북 내용과 댓글을 인용하며 '수능 문항을 이용하여 문재인 정부의 정책 홍보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운 것이었는데, 정작 남북기본합의서 채택과 남북한 UN 동시 가입은 국민의힘의 전신인 민주자유당이 탄생시킨 보수 정부인 노태우 정부 시기의 정책이었으며(...),[4] 특히 남북기본합의서는 보수 정부와 진보 정부를 막론하고 1987년 민주화 이후 탄생한 모든 정부의 대북 정책의 바탕과 근간이 된 주요한 합의였다.

한국사 교과서 저자 출신 최태성 강사 또한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임진왜란이순신이 정답이고 세종대왕훈민정음 창제가 정답인 게 현재의 필수 한국사 시험 수준이라며 2021 수능 한국사 남북기본합의서 문항도 문제가 없는 출제라고 의견을 피력하며 조선일보는 더더욱 비웃음을 사게 되었다.

한편 한국경제신문의 성상훈 기자도 조선일보의 해당 기사처럼 '수능으로 文정권 홍보?…'한국사 20번 문제' 어떻길래'라는 제목으로 조선일보와 거의 똑같은 내용의 기사를 썼다가 조선일보 기사와 마찬가지로 역시 욕을 먹고 '수능으로 통일 교육?…'한국사 20번 문제' 어떻길래'라는 제목으로 조용히 수정했다.

5.2. 난이도 논란[편집]



위의 정치 논란이 장대한 헛발질로 드러나 웃음거리가 되자, 조선일보 수정기사에서 볼수 있듯이 망신을 당한 기자들은 정치문제는 제기한적 없다는듯 입을 싹 다물고 난이도가 너무 쉬운게 아니냐는 논란으로 바꾸었다. 이 바꾸기가 상당히 성공적으로 작동해서, 처음 제기했던 치적 논란보다 더 오래간 논란이 되었다. 나무위키에서도 시간순서를 무시한채 몇년동안 이 논란이 정치적 논란보다 더 위에 자잡고 있었다.

하지만 아무리 쉬워도 지문에 등장하는 '남', '북'이라는 단어가 정답인 ⑤번 선지에 '남북'이라는 단어로 그대로 등장한다. 이는 '조금이라도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공부를 안 해도 눈치껏 맞힐 수 있는 문제이다. 이는 당해 6월 모의평가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으나, 기출문제가 면죄부라고 보기 어려운 점은 선지의 구성이다. 또 하필 ① ~ ④번 선지가 시대적 격차가 물씬 느끼는 '고대 · 중세사' 관련 선지로 대놓고 주어진 것이다. 2점짜리 문제였어도 지나치게 쉬워서 논란이 되었을 것이 분명한데 역배점을 하여 3점으로 주어졌는데, 이 문제를 3점으로 준 것은 평가원이 의도적으로 역배점을 주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실 평가원은 "문항 유형으로 알아보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사 학습 안내"라는 수험 자료에서 문항 수준에 대해 "절대평가의 취지에 맞추어 일정 수준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평이한 문항이 출제되므로 학교 수업에 충실한 학생이라면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선생님들은 수능을 대비해야 한다는 큰 부담감 없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한국사 수업을 재미있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학생들은 학교 수업을 통해 기른 한국사에 대한 소양만으로도 시험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또한 기존 한국사 시험은 "상위권 변별을 위해 고난도 문항 일부 출제"해 왔다고 하였으나 절대평가 한국사는 "학습 부담이 없도록 평이하게 출제"한다고 되어 있다.


5.2.1. 정말 가장 쉬운 문제였는가?[편집]


하지만 이런 논란이 무색하게 20번 문제는 정작 2021학년도 한국사에서 가장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가장 쉬운 문제는 마찬가지로 3점 배점이었던 한국사 1번 문제.

파일:PS20120701073.jpg

한술 더 떠서 지문에 대한 해석 없이 사진만 봐도 석기와 석기가 아닌 것이 구별되는 진정한 떠먹여주기 문제. 20번 문제를 능가하는 98% 전후의 정답률을 보여주었다. 20번 문제 관련 논란이 정말로 수능 한국사의 난이도 조절에 대한 순수한 의도의 문제제기였다면 20번이 아닌 1번을 먼저 문제삼았어야 할 것이다.

1번 문제와 20번 문제가 역대급으로 쉽게 나오면서, 2021 수능 한국사 영역은 가장 첫 문제와 가장 마지막 문제가 모두 거저 주는 3점짜리 문제가 되었다. 이 두 문제만 맞혀도 6점이 되어, 한국사 9등급을 받지 않게 된다. 실제로 이 시험에서 9등급을 받은 인원이 전체의 0.1%(1%가 아니다!)도 되지 않았다!


5.2.2. 3점 문제는 어려운 문제를 의미하는가?[편집]


국어, 수학, 영어 영역같은 변별력이 필수적인 과목들은 대체적으로 그렇지만, 탐구 과목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Q&A 자료집"에 "한국사 영역의 출제 방향과 문항 수, 배점은 어떻게 되나요?" 섹션에서 "한국사 영역의 배점은 교육과정상의 중요도, 소요 시간,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2점, 3점으로 차등 배점합니다."라고 언급하였다. 즉, 쉽고 푸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더라도 교육과정상의 중요한 내용이라고 판단되면 3점으로 출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고배점 문제 중에서 어려운 문제가 많은 건 사실이나, 고배점이라고 해서 반드시 어려운 문제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5][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4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4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6. 국어 영역 37번 복수정답 논란[편집]


37번 문항에 대해 정답으로 발표된 4번뿐만 아니라 1번 선지도 정답으로 인정해야한다는 논란이 있다. 복수정답을 인정해야한다는 측은 본문에 "표면 특성을 나타내는 값을 바탕으로, 다른 물체에 가려짐이나 조명에 의해 물체 표면에 생기는 명암, 그림자 등을 고려하여 화솟값을 정해 줌으로써 물체의 입체감을 구현한다."라는 문장을 통해 풍선에 가려 보이지 않는 입 부분의 삼각형들의 표면 특성 역시 화솟값을 구하는 데 고려되는 사항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주의할 것이 있는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짐을 이미 모두 고려한 상태에서 시선 방향에서 보이는 표면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솟값을 지정하는 것이다. 렌더링의 정의가 바로 관찰 시점을 기준으로 2차원의 화면을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일부는 장면 3에서 풍선이 하늘로 날아올라 점점 작아지게 보이므로 정점들이 이루는 삼각형들이 작아지는 것이 맞으므로 4번 선지가 정답이 아니라고 주장하는데, 2차원 화면에서는 풍선이 작아지는 것처럼 보일 뿐이지 3차원 상에서 풍선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이 절대 아니다. 움직이지 않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멀어지는 풍선이 점점 작게 보여도 당연히 실제 그 풍선의 크기는 작아지지 않는다. 모델링 단계는 렌더링 단계처럼 2차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3차원 가상 공간에서 이루어지므로 정점들이 이루는 삼각형의 크기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한다. 즉 4번 선지는 정답이 맞다.

유튜브에 37번 문제 상황을 실제로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동영상이 있다.#

지금까지 평가원이 인정한 복수정답의 사례들로 보았을 때 3D애니메이션이나 CG프로그램 개발자와 같은 다수의 전문가가 1번이 맞다는 의견을 내는 일이 없다면 복수정답이 인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결국 예상대로 평가원은 이 문제에 대한 이상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7. 사회탐구 영역 정치와 법 5번 복수정답 논란[편집]


사회탐구 영역 정치와 법 5번 문항 역시 정답으로 발표된 4번과 더불어 3번 선지 역시 복수 정답으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논란이 있다. 문제의 조건에는 "갑국과 을국의 정부 형태는 각각 전형적인 대통령제의원 내각제 중 하나이다."[7]라 적혀있고, 3번 선지에는 갑국과 을국 모두 "예"라고 답할 질문으로 "국민이 선거를 통해 행정부 수반을 직접 선출하는가?"가 들어갈 수 있다고 진술되어 있다. 평가원은 갑국이 대통령제이면 을국이 의원 내각제이고, 갑국이 의원 내각제이면 을국이 대통령제가 되므로 갑국과 을국 중 하나는 대통령제의 특성에만 해당하는 선지 3번의 질문[8]에 "아니오"라고 답해야 하므로 3번은 틀린 선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건의 각각이라는 말이 있으므로 갑국과 을국 모두 대통령제가 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이의가 제기되었다. "각각"은 "물건 하나하나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중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어 표현 의도를 고려해야 한다"고 한다. 즉 평가원의 표현 의도가 "갑국과 을국의 정부 형태는 대통령제와 의원 내각제 중 서로 다른 하나이다."였다면 문제 오류가 아니게 되는 것.

하지만 평가원은 이미 "각각"이라는 단어에 중복의 의미를 내포한 적이 있다. 수능이 치러지기 불과 3개월 전에 시행된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물리학 I 5번 문제에는 "A, B, C는 각각 도체와 반도체 중 하나이다."라는 표현이 사용된 적 있으며 당시 물질 A와 C는 도체, 물질 B는 반도체로 A와 C에서 중복이 발생했었다. 즉 평가원은 기존 9월 모의평가에서 사용되었던 "각각"과 대수능에서 사용한 "각각"의 의미를 달리 했다는 말이 되고 이는 논란이 될 수밖에 없다.


8. 과학탐구 영역 물리학Ⅱ 18번 문제오류 논란[편집]


파일:물리2 출제오류.jpg
2020년 12월 7일 종로학원학력평가연구소의 최점호 과학팀 대표강사는 "물리Ⅱ 18번 문제 그림에서 물체의 운동 경로를 틀리게 제시했으므로 ‘정답 없음’ 처리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포문을 열었다.

해당 문항을 보면 '높이가 h인 지점에서 속력 3v로 출발한 물체가 제시된 그림과 같은 궤도를 따라 운동하다가 속력 2v로 수평면에 도달하였다'고 되어 있다. 그림도 물체의 궤적이 수평면 위로 움직이는 것으로 그려져 있다. 하지만 '그림과 같이' 물체가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문제에 오류가 있다는 주장이다. 종로학원 측은 "물체의 운동 에너지가 음(-)의 값을 갖도록 설정돼 물체가 수평면 아래에 있어야 하는데, 그림에서 수평면 위에서만 움직이고 있다"며 "물체 운동 경로에 오류가 있다"고 설명했다.[9]

만약 이 문항이 정답 없음 처리된다면 2008학년도 수능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 2017학년도 수능 물리Ⅱ 전원정답 사태 이후로 4년 만에 물리학Ⅱ 전원정답 처리가 되는 사태가 일어난다. 게다가 이번 시험은 매우 쉽게 출제되어 저 문제마저 전원정답 처리되면 2등급 블랭크가 일어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물리Ⅱ 2등급 블랭크 사태는 실제로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일어났는데, 그 당시 만점 비율은 11.56%, 만점자는 402명으로 400명이 넘어갔다.[10] 결국 그 당시 서울대를 노리고 물리Ⅱ를 선택한 수험생들은 표준점수와 백분위가 급락해버려 물리Ⅱ를 선택하고 수능 만점을 받고도 서울대 의예과 정시에 불합격할 가능성도 있으며, 서울대를 떨어지면 오히려 물리Ⅰ을 하는 것보다 불리하게 되는 대참사가 일어나고야 말았다.[11]

평가원은 14일 17시, 해당 문항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이의제기된 문항 중 유일하게 설명이 탑재되었는데, 그림의 형태가 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문제 상황 이해를 돕기 위해 개략적으로 제시된 자료라는 것이 주된 이유이다.

평가원설명 ...(중략) 이의신청의 주된 내용은 ‘그림에 잘못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 문항은 오류이며 전원 정답 처리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의신청의 내용과 같이 그림에서 구간 S1이 정확히 표현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 문항에서는 그림의 형태가 문제 해결 과정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 문항에서 제시하고 있는 그림은 문두에서 설명하고 있는 문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개략적으로 제시된 자료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 문항을 ‘정답 없음’으로 처리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항의 정답을 ①번으로 유지합니다.

그러자 평가원의 설명을 바로 비꼬는 글이 올라왔다. 글의 출처는 오르비이다.
30. 그림과 같이 [math(1)]에서 [math(6)]까지의 숫자가 적혀있는 주사위가 있다. 그림과 같은 주사위를 한 번 던졌을 때 [math(6)]이 나올 확률을 [math(\dfrac qp)]라 할 때, [math(p+q)]의 값을 구하시오.[4점](단 [math(p)]와 [math(q)]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12]
파일:주사위6.jpg
정답: [math(7)][13]
복수정답은 인정되지 않았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원은 채점을 했는데, 채점 결과 1등급컷은 예상대로 50점으로 확정되었고 만점시 백분위는 94, 표준점수는 62점이 나왔다.[14] 만점자 비율은 무려 11.52%(322명/2,796명)으로, 복수정답이 인정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2016학년도 수능 이후 5년만에 2등급 증발이 일어났다. 3등급컷은 45점, 심지어 4등급컷이 무려 41점이고 40점을 받을 경우 5등급이 나온다. 때문에 이런 패러디도 생겼다...
파일:2021물2.jpg
(사실 이 지문에서 전치사인 Despite 다음에 절 형태가 나오므로 문법 오류가 있다. 그리고 조금 더 내용을 디테일하게 바꾸려면 5번째 줄의 문장을 Ki-Bum Bae, a renowned physics instructor at Megastudy, said four times during the first time of his signature lecture, The Essential Approach to Physic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정도로 고칠 수 있다.)

9. 그 외 사건사고[편집]


  • 수능 하루 전날 오후, 대전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교사(수능 감독관)와 그 아들이 각각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역학조사를 거쳐 확진된 감독관과 밀접 접촉한 것으로 추정되는 같은 학교 교사 18명을 수능 감독 업무에서 배제하고 예비 감독관을 긴급 투입했다.
  • 경북에 있는 한 수험생이 수능 직전 코로나19에 확진되어 병원 시험장인 포항의료원으로 긴급 이송돼 수능을 치렀다.
  • 광주에서 한 여학생이 오전 8시 30분쯤 생리통으로 인해 복통을 호소하며 쓰러져 인근 상무병원으로 옮겨졌다. 여학생은 수학 영역을 선택하지 않아, 병원에서 국어 영역 등 나머지 시험을 보는 데 지장이 없었다. #1 #2
  • 수능을 불과 일주일 앞두고 '초중증 재생불량성 빈혈' 진단을 받고 서울성모병원에서 시험을 치르게 된 의대 지망 여고생의 사연이 알려졌다. #
  • 아이돌 마스터 갤러가 수학 시간에 패딩에 있던 타이머가 울려서 부정 행위로 간주되어 쫓겨났다고 한다. #
  • 부산에서 2교시 수학영역 시작 전에 부정행위자 4명이 적발돼 퇴실 조치 됐다. #
  • 래퍼 이영지늦잠을 자서 시험을 치르지 못했다.
  • 노태우 당시 대통령의 1992년 1월 10일 연두 기자회견 담화문의 일부를 인용한 한국사영역 20번 문제에 대해 조선일보[15]뉴스1[16]에서 마치 문재인 정부 홍보 목적인 양 오보를 내보냈다가 정황이 알려지자 수정했다.
  • 수험생의 신청 과목과 접수 과목이 다르게 나온 사고가 발생했다. 수능 하루 전날, 수학 나형을 선택한 학생이 수학 가형으로 표기된 것. 실제로 이 학생은 수능을 망쳤다고... 안타깝지만 구제는 그때처럼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네티즌들의 댓글은 네이버, 다음 둘 다 담임의 실수가 있더라도 원서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본인의 부주의로 인해 해당 학생의 잘못도 크다는 평이 있다.[17]
[1] 1991년 9월 18일 열린 제46차 유엔 총회에서 남북한이 각기 별개의 의석을 가진 회원국으로 유엔에 동시에 가입한 사건이다.[2] 오답인 1-4번과 정답인 5번은 애초에 시대가 다르다.[3] 더 놀라운 것은 원선우 기자는 서울대 종교학과를 나온 사람이다![4] 물론 노태우 정부는 보수정부중 이례적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대북정책에 있어 유독 유화적인 편이었다. 이는 국제적으로 냉전 붕괴 이후의 데탕트 흐름, 여소야대 상황에서의 대북정책 완화 필요성 등의 배경에서 기인하기도 한다.[5] 수능 시험이나 모의평가들을 치면서 쉬운 고배점 문제들이 의외로 많은 이유가 바로 이런 이유다. 특히 탐구 영역은 2점 문제와 3점 문제의 수가 10문제로 동일하기 때문에 더욱 그럴수밖에 없다.[6] 또한 탐구 영역의 경우 종종 너무 어려운 문제라고 생각되어 제대로 풀어서 맞춘다기보다 찍어서 맞추는 경우가 더 많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문제에는 종종 역배점을 건다. 2014 수능 화학1 20번, 2016 수능 생명과학1 17번, 2018 수능 물리2 20번이 이에 해당하는 사례. 또, 문제 자체의 수준은 높거나 복잡할지라도 평소 해당 부분의 기출 문제의 난이도가 이보다 훨씬 높아서 상대적으로 쉽다고 판단되는 경우나 (당해) 평가원 모의평가에서 (문제 풀이의) 아이디어를 따온 경우 역배점으로 2점을 주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생명과학 1의 가계도 문제나 돌연변이 문제에서 이러한 사례를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7] 전형적인 대통령 중심제미국이고 전형적인 의원내각제영국을 가리킨다. 전 세계 어떤 나라도 미국과 영국을 제외하면 제도 자체가 변형돼 도입됐다.[8] 의원 내각제에서는 행정부 수반인 총리를 의회에서 선출한다. 여당 대표가 자동으로 총리가 되는 일본을 생각하면 쉽다.[9] 쉽게 말하자면 오목하게 들어가는 경로가 S1을 지나는 중에 이미 수평선 아래로 꺼져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10] 심지어 2014 수능과 2015 수능에서도 09 개정 교육과정 시행 초기라 기출도 몇 없어 난이도에 비해 등급컷도 높지 않았고 표본까지 그리 고이지 않았을 때에도 이런 표준점수가 나온적이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당시의 시험 수준을 짐작할 수 있는 셈.[11] 다만 당시 물리 I의 경우 만점 표준점수가 72점으로 매우 어렵게 출제하는 등 불을 질러놓은 생명과학 I(76점) 다음으로 높았던 과목임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당시 과학탐구 과목으로 물리 I과 생명과학 I으로 골라 둘다 만점이 나왔다면 만점 표준점수가 과학탐구에서 무려 148점으로 그 어려웠다던 2019학년도 국어의 만점 표준점수인 150점과 맞먹게 되는 수준이라는 소리이다.[12] 원문은 다음은 1~6까지의 숫자가 하나씩 써진 주사위의 그림이다. 주사위를 한 번 던져 6이 나올 확률은?이다. 저 내용은 게시물에 달린 댓글로, 문제 자체를 조금 더 수능 유형스럽게 바꾼 것이다.[13] 평가원의 변명처럼 주사위의 그림을 무시하고 원래 우리가 알던 주사위를 가정하여 확률을 구하면 6분의 1이 되어 p=6, q=1이 나온다. 따라서 정답은 7[14] 당해 수능 과탐 중 만점자 표점이 가장 높았던 지구과학172점보다 10점이나 낮은 점수다. [15] 조선일보, 수능 문제 문재인 정권 홍보라더니 스리슬쩍 수정 (미디어오늘)[16] 틀리면 이상한 수능 한국사 20번 문제…'초교수준' '입시부정' 비난쇄도 (수정전, 수정후). 급하게 수정했는지 '시대가 현대을'이라는 비문이 있다.[17] 이 학생은 9평 이후 나형에서 가형으로 응시하겠다고 말했다가, 마감날 직전에 가형에서 나형으로 바꾸겠다고 말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
, 7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
, 7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01:28:49에 나무위키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